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673B1 -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673B1
KR101029673B1 KR1020090037553A KR20090037553A KR101029673B1 KR 101029673 B1 KR101029673 B1 KR 101029673B1 KR 1020090037553 A KR1020090037553 A KR 1020090037553A KR 20090037553 A KR20090037553 A KR 20090037553A KR 101029673 B1 KR101029673 B1 KR 101029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duplicat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724A (ko
Inventor
진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37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67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기종 무선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에 있어서, 핸드오버할 무선 통신망에 접속된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아 관리하는 IP 주소 관리부; 및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가 자신[이동통신 단말]의 고정 IP 주소(static IP address)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에 관한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중복주소 검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이종의 무선 통신망으로 핸드오버되는 경우에는 중복주소 검출 절차를 생략함으로써, 핸드오버 시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중복주소 검출, 핸드오버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DUPLICATED ADDRESS}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IPv6 환경의 이기종 무선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시 지연을 최소화하는데 적합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을 기반으로 한 무선랜, CDMA, WCDMA, WiBro 등의 다양한 종류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무선 데이터 서비스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인프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유/무선 데이터 서비스의 이동성을 보장해 주기 위해, 이동 IP(mobile IP) 및 프록시 이동 IP(proxy mobile IP;PMIP)가 제안되었다.
여기서, 이동 IP는 단말기의 이동으로 인한 IP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서, 단말이 자신의 네트워크 영역을 벗어나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 할 경우에도 끊김 없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또한, 프록시 이동 IP는 단말에 이동 IP 스택(mobile IP stack)을 구현하는 대신, 통신망에서 이동성을 수용하게 된다.
한편, 무선랜, CDMA, WCDMA, WiBro 등과 같이 다양한 기종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복수 기종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이 보급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복수 기종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의 효율적인 동작을 위해, 이기종(heterogeneous)의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하는데, 특히, 핸드오버시, 패킷의 손실을 방지하고,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기종의 무선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 과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소정 단말이 이기종의 무선 통신망으로 핸드오버되는 경우, 특히, WIMAX망 또는 WLAN망에서 IPv6 환경의 WCDMA망으로 핸드오버되는 과정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WCDMA망은 기지국(Node-B/RNC/GSN;110), GGSN(120) 및 홈 에이전트(HA;130)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이기종의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단말(100)의 접속 등을 처리하게 된다.
먼저, 단말(100)은 기지국(110)을 통해 WCDMA망에 접속한다(S110). 단말(100)은 기지국(110)으로 PDP 콘텍스트(PDP context) 활성화 메시지를 전송하 고(S112), 기지국(110)은 GGSN(120)으로 PDP 콘텍스트 생성 메시지를 전송한다(S114). 이어서, GGSN(120)은 홈 에이전트(130)로 바인딩 업데이트(bonding update) 메시지를 전송한다(S116).
이어서, 홈 에이전트(130)는 GGSN(120)으로 바인딩 업데이트 ACK(binding update ACK) 메시지를 전송하고(S118), GGSN(120)은 기지국(110)으로 PDP 콘택스트 생성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S120). 이어서, 기지국(110)은 PDP 콘텍스트 활성화 ACK 메시지를 단말(100)로 전송한다(S122).
이어서, 단말(100)은 RS(router solicitation) 메시지를 전송하고(S124), 그에 대해 RA(route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수신한다(S126). 이로써, 핸드오버된 단말(100)에 대해 새로운 IP 주소가 할당된다.
이어서, 단말(100)은 할당된 IP 주소를 사용하기에 앞서, 해당 IP 주소가 중복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중복주소 검출(duplicate address detection;DAD) 과정을 수행한다(S128). 이와 같은 중복주소 검출 과정은 IPv6 스택(IPv6 stack)에 적용된 사항으로, IP 주소 할당시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중복주소 검출은 일종의 ICMP packet인 NS(neighbor solicitation)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단말(100)은 주변 노드들로 NS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응답이 오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다른 노드, 단말 또는 PC에서 해당 IP 주소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단말(100)은 NS 메시지를 전송한 후, 소정 시간 동안 응답을 기다리는데, 일반적으로 1초 내지 2초 동안 응답을 기다린다. 여기서, 소정 노드로부터 응 답이 오는 경우에는 해당 IP 주소가 중복된 것을 의미하므로, 단말(100)은 새로운 IP 주소를 요청하게 된다. 만약, 소정 시간 동안 응답이 오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IP 주소가 중복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므로, 단말(100)은 해당 IP 주소를 이용하여 WCDMA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S130).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이기종 무선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질 때마다,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핸드오버시, 주변 노드들로 NS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의해 지연이 발생하게 되며, 그에 따라, 단말이 비효율적으로 동작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WCDMA망을 일 실시예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나, 이와 같은 문제점은 IPv6를 기반으로 하는 모든 통신망에서 동일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이기종 망 간의 핸드오버시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는데 적합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이기종 무선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에 있어서, 핸드오버할 무선 통신망에 접속된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아 관리하는 IP 주소 관리부; 및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가 자신[이동통신 단말]의 고정 IP 주소(static IP address)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에 관한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중복주소 검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기종 무선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에 있어서, 핸드오버할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가 자신[이동통신 단말]의 고정 IP 주소(static IP address)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로 자신의 고정 IP 주소와 동일하면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에 관한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망 접속시, 초기호 접속인 경우에 한해 할당된 IP 주소의 중복 여부를 확인한다. 즉, 단말이 이기종의 무선 통신망으로 핸드오버되는 경우에는 중복주소 검출 절차를 생략함으로써, 핸드오버시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200)은 통신부(210), IP 주소 관리부(220), 중복주소 검출부(230), 미디어 제어부(240) 및 저장부(2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210)는 이동통신 단말(200)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거나 IP 주소를 할당받는 등의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 기지국, 다른 노드들 등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200)은 통신부(210)를 통해, 무선랜, CDMA, WCDMA, WiBro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IP 주소 관리부(220)는 무선 통신망 접속시 할당된 IP 주소를 관리한다. 이동통신 단말(200)은 무선 통신망 접속 과정에서, RS 메시지를 통해 IP 주소를 요청하여 RA 메시지를 수신한다. RA 메시지에는 단말이 사용할 프리픽스(prepix)가 포함되며, 이로써, 이동통신 단말(200)은 IP 주소를 할당받게 된다. 여기서, IP 주소의 할당 과정은 PMIP 및 각종 신호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PPP, DHCP 등을 포함하게 된다.
IP 주소 관리부(220)는 이와 같은 IP 주소 할당 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할당된 IP 주소를 등록 및 관리하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200)이 동종 또는 이기종의 무선 통신망으로 핸드오버되면, 핸드오버된 무선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한 IP 주소를 새로이 할당받음으로써, 핸드오버가 원활히 수행되도록 한다.
중복주소 검출부(230)는 IP 주소 관리부(220)를 통해 할당받은 IP 주소가 중복된 IP 주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예를 들어, 주변 노드들로 NS 메시지를 전송한 후 소정 시간 내에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할당된 IP 주소의 중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 초기호 접속이 아닌 경우에는, 이전에 중복주소 검출을 수행했음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경우, 할당받은 IP 주소가 중복될 확률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복주소 검출부(230)는 무선 통신망 접속이 초기호 접속인 경우에 한해, 할당된 IP 주소의 중복 여부를 확인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200)이 최초로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경우에 한해 중복주소 검출을 수행하게 되며,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망일지라도 이전에 접속한 기록이 있다면 중복주소 검출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200)이 이기종의 무선 통신망으로 핸드오버되는 경우에는, 초기호 접속이 아니므로 IP 주소 관리부(200)를 통해 할당받은 IP 주소에 대해 중복 여부를 확인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중복주소 검출부(230)는 할당받은 IP 주소가 이동통신 단말(200)의 고유(static) IP 주소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중복주소 검출 과정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고유 IP 주소[고정 IP 주소(static IP address)]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200)에 한하여 사용되도록 특정된 주소이므로, 할당받은 IP 주소가 이동통신 단말(200)의 고유 IP 주소와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IP 주소가 중복되지 않은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이기종 망 간의 핸드오버 시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중복주소 검출부(230)는 운영 체제(OS) 및 TCP/IP 스택을 제어함으로써,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미디어 제어부(240)는 이동통신 단말(200)이 복수 기종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복수 기종의 무선 통신망의 인터페이스들을 제어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200)이 이기종의 무선 통신망으로 핸드오버된 것이 감지되면, 이동통신 단 말(200)의 인터페이스를 핸드오버된 무선 통신망의 인터페이스로 스위칭한다.
저장부(250)는 이동통신 단말(2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의 무선 통신망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무선 통신망 접속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200)의 무선 통신망 접속 횟수, 접속한 통신망의 종류, 접속 시간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복주소 검출부(23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무선 통신망 접속 정보를 통해, 해당 접속이 초기호 접속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IPv6 환경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 이동통신 단말(200)이 선택적으로 중복주소 검출 과정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특히, 초기호 접속인 경우에 한해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이기종 망 간의 핸드오버시 시간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이기종 망 간의 핸드오버시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그에 따른 시간 지연을 약 1 내지 2초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통신부(210)를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다(S310). 이어서, IP 주소 관리부(220)를 통해, 해당 무선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한 IP 주소를 할당받는다(S320).
이어서, 중복주소 검출부(230)는 무선 통신망 접속이 초기호 접속인 경우인 지를 확인한다(S330). 확인 결과, 초기호 접속이 아닌 경우에는 할당받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반면에, 초기호 접속인 경우에는 해당 IP 주소가 중복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350). 즉, 주변 노드들에 NS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할당받은 IP 주소가 중복주소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중복된 주소인 경우에는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받는다. 또한, 중복된 주소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IP 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 트래픽을 사용한다.
따라서 중복주소 검출부(230)는 무선 통신망 접속이 초기호 접속인 경우에 한해 중복주소 검출 단계를 수행하게 되며, 그에 따라, 이기종 망 간의 핸드오버시에는 중복주소 검출 단계를 생략하여 시간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통신부(210)를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다(S410). 이어서, IP 주소 관리부(220)를 통해, 해당 무선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한 IP 주소를 할당받는다(S420).
이어서, 중복주소 검출부(230)는 할당받은 IP 주소가 이동통신 단말(200)의 고유 IP 주소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430). 확인 결과, 할당받은 IP 주소와 단말의 고유 IP 주소가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IP 주소가 중복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으므로,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할당받은 IP 주소를 사용한 다(S440).
반면에, 이동통신 단말(200)의 고유 IP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무선 통신망 접속이 초기호 접속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50). 확인 결과, 초기호 접속이 아닌 경우에는 할당받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S450). 만약, 초기호 접속인 경우에는 해당 IP 주소가 중복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460).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할당받은 IP 주소가 이동통신 단말(200) 고유의 IP 주소와 상이하면서, 무선 통신망 접속이 초기호 접속인 경우에 한해 중복 주소 검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초기호 접속일지라도 할당받은 IP 주소가 이동통신 단말(200) 고유의 IP 주소와 동일한 경우에는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시간 지연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기종의 무선 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에 있어서,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복주소 검출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중복주소 검출 방법의 순서도.

Claims (10)

  1. 이기종 무선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에 있어서,
    핸드오버할 무선 통신망에 접속된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아 관리하는 IP 주소 관리부; 및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가 자신[이동통신 단말]의 고정 IP 주소(static IP address)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에 관한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중복주소 검출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주소 검출부는,
    상기 무선 통신망 접속이 초기호 접속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초기호 접속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에 관한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자신[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이기종 무선 통신망 접속 정보, 자신의 고정 IP 주소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복주소 검출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가 상기 고정 IP 주소와 동일한지 여부 또는 상기 무선 통신망 접속이 초기호 접속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동통신 단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주소 검출부는,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가 자신[이동통신 단말]의 고정 IP 주소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망 접속이 초기호 접속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주소 검출부는,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가 자신[이동통신 단말]의 고정 IP 주소와 동일하지 않고, 상기 무선 통신망 접속이 초기호 접속인 경우에, 주변 단말 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에 관한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
  7. 이기종 무선 통신망 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에 있어서,
    핸드오버할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가 자신[이동통신 단말]의 고정 IP 주소(static IP address)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로 자신의 고정 IP 주소와 동일하면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에 관한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 접속이 초기호 접속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호 접속 여부 확인 결과로 초기호 접속이 아니면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에 관한 중복주소 검출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자신[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이기종 무선 통신망 접속 정보, 자신의 고정 IP 주소를 기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가 상기 고정 IP 주소와 동일한지 여부 또는 상기 무선 통신망 접속이 초기호 접속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
KR1020090037553A 2009-04-29 2009-04-29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 KR101029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553A KR101029673B1 (ko) 2009-04-29 2009-04-29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553A KR101029673B1 (ko) 2009-04-29 2009-04-29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724A KR20100118724A (ko) 2010-11-08
KR101029673B1 true KR101029673B1 (ko) 2011-04-15

Family

ID=4340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553A KR101029673B1 (ko) 2009-04-29 2009-04-29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6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156A (ko) * 2003-08-13 200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트리뷰션시스템에서 빠른 dad 수행을 위해 정보를관리하는 빠른 dad 관리자 및 이를 이용한 빠른 dad수행방법
KR20080037755A (ko) * 2006-10-27 2008-05-0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 네트워크에서 고속핸드오버를 위한 빠른 중복주소검출 방법
KR20080074537A (ko) * 2007-02-09 2008-08-13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Ip 중복 주소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0879986B1 (ko) * 2007-02-21 2009-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핸드오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156A (ko) * 2003-08-13 200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트리뷰션시스템에서 빠른 dad 수행을 위해 정보를관리하는 빠른 dad 관리자 및 이를 이용한 빠른 dad수행방법
KR20080037755A (ko) * 2006-10-27 2008-05-0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 네트워크에서 고속핸드오버를 위한 빠른 중복주소검출 방법
KR20080074537A (ko) * 2007-02-09 2008-08-13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Ip 중복 주소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0879986B1 (ko) * 2007-02-21 2009-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핸드오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724A (ko) 201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9745C (en) Providing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information to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583635B2 (en) Establishing network address of mobi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375540B1 (ko) 이종망에서 인접 탐색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0739803B1 (ko) 이동 노드에서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US20070091850A1 (en)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in mobile IP environment
WO2015105183A1 (ja) 通信制御方法、位置管理装置、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MX2007010740A (es) Proporcion de informacion de protocolo de administracion de movilidad a una terminal movil para realizar transferencia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movil.
US200800690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internet protocol address, information server,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storing data format of message therefor
KR101029673B1 (ko)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의 중복주소 검출 방법
JP491997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移動端末の網アドレス設定方法及び装置
KR101026581B1 (ko)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Lin et al. Lihp: A low latency layer-3 handoff scheme for 802.11 wireless networks
KR101044945B1 (ko) 정보 서버에서 이동 단말로 핸드오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이를 위한 정보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209250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1209251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1209249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1204796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1204797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1204798B1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정보 서버
KR100657514B1 (ko)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dhcp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서브넷간 핸드오버 제공 방법
KR20080031883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00061000A (ko) Mih 기반 이종망 간 핸드오버 수행 방법
KR20080031884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1880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31707A (ko)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설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