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156B1 -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 Google Patents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156B1
KR101028156B1 KR1020100089227A KR20100089227A KR101028156B1 KR 101028156 B1 KR101028156 B1 KR 101028156B1 KR 1020100089227 A KR1020100089227 A KR 1020100089227A KR 20100089227 A KR20100089227 A KR 20100089227A KR 101028156 B1 KR101028156 B1 KR 101028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indow frame
frame
window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이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9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밀성을 향상시킨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창틀과 창짝 사이의 틈새를 없애줌으로서, 단열, 방음 및 밀폐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창짝의 개폐 슬라이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닫이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 돌출된 레일을 구비하는 창틀프레임과, 상기 레일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름 동작하는 호차를 구비하는 창짝프레임을 구성하되; 상기 창틀프레임 또는 창짝프레임에 설치되어 대향하여 창짝프레임 또는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경사형 가이드에 밀착 지지되어, 중앙 레일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벌어지며 측방으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Sliding window having high airtightness}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과 창짝 사이의 틈새를 없애줌으로서, 단열, 방음 및 밀폐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창짝의 개폐 슬라이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외부의 빛을 실내로 유입시키는 역할과 실내 공기를 적절히 환기시키는 역할 및 닫힘 상태에서 실내의 냉, 난방 단열과 방음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우수한 밀폐기능을 만족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호는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레일 상에서 창짝프레임에 구비된 호차의 작동에 의하여 이동하며 개폐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흔히 이러한 창호는 단열, 방음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통상 이중구조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이때, 창짝프레임에는 대응하는 레일의 양쪽 측벽과 접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모헤어"라고 불리는 이물질 차단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이물질 차단부재는 창짝프레임의 길이방향 전 구간에 걸쳐 형성된 털 형태의 직물이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창호에 설치되는 이물질 차단부재는 단열, 방음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라기보다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창짝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주로 구현하게 된다.
하지만, 이물질 차단부재는 털 형태의 직물이기 때문에 일부 이물질 등은 차단할 수 있지만, 바람의 유입 자체를 차단하기 힘들며, 이러한 틈새바람의 유입에 의해 실내의 냉난방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또,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는 평상시 외부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차단하기는 하지만, 먼지 등이 창틀프레임 바닥에 잔류하여 창짝의 개폐 시 먼지가 실내로 비산되는 등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창틀프레임 바닥에 잔류하는 먼지 및 이물질로 인하여 미관상 지저분할 뿐만 아니라 위생상에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털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이물질 차단부재 대신 고무재질의 실링부재를 창틀프레임 혹은 창짝프레임에 설치하여 대향하는 창틀프레임 혹은 창짝프레임에 밀착되는 구조를 이루는 창호가 제시될 수 있으나, 이렇게 고무재질의 실링부재가 설치되는 창호의 경우에는 창틀프레임과 창짝프레임의 틈새에 견고히 밀착 고정되는 고무재질의 실링부재를 통하여 단열과 방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창짝의 부드러운 슬라이딩 개폐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잦은 창짝의 개폐 시에는 고무재질의 실링부재에 손상이 발생되어 결국 단열과 방음 성능을 저하시키고, 이렇게 손상된 실링부재에 대한 잦은 교체를 필요로 하는 등 번거로움과 유지보수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창틀프레임과 창짝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통하여 창틀과 창짝의 틈새를 없애줌으로서, 단열, 방음 및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작은 힘으로도 창짝 개폐 시 원활한 슬라이드 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
돌출된 레일을 구비하는 창틀프레임과, 상기 레일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름 동작하는 호차를 구비하는 창짝프레임을 구성하되,
상기 창짝프레임의 끝단 내면에는, 상기 레일을 내부로 수용하는 중앙 레일구멍을 형성하며, 이 레일구멍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하게 형성되어 창틀프레임을 향하며 상호 좁아지는 경사형 가이드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창틀프레임에는, 상기 레일 양쪽 저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일단이 설치되어 상기 경사형 가이드에 각각 밀착되어 측방으로 휘어지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
돌출된 레일을 구비하는 창틀프레임과, 상기 레일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름 동작하는 호차를 구비하는 창짝프레임을 구성하되,
상기 창틀프레임에는,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양쪽 측면에 대칭하게 형성되어 창짝프레임을 향하며 상호 좁아지는 경사형 가이드를 구성하고,
상기 창짝프레임의 끝단 내면에는, 상기 레일을 내부로 수용하는 중앙 레일구멍을 형성하며, 이 레일구멍을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된 장착홈에 일단이 설치되어 상기 경사형 가이드에 각각 밀착되어 측방으로 휘어지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는, 창틀프레임 또는 창짝프레임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의 끝단에서 레일의 양쪽 측면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어, 창틀프레임과 창짝프레임의 결합과 동시 대향하는 상기 경사형 가이드에 밀착되어 측방으로 휘어지는 날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실링부재와 밀착되는 경사형 가이드는 일정 곡률의 곡면을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링부재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레일 양쪽 측면에 밀착되는 보조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보조실링부재는, 슬라이드부재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헤드부와; 상기 고정헤드부에 결합된 모헤어부; 및 상기 모헤어부를 감싸며 고정헤드부에 결합되어 일단이 레일 측면에 밀착되는 씰커버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부터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과 창짝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일정 곡률을 유지하며 측방으로 휘어지는 실링부재를 통하여, 창틀과 창짝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차단시켜 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빗물 등의 수분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더불어 단열, 방음을 향상시켜 기후변화에 따른 실내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과 창짝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일정 곡률을 유지하며 측방으로 휘어지는 실링부재를 통하여, 슬라이드부재와 실링부재 간 과도한 마찰력 발생을 상쇄시켜 창짝프레임의 호차를 통한 원활한 개폐가 가능한 고품질의 시스템 창호를 만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의 레일을 중심으로 양쪽 한 쌍으로 배치되는 주 실링부재 및 슬라이드부재와 레일 사이를 밀폐시키는 보조실링부재에 의한 이중구조의 실링수단으로부터 흔히 이중창 구조로 이루어지는 창호가 아닌 단창 구조의 창호에 있어서도 단열, 방음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창호의 부분 분리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창호의 부분 결합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 및 보조실링부재의 구성을 보이는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창호의 부분 분리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창호의 부분 결합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창호의 부분 분리 예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창호의 부분 결합 예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 및 보조실링부재의 구성을 보이는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창호는, 창틀프레임(1), 창짝프레임(2), 실링부재(15)(15')를 포함한다.
창틀프레임(1)에는 창짝프레임(2)을 향해 돌출되는 레일(11)을 포함하며, 창짝프레임(2)에는 상기 레일(11)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름 동작하는 호차(21)를 포함한다.
이때, 창짝프레임(2)의 끝단 내면에는 상기 레일(11)을 내부로 수용하며 레일(11)의 양쪽 측면을 대향하는 슬라이드부재(25)(25')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25)(25')는 레일(11)의 상단이 호차(21)에 밀착될 수 있게 내부로 수용하는 중앙 레일구멍(251)을 형성하며, 상기 중앙 레일구멍(251)을 중심으로 대칭구조를 이루며 그 하단에는 하방의 창틀프레임(1)을 향하며 상호 좁아지는 경사형 가이드(252)(252')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실링부재(15)(15')는 창틀프레임(1)에 설치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25)(25')의 경사형 가이드(252)(252')에 각각 밀착 지지된다.
이러한 실링부재(15)(15')는, 상기 창틀프레임(1)에 형성된 장착홈(111)에 삽입 장착되는 고정부(151)와; 상기 고정부(151)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몸체(152)와; 및 상기 지지몸체(152)의 끝단에서 레일(11)의 양쪽 측면과 나란히 연장 형성되어, 창틀프레임(1)과 창짝프레임(2)의 결합과 동시 대향하는 상기 경사형 가이드(252)(252')에 각각 밀착되어 측방으로 휘어지는 날개부(153)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152)와 날개부(153)의 연결부에는 노치부(154)를 형성하여, 경사형 가이드(252)(252')에 밀착되어 측방으로 휘어지는 날개부(153)가 비교적 두께가 얇은 끝단에서만 휨 현상이 집중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노치부(154)를 중심으로 날개부 전반적으로 고른 휨 현상이 구현되도록 한다.
또, 상기 지지몸체(152)는 고정부(151)의 상부로 돌출되고 다시 레일(11)의 양쪽 측면을 향해 연장하여 절곡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형 가이드(252)(252')에 밀착되어 측방으로 휘어지는 날개부(153)의 휨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하여 절곡 형성되어 날개부(153)를 비스듬하게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실링부재(15)(15')는 에틸렌-프로필렌(Ethylene propylene) 고무에 무수말레인산을 결합시킨 특수 고분자 고무의 사용을 권장하며, 내열성, 내후성 및 저온 충격강도가 우수한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경사형 가이드(252)(252')에 밀착되는 실링부재(15)(15')의 날개부(153)는 끝단이 중앙 레일(11)로부터 외부 측방으로 휘어진 상태로 밀착력을 확보하게 된다.
즉, 실링부재(15)(15')의 날개부(153)가 밀착되는 경사형 가이드(252)(252')의 밀착부는 일정 곡률의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서, 창호의 미 결합상태에서는 창틀프레임(1)의 레일(11) 양쪽에는 장착홈(111)에 한쪽 고정부(151)가 삽입 결합된 실링부재(15)(15')의 날개부(153)가 레일(11)의 돌출방향과 나란히 배치되며, 이러한 실링부재(15)(15')는 창틀프레임(1)과 창짝프레임(2)의 결합 즉, 창짝프레임(2)에 결합된 호차(21)가 레일(11)의 상면에 지지되는 것과 동시 창짝프레임(2)의 슬라이드부재(25)(25')에 형성된 경사형 가이드(252)(252')에 날개부(153)가 각각 밀착 안내되어 결국 날개부(153)는 실내외를 향하는 외부 측방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며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실링부재(15)(15')의 날개부(153)는 일정 곡률의 곡면을 유지하는 경사형 가이드(252)(252')에 전체적으로 균등히 밀착된 상태를 이루는 동시 측방으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슬라이드부재(25)(25')에 의한 과도한 가압력을 상쇄시켜 창짝프레임(2)에 설치된 호차(21)가 레일(11)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구름 동작에 의하여 창호의 자연스러운 개폐 구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실링부재(15)(15')의 날개부(153)가 과도하게 휘어져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경우에는 실링부재(15)(15')의 과도한 탄성 복원력으로 인하여 슬라이드부재(25)(25')에 대한 강한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러한 경우 비록 밀폐기능은 확실히 수행할 수 있으나 창짝프레임(2)의 원활한 슬라이드 개폐 구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반대로 실링부재(15)(15')의 날개부(153)가 거의 휘어지지 않고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경우에는 실링부재(15)(15')의 탄성 복원력은 거의 구현되지 못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비록 창짝프레임(2)의 원활한 슬라이드 개폐 구동은 가능하나 완전한 밀폐기능은 수행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15)(15')의 날개부(153)는 탄성계수를 고려하지 않은 조건에서 날개부(153)의 총길이(L)에 대하여 휘어진 날개부의 끝단이 날개부 중심선으로부터 0.6 ~ 0.7L만큼 측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15)(15')는 상기와 같이 창호의 자연스러운 개폐 구동에도 불구하고, 경사형 가이드(252)(252')에 전체적으로 균등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창틀프레임(1)과 창짝프레임(2)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밀폐시키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창호는, 창틀프레임(1)의 레일(11)을 중심으로 실내와 실외 한 쌍으로 배치되는 실링부재(15)(15')만으로 충분한 기밀을 만족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보조실링부재(16)(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보조실링부재(16)(16')는 레일(11)의 양쪽 측면에 밀착되게 상기 슬라이드부재(25)(25')에 설치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보조실링부재(16)(16')는 슬라이드부재(25)(25')에 형성된 고정홈(253)에 끼워지는 고정헤드부(161)와; 상기 고정헤드부(161)에 결합된 모헤어부(162), 및 상기 모헤어부(162)를 감싸며 고정헤드부(161)에 결합되어 일단이 레일(11) 측면에 밀착되는 씰커버(16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조실링부재(16)(16')는 기존 털 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모헤어'라 불리는 이물질 차단부재와 달리, 모헤어부(162)를 감싸는 유연성 재질의 씰커버(163)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이물질 차단기능뿐만 아니라 단열, 방음 등 밀폐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동시 창짝프레임(2)의 슬라이딩 개폐 중 레일(11)과의 마찰력을 상쇄시키는 구조를 만족하게 된다.
또, 상기 씰커버(163)는 모헤어부(162)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 틈새발생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재질은 부직포, 유연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씰커버(163)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실링부재(15)(15')의 탄성력보다 작은 것을 사용하여 실링부재(15)(15')를 통한 주된 밀폐 기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창호의 부분 분리 예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창호의 부분 결합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미닫이 창호는 실링부재(15)(15')를 창짝프레임(4)에 설치 구성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즉, 창틀프레임(3)에는 창짝프레임(4)을 향해 돌출되는 레일(31)을 포함하며, 창짝프레임(4)에는 상기 레일(11)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름 동작하는 호차(41)를 포함한다.
이때, 창짝프레임(4)의 끝단 내면에는 상기 레일(31)을 내부로 수용하는 중앙 레일구멍(451)을 형성한 슬라이드부재(45)(45')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창틀프레임(3)에는 레일(31)을 중심으로 양쪽 측면에 대칭하게 형성되어 상부 창짝프레임(4)을 향하며 상호 좁아지는 경사형 가이드(352)(352')를 형성한다.
상기 실링부재(15)(15')는 창짝프레임(4)의 슬라이드부재(45)(45')에 설치 구성되어 상기 경사형 가이드(352)(352')에 밀착 지지된다.
이러한 실링부재(15)(15')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 상기 슬라이드부재(45)(45')에 형성된 장착홈(451)에 삽입 장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끝단에서 레일(31)의 양쪽 측면과 나란히 연장 형성되어, 창틀프레임(3)과 창짝프레임(4)의 결합과 동시 대향하는 경사형 가이드(352)(352')에 밀착되어 측방으로 휘어지는 날개부를 일체로 형성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실링부재(15)(15') 역시 일정 곡률의 곡면을 갖는 경사형 가이드(352)(352')에 밀착 지지되어, 창틀프레임(3)에 대한 창짝프레임(4)의 결합방향(상하방향)에 대하여 레일(31)을 중심으로 대칭구조를 이루는 한 쌍의 실링부재(15)(15')가 상호 벌어지며 측방으로 휘어진 상태를 이룬다.
이로서, 창호의 미 결합상태에서는 슬라이드부재(45)(45')의 장착홈(451)에 한쪽 고정부가 삽입 결합된 실링부재(15)(15')의 날개부가 레일(31)의 돌출방향과 나란히 배치되며, 이러한 실링부재(15)(15')는 창틀프레임(3)과 창짝프레임(4)의 결합 즉, 창짝프레임(4)에 결합된 호차(41)가 레일(31)의 상면에 지지되는 것과 동시 창틀프레임(3)에 형성된 경사형 가이드(352)(352')에 날개부가 각각 밀착 안내되어 결국 날개부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 실내외를 향하는 외부 측방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며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15)(15')의 날개부는 상방향을 향하거나 혹은 하방향을 향하는 것에 무관하게 일정 곡률로 휘어진 상태에서 과도한 마찰력을 상쇄시켜 창짝프레임의 원활한 슬라이드 개폐 구동을 가능하게 하고 최적의 탄성 복원력의 구현으로 완벽한 밀폐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도 도 1 내지 도 3에 의한 일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도 창짝프레임(4)에 형성된 슬라이드부재(45)(45')에 고정헤드부와, 모헤어부 및 씰커버로 이루어진 보조실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과 창짝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사형 가이드, 실링부재는 미닫이 창호의 상부 및 하부 모두 설치 구성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호의 상부에는 창호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틈새영역을 필연적으로 배치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창틀프레임과 창짝프레임의 결합구조는 창호의 하부 구조에 적용함을 권장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3) : 창틀프레임
(2),(4) : 창짝프레임
(11),(31) : 레일
(21),(41) : 호차
(15)(15') : 실링부재
(153) : 날개부
(25)(25'),(45)(45') : 슬라이드부재
(252)(252'),(352)(352') : 경사형 가이드
(16) : 보조실링부재

Claims (7)

  1.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
    돌출된 레일(11)을 구비하는 창틀프레임(1)과, 상기 레일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름 동작하는 호차(21)를 구비하는 창짝프레임(2)을 구성하되,
    상기 창짝프레임(2)의 끝단 내면에는, 상기 레일을 내부로 수용하는 중앙 레일구멍을 형성하며, 이 레일구멍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하게 형성되어 창틀프레임을 향하며 상호 좁아지는 경사형 가이드(252)(252')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부재(25)(25')를 구성하고,
    상기 창틀프레임(1)에는, 상기 레일 양쪽 저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 장착되는 고정부(151)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몸체(152); 및 상기 지지몸체의 끝단에서 상기 레일의 양쪽 측면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어, 창틀프레임과 창짝프레임의 결합과 동시 대향하는 상기 경사형 가이드(252)(252')에 각각 밀착되어 측방으로 휘어지는 날개부(153)를 일체로 형성한 실링부재(15)(1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2.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
    돌출된 레일(31)을 구비하는 창틀프레임(3)과, 상기 레일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름 동작하는 호차(41)를 구비하는 창짝프레임(4)을 구성하되,
    상기 창틀프레임(3)에는,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양쪽 측면에 대칭하게 형성되어 창짝프레임(4)을 향하며 상호 좁아지는 경사형 가이드(352)(352')를 구성하고,
    상기 창짝프레임(4)의 끝단 내면에는, 상기 레일을 내부로 수용하는 중앙 레일구멍을 형성하며, 이 레일구멍을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 장착되는 고정부(151)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몸체(152); 및 상기 지지몸체의 끝단에서 레일의 양쪽 측면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어, 창틀프레임과 창짝프레임의 결합과 동시 대향하는 상기 경사형 가이드(352)(352')에 각각 밀착되어 측방으로 휘어지는 날개부(153)를 일체로 형성한 실링부재(15)(1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15)(15')와 밀착되는 경사형 가이드(252)(252'),(352)(352')는 일정 곡률의 곡면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15)(15')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레일 양쪽 측면에 밀착되는 보조실링부재(1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실링부재(16)는, 슬라이드부재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헤드부(161)와; 상기 고정헤드부에 결합된 모헤어부(162); 및 상기 모헤어부를 감싸며 고정헤드부에 결합되어 일단이 레일 측면에 밀착되는 씰커버(16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KR1020100089227A 2010-09-13 2010-09-13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KR101028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227A KR101028156B1 (ko) 2010-09-13 2010-09-13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227A KR101028156B1 (ko) 2010-09-13 2010-09-13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156B1 true KR101028156B1 (ko) 2011-04-08

Family

ID=4404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227A KR101028156B1 (ko) 2010-09-13 2010-09-13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15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687B1 (ko) 2012-08-28 2012-10-29 (주)성광창호디자인 미닫이 창문에 구비된 고정틀과 가동틀 간의 단열구조
WO2014137071A1 (ko) * 2013-03-07 2014-09-12 주식회사 일국기업 단열성이 향상된 미서기창
KR101526193B1 (ko) * 2014-08-08 2015-06-05 주식회사 알프 단열, 기밀, 조립 및 안전성이 개선된 미서기 창호
KR101553675B1 (ko) 2014-06-23 2015-09-17 주식회사 우성알테크 기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단창
CN109415924A (zh) * 2016-08-12 2019-03-01 金充国 左右推拉窗
WO2019098489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동양정공 리프트업 슬라이딩 방범창의 기밀 구조
KR200489546Y1 (ko) * 2018-06-04 2019-07-08 한국보우모터스(주) 멀티프레임슬라이드 방식으로 창틀간 이격을 최소화한 창문틀용 프레임
KR20190106634A (ko) * 2018-03-07 2019-09-18 강민성 기밀성을 갖는 창호용 도어
KR102121211B1 (ko) * 2019-01-07 2020-06-10 강민성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알루미늄재질의 창호
CN112377070A (zh) * 2020-11-12 2021-02-19 浙江省建筑设计研究院 智能化建筑隔音窗户
KR20210020986A (ko) * 2021-02-18 2021-02-24 (주)엘지하우시스 여밈대의 기밀성능이 향상된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9347A (ja) 1997-05-02 1998-11-10 C T S Kk 玄関用サッシ
KR100498035B1 (ko) 2003-03-26 2005-06-29 (주)청전건축 종합건축사 사무소 창문용 패킹
KR100778140B1 (ko) 2007-08-31 2007-11-21 주식회사 산주건설 고기밀성 단열창호
KR20090110035A (ko) * 2008-04-17 2009-10-21 주식회사 효성금속 미닫이 창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9347A (ja) 1997-05-02 1998-11-10 C T S Kk 玄関用サッシ
KR100498035B1 (ko) 2003-03-26 2005-06-29 (주)청전건축 종합건축사 사무소 창문용 패킹
KR100778140B1 (ko) 2007-08-31 2007-11-21 주식회사 산주건설 고기밀성 단열창호
KR20090110035A (ko) * 2008-04-17 2009-10-21 주식회사 효성금속 미닫이 창문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687B1 (ko) 2012-08-28 2012-10-29 (주)성광창호디자인 미닫이 창문에 구비된 고정틀과 가동틀 간의 단열구조
WO2014137071A1 (ko) * 2013-03-07 2014-09-12 주식회사 일국기업 단열성이 향상된 미서기창
KR101553675B1 (ko) 2014-06-23 2015-09-17 주식회사 우성알테크 기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단창
KR101526193B1 (ko) * 2014-08-08 2015-06-05 주식회사 알프 단열, 기밀, 조립 및 안전성이 개선된 미서기 창호
EP3498963A4 (en) * 2016-08-12 2020-04-01 Kim, Choong-Kuk HORIZONTAL SLIDING WINDOW
CN109415924A (zh) * 2016-08-12 2019-03-01 金充国 左右推拉窗
WO2019098489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동양정공 리프트업 슬라이딩 방범창의 기밀 구조
KR20190106634A (ko) * 2018-03-07 2019-09-18 강민성 기밀성을 갖는 창호용 도어
KR102027837B1 (ko) * 2018-03-07 2019-10-02 강민성 기밀성을 갖는 창호용 도어
KR200489546Y1 (ko) * 2018-06-04 2019-07-08 한국보우모터스(주) 멀티프레임슬라이드 방식으로 창틀간 이격을 최소화한 창문틀용 프레임
KR102121211B1 (ko) * 2019-01-07 2020-06-10 강민성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알루미늄재질의 창호
CN112377070A (zh) * 2020-11-12 2021-02-19 浙江省建筑设计研究院 智能化建筑隔音窗户
KR20210020986A (ko) * 2021-02-18 2021-02-24 (주)엘지하우시스 여밈대의 기밀성능이 향상된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KR102249378B1 (ko) * 2021-02-18 2021-05-07 (주)엘지하우시스 여밈대의 기밀성능이 향상된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156B1 (ko)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KR101506559B1 (ko) 창문의 밀폐장치
KR101684408B1 (ko) 밀착식 미서기 창호
KR101510594B1 (ko) 기밀성이 뛰어나고 창문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풍지판, 이와 결합된 창문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시스템
KR101581294B1 (ko) 수평 풍지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KR101041968B1 (ko) 바닥 틈새를 차단시킨 미닫이 도어
KR101447944B1 (ko) 창호의 밀착식 기밀장치
KR102242701B1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161780B1 (ko) 창호의 탄성 승강식 방풍장치
KR20140046893A (ko) 미서기 창호의 기밀보강재
KR10152015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KR20210001860U (ko) 미닫이 창문용 방풍 장치
KR101538499B1 (ko) 안전창의 풍지판 장치
KR20090082966A (ko) 미닫이 창호
KR102027387B1 (ko) 2변 지지 프레임 윈도우 샤시를 구비한 슬라이딩 창호에서 유리 지지 단열 브라켓에 밀봉 부재로 부착 설치되는 탄성 가스켓의 설치 구조
KR102450987B1 (ko) 방풍용 간편 체결구
KR101001212B1 (ko) 이동성 레일을 갖는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KR20130033065A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KR20130118136A (ko) 문턱없는 도어의 차단구조
KR200455083Y1 (ko) 문짝용 방풍부재
KR20150112595A (ko) 창호용 방풍장치
KR101888093B1 (ko) 기밀성능과 수밀성능이 향상된 미서기창
KR101553675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갖는 단창
KR102027831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
KR20140123718A (ko) 슬라이딩 창호의 기밀유지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