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975B1 -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975B1
KR101027975B1 KR1020090060942A KR20090060942A KR101027975B1 KR 101027975 B1 KR101027975 B1 KR 101027975B1 KR 1020090060942 A KR1020090060942 A KR 1020090060942A KR 20090060942 A KR20090060942 A KR 20090060942A KR 101027975 B1 KR101027975 B1 KR 101027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manufacturing
superconductor
nanowire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614A (ko
Inventor
홍병학
황성우
강명길
안재현
황동훈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0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9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0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06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cryogenic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35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superconduc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향식 방법으로 제작된 알루미늄 전극위에 알루미늄 나노와이어 용액을 도포하고 두 알루미늄 전극사이에 교류 신호를 인가하여 전기장을 형성하여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포획하여 초전도체 센서로 동작시킴으로써 온도와 자기장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유전영동 방식으로 포획한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초전도체 센서로 사용함으로써 극저온에서 초전도체 센서로 작동하고, 작은 자기장에서도 저항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저자장 환경에서 시료를 측정할 때 정확한 자기장 값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알루미늄 나노와이어, 초전도체, 유전영동

Description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 superconductor sensor using Al nanowire}
본 발명은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향식 방법으로 제작된 알루미늄 전극위에 알루미늄 나노와이어 용액을 도포하고 두 알루미늄 전극사이에 교류 신호를 인가하여 전기장을 형성하여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포획하여 초전도체 센서로 동작시킴으로써 온도와 자기장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초과학 실험에서는 극저온의 자기장 환경을 구축하는 장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극저온의 자기장 환경하에서 시료의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평가하는 실험에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에 자기장이 제대로 걸려있는지 여부 및 저온 환경이 잘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정밀하게 평가하는 센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초전도체 센서의 경우 극저온의 자기장 환경 하에서 정밀한 온도와 자기장 제어 및 측정이 곤란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에 정확한 온도와 자기장이 잘 전달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미세한 자기장의 경우 시료에 자기장이 잘 전달되고 있는지에 대해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는 초전도체 센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어 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알루미늄 전극 위에 알루미늄 나노와이어 용액을 도포한 후 유전영동 방식으로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포획하여 극저온 및 낮은 자기장 환경 하에서도 초전도체 센서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금속전극을 형성하는 금속전극 형성단계, 상기 금속전극 위에 알루미늄 나노와이어 용액을 도포하는 알루미늄 나노와이어 용액 도포단계 및 상기 금속전극 사이에 교류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포획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유전영동 방식으로 포획한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초전도체 센서로 사용함으로써 극저온에서 초전도체 센서로 작동하고, 작은 자기장에서도 저항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저자장 환경에서 시료를 측정할 때 정확한 자기장 값을 측정할 수 있 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전영동 방식으로 포획된 알루미늄 나노와이어 소자는 단결정으로 성장되어 양자 상변이에 의해 저항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구간이 없어지게 되므로 초전도체 센서로서의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은 금속전극 형성단계(S110), 알루미늄 나노와이어 용액 도포단계(S120) 및 알루미늄 나노와이어 포획단계(S130)를 구비한다.
상기 금속전극 형성단계(S110)에서는 반도체 기판 상에 금속전극을 형성한다. 이때 금속전극은 반도체 기판 상에 광식각 방법(photo lithography)에 의해 형성되며 알루미늄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늄 나노와이어 용액 도포단계(S120)에서는 상기 금속전극 위에 알루미늄(Al) 나노와이어 용액을 도포한다.
상기 알루미늄 나노와이어 포획단계(S130)에서는 상기 알루미늄 전극 사이에 교류신호를 인가하여 전기장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알루미늄 나노와이어가 알루미늄 전극에 포획되도록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은 알루미늄 금속전극(240)에 알루미늄 나노와이어 용액을 도포한 후 교류신호 인가부(210)에서 유전영동법으로 교류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알루미늄 나노와이어(220)가 알루미늄 금속전극(240)에 포획된다.
이때 직류신호 인가부(230)에서는 알루미늄 금속전극(240)에 직류신호를 인가하여 인가된 전압 및 전류와 측정된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저항을 계산한다.
도 3은 온도에 따른 알루미늄 나노와이어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자기장에 따른 알루미늄 나노와이어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늄 나노와이어 초전도체 센서를 이용하여 저자장 환경 하에서 자기장을 측정할 경우 1.0K 내지 1.5K의 낮은 온도 및 0.1T(테슬라) 이하의 작은 자기장에서도 저항이 크게 변하기 때문에 저자장 환경에서 시료를 측정할 때 정확한 자기장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유전영동법을 이용하여 초전도체 센서를 제작하는 경우 기존의 상향식 소자의 제조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조방법이 간단하여 상용화가 용이하며, 단결정으로 성장된 나노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기존의 방식으로 제조된 나노와이어 소자의 경우 단결정 물질이 아니어서 양자 상변이(Quantum phase slip)와 같은 특성이 존재하여 저항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늄 나노와이어 소자의 경우에는 저항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구간이 거의 나타나지 않게 된다.
도 5는 도 4의 자기장에 따른 알루미늄 나노와이어의 특성을 로그 좌표로 나 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0.1T 이하의 저자장 환경 하에서 저항이 규칙적으로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0T 내지 0.02T 사이의 구간에서 저항 값이 역전되는 부분이 있으나 이는 저항 측정 시 센서 자체의 오프셋(offset)에 기인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 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온도에 따른 알루미늄 나노와이어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자기장에 따른 알루미늄 나노와이어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4의 자기장에 따른 알루미늄 나노와이어의 특성을 로그 좌표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도이다.

Claims (3)

  1.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 상에 금속전극을 형성하는 금속전극 형성단계;
    상기 금속전극 위에 알루미늄 나노와이어 용액을 도포하는 알루미늄 나노와이어 용액 도포단계; 및
    상기 금속전극 사이에 교류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포획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전극 형성단계는
    알루미늄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는
    단결정으로 성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
KR1020090060942A 2009-07-06 2009-07-06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 KR101027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942A KR101027975B1 (ko) 2009-07-06 2009-07-06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942A KR101027975B1 (ko) 2009-07-06 2009-07-06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614A KR20110003614A (ko) 2011-01-13
KR101027975B1 true KR101027975B1 (ko) 2011-04-13

Family

ID=4361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942A KR101027975B1 (ko) 2009-07-06 2009-07-06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9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9995A (ko) * 2006-08-07 2008-07-2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나노구조물 센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9995A (ko) * 2006-08-07 2008-07-2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나노구조물 센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ciek Zgirski et al. Size dependent breakdown of superconductivity in ultranarrow nanowires. Nano Letters., 2005, Vol. 5, No. 6, pp. 1029-103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614A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Relaxation dynamics of ionic liquid—VO2 interfaces and influence in electric double-layer transistors
Janssen et al. Precision comparison of the quantum Hall effect in graphene and gallium arsenide
Zhang et al. Development of flexible and wearable temperature sensors based on PEDOT: PSS
CN108398456B (zh) 纳米尺度材料热导率的测试方法及装置
Kehayias et al. Kelvin probe microscopy and electronic transport measurements in reduced graphene oxide chemical sensors
Karg et al. Full thermoelectric characterization of InAs nanowires using MEMS heater/sensors
CN107037284B (zh) 测量以半导体为衬底的石墨烯微区迁移率的方法
Gaikwad et al. Chemiresistive sensor based on polythiophene-modifi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for detection of NO 2
El-Ahmar et al. Graphene-based magnetoresistance device utilizing strip pattern geometry
KR101027975B1 (ko) 알루미늄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초전도체 센서의 제조방법
WO2019084408A1 (en) PULSE-CONTROLLED CAPACITIVE DETECTION FOR FIELD EFFECT TRANSISTORS
CN105759130A (zh) 纳米线压电系数d33的测量装置及测量方法
Miao et al. Capacitive humidity sensing behavior of ordered Ni/Si microchannel plate nanocomposites
CN108054273B (zh) 一种场效应晶体管式磁传感器、其制备方法与使用方法
CN107015030B (zh) 一种表面电势测量方法
CN215812545U (zh) 一种直接测量微纳材料热电优值的探测器
Selvakumar et al. Design analysis and electrical characterisation of porous silicon structure for sensor applications
Steinki et al. Electronic and magnetic ground state of MnB4
Mitra et al. Probing in-plane anisotropy in few-layer ReS2 using low frequency noise measurement
Soleimanzadeh et al. Ultra-high efficiency piezotronic sensing using piezo-engineered FETs
CN205280917U (zh) 一种柔性石墨烯纳米墙磁场检测装置
Liu et al. La0. 5Sr0. 5CoO3− δ nanotubes sensor for room temperature detection of ammonia
CN105372607B (zh) 一种柔性石墨烯纳米墙磁场检测装置及其制备方法
CN113325220B (zh) 基于电场几何效应的微电流检测器件及微电流测量方法
Kumar et al. A Medium-Range Hygrometer Using Nano-Porous Thin Film of $\gamma $-$\hbox {Al} _ {2}\hbox {O} _ {3} $ With Electronics Phase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