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821B1 - 배전선 연결 점프선 일체형 현수애자 - Google Patents

배전선 연결 점프선 일체형 현수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821B1
KR101027821B1 KR1020100120231A KR20100120231A KR101027821B1 KR 101027821 B1 KR101027821 B1 KR 101027821B1 KR 1020100120231 A KR1020100120231 A KR 1020100120231A KR 20100120231 A KR20100120231 A KR 20100120231A KR 101027821 B1 KR101027821 B1 KR 101027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rd
magnetic pole
water
alga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은아
양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Priority to KR102010012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b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 연결 점프선 일체형 현수애자에 관한 것으로, 전신주(P)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철본체(110)와, 완철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공전선(L) 간을 연결하는 점프선(J)을 고정하는 절연재질의 점프선애자(120)를 갖춘 완철(100),
완철본체(100)의 측면에 설치되며, 가공전선(L)을 향해 돌출되어, 가공전선(L)을 지지하는 절연재질의 현수애자(200),
완철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류퇴치장치본체(310)와: 조류퇴치장치본체(310)에 내설되는 조류흔들장치본체(321a);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조류흔들장치본체(321a)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부(321b1)와, 이동부(321b1)에 설치되며 일단부가 조류퇴치장치본체(310)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조류퇴치장치본체(310) 외부로 노출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요동체설치부(321b2)와, 이동부(321b1) 및 요동체설치부(321b2)에 관통형성되는 승강체자극수라인(321b3)을 갖춘 승강체(321b);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에 내설되어 승강체(321b)를 탄발지지하는 승강체스프링(321c); 승강체(321b)의 요동체설치부(321b2)에 회동 및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요동체설치부(321b2)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요동체설치부(321b2) 외부로 노출되는 요동체(321d); 승강체(321b)의 이동부(321b1)에 내설되어 요동체(321d)를 탄발지지하는 요동체스프링(321e)을 갖추고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2조류흔들장치(321,321'); 조류퇴치장치본체(310)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어 제1,2조류흔들장치(321,321')의 조류흔들장치본체(321a)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체(322a)와, 회전체(322a)의 둘레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제1,2조류흔들장치(321,321')의 이동부(321b1)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동부(321b1)와 연동하는 한 쌍의 연동체(322b)를 구비한 방향전환장치(322);를 갖춘 조류흔들장치(320)와: 조류퇴치장치본체(310)에 내설되는 자극수저장통(331a1)과, 일단부가 자극수저장통(331a1)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조류퇴치장치본체(3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조류를 자극하기 위한 자극수를 공급받는 자극수수집라인(331a2)을 갖춘 자극수공급장치(331a);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에 내설되며 자극수공급장치(331a)와 연결되는 수직라인(331b2)과, 승강체(321b)의 이동부(321b1)에 설치되어 수직라인(331b2)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압체(331b3)와, 조류흔들장치(320)의 승강체자극수라인(321b3)과 수직라인(331b2)을 연결하는 탄성재질의 제1연결라인(331b4)과, 제1조류흔들장치(320)의 승강체자극수라인(321b)과 제1조류흔들장치(320)의 요동체자극수라인(321d2)를 연결하는 탄성재질의 제2연결라인(331b5)를 갖춘 자극수펌핑장치(331b); 조류흔들장치(320)의 요동체(321d)의 상부에 설치되며, 요동체자극수라인(321d2)과 연통되어, 자극수펌핑장치(331b)로부터의 자극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자극수노즐(331c); 자극수공급장치(331a)에 설치되어, 자극수저장통(331a1)으로부터의 자극수가 자극수노즐(331c)로는 흐르고 자극수저장통(331a1)으로는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밸브(331d);를 구비하는 제1,2조류충격장치(331,331')를 갖춘 조류충격장치(330):로 이루어진 조류퇴치장치(300),
조류충격장치(330)의 자극수저장통(331a1)에 설치되어, 자극수저장통(331a1)에 수용된 자극수를 가열하는 히터장치(400),
조류충격장치(330)의 자극수저장통(331a1)에 설치되어, 자극수저장통(331a1)에 수용된 자극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500),
조류충격장치(330)에 설치되어, 히터장치(400) 및 수위감지센서(500)를 작동제어하며, 조류충격장치(330)의 자극수저장통(331a1)의 수위가 설정된 기준수위 보다 아래로 내려가면 히터장치(400)의 구동을 멈추고, 기준수위 보다 상승하면 히터장치(400)를 구동하는 제어유닛(600)을 포함하여,
바람이 강하게 불어도 점프선(J)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가공전선(L)과 가공전선(L) 간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으며, 조류흔들장치(320)를 통해 완철(100)에 조류가 안착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조류가 완철(100)에 새 집을 짓지 못하게 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조류가 가공전선(L) 및 점프선(J)을 손상시키지 않아, 가공전선(L)과 점프선(J) 간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전선 연결 점프선 일체형 현수애자{Suspension Insulator}
본 발명은 배전선 연결 점프선 일체형 현수애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 여러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로 공급된다.
이때, 일반 수용가에 대한 전력공급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신주를 통해 공급되고, 각 전신주에서의 가공전선 연결은 현수애자를 매개로 점프선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점프선 연결에 사용되는 현수애자는 전신주에 설치되는 완철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현수애자는 완철과 일정공간을 형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공간에 조류가 나뭇가지 등을 이용해 새 집을 짓게 된다.
이때 상기 조류는 현수애자 보다는 폭이 넓은 완철 쪽에 새 집을 지으며, 이렇게 지어진 새 집으로 조류가 들락날락하면서, 가공전선이 안정적으로 기능 하지 못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류가 집을 짓지 못하게 함으로써, 가공전선이 안정적으로 기능 하게 하는 배전선 연결 점프선 일체형 현수애자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신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철본체와, 완철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공전선 간을 연결하는 점프선을 고정하는 절연재질의 점프선애자를 갖춘 완철,
완철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며, 가공전선을 향해 돌출되어, 가공전선을 지지하는 절연재질의 현수애자본체,
완철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류퇴치장치본체와: 조류퇴치장치본체에 내설되는 조류흔들장치본체; 조류흔들장치본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조류흔들장치본체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조류흔들장치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에 설치되며 일단부가 조류퇴치장치본체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조류퇴치장치본체 외부로 노출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요동체설치부와, 이동부 및 요동체설치부에 관통형성되는 승강체자극수라인을 갖춘 승강체; 조류흔들장치본체에 내설되어 승강체를 탄발지지하는 승강체스프링; 승강체의 요동체설치부에 회동 및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요동체설치부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요동체설치부 외부로 노출되는 요동체; 승강체의 이동부에 내설되어 요동체를 탄발지지하는 요동체스프링을 갖추고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2조류흔들장치; 조류퇴치장치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어 제1,2조류흔들장치의 조류흔들장치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둘레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제1,2조류흔들장치의 이동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동부와 연동하는 한 쌍의 연동체를 구비한 방향전환장치;를 갖춘 조류흔들장치와: 조류퇴치장치본체에 내설되는 자극수저장통과, 일단부가 자극수저장통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조류퇴치장치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조류를 자극하기 위한 자극수를 공급받는 자극수수집라인을 갖춘 자극수공급장치; 조류흔들장치본체에 내설되며 자극수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수직라인과, 승강체의 이동부에 설치되어 수직라인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압체와, 조류흔들장치의 승강체자극수라인과 수직라인을 연결하는 탄성재질의 제1연결라인과, 제1조류흔들장치의 승강체자극수라인과 제1조류흔들장치의 요동체자극수라인를 연결하는 탄성재질의 제2연결라인를 갖춘 자극수펌핑장치; 조류흔들장치의 요동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요동체자극수라인과 연통되어, 자극수펌핑장치로부터의 자극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자극수노즐; 자극수공급장치에 설치되어, 자극수저장통으로부터의 자극수가 자극수노즐로는 흐르고 자극수저장통으로는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제1,2조류충격장치를 갖춘 조류충격장치:로 이루어진 조류퇴치장치,
조류충격장치의 자극수저장통에 설치되어, 자극수저장통에 수용된 자극수를 가열하는 히터장치,
조류충격장치의 자극수저장통에 설치되어, 자극수저장통에 수용된 자극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조류충격장치에 설치되어, 히터장치 및 수위감지센서를 작동제어하며, 조류충격장치의 자극수저장통의 수위가 설정된 기준수위 보다 아래로 내려가면 히터장치의 구동을 멈추고, 기준수위 보다 상승하면 히터장치를 구동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이 강하게 불어도 점프선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가공전선과 가공전선 간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으며, 조류흔들장치를 통해 완철에 조류가 안착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조류가 완철에 새 집을 짓지 못하게 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조류가 가공전선 및 점프선을 손상시키지 않아, 가공전선과 점프선 간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애자가 전신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류퇴치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3는 도 2의 X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Y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판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애자가 전신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류퇴치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3는 도 2의 X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Y부분을 나타낸 확대도로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애자는, 전신주(P)에 설치되는 완철(100)과, 완철(100)에 설치되는 현수애자본체(200)와, 현수애자본체(200)에 설치되는 조류퇴치장치(300)와, 조류퇴치장치(300)에 설치되는 히터장치(400)·수위감지센서(500)·제어유닛(600)을 포함한다.
상기 완철(100)은, 전신주(P)의 상부 측면에 설치되는 완철본체(110)와, 완철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절연재질의 점프선애자(120)를 갖춘다. 그리고 점프선애자(120)의 하부에는 가공전선(L)과 가공전선(L)을 이어주는 점프선(J)을 지지하는 지지체(121)가 구비된다. 한편 완철본체(110)는, 가공전선(L)을 지지하기 위해 전신주(P)에 설치되는 바 형상의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현수애자본체(200)는, 완철본체(100)의 측면에 설치되어 가공전선(L)을 향해 돌출되며, 가공전선(L)을 지지하는 절연재질의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조류퇴치장치(300)는, 완철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류퇴치장치본체(310)와, 조류퇴치장치본체(310)에 설치되는 조류흔들장치(320)와, 조류퇴치장치본체(310) 및 조류흔들장치(320)에 설치되는 조류충격장치(330)를 포함한다.
상기 조류퇴치장치본체(310)는, 사각 케이스 형상을 가지며, 완철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조류흔들장치(320)는, 조류퇴치장치본체(310)의 좌측부에 내설되는 제1조류흔들장치(321)와, 조류퇴치장치본체(310)의 우측부에 내설되어 제1조류흔들장치(321)와 대향되는 제2조류흔들장치(321')와, 제1조류흔들장치(321) 및 제2조류흔들장치(321')와 연동하는 방향전환장치(322)을 갖춘다.
상기 제1조류흔들장치(321)는, 조류퇴치장치본체(310)에 내설되는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와,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체(321b)와,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에 설치되어 승강체(321b)를 탄발지지하는 승강체스프링(321c)과, 승강체(321b)에 회동가능하게 내설되는 요동체(321d)와, 승강체(321b)에 내설되어 요동체(321d)를 탄발지지하는 요동체스프링(321e)를 갖춘다.
상기 조류흔들장치본체(321a)는 케이스 형상을 이루며, 우측부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홀(321a1)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체(321b)는,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의 상부에 관통삽입되는 이동부(321b1)와, 이동부(321b1)에 설치되며 조류퇴치장치본체(3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요동체설치부(321b2)와, 이동부(321b1) 및 요동체설치부(321b2)에 관통형성되는 승강체자극수라인(321b3)을 갖춘다.
상기 이동부(321b1)는, 상단부가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가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의 내부에 삽입되어,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동부(321b1)는 우측에 우측방으로 연장되어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의 가이드홀(321a1)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며, 선단부가 가이드홀(321a) 외측방으로 노출되는 연장부(EX)를 갖춘다.
상기 요동체설치부(321b2)는, 상면이 개구된 케이스 형상을 이루며,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부(ET)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체스프링(321c)은,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에 내설되며, 승강체(321b)가 요동하도록 탄발지지한다.
상기 요동체(321d)는, 하단부가 라운드지며, 상단부에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어 요동체설치부(321b2)의 걸림부(ET)에 걸려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ST)와, 상하방으로 관통되는 요동체자극수라인(321d2)를 갖춘다. 그리고 스토퍼(ST)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요동체설치부(321b2)의 걸림부(ET)의 하부에 걸리는 하부스토퍼(ST1)와, 하부스토퍼(ST1) 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요동체설치부(321b2)의 걸림부(ET)의 상부에 걸리는 상부스토퍼(ST2)를 갖춘다.
상기 요동체스프링(321c)은, 승강체(321b)의 요동체설치부(321b2)에 내설되며, 요동체(321d)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어, 요동체(321d)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한다.
상기 제2조류흔들장치(321')는, 조류퇴치장치본체(310)에 설치되며, 제1조류흔들장치(322)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방향전환장치(322)을 매개로 제1조류흔들장치(322)와 연동한다. 그리고 제2조류흔들장치(321')는 제1조류흔들장치(321)와 동일한 구성을 갖추고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방향전환장치(322)는, 조류퇴치장치본체(310)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어 제1,2흔들장치(321,321')의 조류흔들장치본체(321a)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체(322a)와, 회전체(322a)의 둘레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2흔들장치(321,321')의 연장부(ET)의 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연동체(322b)를 갖춘다.
상기 조류충격장치(330)는, 조류퇴치장치본체(310)의 좌측부에 설치되는 제1조류충격장치(331)와, 조류퇴치장치본체(310)의 우측부에 설치되는 제2조류충격장치(331')를 갖춘다.
상기 제1조류충격장치(331)는, 조류퇴치장치본체(310)에 내설되는 자극수공급장치(331a)와, 자극수공급장치(331a)로부터의 자극수를 폄핑하는 자극수펌핑장치(331b)와, 자극수펌핑장치(331b)로부터의 자극수가 배출되는 자극수노즐(331c)과, 자극수펌핑장치(331b)에 설치되어 자극수가 자극수노즐(331c)로 이동하도록 하는 밸브(331d)를 갖춘다.
상기 자극수공급장치(331a)는, 조류퇴치장치본체(310)에 내설되는 자극수저장통(331a1)과, 일단이 자극수저장통(331a1)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조류퇴치장치본체(310)의 외부로 노출되어 빗물을 받는 자극수수집라인(331a2)과, 일단이 자극수저장통(331a1)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조류흔들장치(321)의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의 측면을 관통하여 자극수펌핑장치(331b)와 연결되는 자극수저장통연결라인(331a3)을 갖춘다. 한편 자극수수집라인(331a2)는 개폐가능한 별도의 도어를 갖추어, 필요시에만 빗물을 받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빗물이 아닌 일반물을 자극수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자극수펌핑장치(331b)는, 제1조류흔들장치(321)의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에 내설되는 수평라인(331b1)과, 수평라인(331b1)과 연결되는 수직라인(331b2)과, 수직라인(331b2)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압체(331b3)와, 제1조류흔들장치(320)의 승강체자극수라인(321b3)과 수평라인(331b2)을 연결하는 탄성 또는 연질의 제1연결라인(331b4)과, 제1조류흔들장치(320)의 승강체자극수라인(321b)과 제1조류흔들장치(320)의 요동체자극수라인(321d2)를 연결하는 탄성 또는 연질의 제2연결라인(331b5)를 갖춘다. 그리고 수평라인(331b1)은, 좌측단부가 제1조류흔들장치(321)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자극수저장통연결라인(331a3)와 연통되며, 우측단부가 우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수직라인(331b2)은 실린더 형상을 이루며, 하단부가 수평라인(331b1)에 연통되며, 가압체(331b3)는 상단부가 제1조류흔들장치(320)의 이동부(321b1)의 하부에 설치되고, 타단이 수직라인(331b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수직라인(331b2)에 수용된 자극수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가압체(331b3)는 자극수를 효율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하부에 수직라인(331b2)와 동일한 내경의 피스톤(PS)이 구비된다.
상기 자극수노즐(331c)은, 다수의 분사공을 갖춘 통상의 것으로, 제1조류흐들장치(321)의 요동체(321d)의 상부에 설치되며, 요동체자극수라인(321d2)과 연통되어, 자극수펌핑장치(331b)로부터의 자극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밸브(331d)는, 통상의 일방향 체크밸브로서, 자극수펌핑장치(331b)의 수평라인(331b1)에 설치되되, 수직라인(331b2)의 하단부 보다 좌측에 배치되어, 자극수저장통(331a1)으로부터의 자극수가 자극수노즐(331c)로는 흐르고 자극수저장통(331a1)으로는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331d)가 자극수펌핑장치(331b)의 수평라인(331b1)에 설치되었지만, 자극수저장통(331a1)의 자극수저장통연결라인(331a3)에 설치되어, 자극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히터장치(400)는, 열선을 통해 발열하는 통상의 것으로, 조류충격장치(330)의 자극수저장통(331a1)에 내설되어, 자극수저장통(331a)에 수용된 자극수를 가열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500)는, 수위를 감지하는 통상의 것으로, 조류충격장치(330)의 자극수저장통(331a1)에 설치되며, 자극수저장통(331a)에 수용된 자극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정도에 따른 수위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유닛(600)은, 조류충격장치(330)의 자극수저장통(331a)에 설치되며, 수위감지센서(500)로부터의 수위신호에 따라 히터장치(400)를 작동제어한다. 이때 제어유닛(600)은 자극수저장통(331a)의 수위가 설정된 기준 이하로 하강할 시 히터장치(400)의 작동을 멈추고, 자극수저장통(331a)의 수위가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상승할 시에는 히터장치(400)를 구동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판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도로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바람이 강하게 불면 점프선(J)은 심하게 흔들리려고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점프선애자(120)에 의해 점프선(J)이 고정되어 있어, 바람이 심하게 불더라도 점프선(J)이 위치를 크게 이탈하지 않는다. 따라서 점프선(J)은 가공전선(L)과 가공전선(L)을 안정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본 발명은 조류가 완철(100)에 새집을 지울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새집을 드나드는 조류에 의해 가공전선(L) 또는 점프선(J)이망가져, 수용가로 전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조류퇴치장치(300)를 통해 조류가 가공전선(L) 또는 점프선(J)으로 접근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우선 비가 내리면, 빗물은 제1조류충격장치(331) 또는 제2조류충격장치(331')의 자극수수집라인(331a2)을 통해 제1조류충격장치(331) 또는 제2조류충격장치(331')의 자극수저장통(331a1)에 수용된다. 이때 작업자는 빗물이 아닌 일반물을 제1조류충격장치(331) 또는 제2조류충격장치(331')의 자극수저장통(331a1)에 저장함으로써, 제1조류충격장치(331) 또는 제2조류충격장치(331')의 자극수저장통(331a1)에 자극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조류가 태양전지판본체(100)의 상부에 안착하여, 조류의 발이 제1조류흔들장치(321)의 요동체(321d)에 닿을 경우, 요동체(321d)는 조류의 하중에 의해 도 5과 같이 요동치고, 이로 인해 조류는 충격을 받는다.
이때 상기 제1조류흔들장치(321)의 승강체(321b)는 요동체(321d)의 가압력에 의해 도 6과 같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조류에게 재차 충격을 가한다.
그리고 상기 제1조류흔들장치(321)의 승강체(321b)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자극수펌핑장치(331b)의 가압체(331b3)는 승강체(321b)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자극수펌핑장치(331b)의 수평라인(331b1)에 수용된 자극수를 도 6과 같이 하방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 자극수는 제1조류충격장치(331)의 수평라인(331b1)을 경유하여, 자극수노즐(331c)로 이동하고, 자극수노즐(331c)로부터 분사되면서 조류의 발에 자극을 준다.
이때 상기 제1조류충격장치(331)의 밸브(331d)는 제1조류충격장치(331)의 수직라인(331b2)으로부터 배출되는 자극수가 제1조류충격장치(331)의 자극수저장통(331a1)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조류흔들장치(321)의 승강체(321b)가 하강하면, 승강체(321b)의 연장부(EX)가 제1조류흔들장치(321)의 방향전환장치(322)의 연동체(322b)와 맞닿으면서, 방향전환장치(322)의 회전체(322a)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방향전환장치(322)의 또 다른 연동체(322b)가 제2조류흔들장치(321')의 연장부(EX)와 맞닿으면서, 제2조류흔들장치(321')의 승강체(321b)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상기 제2조류흔들장치(321')의 승강체(321b)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조류가 제2조류흔들장치(321')에 발을 안착시켰을 경우, 제2조류흔들장치(321')의 승강체(321b)의 유동에 의해 충격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조류는 조류충격장치(330)에 의해 긴장감을 받아 완철(100)에 안착하지 못한다.
한편 상기 조류충격장치(330)의 자극수저장통(331a1)에 자극수가 수용되면, 수위감지센서(500)는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신호를 제어유닛(600)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600)은, 자극수저장통(331a1)의 수위가 기준 이상이면 히터장치(400)를 구동하여 자극수를 기준 온도까지 상승시키고, 자극수저장통(331a1)의 수위가 기준 이하이면, 히터장치(400)을 작동시키지 않는다.
이때 상기 히터장치(400)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자극수는 밸브(331d)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시 조류에 더욱 강한 자극을 줄 수 있어, 조류가 완철(100)로 접근하지 못하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기 제1조류흔들장치(321)에 조류가 발을 안착시키는 경우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조류가 제2조류흔들장치(321')에 발을 안착시켰을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원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이 강하게 불어도 점프선(J)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가공전선(L)과 가공전선(L) 간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류흔들장치(320)를 통해 완철(100)에 조류가 안착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조류가 완철(100)에 새 집을 짓지 못하게 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조류가 가공전선(L) 및 점프선(L)을 손상시키지 않아, 가공전선(L)과 점프선(J) 간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00; 완철 200; 현수애자본체
300; 조류퇴치장치 400; 히터장치
500; 수위감지센서 600; 제어유닛

Claims (1)

  1. 전신주(P)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철본체(110)와, 완철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공전선(L) 간을 연결하는 점프선(J)을 고정하는 절연재질의 점프선애자(120)를 갖춘 완철(100),
    완철본체(100)의 측면에 설치되며, 가공전선(L)을 향해 돌출되어, 가공전선(L)을 지지하는 절연재질의 현수애자본체(200),
    완철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류퇴치장치본체(310)와: 조류퇴치장치본체(310)에 내설되는 조류흔들장치본체(321a);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조류흔들장치본체(321a)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부(321b1)와, 이동부(321b1)에 설치되며 일단부가 조류퇴치장치본체(310)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조류퇴치장치본체(310) 외부로 노출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요동체설치부(321b2)와, 이동부(321b1) 및 요동체설치부(321b2)에 관통형성되는 승강체자극수라인(321b3)을 갖춘 승강체(321b);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에 내설되어 승강체(321b)를 탄발지지하는 승강체스프링(321c); 승강체(321b)의 요동체설치부(321b2)에 회동 및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요동체설치부(321b2)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요동체설치부(321b2) 외부로 노출되는 요동체(321d); 승강체(321b)의 이동부(321b1)에 내설되어 요동체(321d)를 탄발지지하는 요동체스프링(321e)을 갖추고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2조류흔들장치(321,321'); 조류퇴치장치본체(310)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어 제1,2조류흔들장치(321,321')의 조류흔들장치본체(321a)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체(322a)와, 회전체(322a)의 둘레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제1,2조류흔들장치(321,321')의 이동부(321b1)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동부(321b1)와 연동하는 한 쌍의 연동체(322b)를 구비한 방향전환장치(322);를 갖춘 조류흔들장치(320)와: 조류퇴치장치본체(310)에 내설되는 자극수저장통(331a1)과, 일단부가 자극수저장통(331a1)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조류퇴치장치본체(3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조류를 자극하기 위한 자극수를 공급받는 자극수수집라인(331a2)을 갖춘 자극수공급장치(331a); 조류흔들장치본체(321a)에 내설되며 자극수공급장치(331a)와 연결되는 수직라인(331b2)과, 승강체(321b)의 이동부(321b1)에 설치되어 수직라인(331b2)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압체(331b3)와, 조류흔들장치(320)의 승강체자극수라인(321b3)과 수직라인(331b2)을 연결하는 탄성재질의 제1연결라인(331b4)과, 제1조류흔들장치(320)의 승강체자극수라인(321b)과 제1조류흔들장치(320)의 요동체자극수라인(321d2)를 연결하는 탄성재질의 제2연결라인(331b5)를 갖춘 자극수펌핑장치(331b); 조류흔들장치(320)의 요동체(321d)의 상부에 설치되며, 요동체자극수라인(321d2)과 연통되어, 자극수펌핑장치(331b)로부터의 자극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자극수노즐(331c); 자극수공급장치(331a)에 설치되어, 자극수저장통(331a1)으로부터의 자극수가 자극수노즐(331c)로는 흐르고 자극수저장통(331a1)으로는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밸브(331d);를 구비하는 제1,2조류충격장치(331,331')를 갖춘 조류충격장치(330):로 이루어진 조류퇴치장치(300),
    조류충격장치(330)의 자극수저장통(331a1)에 설치되어, 자극수저장통(331a1)에 수용된 자극수를 가열하는 히터장치(400),
    조류충격장치(330)의 자극수저장통(331a1)에 설치되어, 자극수저장통(331a1)에 수용된 자극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500),
    조류충격장치(330)에 설치되어, 히터장치(400) 및 수위감지센서(500)를 작동제어하며, 조류충격장치(330)의 자극수저장통(331a1)의 수위가 설정된 기준수위 보다 아래로 내려가면 히터장치(400)의 구동을 멈추고, 기준수위 보다 상승하면 히터장치(400)를 구동하는 제어유닛(6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연결 점프선 일체형 현수애자.


KR1020100120231A 2010-11-30 2010-11-30 배전선 연결 점프선 일체형 현수애자 KR101027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231A KR101027821B1 (ko) 2010-11-30 2010-11-30 배전선 연결 점프선 일체형 현수애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231A KR101027821B1 (ko) 2010-11-30 2010-11-30 배전선 연결 점프선 일체형 현수애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7821B1 true KR101027821B1 (ko) 2011-04-07

Family

ID=44049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231A KR101027821B1 (ko) 2010-11-30 2010-11-30 배전선 연결 점프선 일체형 현수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8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931B1 (ko) 2014-06-12 2014-08-05 티엘엔지니어링(주) 가공 송전선로 점퍼선 횡진 고정장치
KR101425963B1 (ko) 2014-06-12 2014-08-05 티엘엔지니어링(주) 가공 송전선로의 전선탈선 방지를 위한 드럼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919U (ko) * 1997-10-22 1999-05-15 김현석 까치 퇴치용 분사기
KR100889042B1 (ko) 2008-08-13 2009-03-17 (주)한국나이스방재 배전선로의 지지용 완금
KR100898598B1 (ko) 2008-12-05 2009-06-01 이수기술단(주) 특고압 송전선의 장력조절식 완금
KR20090103638A (ko) * 2008-03-28 2009-10-01 오상영 까치 퇴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919U (ko) * 1997-10-22 1999-05-15 김현석 까치 퇴치용 분사기
KR20090103638A (ko) * 2008-03-28 2009-10-01 오상영 까치 퇴치기
KR100889042B1 (ko) 2008-08-13 2009-03-17 (주)한국나이스방재 배전선로의 지지용 완금
KR100898598B1 (ko) 2008-12-05 2009-06-01 이수기술단(주) 특고압 송전선의 장력조절식 완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931B1 (ko) 2014-06-12 2014-08-05 티엘엔지니어링(주) 가공 송전선로 점퍼선 횡진 고정장치
KR101425963B1 (ko) 2014-06-12 2014-08-05 티엘엔지니어링(주) 가공 송전선로의 전선탈선 방지를 위한 드럼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820B1 (ko) 조류 안착 방지용 가공배전선 설치 완금
CN201894138U (zh) 一种桶状昆虫诱捕器
KR101027821B1 (ko) 배전선 연결 점프선 일체형 현수애자
CN207559270U (zh) 手动升降避雷针装置
CN206314459U (zh) 清洁环保高效的农业除虫设备
CN204663121U (zh) 可移动式绝缘支撑线杆
CN104222047A (zh) 一种新型杀虫灯
KR101350391B1 (ko) 조류착지 방지장치
CN108967137A (zh) 一种园林绿化喷灌装置
KR102370112B1 (ko) 전신주의 조류 둥지 조성 방지장치
CN206158310U (zh) 一种具备防雷功能的电线杆
CN205812931U (zh) 一种蔬菜种植箱
CN203827644U (zh) 防鼠防虫的电气控制柜
CN106070173A (zh) 新型驱鸟装置
CN105165765A (zh) 一种农业用高效杀虫灯
CN107258759A (zh) 一种诱捕老鼠的装置
CN104505794A (zh) 输电线路瓷横担驱鸟装置
CN108338156B (zh) 一种气味型驱鸟器
CN209643672U (zh) 一种自动电击回收箱
CN102511470B (zh) 离心式驱鸟器
CN207978813U (zh) 一种智能化驱蚊装置
CN207009898U (zh) 一种避雷针
CN205922603U (zh) 一种太阳能灭蚊灯
CN204888443U (zh) 一种农业用高效杀虫灯
CN205993458U (zh) 一种杀虫灯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