KR101029712B1 - 반사판의 평형 조절을 위한 레이저 발광 수단을 구비한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사판의 평형 조절을 위한 레이저 발광 수단을 구비한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712B1
KR101029712B1 KR1020090045780A KR20090045780A KR101029712B1 KR 101029712 B1 KR101029712 B1 KR 101029712B1 KR 1020090045780 A KR1020090045780 A KR 1020090045780A KR 20090045780 A KR20090045780 A KR 20090045780A KR 101029712 B1 KR101029712 B1 KR 101029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smoke
laser
light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362A (ko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브인
김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브인, 김현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브인
Priority to KR102009004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71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08B17/10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light-scattering due to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반사판의 평형 조절을 위한 레이저 발광 수단을 구비한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룬 화재 시 연기를 감지하는 광전식 분리형 감지 시스템은 입사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으로 방사한 빛이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연기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반사판의 평형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반사판으로 두 개의 레이저를 방사하는 연기 감지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외선 송수신단에서 방사되는 레이저 빛을 확인하며 반사판의 평형을 맞출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적외선 송수신단과 반사판간의 평형을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재, 연기, 광전식, 감지, 반사판

Description

반사판의 평형 조절을 위한 레이저 발광 수단을 구비한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Photoelectric separated smoke detecting system having lager for controlling equilibrium of mirror}
본 발명은 연기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반사판의 평형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연기 자체를 센싱할 수 있는 센싱 소자를 이용하여 화재시의 연기를 감지하였으나, 최근에는 광전(Photoelectric)을 이용한 연기 감지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광전식 연기 감지기는 빛을 이용하여 화재 시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발광소자에서 방사되는 빛이 수광소자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연기가 중간에 들어올 경우 수광소자로 입사되는 빛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감지하는 원리로 연기를 감지하는 것이다.
광전식 연기 감지기는 스포트형(spot type)과 분리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스포트형 연기 감지기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감지기 내에 구성한 것으로 감지기 주위의 공기가 일정한 농도의 연기를 포함하게 되는 경우에 동작하도록 한다. 스포트형 광전식 연기 감지기는 일반적으로 가로 9m, 세로 9m로 최대 81m2를 포용하여 주로 협소한 공간에 이용된다. 이와 달리 분리형 연기 감지기는 최대감지거리가 약 100m이며 이에 따라 주로 넓은 공간에 이용되는데, 일반적으로 빛을 방사하는 발광부와 빛을 수집하는 수광부가 분리되어 있다. 최근 발생된 대형 중요시설의 화재로 대형, 대공간의 화재에 대한 안전의식이 향상되고 최근의 초고층 빌딩 등 건축물의 대형화와 이에 대한 화재 안전의 향상으로 첨단 화재 경보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대공간에서의 화재 감지 시스템으로서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기가 이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의 기본 동작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은 감광식 감지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산란광식 감지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감지기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류로는 감광식과 산란광식으로 구분된다. 산란광식 감지기는 일반적으로 스포트형 연기감지기에서 주로 이용되고, 분리형에서는 감광식의 원리가 주로 적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감광식 감지기의 연기 감지 원리로서 발광소자(1)에서 방사되는 빛이 수광소자(3)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연기(10)가 중간에 들어올 경우 수광소자(3)로 입사되는 빛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감지하는 원리로 연기를 감지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수광소자(3)와 발광소자(1)가 서로 다른 축에 위치하게 되어 평상시에는 발광소자(1)에서 방사되는 빛이 수광소자(3)에 전달되지 못하지만 연기 유입시에는 연기 입자(10)에 반사되는 빛이 수광소자(3)에 전달되어, 그 빛의 양으로서 연기를 감지하는 원리이다. 두 가지 원리에 대한 장단점은 있으나 일반적으로 스포트형 감지기 형태에서는 비화재보의 우려가 비교적 적은 산란광식의 원리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3은 디지털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기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는 발광부(32)와 수광부(34)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고 양쪽에 이어진 광로축안에 연기가 발생할 경우 수광부(34)에 전달되는 광량의 변화를 전기 신호로 변화하여 검출하는 방식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로축의 길이는 국내법상 최고 100m로 규정되어 있으며 인접 광로축과의 거리는 5m 간격을 두고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따른 연기 감지기의 구조는 발광부(32)와 수광부(34)의 위치가 서로 달라 이에 대한 전원 및 기타 배선에 대한 시공 등에 애로 사항이 있다. 즉, 연기의 감지를 위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발광부(32)와 수광부(34)가 설치됨으로 인해, 각각을 위한 전원 및 기타 배선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반사판을 이용하여 발광부(32)와 수광부(34)를 동일 위치에 구비할 수 있는 연기 감지기가 개발되었다.
도 4는 반사판을 이용한 디지털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반사판을 이용한 디지털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기의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디지털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은 발광부와 수광부(TX/RX, 410)를 함께 구비한 연기 감지기(400)와 연기 감지를 위한 공간을 두고 이격된 반사판(reflector, 430)을 포함한다. 연기 감지기(400)와 연기를 감지하고자 하는 영역의 반대편에 전기 배선 및 기타 배선이 필요없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판(430)을 설치함으로써 시공상 편리성은 물론 경제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연기 감지기(400)의 TX(발광부)로부터 방사된 빛이 반대편의 반사판(430)에 반사되어 RX(수광부)로 입사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기 감지기(400)는 적외선 송수신부(TX/RX, 410)와 제어부(420)를 포함하며, 제어부(420)는 적외선 송수신부(410)로부터 방사된 빛이 반사판(430)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량을 이용하여 연기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작동 원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먼저 연기 감지기(400)에 있는 적외선 송수신부(410)의 송신단에서는 변조 신호를 발생시켜서 전력 증폭을 한 후에 적외선 LED를 구동하여 변조된 적외선을 렌즈 등으로 구성된 정밀 광학 장치를 통하여 원거리로 송신한다. 반사판(430)은 수신된 적외선을 다시 반사하게 되며, 적외선 송수신부(410)의 수신단(포토트랜지스터)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증폭하고 복조를 거쳐서 반사된 신호만을 가려낸다. 복조된 신호를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unit, MCU)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or, ADC)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바꾸고, 이 신호를 디지털신호처리 기법으로 분석하여, 화재로 인한 연기로 적외선이 차단되는 양을 측정하여 화재 경보를 위한 릴레이를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화재로 인한 연기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요소로서 가장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는, 적외선 송수신부(410)의 송신단에서 방사된 빛이 반사판(430)에 반사되어 적외선 송수신부(410)의 수신단에 정확히 도달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만일 반사판(430)이 기울어 있거나 비틀어져있는 경우, 적외선 송수신부(410)의 송신단으로부터 방사된 빛의 일부 또는 전부는 수신단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어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미세한 오차마저 없이 송신단으로부터의 빛을 수신단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반사판(430)의 평형을 맞히는 작업이 중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은 광로축이 100m 이내의 넓은 공간에 구축되는 것을 감안하면, 연기 감지기(400)와 반사판(430)의 거리가 최대 100m 이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반사판(430)의 평형을 보다 정확하게 하는 작업이 더욱 중요해진다.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수평계를 이용하여 반사판의 평형을 설정하는 것을 예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기존에는 반사판(430)의 평형을 맞히기 위해 수평계(600)를 이용하였다. 수평계(600)를 이용할 경우, 반사판(430) 자체 즉 가로와 세로를 수평하게 할 수는 있으나, 반사판(430) 또는 반사판(430)이 부착된 거치 대(610)가 앞뒤로 기울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평형을 맞추기가 어렵다. 만일 앞뒤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적외선 송수신부(410)로부터 방사된 빛이 반사판(430)에 의해 반사되어 정확히 다시 적외선 송수신부(410)의 수신단으로 입사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에는 적외선 송수신부(410)와 반사판(430)의 평형을 맞히기 위해, 작업자들이 각각 적외선 송수신부(410)와 반사판(430) 가까이 위치한 상태에서 서로 무전기 등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대화하며 수동으로 평형을 맞추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수동으로 작업을 함에 따라 반사판(430) 또는 적외선 송수신부(410)의 미세한 움직임을 제어하기가 쉽지 않아, 보다 정확한 평형을 맞추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레이저를 이용하여 반사판의 평형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적외선 송수신단과 반사판의 평형이 조절되는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화재 시 연기를 감지하는 광전식 분리형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입사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으로 방사한 빛이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연기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반사판의 평형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반사판으로 두 개의 레이저를 방사하는 연기 감지기를 포함하는 레이저 발광 수단을 구비한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에는 평형 설정을 위해 상기 레이저에 따른 각 레이저포인트가 위치해야 할 평형설정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기 감지기는, 상기 반사판으로 빛을 방사하고,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신하기위한 적외선 송수신부;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수신된 빛의 양을 이용하여 연기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레이저를 방사하 는 레이저 방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은 리모트컨트롤에 의해 상하좌우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은, 빛을 반사하기 위한 재질의 반사부; 상기 반사부에 입사되는 레이저포인트 지점을 인지하기 위한 레이저지점 인식부; 상기 반사부를 상하좌우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레이저포인트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레이저포인트 지점이 미리 설정된 평형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지점 인식부는 상기 반사부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레이저포인트 지점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레이저포인트 지점을 인지하여 상기 반사부의 평형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외선 송수신단에서 방사되는 레이저 빛을 확인하며 반사판의 평형을 맞출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적외선 송수신단과 반사판간의 평형을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외선 송수신단에서 방사되는 레이저 빛이 반사판에 반사되는 위치를 자동 인지하여 반사판의 평형을 자동으로 맞출 수 있어, 관리자가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반사판의 평형을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기적으로 반사판의 평형을 자동으로 맞춤으로써 관리자가 별도로 확인할 필요가 없더라도 반사판과 적외선 송수신단과의 평형이 유 지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평형 조절을 위한 레이저 발광 수단을 구비한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 시스템은 연기 감지기(800) 및 반사판(810)을 포함하되, 연기 감지기(800)는 레이저 방사부(802), 적외선 송수신부(804), 제어부(806) 및 경보 처리부(808)를 포함한다.
연기 감지기(800)의 적외선 송수신부(804)는 적외선을 방출하고 반사판(810)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수신한다. 제어부(806)는 적외선 송수신부(804)의 수신단에 유입되는 빛의 양을 기준으로 화재에 의한 연기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 단할 수 있다. 제어부(806)는 연기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경보 처리부(808)가 화재 경보를 발행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연기 감지기(800)는 적외선 송수신부(804)의 송신단에서 방사된 빛이 반사판(810)에 반사되어 정확하게 수신단으로 유입되도록 반사판(810)과 적외선 송수신부(804)간의 평형을 맞히기 위한 레이저 방사부(802)를 포함한다. 즉, 레이저 방사부(802)로부터 방사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반사판(810)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방향이 적외선 송수신부(804)의 수신단으로 향하도록 반사판(810)의 평형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연기 감지기(800)의 레이저 방사부(802)에서 방사되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반사판(810)의 평형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반사판의 평형을 설정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기 감지기(800)의 레이저 방사부(802)는 두 개의 레이저를 방사하고, 방사된 레이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810)에 입사됨으로써 육안으로 보면 해당 지점에 레이저의 색상(912, 922)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레이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레이저포인터와 같이 빨간색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빨간색의 레이저포인트가 반사판(810)에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반사판(810)은 입사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의 반사경(830)과 반사경 거치대(840)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연기 감지기(800)와 평형을 유지해야 하는 것 은 반사판 자체(810)가 아니라 반사경(830)이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반사판의 평형을 설정하는 것은 곧 반사경(830)의 평형을 설정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830)에는 평형을 맞추기 위한 눈금(832) 등이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평형설정 눈금"이라 칭하기로 한다. 연기 감지기(800)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는 두 개이기 때문에 반사경(830)에는 두 개의 평형설정 눈금(832)이 표시된다.
반사경(830)의 평형이 잘 맞혀진 상태에서는 반사경(830)을 정면에서 바라본 참조번호 920과 같이 평형설정 눈금(832) 상에 각 레이저(922)가 표시된다. 이와 달리 만일 반사경(830)이 앞뒤로 기울어지거나 좌우로 비틀어진 경우에는 참조번호 910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는 평형설정 눈금(832)을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는 반사경(830)에 표시되는 레이저를 보면서 반사경 거치대(840) 또는 반사경(830) 자체를 움직여 가며 보다 용이하게 반사경(830)이 평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기 감지기(800)와 반사판(810) 사이의 거리는 최대 100m일 수 있어, 그 거리가 멀어 반사판(810)이 조금만 움직여도 반사경(830)에 표시되는 레이저가 많이 움직일 수 있어, 사람이 직접 평형을 맞추기란 미세한 작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미세하게 반사판(810)을 움직일 수 있도록 반사판(810)에 기계적인 조절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반사경 거치대(840)에 리모트 컨트롤에 의해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기계적인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반사경 거치대(840)를 조절하여, 반사경 거치대(840)에 거치 또는 부착된 반사경(830)의 평형을 맞출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적인 수단으로 반사판(810)의 평형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미세한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평형 설정을 수행하는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의 반사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810)은 반사부(1010), 레이저지점 인식부(1020), 구동부(1030) 및 구동 제어부(1040)를 포함한다.
반사부(1010)는 연기 감지기로부터 입사되는 적외선과 같은 빛을 반사하기 위한 수단이며, 레이저지점 인식부(1020)는 연기 감자기로부터 방사된 두 개의 레이저가 반사부(1010)에 입사되는 각 지점을 인식하도록 기능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지점 인식부(1020)는 카메라모듈을 구비하여 반사부(1010)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레이저가 입사되는 지점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부(1010)의 총면적을 미리 설정된 개수의 좌표로 구분하고, 레이저가 입사된 지점에 표시되는 특정 색깔(예를 들어 빨간색)을 인식하여 해당 지점의 좌표를 산출해 낼 수 있다. 영상 인식 기술은 공지기술이므로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1030)는 반사부(1010) 또는 반사부 거치대(미도시)를 상하좌우로 구 동하기 위한 수단이며, 예를 들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040)는 레이저지점 인식부(1020)에 의해 인식된 레이저가 입사된 지점이 미리 설정된 지점(이하 "평형지점"이라 칭함)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레이저가 입사된 지점이 평형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동부(1030)를 제어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예를 들면, 레이저포인트가 평형지점에서 오른쪽에 위치하는 경우 반사부(1010)가 왼쪽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인식하여, 구동 제어부(1040)는 반사부(1010)가 조금씩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동부(1030)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한 작업이 필요한 반사판(810)의 평형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사람이 직접 평형을 맞추는 것보다 보다 정확한 평형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간이 흐르면 반사판(810)의 평형이 틀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반사판(810)의 평형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반사판(810)의 평형을 맞추는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반사판(810)이 평형 상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평형 상태를 설정 및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기 감지기(800)는 항상 레이저를 방사하고, 반사판(810)이 주기적으로 입사되는 레이저의 지점을 인지하여 평형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는 반사판(810)과 연기 감지기(800)가 연동하여, 연기 감지기(800)가 일정 시간 간격(예를 들어, 24시간) 마다 반사판(810)으로 레이저를 방사하고, 반사판(810)은 입사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반사부(1010)의 평형을 설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반사판(810)의 요청에 따라 연기 감지기(800)가 레이저를 방사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관리자가 수시로 반사판(810)의 평형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없게 되어,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광전식 연기 감지기의 기본 동작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디지털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기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반사판을 이용한 디지털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반사판을 이용한 디지털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기의 회로도.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수평계를 이용하여 반사판의 평형을 설정하는 것을 예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평형 조절을 위한 레이저 발광 수단을 구비한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반사판의 평형을 설정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평형 설정을 수행하는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의 반사판을 도시한 블록도.

Claims (7)

  1. 화재 시 연기를 감지하는 광전식 분리형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입사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으로 방사한 빛이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량을 이용하여 연기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반사판의 평형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반사판으로 두 개의 레이저를 방사하는 연기 감지기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판에는 평형 설정을 위해 상기 레이저에 따른 각 레이저포인트가 위치해야 할 평형설정 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감지기는,
    상기 반사판으로 빛을 방사하고,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신하기위한 적외선 송수신부;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수신된 빛의 양을 이용하여 연기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레이저를 방사하는 레이저 방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리모트컨트롤에 의해 상하좌우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빛을 반사하기 위한 재질의 반사부;
    상기 반사부에 입사되는 레이저포인트 지점을 인지하기 위한 레이저지점 인식부;
    상기 반사부를 상하좌우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레이저포인트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레이저포인트 지점이 미리 설정된 평형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지점 인식부는 상기 반사부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레이저포인트 지점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레이저포인트 지점을 인지하여 상기 반사부의 평형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
KR1020090045780A 2009-05-26 2009-05-26 반사판의 평형 조절을 위한 레이저 발광 수단을 구비한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 KR101029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780A KR101029712B1 (ko) 2009-05-26 2009-05-26 반사판의 평형 조절을 위한 레이저 발광 수단을 구비한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780A KR101029712B1 (ko) 2009-05-26 2009-05-26 반사판의 평형 조절을 위한 레이저 발광 수단을 구비한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362A KR20100127362A (ko) 2010-12-06
KR101029712B1 true KR101029712B1 (ko) 2011-04-18

Family

ID=4350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780A KR101029712B1 (ko) 2009-05-26 2009-05-26 반사판의 평형 조절을 위한 레이저 발광 수단을 구비한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7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793A (ja) * 1995-02-15 1996-08-30 Sony Tektronix Corp 自動焦点レーザー光源装置
JPH11154290A (ja) * 1997-11-21 1999-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光電式分離型感知器
JPH11339156A (ja) 1998-05-25 1999-12-10 Hochiki Corp 感知器の照準機構
KR200298227Y1 (ko) 2002-09-12 2002-12-20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원 거리 화재 탐지 식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793A (ja) * 1995-02-15 1996-08-30 Sony Tektronix Corp 自動焦点レーザー光源装置
JPH11154290A (ja) * 1997-11-21 1999-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光電式分離型感知器
JPH11339156A (ja) 1998-05-25 1999-12-10 Hochiki Corp 感知器の照準機構
KR200298227Y1 (ko) 2002-09-12 2002-12-20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원 거리 화재 탐지 식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362A (ko) 201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9007B2 (en) Light scanning photoelectric switch
KR101735576B1 (ko) 입자 검출기에 대한 향상
US7271722B2 (en) Security sensor device having optical axis adjustment capability
US20020135748A1 (en) Adjustable mirror for collimated beam laser sensor
US8085157B2 (en) Smoke detectors
US9933511B2 (en) Safety scanner
US7956329B2 (en) Flame detector and a method
EP2632166A2 (en) System to test performance of pixels in a sensor array
JP6264934B2 (ja) 光電センサ
KR20130084081A (ko) 침입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EP2156420B1 (en) Position specifying system
JP2014182723A5 (ko)
KR101029712B1 (ko) 반사판의 평형 조절을 위한 레이저 발광 수단을 구비한 광전식 분리형 연기 감지 시스템
KR200385668Y1 (ko) 양방향 적외선 감지기
EP4174809A1 (en) Non-coaxial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smoke
KR100339255B1 (ko) 적외선 감지기 및 그 처리 방법
KR101304699B1 (ko) 연기 검출용 레이저 송수신 시스템
JP2021156850A (ja) 測定装置及び防災システム
KR100578454B1 (ko) 열선 센서의 감지 영역 확인장치
JPH0644468A (ja) ビームセンサの光軸調整方式
GB2580646A (en) Smoke detector
KR20130047984A (ko) 창 오염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090028910A (ko) 적외선 감지기 및 그것의 설치 확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