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808B1 - 멀티 걸레 건조기 - Google Patents

멀티 걸레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808B1
KR101028808B1 KR1020080088968A KR20080088968A KR101028808B1 KR 101028808 B1 KR101028808 B1 KR 101028808B1 KR 1020080088968 A KR1020080088968 A KR 1020080088968A KR 20080088968 A KR20080088968 A KR 20080088968A KR 101028808 B1 KR101028808 B1 KR 10102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p
drying chamber
drying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0165A (ko
Inventor
박찬중
한상언
Original Assignee
한상언
박찬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언, 박찬중 filed Critical 한상언
Priority to KR1020080088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80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걸레를 걸 수 있는 걸이대가 설치되는 제1 건조실과 상기 제1 건조실의 하측에 배치되며 대걸레를 지지 가능한 지지대가 설치되는 제2 건조실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제1 건조실을 한정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건조실을 거쳐서 상기 제2 건조실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대걸레가 진입 가능하게 하는 진입공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건조실 내에서 공기가 유동하게 하는 건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걸레 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 걸레 건조기{APPARATUS FOR DRYING MULTI FLOORCLOTH}
본 발명은 젖은 걸레를 건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걸레(floorcloth)는 더러운 곳을 닦거나 훔쳐내는 데 쓰는 헝겊 등을 말한다.
걸레는 그 형태에 따라서는 사람이 직접 헝겊 부분을 잡고서 작업을 해야 하는 손걸레와, 긴 막대 자루에 헝겊 등이 달려 있는 대걸레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걸레는 먼지나 이물질 등을 훔쳐낸 이후에는 물을 이용하여 세척을 하게 된다. 세척 후에는 통상적으로 자연 상태로 두어서 바람 등에 의해 건조되게 한다.
그러나, 자연 건조를 위하여 걸레를 펼쳐두는 것은 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렇다고, 청소 도구함 등에 넣어 둔다면, 세척 후 남아있는 습기에 의해 헝겊 등으로부터 악취가 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더욱이, 여름의 장마철의 경우라면, 자연 건조를 위해 펼쳐 두더라도 걸레를 건조시키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달리 인공적으로 걸레를 건조할 수 있는 멀티 걸레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걸레의 종류에 구애되지 않고 복수의 종류의 걸레들을 건조할 수 있는 멀티 걸레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상기 복수의 종류의 걸레들을 동시에 건조할 수 있는 멀티 걸레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하우징과, 진입공과, 건조 유닛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제1 건조실과 제2 건조실을 구비한다. 제1 건조실에는 손걸레를 걸 수 있는 걸이대가 설치된다. 제2 건조실은 제1 건조실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2 건조실에는 대걸레를 지지 가능한 지지대가 설치된다. 진입공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건조실을 거쳐서 상기 제2 건조실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대걸레가 진입 가능하게 하는 통로가 된다. 건조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건조실 내에서 공기가 유동하게 하기 위하여 하우징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진입공을 덮는 그물망을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물망은 상기 하우징에 탄성적으로 회전하게 설치되는 와인딩 유닛에 의해 감겨질 수 있다. 진입공은 커버에 의해 외 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대걸레의 마포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함이 구비된다. 수용함은 마포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마포의 몸체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함은 또한 상기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의 외부에는 전선에 연결되는 플러그를 수납하는 수납함이 형성된다. 수납함을 개폐하는 부분은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어, 대걸레의 자루 부분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유닛이 구비된다. 클램핑 유닛은 대걸레 자루의 외주를 감싸서 자루가 하우징에 결합되게 하는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멀티 걸레 건조기는 손걸레를 걸 수 있는 걸이대를 구비하는 제1 건조실과 대걸레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제2 건조실을 구비하기에, 손걸레뿐만 아니라 대걸레까지 건조할 수 있게 한다.
제1 건조실은 제2 건조실 상측에 위치하여, 제2 건조실에 마포 부분이 배치되는 대걸레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손걸레를 수용하기에, 손걸레 및 대걸레를 동시에 건조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걸레 건조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걸레 건조기를 보인 투시형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멀티 걸레 건조기의 외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하우징(100)은 제1 건조실(110)와 제2 건조실(120)을 포함한다. 제1 건조실(110)은 제2 건조실(120)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제1 건조실(110)에는 걸이대(111)가 하나 이상 설치된다. 걸이대(111)는 하우징(100)에서 일정 간격 이격 되게 설치되어, 손걸레(W)가 제1 건조실(110) 내에 걸려지게 한다. 제1 건조실(110)의 전면에는 힌지(1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12)가 설치된다. 도어(112)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건조실(110)에 손을 넣어서 손걸레(W)를 걸이대(111)에 걸거나 그로부터 손걸레(W)를 제거할 수 있다.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락커(114)는 도어(112)의 자유 단이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게 한다.
제1 건조실(110)의 상부를 한정하는 하우징(100)의 일 영역에는 진입공(115)이 형성된다. 진입공(115)을 통하여, 사용자는 마포(C) 부분이 제2 건조실(120) 내에 위치하도록 대걸레(M, 이상 도 4 참조)를 하우징(100) 내로 진입시킬 수 있게 된다.
진입공(115)을 덮는 그물망(116)이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물망(116)은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하우징(100)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면서도 손걸레(W)나 마포(C) 등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그물망(116)의 일 단부는 와인딩 유닛(117)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인딩 유닛(117)은 하우징(100)에 결합 되며,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채용하여 그물망(116)을 감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물망(116)이 진입공(115)을 덮어야 하는 경우라면, 그물망(116)을 와인딩 유닛(117)의 탄성력을 극복하도록 잡아당겨서 하우징(100)에 그의 다른 단부가 결합 되도록 하면 된다. 걸레 건조기를 사용하지 않는 등이 경우에는 진입공(115)을 차폐하도록 커버(118)를 이용할 수 있다. 커버(118)는 하우징(100)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 등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건조실(120)에는 대걸레(M)의 마포(C, 도 4 참조)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21)가 설치된다. 제2 건조실(120)의 하측 부분을 한정하는 물받이(122)에는 연통구(122')가 형성된다. 제2 건조실(120)의 측면을 한정하는 하우징(100)의 일 부분에는 환기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건조실(120)[및/또는 제1 건조실(110)]에는 하우징(100)의 내부, 다시 말해서 제1 건조실(110) 및 제2 건조실(120)에서 공기가 유동하도록 하는 건조 유닛(130)이 설치된다. 건조 유닛(130)은 공기의 유동에 의해 걸레를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은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건조 유닛(130)은 그에 제한되지 않고, 히터일 수도 있다. 나아가, 건조 유닛(130)으로서 는 송풍팬과 함께 히터가 쓰일 수도 있다.
제2 건조실(12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00)에는 수집함(140)이 설치될 수 있다. 수집함(140)은 물받이(122)의 연통구(122')와 연통 되는 공간을 가져서, 연통구(12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나 먼지 등을 수집하게 된다. 수집함(140)은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물 등을 버리기에 적합할 것이다. 그물망(116)에 먼지 등에 달라붙은 경우에 그물망(116)에 물을 부으면, 상기 먼지 등은 물과 함께 낙하하여 물받이(122)에 모아진 후에 수집함(140)에 수집됨에 따라, 그물망(116)에 대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 유닛(1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판넬(150)은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 판넬(150)은 건조 유닛(130)에 대한 전원 공급, 건조 유닛(130)의 작동 모드, 건조 유닛(130)의 작동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 판넬(150)과 건조 유닛(130)을 연결하는 전선(151)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연장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전선(151)에 연결되며 물받이(122)의 전선구(152)를 통해 외부로 연장하는 전선 및 플러그(153)는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수납함(170)에 수납될 수 있다. 수납함(170)을 개폐하는 도어는 하우징(100)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물받이(122)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물받이(122)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부분은 내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그들을 연결한다. 하부에는 연통구(122')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전선구(15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물받이(122)는 제2 건조실(120)로 떨어지는 물 등을 용이하게 수집하여 연통구(122')를 통해 수집함(140)으로 배출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지지대(121)에 설치 가능한 수용함(160)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수용함(160)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부분(161)은 마포(C)의 머리부(H)가 수용되는 부분이고, 제2 부분(162)은 마포(C)의 몸체부(B)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마포(C)의 머리부(H)는 대걸레(M)의 자루(S)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몸체부(B, 이상 도 4 참조)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진다. 그 결과로, 제1 부분(161)은 제2 부분(162)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진다.
수용함(160)은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재질의 봉들을 용접하여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위 봉들 사이의 개방된 공간으로는 물 등이 배출된다.
수용함(160)은 필요 시마다 지지대(121)에 얹어지거나, 후크 등의 체결 구조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지지대(121)에 결합 될 수 있다.
도 4는 대걸레(M)가 제2 건조실(120) 내에 배치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일면에는 대걸레(M)의 자루(S)에 대응하여 반원 형태로 리세스된(recessed) 부분이 형성된다. 대걸레(M)는 위 리세스된 부분에 지지됨과 동시에 지지대(121)에 그 일 단이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수용함(160)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걸레(M)의 마포(C)의 머리부(H)는 수용함(160)의 제1 수용부(161)에 수용되고 몸체부(B)는 제2 수용부(162)에 수 용된다. 제1 수용부(161)와 제2 수용부(162)는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연결되고, 위 연결된 부분이 지지대(121)에 걸려서 지지 된다.
마포(C)가 수용함(160)에 수용됨에 따라, 마포(C)의 몸체부(B)가 건조 유닛(130)에 의해 흩날려서 서로 엉키게 되는 경우를 방지 또는 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대걸레(M)를 하우징(10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00)의 일면에 클램핑 유닛(180)을 설치할 수 있다. 클램핑 유닛(180)은 대걸레(M)의 자루(S) 부분을 감싸서 클램핑하는 체결구를 포함한다.
클램핑 유닛(180)으로서는 벨크로(일명: 찍찍이)가 부착된 밴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밴드를 대걸레(M)의 자루(S)에 둘러서 벨크로로서 밴드가 자루(S)를 압박하는 상태로 고정하면 된다.
다른 형태로서, 대걸레(M)의 자루(S)의 두께보다 좁은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 피스들을 클램핑 유닛(180)으로 채용할 수도 있다. 복수의 탄성 피스들 사이로 대걸레(M)의 자루(S) 부분을 밀어 넣게 되면, 그들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대걸레(M)가 그들 사이에 들어가게 된다. 탄성 피스들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대걸레(M)는 위 탄성 피스들 사이의 공간에서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멀티 걸레 건조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걸레 건조기를 보인 투시형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물받이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지지대에 설치 가능한 수용함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대걸레가 제2 건조실 내에 배치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Claims (14)

  1. 손걸레를 걸 수 있는 걸이대가 설치되는 제1 건조실과, 상기 제1 건조실의 하측에 배치되며 대걸레를 지지 가능한 지지대가 설치되는 제2 건조실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건조실을 거쳐서 상기 제2 건조실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대걸레가 진입 가능하게 하는 진입공;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건조실 내에서 공기가 유동하게 하는 건조 유닛; 및
    상기 대걸레의 마포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걸레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진입공을 덮는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걸레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탄성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 시에 상기 그물망을 감아 주는 와인딩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걸레 건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진입공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걸레 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은 송풍팬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걸레 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조실의 하부에는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는 상기 연통구와 연통되는 공간을 가지는 수집함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걸레 건조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함은 마포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마포의 몸체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걸레 건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함은 상기 지지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걸레 건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판넬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 판넬과 상기 건조 유닛을 연결하는 전선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걸레 건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는 상기 전선에 연결되는 플러그를 수납하는 수납함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을 개폐하는 부분은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걸레 건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대걸레의 자루 부분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걸레 건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자루의 외주를 감싸서 상기 자루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게 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걸레 건조기.
  14. 손걸레를 걸 수 있는 걸이대가 설치되는 제1 건조실과, 상기 제1 건조실의 하측에 배치되며 대걸레를 지지 가능한 지지대가 설치되는 제2 건조실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건조실을 거쳐서 상기 제2 건조실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대걸레가 진입 가능하게 하는 진입공;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건조실 내에서 공기가 유동하게 하는 건조 유닛; 및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진입공을 덮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걸레 건조기.
KR1020080088968A 2008-09-09 2008-09-09 멀티 걸레 건조기 KR10102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968A KR101028808B1 (ko) 2008-09-09 2008-09-09 멀티 걸레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968A KR101028808B1 (ko) 2008-09-09 2008-09-09 멀티 걸레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165A KR20100030165A (ko) 2010-03-18
KR101028808B1 true KR101028808B1 (ko) 2011-04-12

Family

ID=4218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968A KR101028808B1 (ko) 2008-09-09 2008-09-09 멀티 걸레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8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5269A (en) 1977-11-18 1979-01-23 Marston Laurel L Mop sterilizer and dryer
KR200341096Y1 (ko) 2003-10-23 2004-02-11 (주)동현 오,에스,에프 청소용구함
KR200340928Y1 (ko) * 2003-10-16 2004-02-11 김영동 대걸레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5269A (en) 1977-11-18 1979-01-23 Marston Laurel L Mop sterilizer and dryer
KR200340928Y1 (ko) * 2003-10-16 2004-02-11 김영동 대걸레 건조장치
KR200341096Y1 (ko) 2003-10-23 2004-02-11 (주)동현 오,에스,에프 청소용구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165A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7932C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EP2366044B1 (en) Dryer
US20080235978A1 (en) Self-cleaning lint collector
JPH07694A (ja) 衣類乾燥機
JP5292222B2 (ja) 衣類乾燥機
CN113413102A (zh) 基站及表面清洁系统
US10941513B2 (en) Hinged housing for a lint trap of a dryer appliance
KR101028808B1 (ko) 멀티 걸레 건조기
JP3959232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CN112678316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可移动储存箱
WO2005017249A1 (en) A washer/dryer with a drum having one or more filters
CN218508058U (zh) 一种洗烘一体机
CN110114531B (zh) 包括过滤器组件的衣物干燥机和清洁过滤器组件的方法
JP3898675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CN215937259U (zh) 基站及表面清洁系统
JP3618728B2 (ja) 洗濯乾燥機
CN214782714U (zh) 衣物处理设备
KR100947223B1 (ko) 의류 건조기
CN110088382B (zh) 包括过滤器组件的衣物干燥机和清洁过滤器组件的方法
JP3158319B2 (ja) 食器乾燥機
CN214906517U (zh) 一种家用清洁工具箱
JP5596210B2 (ja) 衣類乾燥機
JPH07204398A (ja) 衣類乾燥機の糸屑捕集装置
JPH07116395A (ja) 衣類乾燥機
JPH013049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