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765B1 - 민물용 테트라 포드 - Google Patents

민물용 테트라 포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765B1
KR101027765B1 KR1020080084006A KR20080084006A KR101027765B1 KR 101027765 B1 KR101027765 B1 KR 101027765B1 KR 1020080084006 A KR1020080084006 A KR 1020080084006A KR 20080084006 A KR20080084006 A KR 20080084006A KR 101027765 B1 KR101027765 B1 KR 101027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rapod
fresh water
legs
present
cent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5298A (ko
Inventor
박만옥
Original Assignee
박만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옥 filed Critical 박만옥
Priority to KR1020080084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7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 소재와 자갈과 같은 친환경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며 신속히 설치되어 하천의 토사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민물용 테트라 포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민물용 테트라 포드는, 중심 지지부와,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천소재로 이루어지며 중심 지지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네 개의 다리부들과, 다리부들에 채워지는 복수 개의 코어부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민물용 테트라 포드{Freshwater tetrapod}
본 발명은 민물용 테트라 포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 소재와 자갈과 같은 친환경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며 인력으로 신속히 설치되어 하천의 토사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민물용 테트라 포드에 관한 것이다.
매년 발생하는 집중호우와 장마는 농경지의 농작물과, 인명, 가옥, 도로 유실 등의 여러 가지 피해를 동반하기 때문에 수해가 예상되는 지역에서는 수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미리 예방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또한 예방 차원의 대처뿐만 아니라 예기치 못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수해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술적인 지원도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홍수 등으로 인하여 수해가 예상되는 지역 가운데 비교적 적은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가마니나 마대에 흙을 넣어 봉입한 후, 간이 둑을 쌓아 올려 피해를 예방한다. 그런데 이러한 수해 방지 방법에 의하면 단순히 가마니를 적재하여 형성된 간이 둑의 구조가 약하기 때문에, 물에 의해 간이 둑이 쉽게 붕괴될 수 있어 수해 방지 효과가 매우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산사태가 발생하는 지역이나 대형 하천과 같이 큰 피해가 예상되는 곳에서 는 자연석을 쌓거나 철제 그물에 자연석을 넣어 제방에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산비탈 등에 자연석을 쌓는 경우에는 산에서 나오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자연석에 구멍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자연석을 쌓거나 철제 그물에 자연석을 넣는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홍수로 인한 붕괴가 진행 중인 현장에서는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천에는 물의 흐름으로 인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옹벽이 설치되거나, 물이 원활하게 흐르도록 안내하는 콘크리트 수로가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은 초목이나 수초 등이 자라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곤충이나 어패류 등과 같은 하천의 생물들의 생장환경도 악화시키기 때문에 자연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의 토사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구조가 견고하여 수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민물용 테트라 포드(freshwater tetrapod)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경 친화적이어서 생태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민물용 테트라 포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자갈과 천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환경 친화적이며, 신속하게 설치되어 견고한 구조물을 이룰 수 있으므로 수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민물용 테트라 포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민물용 테트라 포드는, 중심 지지부와,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천소재로 이루어지며 중심 지지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네 개의 다리부들과, 다리부들에 채워지는 복수 개의 코어부들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민물용 테트라 포드는, 내부에 자갈과 같은 코어부가 충전된 천 소재의 다리부들을 가지므로 인력에 의해 하천에 설치될 수 있도록 작은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하천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도록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마니나 마대에 흙을 넣어 간이 둑을 쌓는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본 발명의 민물용 테트라 포드를 이용하여 둑을 쌓으면 구조가 견고하므로 수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민물용 테트라 포드는 천 소재와 자갈과 같은 친환경적인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밀물의 생태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민물용 테트라 포드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민물용 테트라 포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민물용 테트라 포드의 Ⅱ-Ⅱ 선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민물용 테트라 포드(10; freshwater tetrapod)는, 중심 지지부(30)와, 중심 지지부(30)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 개의 다리부들(20)을 구비한다.
다리부들(20)은 마대(麻袋)와 같이 내부에 빈 공간을 갖도록 천 소재 제작된 가방(bag) 형태의 지지 구조물이다. 4 개의 다리부들(20)은 하나의 중심점을 이루는 중심 지지부(30)로부터 방사 상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돌출 형성된다.
다리부들(2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코어부들(40)이 충전된다. 바람직하게는 코어부들(40)은 자갈일 수 있다.
중심 지지부(30)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리부들(2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중심 지지부(30)는 여러 가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지지부(30)는 다리부들(20)과 같이 내부에 자갈이 충전된 구형 태의 마대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민물용 테트라 포드(10)는 하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구조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하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작은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인력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민물용 테트라 포드(10)를 일정한 기하학적인 형태를 이루도록 하천 제방에 쌓거나 무질서하게 쌓으면, 민물용 테트라 포드들(10)의 다리부들(20)이 서로 맞물려 견고한 구조물을 이룬다. 그리고 홍수가 발생한 경우 강한 물살이 민물용 테트라 포드(10)의 다리부들(20)에 부딪히면 물살이 약화되므로 하천 제방의 유실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민물용 테트라 포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민물용 테트라 포드의 Ⅱ-Ⅱ 선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민물용 테트라 포드
20: 다리부
30: 중심 지지부
40: 코어부

Claims (1)

  1. 구 형상의 중심 지지부;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천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 지지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중심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네 개의 다리부들; 및
    상기 다리부들에 채워지는 복수 개의 코어부들;을 구비하는, 민물용 테트라 포드.
KR1020080084006A 2008-08-27 2008-08-27 민물용 테트라 포드 KR101027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006A KR101027765B1 (ko) 2008-08-27 2008-08-27 민물용 테트라 포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006A KR101027765B1 (ko) 2008-08-27 2008-08-27 민물용 테트라 포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298A KR20100025298A (ko) 2010-03-09
KR101027765B1 true KR101027765B1 (ko) 2011-04-11

Family

ID=4217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006A KR101027765B1 (ko) 2008-08-27 2008-08-27 민물용 테트라 포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894A (ko) * 2014-11-14 2016-05-24 정수혁 고밀도 골재를 이용한 테트라포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3043A (ja) * 1998-04-20 1999-11-02 Kazuhiko Kitagawa 篭状枠体及び多自然型かごブロック
KR20020072100A (ko) * 2001-03-08 2002-09-14 주식회사 다룸 생태 섬유돌망태의 제조 및 그 축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3043A (ja) * 1998-04-20 1999-11-02 Kazuhiko Kitagawa 篭状枠体及び多自然型かごブロック
KR20020072100A (ko) * 2001-03-08 2002-09-14 주식회사 다룸 생태 섬유돌망태의 제조 및 그 축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894A (ko) * 2014-11-14 2016-05-24 정수혁 고밀도 골재를 이용한 테트라포트 제조방법
KR101659663B1 (ko) * 2014-11-14 2016-09-23 정수혁 고밀도 골재를 이용한 테트라포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298A (ko)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3193B2 (en) Self-anchoring fiber block system
US20230002988A1 (en) Erosion control apparatus
KR100642573B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호안시설물의 설치구조
WO2018045224A1 (en) Erosion control apparatus
Broome et al. Shoreline erosion control using marsh vegetation and low-cost structures
US8596930B2 (en) Degradable erosion control barrier
KR101027765B1 (ko) 민물용 테트라 포드
RU2582814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противооползневого сооружения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20080111706A (ko) 하천 호안용 식생망태 및 이의 시공방법
Greenway et al. Engineered approaches for limiting erosion along sheltered shorelines: a review of existing methods
Schreck Reis et al. Learning with nature: a sand dune system case study (Portugal)
KR100645322B1 (ko) 하천 호안 생태보호 시설물
KR100792033B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버드나무 인공섬
RU2351708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откосного крепления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RU2512192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противооползневой системы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RU2685192C1 (ru) Габионный тюфяк гибк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0381254B1 (ko) 트렌치를 이용한 하천의 식생호안 시공방법
KR101003737B1 (ko) 친환경 사면 보호공법 및 그 구조체
Arifin et al. an Alternative Method of Preventing Coastal Erosion in Kerasian Island
RU2512201C2 (ru) Противооползневая система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Szmytkiewicz Sustainable measures of shore protection against erosion and flooding
CN203827777U (zh) 一种防止河泥淘蚀的水生植物种植花盆
RU2569828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прибрежного крепления из фашин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200260476Y1 (ko) 하천제방용 호안보호공
KR102264637B1 (ko) 바이오 폴리머 피복 다공성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존치형 수변사면 침식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