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095B1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095B1
KR101027095B1 KR1020080130700A KR20080130700A KR101027095B1 KR 101027095 B1 KR101027095 B1 KR 101027095B1 KR 1020080130700 A KR1020080130700 A KR 1020080130700A KR 20080130700 A KR20080130700 A KR 20080130700A KR 101027095 B1 KR101027095 B1 KR 101027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event
handover
resourc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850A (ko
Inventor
박순기
신연승
송평중
박용직
김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0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0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71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보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고려한 이동성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 발생시에 기지국 자원의 사전 예약을 위한 인접 기지국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인접 기지국들로 핸드오버 요청하여 인접 기지국들의 자원을 사전 예약하는 핸드오버 준비단계와; 핸드오버 실행 이벤트 발생시에 사전 예약된 인접 기지국중 타겟 셀을 결정하여 핸드오버 실행하는 핸드오버 실행단계와; 자원해제 이벤트 발생시에 이전 소스 기지국의 자원을 해제 요청하는 자원해제 요청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핸드오버, 이벤트, 자원해제.

Description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MOBILITY MANAGEMENT METHOD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보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고려한 이동성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06-S-003-03, 과제명: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플랫폼 개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pre-R8 기반의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관리는 기본적으로 MBB(Make-Before-Break) 개념의 하드 핸드오버나 컴바이닝을 통한 소프트 혹은 소프터 핸드오버를 이용한 접속 이동성 관리를 수행하였다.
3GPP R8(LTE;Long Term Evolution)과 그 이후의 시스템은 OFDM(DL Only, cf. ULSC-FDMA)을 기반으로 한 무선전송방식에서는 기본적으로 하드 핸드오버만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하드 핸드오버는 본질적으로 논-심리스(non-seamless)로서, 논-심리스(non-seamless)를 개선하기 위하여 LTE 및 그 이후의 구조를 밀접 하게 고려하여 새로운 시그널링이 필요함과 동시에 무손실 방법 그리고 보다 안정적이고도 신속한 핸드오버 결정, 그리고 어쩔 수 없는 핑퐁(pingpong)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LTE) 및 그 이후에 소개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고려하여 새로운 시그널링 절차를 보완하여 신속한 핸드오버 결정 및 핑퐁에 대한 대책을 마련함으로써, 신속하고도 강인한 이동성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그널링 신호가 미수신될 수 있는 상태를 고려하여 하향신호 측정값의 보고방식을 새롭게 정의하여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드오버 준비 단계에서 사전 예약된 기지국 자원 및 이전 소스 기지국에서 관리되었던 자원의 해제를 적절한 시점까지 늦춤으로써 핑퐁시 빠르고 실패없는 핸드오버를 달성할 수는 이동성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방법은,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 발생시에 기지국 자원의 사전 예약을 위한 인접 기지국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인접 기지국들로 핸드오버 요청하여 인접 기지국들의 자 원을 사전 예약하는 핸드오버 준비단계와;
핸드오버 실행 이벤트 발생시에 사전 예약된 인접 기지국중 타겟 셀을 결정하여 핸드오버 실행하는 핸드오버 실행단계와;
자원해제 이벤트 발생시에 이전 소스 기지국의 자원을 해제 요청하는 자원해제 요청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자원해제 이벤트 발생시에 상기 핸드오버 준비단계에서 사전 예약된 기지국으로 자원해제 요청하는 핑퐁 대비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하향신호 측정결과의 보고방식을 지정한 측정보고방식 지정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측정보고방식 지정정보는 이벤트 발생시 보고 혹은 주기적 보고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 자원해제 이벤트, 핸드오버 실행 이벤트는 각각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하여 그로부터 전송되는 하향신호 측정보고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기지국 각각에서 기준 요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발생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순히 차세대 이동통 신 시스템(LTE) 및 그 이후에 소개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고려하여 새로운 시그널링 절차를 보완함으로써, 변화무쌍한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에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시그널링 신호가 미수신될 수 있는 상태를 고려하여 하향신호 측정값의 보고방식을 이벤트 방식과 주기적인 방식으로 변동해 가면서 상황에 맞게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사전 예약된 기지국 자원 및 이전 소스 기지국에서 관리되었던 자원의 해제를 적절한 시점까지 늦춤으로써 핑퐁시 빠르고 실패없는 핸드오버를 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예시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3GPP LTE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 국한되지 않으며 향후 IMT-Advanced 구조를 포함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eNB(evolved NodeB)는 기지국을 의미하며 WCDMA망에서의 "NodeB+RNC"와 유사한 노드이다. aGW는 액세스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를 의미하며, 이 aGW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SAE Gateway로 이루어지며, 이 것은 WCDMA망에서의 SGSN과 GGSN과 유사한 노드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LTE에서 eNB와 MME간의 인터페이스는 S1 인터페이스라고 호칭하고, eNB간의 인터페이스는 X2 인터페이스라 호칭한다. 그리고 eNB와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는 무선 인터페이스(LTE-UU)라 칭한다.
3GPP계열은 일반적으로 NCMA(Network Controlled Mobile Assisted) 형태의 이동성관리, 즉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 예측/결정/최적화를 수행하며 동일한 3GPP계열의 LTE 혹은 IMT-Advanced 역시 동일 무선접속기술(Radio Access Technoloby)내에서의 이동성 관리는 NCMA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LTE의 경우에 있어 사용자 단말인 UE와 eNB간의 논리적인 전용 무선채널이 있을 때 이 UE는 무선접속(RRC-Connected) 상태에 있다라고 정의하는데, 이러한 무선접속 상태에서의 이동성 관리 주체는 단말이 아닌 네트워크의 eNB이며, UE는 자신이 측정한 정보를 eNB에 제공함으로서 eNB의 사용자 단말(UE)의 이동성 관리를 지원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의 기본 프레임워크를 도시한 것이다. eNB내에서 UE의 이동성 관리를 주관하는 논리적 주체를 eNB XLME(CrossLayer Mobility Engine)라 호칭한다. 이러한 논리적 주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토콜 계층상으로 L3(Layer 3)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L3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UE)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RRC(Radio Resource Control), aGW와 S1인터페이스하기 위한 S1AP, 그리고 인접 eNB와 X2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X2AP가 위치한다. 그리고 기지국 내부의 무선 L1, L2 자원 제어 및 측정을 위하여 CSAP(Control Service Access Point) 인터페이스(CSAPL1, CSAPL2)를 가지고 있다. 부가적으로 L1과 L2사이에 CSAPL1L2 인터페이스가 있을 수 있다.
즉, eNB XLME는 RRC를 통해서 UE의 L3를 통해 UE의 자원을 제어하거나 UE에서의 하향 측정(DL Measurement)을 알 수 있으며, S1AP 프로토콜를 통해 MME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X2AP를 통하여 다른 eNB의 자원을 제어할 수 있으며, CSAPL1, CSAPL2를 통하여 기지국 내부의 자원 제어 및 상향 측정(UL Measurment)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eNB XLME는 상술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UE)의 이동성관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며, 부가적으로 S1인터페이스 트래픽에 해당하는 GTP-U를 통해 eNB와 S-GW의 트래픽 관리 및 X2 인터페이스 트래픽에 해당하는 GTP-U를 통해 eNB와 eNB사이의 트래픽을 관리한다.
도 3은 도 2에서 L3에 위치하는 eNB XLME 주변 구성을 다시 도시한 것으로, eNB XLME는 제어 표준 프로토콜 및 로컬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볼 때 eNB CP( Control Plane)라 호칭하는 RRC, X2AP, S1AP, CSAP을 통하여 각각 UE, 인접 eNB, MME/S-GW, 셀프 eNB에 대한 상황(예, 측정값)을 모니터링하고 동시에 제어한다. 이러한 모니터링 및 제어의 목적은 종합적인 이동성 관리 측면에서 신속하고 강인한 핸드오버를 위한 것으로, eNB XLME는 핸드오버 예측 및 결정, 핸드오버 조정 및 최적화를 수행한다.
우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핑퐁 준비절차와 모드 스위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핸드오버 준비절차, 실행절차 및 완료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참고적으로 하기 도면에서 설명 될 본 발명의 방법은 핸드오버 발생시 RRC, X2AP, S1AP 메시지가 어떻게 교환되는지를 메시지별로 설명하고 있다. 다만 CSAP 인터페이스에 의한 메시지도 포함되어야 하지만 이는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어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모드 절환(Mode Switch) 절차를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 단말(UE)을 위해 준비된 셀이 없다고 가정(S8단계)하면, 소스 기지국은 무선접속 재구성 메시지(RRCConnectionReconfiguration)를 사용자 단말(UE)로 전송(S9단계)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UE) 역시 그 메시지에 응답하여 무선접속 재구성 완료 메시지(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를 소스 기지국으로 전송(S10단계)한다. 이러한 모드 절환 절차에서 전송되는 무선접속 재구성 메시지( RRCConnectionReconfiguration)는 크게 세가지 카테고리로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카테고리는 다른 셀로의 이동을 지시함과 아울러 그 이동한 셀에 붙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고, 두 번째 카테고리는 단말이 하향 측정(DL Measurement)을 어떠한 방식으로 해야 하는지를 알려 주는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세 번째 카테고리는 현재의 서빙 셀에서 무선자원이 변경되는 경우 그 변경된 정보를 단말에 알려주는 경우이다. 이러한 세 가지 카테고리의 정보는 무선접속 재구성 메시지( RRCConnectionReconfiguraton) 속에서 조합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UE)이 처음으로 무선접속된 경우라면 두 번째 카테고리의 정보와 세 번재 카테고리의 정보가 무선접속 재구성 메시지(RRCConenctionReconfiguration)에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UE)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하향신호 측정 결과의 보고방식(periodic, event)를 새롭게 정의한 측정보고방식 지정정보를 무선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UE)로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UE)의 L1은 상기 측정보고방식 지정정보에 따라 무선링크품질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정보를 주기적으로 혹은 이벤트 발생시에 CSAPL1 인터페이스를 통해 L3에 보고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UE)의 L3는 측정정보를 측정보고 메시지(MeasurementReport)에 담아 eNB XLME측으로 전송함으로써, 이후 eNB측에서 사용자 단말(UE)의 이동성을 관리할 수 있다. 하기에서 설명되겠지만, 상기 측정보고방식 지정정보에 따라 단말은 무선링크품질과 관련된 하향신호를 측정하여 주기적(periodic)으로 기지국에 해당 측정정보를 보고할 수 있으며, 이벤트 발생시 마다 하향신호 측정정보를 기지국측으로 보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 수 있는 이유는 상기 측정보고방식 지정정보에 이벤트 발생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핸드오버 준비 기준값, 자원관리 기준값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 발생후 부터 자원해제 이벤트 발생전까지는 주기적 보고를 요청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라 함은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 자원해제 이벤트, 핸드오버 실행 이벤트로써,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측정보고방식 지정정보가 이벤트로 지정된 것으로 가정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각각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기지국측에서 사용자 단말(UE)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셀 경계에서의 사용자 단말 이동상황을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셀 경계에서의 사용자 단말 위치 예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UE)이 eNB1 의 셀 1(C1)에서 eNB2의 셀 2(C2)로 이동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가지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구획할 수 있다.
- A4-1 이벤트(핸드오버 준비 이벤트로 정의함): 사용자 단말(UE)에서 어떤 셀의 하향신호 측정값(DL Measurement)이 핸드오버 준비 기준값(Tprep) 보다 높아지는 경우 발생.
- A4-2 이벤트(자원해제 이벤트로 정의함): 사용자 단말(UE)에서 어떤 셀의 하향신호 측정값(DL Measurement)이 자원 관리(Resource Management) 기준값(TRMT)보다 낮아지는 경우 발생. 참고적으로 상기 핸드오버 준비 기준값(Tprep)과 자원 관리 기준값(TRMT)을 동일시할 수도 있고 다르게 관리할 수도 있다.
- A3-1 이벤트(핸드오버 실행 이벤트로 정의함): 현재 서빙 셀의 하향신호 측정값(DL Measurement) 보다 인접 셀의 하향신호 측정값(DL Measurment)이 높아지는 경우 발생.
여기에서, A4-1, A4-2 이벤트에서 언급한 기준값이나 A3-1 이벤트에서 서빙 셀의 측정값과 인접 셀의 측정값 비교에서 종래의 히스테리시스나 타임-투-트리 거(time-To-Trigger)를 적용하여 이벤트의 발생 상황을 조정할 수도 있다.
만약 도 6에서 사용자 단말(UE)이 C1의 핸드오버 준비 기준값(Tprep)에 해당하는 점선을 지난다고 가정하면, 도 5의 핸드오버 준비 절차(advanced HO preparation)에서 사용자 단말(UE)에서 핸드오버 준비(A4-1) 이벤트가 발생(S11단계)하며,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A4-1) 발생에 따라 사용자 단말(UE)은 측정보고 메시지(MeasurementReport)를 통하여 소스 eNB(110)에 보고(S12단계)한다. 측정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소스 eNB(110)의 XLME는 기지국 자원 예약 측면에서 핸드오버 준비절차(A)를 수행하여 인접 기지국을 결정(S13단계)한다. 이때 인접 기지국은 도 6의 eNB2의 C2라고 볼 수 있으며, 다른 셀에서의 측정값도 감안하여 정책에 따라 eNB2 C2가 아닌 다른 인접 기지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UE)이 도 6과 달리 세 개의 셀(C1,C2,C3)이 인접한 부분으로 이동하고, C2, C3에 대한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A4-1)가 하나의 측정 보고 메시지(MeasurmentReport)에 포함된다면, 소스 eNB(110)의 XLME는 핸드오버 준비절차(A)를 수행하여 인접 기지국을 eNB1 C1과 eNB2 C2로 결정할 것이다.
S13단계의 핸드오버 준비절차(A)를 통하여 기지국 준비를 위한 인접 기지국이 결정되면, 소스 eNB(110)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Handover Request)를 사전 예약된 인접 eNB(120)로 전송(S14단계)한다. 이에 사전 예약된 인접 eNB(120)는 기지국 자원(RRC/RLC/MAC/PHY등)을 예약 구성(B)(S15단계)하고, 핸드오버 요청 승인응답 메시지(Handover Request Ack)를 소스 eNB(110)로 전송(S16단계)한다.
참고적으로 기지국 자원 예약 구성(B) 절차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S14단 계)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UE)의 무선접속을 위한 정보(예, QoS, RNTI 등)를 이용하여 기지국의 자원을 예약하고, 자원 예약과 관련된 무선접속 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정보를 RRC ASN.1 인코딩하여 핸드오버 요청 승인응답 메시지를 통해 소스 eNB(110)로 전송한다.
상술한 핸드오버 준비절차(advanced HO preparation)를 정리해 보면, 소스 eNB는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A4-1)가 발생하면 기지국 자원의 사전 예약을 위한 인접 기지국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인접 기지국에서는 기지국 자원이 사전 예약되어지며, 소스 eNB는 사전 예약된 인접 기지국의 셀의 수만큼 무선접속 재구성 정보(RRCConnectionReconfiguration(카테고리3))를 획득하게 된다.
이하 도 5의 핸드오버 실행(HO execution)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6의 eNB1 C1에서 eNB C2의 경계점으로 사용자 단말(UE)이 이동하면 핸드오버 실행 이벤트(A3-1)가 발생(S17단계)한다. 핸드오버 실행 이벤트(A3-1)가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UE)은 측정보고 메시지(MeasurementRepor)를 통하여 소스 eNB(110)에 보고(S18단계)한다. 이에 소스 eNB(110)는 실제 핸드오버를 수행할지를 결정(S19단계)한다. 만약, 핸드오버 실행 이벤트(A3-1)를 유발한 인접 셀로의 핸드오버가 결정되었다면, 소스 eNB(110)는 핸드오버 준비 단계에서 사전 예약된 인접 기지국의 자원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사전 예약된 인접 기지국의 자원 정보가 있다면 X2AP에 관련된 시그널링 없이 바로 인접 eNB에서 준비한 자원정보 포함된 무선접속 재구성 메시지(RRCConnectionReconfiguration(카테고리 1))를 사용자 단말(UE)로 전송(S25단계)한다. 그러나, 핸드오버 준비단계에서 기지국 자 원이 준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사정에 의해 해제되거나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신속한 핸드오버(prompt HO preparation)과정(S20단계 내지 S22단계)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 실행 단계에서 핸드오버할 인접 eNB가 결정되고, 그 결정된 인접 eNB에 대한 자원 정보를 담고 있는 무선접속 재구성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UE)로 전송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UE)은 핸드오버 완료단계(HO Completion)에서 상기 무선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된 타겟 셀로의 자원 변경정보를 받아 그 형태로 전환하고, 타겟 셀인 인접 eNB(120)로 무선접속 재구성 완료 메시지(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를 전송(S25단계)한다. 이에 타겟 셀의 eNB(120)는 MME에게 경로절환요청 메시지(Path Switch Request)를 전송(S26단계)하게 되고, MME는 그 응답 메시지(Path Switch Request Ack)를 타겟 셀의 eNB(120)로 전송(S27단계)한다. 이에 따라 S-GW와 소스 eNB(110)의 경로가 S-GW와 타겟 셀의 eNB(120)로 변경된다. 이러한 경우 소스 eNB(110)에서 사용하였던 자원을 UE 컨텍스트 해제 메시지(UE Context Release)를 통해(S28단계) 자원해제(E) 해제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소스 eNB(110)는 하향(DL) 패킷 중에 로스리스가 필요한 베어러에 대해서는 하향 패킷 포워딩(D)(S24단계)를 하여 결정된 타겟 기지국측으로 패킷을 포워딩할 수 있다.
한편 소스 eNB(110)에서 사용되었던 자원을 핸드오버 완료(HO Completion) 단계에서 자원 해제(E)하지 않고, 또한 핸드오버 준비(advanced HO preparation)단계에서 예약되었던 자원을 언제 어떻게 해제해야 하는 시점을 핑퐁 대비(Ping-Pong Provision)단계에서 마련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도 6에서와 같이 eNB2 C2지역으로 이동하였던 사용자 단말(UE)이 다시 eNB1 C1 지역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기 때문이다.
도 4에 도시된 핑퐁 대비 단계에서 자원해제 이벤트(A4-2)라는 것은 사용자 단말(UE)에서 어떤 셀의 하향신호 측정값(DL Measurement)이 자원 관리(Resource Management) 기준값(TRMT)보다 낮아지는 경우에 발생하는 이벤트이다. 즉, 도 6에서 사용자 단말(UE)이 자원해제 이벤트(A4-2) 발생지역인 TRMT를 벗어나 eNB2 C2 내로 이동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원해제 이벤트(A4-2)가 발생하면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A4-1) 발생에 의해 예약된 자원 혹은 핸드오버에 의해 소스 eNB(110)에서 사용되었던 자원을 해제해도 무방하지만, 핸드오버 실행 이벤트(A3-1) 발생후 자원해제 이벤트(A4-2) 발생전 까지는 핑퐁에 대비하여 사전 예약된 자원 혹은 그 이전의 소스 기지국에 대한 자원을 해제할 필요가 없다.
즉, 자원해제 이벤트(A4-2)가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UE)은 그 정보가 포함된 측정보고 메시지(MeasurmentReport-event)를 서빙 eNB(120)로 전송(S1단계)한다. 이에 서빙 eNB(120)는 사전 예약된 기지국과 이전의 소스 기지국을 파악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자원해제 메시지(UE ContextReleae)를 전송(S3단계)하면, 해당 기지국인(eNB 110)에서는 자원 해제 절차(G)를 수행(S4단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행해지는 핑퐁 대비 절차는 핸드오버 준비 단계에서 사전 예약된 기지국 자원 및 이전 소스 기지국에서 관리되었던 자원의 해제를 적절한 시점까지 늦춤으로써 핑퐁시 빠르고 실패없는 핸드오버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그리고 앞서 설명하였지만 소스 eNB는 도 4의 모드 절환(Mode Switch) 절차에서 사용자 단말(UE)의 위치에 따라 측정보고방식을 지정하여 주는 측정보고방식 지정정보를 사용자 단말(UE)로 통지(S5,S8단계)하여 준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이 eNB1 C1에서 그 셀의 중앙(inner)에 있지 않고 셀 경계(edge), 보다 정확하게는 Tprep 라인내로 진입하면 보고방식을 이벤트가 아닌 주기적(periodic)으로 보고할 것을 지정하고, 현재 거주하고 있는 셀 eNB2 C2의 경계에서 그 셀의 안쪽으로 진입하는 경우(TRMT 라인을 넘어 C2 셀의 중앙으로)에는 보고방식을 주기적(periodic) 보고에서 이벤트 보고 방식으로 전환할 것을 사용자 단말로 요청한다. 이러한 보고모드 절환절차의 도입은 셀 경계에서는 측정보고의 주기적 보고방식으로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보고를 받고, 일정 시간안에 그 시그널링 신호가 미수신될 수 있는 상태를 고려하여 착안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UE)에서 이벤트 발생을 보고할 경우 기지국에서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하기에서는 기지국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동성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핸드오버를 수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사용자 단말(UE)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자 단말(UE)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정확한 지리적 위치뿐만 아니라 실제 전파적 특성까지 고려하여 위치를 파악해야 한다. 그 이유는 실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더라도 셀 경계의 건물에 등에 의해서 실제의 통신 가능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도 7은 다수의 셀에서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경우의 수를 예시한 것이다. 도 7을 보면 셀 1을 중심으로 인접 셀 2,3,4,5,6,7이 둘러 쌓여 있다. 셀 1 입장에서 셀의 ICU(InnerCellUser)에 위치한 사용자는 UE1으로 표기하고, 셀 1에 위치하면서 인접 셀의 경계에 위치한 경우는 UE-1x, UE1-xy라고 표기한다. UE1-x는 셀 1에 거주하면서 셀 x에 인접해 있는 경우이고, UE1-xy는 셀 1에 거주하면서 셀 x와 셀 y에 인접한 경우를 나타낸다. 위치결정은 사용자 단말(UE)의 능력에 따라 GPS, TOA(Time Of Arrival),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RSRP(Received Signal Received Power) 등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사용자 단말(UE)이 직접 위치결정을 수행하여 위치정보를 올려주는 경우도 있고, 사용자 단말(UE)이 위치정보만을 올리고 기지국이 위치결정을 하는 경우도 있다. 어찌되었든, eNB XLME는 사용자 단말(UE)에서 올라온 정보와 함께 셀 플래닝 및 현재의 자원정보를 고려하여 최적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는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D1_ICU : 인접 셀에서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A4-1) 조건을 만족하는 셀이 하나도 없는 경우.
D1_CEU : 인접 셀에서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A4-1) 조건을 만족하는 셀이 하나 이상인 경우.
D1_CEU_1 : 한 개의 셀에 인접한 경우.
D1_CEU_2 : 두 개의 셀에 인접한 경우
셀간의 이동성 관리 입장에서는 상기의 영역구분 보다는 현재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 기준, 즉, D_ICU에서 D_CEU로 가느냐 D_CEU에서 D_ICU로 이동하는 시점이 중요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실행 가능한 이동성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RSRP 측정값(Ms)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UE)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우선 참조하면, 기지국(eNB)은 우선 사용자 단말(UE)로부터 서빙 셀에 대한 RSRP 측정값(Ms:이하 측정값 Ms라 함)과 인접 셀에 대한 RSRP 측정값들(이하 측정값 Mn(i)라 함)을 얻을 수 있다(S52단계). 이러한 측정값들은 도 11에서 보듯이 사용자 단말(UE)의 L1이 측정한 로 데이터(Raw Data) M에 대하여 레이어 1 필터링되며, 또한 레이어 1 필터링된 ML1값은 레이어 3 필터링될 수도 있다. 또는 레이어 1 필터링만하고 레이어 3 필터링을 안 할 수도 있고, 레이어 1 필터링을 안 하고 레이어 3 필터링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필터링된 값은 사용자 단말(UE)의 L3가 eNB에 제공하되, 제공되는 방법은 이벤트 형태로 보고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보고될 수도 있다. 주기적인 보고의 경우에는 기지국이 이벤트를 판단해야 된다. 이러한 필터링은 빈번한 이벤트를 방지할 수 있으나 반대로 이벤트의 지연을 유발하여 핸드오버에 악역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측정값에 대한 필터링 계수나 필터링 방법 및 주기는 시스템에 따라 최적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벤트 조건에 기존의 히스테리시스나 타임투트리거(time-to-trigger) 조건을 부여할 수도 있 다.
다시 도 8로 되돌아가 기지국은 S52단계에서 얻은 측정값들을 통해 "Tprep를 초과하는 Mn(i)가 존재하는가를 판단(S53단계)한다. 만약 Tprep를 초과하는 Mn(i)가 하나도 없으면,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UE)이 D1_ICU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S54단계)한다. 반대로 Tprep를 초과하는 Mn(i)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이 D1_CEU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S55단계)하고 S56단계로 진행한다.
S56단계에서 기지국은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A4-1) 조건(Mn(i)>Tprep)을 만족하는 모든 셀에 대하여 자원예약이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자원예약이 되어 있지 않으면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A4-1)를 발생(S57단계)시키고 기지국은 도 5의 S14단계, S16단계를 통해 인접 셀에 대한 자원을 사전 예약한다.
이러한 자원 사전 예약 단계에서 기지국은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A4-1) 조건을 만족시키는 셀이 한 개이면(S58단계) S59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단말이 D1_CEU1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여 다수 기지국들에 대한 자원을 사전 예약하고, 만약 다수 개이면 그 중 Tprep를 초과하는 MN(i)중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두 개를 결정(S60단계)한후 사용자 단말(UE)이 D1_CEU_2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S61단계)하여 해당 기지국들에 대한 자원을 사전 예약한다.
즉,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얻은 주변 셀들의 하향신호 측정값(들)이 핸드오버 준비 기준값(Tprep)을 초과하면 핸드오버 준비단계를 수행하여 인접 기지국들의 자원을 사전 예약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인접 기지국 자원의 사전 예약 절차 완료후 기지국은 도 9의 S71단계로 진행하여 주기적으로 보고되는 측정값(Mn(i))이 자원관리 기준값(TRMT) 미만의 값을 가지는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측정값(Mn(i))이 자원관리 기준값(TRMT) 미만의 값을 가지지 않는다면, 기지국은 도 10의 S81단계로 진행하여 측정값 Mn(i)가 서빙 셀의 측정값 Ms를 초과하는지를 체크(S81단계)한다. 체크결과 Ms를 초과하는 Mn(i)가 존재하면 현재의 서빙 기지국은 도 5의 S19단계를 실행하여 타겟 셀을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UE)을 준비된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한다.
참고적으로 타겟 셀 결정방법은 서빙 셀의 측정값 Ms를 초과하는 조건의 Mn(i)를 결정하면 되지만 도 13에서 설명될 히스토리정보가 있다면 반드시 Mn(i)로 결정하지 않고 하기와 같은 가중치 계산 결과중 가장 큰 가중치(Weight)를 가지는 셀을 타겟 셀로 결정할 수도 있다.
Target_Cell_Weight(i) = Weight_1(i) * [Weight_2(i)+Weight_3(i)]
상기 계산식에서 Weight_1(i)은 A3-1 이벤트를 발생한 Mn들이 여러 개 존재할 경우 그 리스트에서 가장 큰 Mn을 기준으로 그 리스트안의 다른 Mn의 RSRP에 대해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high), 중(medimum), 소(low)로 가중치를 부여한다면 가장 큰 Mn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대로 부여하고, 가장 큰 Mn을 기준으로 (-) 기준치(일명 Tho_hys) 보다는 크고 가장 큰 Mn 보다는 작은 Mn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중으로, 상기 기준치 이하인 Mn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소로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계산식에서 Weight_2(i)는 그 셀에 UE가 머문 시간이 긴 순서대로 가중치를 부여한다는 것이고, Weight_3(i)는 그 셀이 현재 준비되었는지 지금 준비해야 하는지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즉, 핸드오버 속도에 따른 가중치로 핸드오버 준비단계에 의해 prompt HO Preparation이 생략되느냐 생략되지 않느냐이고, 더 나아가 X2AP의 MME 릴레이 기능을 통해서 다른 eNB와 X2AP 시그널링을 하느냐에 따라 가중치를 다양하게 부여할 수 있음)한다는 것이다. 또한 A3-1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데 있어서 히스테리시스나 타임-투-트리거를 이용하여 A3-1의 트리거 조건을 강화하거나 지연시키는 종래의 방법을 병행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타겟 셀을 결정한후 다음 측정보고 메시지(MeasurementReport)를 통해 결정된 타겟 셀의 RSRP 추세선을 모니터링하여 타겟 셀을 바꿀 수 있으며, 이전에 로그된 추세에 가중치를 두어 전체 Target_Cell_Weight(i)계산에 이용할 수도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만약 도 9의 S71단계에서 측정값(Mn(i))이 자원관리 기준값(TRMT) 미만의 값을 가진다면, 기지국은 해당 측정값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자원예약이 이루어졌는지를 S72단계에서 판단하고 자원해제 이벤트(A4-2)를 발생(S73단계)시킨다. 자원해제 이벤트(A4-2) 발생에 따라 기지국은 도 4에서 S3단계에 의해 핸드오버 전의 소스 기지국에게 UE 자원의 삭제를 요청하거나 핸드오버 준비단계에서 예약되어진 자원을 삭제 요청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 RSRP 측정값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방법 역시 측정값을 내부에서 마련된 기준값들과 비교하여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 자원해제 이벤트, 핸드오버 실행 이벤트를 자체 판단하여 효과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에 맞게 핸드오버 및 자원관리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UE)의 이동에 따른 RSRP의 변화를 예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해 보면, 핸드오버 실행 이벤트(A3-1) 발생 전까지의 서빙 셀은 eNB1 C1 Ms였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이후는 eNB C2 Ms가 된다. eNB2 C2 Mn이 핸드오버 준비 기준값(Tprep)을 넘으면, 즉 TA4-1 시간에서 도 5의 S13단계가 수행되어 eNB2 C2에서 기지국 자원에 대한 사전예약이 일어나면 eNB2 C2 Mn이 eNB1 C1 Ms보다 커지는 TA3-1 시간에 도 5의 S19단계가 수행된다. 이에 따라 서빙 셀은 eNB2 C2가 되며 S29단계의 수행에 따라 eNB1 C1에서 사용한 자원이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S29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도 5에 도시한 핑퐁 대비 단계에서 이전 서빙 기지국의 자원을 eNB1 C1이 TRMT보다 내려가는 TA4-2 시점에서 자원해제하도록 자원을 일정 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13은 하나의 기지국에서 관리되는 자원관리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IN1]에는 UE ID(*)를 바탕으로 그 셀에서 해당 UE에 대한 PHY/MAC/RLC/PDCP 그리고 GTP(기지국 전용 정보)를 갖고 있다. [IN2]에는 IN1의 자원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지 준비목적으로 예약되어 있는지를 표기하고 있다. [IN3]은 그 셀에서 UE가 거주한 시간의 총합이며, [IN4]는 현재의 UE 히스토리 정보로써, A4-1, A4-2, A3-1 이벤트 발생에 따른 히스토리정보를 eNB ID, 해당 글로벌 셀 ID, RNTI를 갖고 있다. 아울러 [IN4]에는 기지국에 대한 자원 예약 상태 정보(True,False)가 포함되며, 한 번이라도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 셀에서 발생한 마지막 이벤트를 이벤트 히스토리에 기록(A4-1 이벤트이면 A4-1이벤트를 로그하고 A4-2 이벤트이면 A4-2를 로그)하며 동시에 그 셀에서 머문 시간도 함께 기록된다. 이러한 히스토리 정보는 도 5의 S19단계에서 실제 타겟 eNB 셀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이 ICU 영역에서 CEU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에 주기적으로 측정값이 기지국으로 보고되어야 하는데, 만약 무선 환경의 영향으로 기지국에서 주기적으로 측정값을 전송받지 못할 경우 타겟 셀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우선 정해진 주기에 측정값이 전송되지 않는다는 것은 핸드오버를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 들일 수 있다. 측정값이 설정된 주기에 수신되지 않으면 핸드오버를 해야할지 아니면 어느 일정시간을 기준으로 측정값이 수신되지 않을 때 핸드오버를 고려해야 할지는 eNB XLME에서 시스템 최적화 차원에서 그 최적값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A3-1 이벤트가 발생되기 전이라도 측정값이 수신되지 않을때를 고려하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된다면, 측정값(Mn) 중에서 가장 큰 값을 찾아 타겟 셀로 결정한다. 만약 사전자원예약이 이미 되어 있다면 그것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UE)에게 셀을 옮길 것을 지시하고, 사전 기지국 자원예약이 되어 있지 않다면 신속 핸드오버 준비(prompt HO reparation) 절차를 통해서 예약한 후에 해당 셀로 옮길 것을 UE에게 지시한다. 다른 경우의 예를 들면 Target_Cell_Weight(i) 계산에서 언급했듯이 Weight(i)만 고려하여 측정값이 가장 큰 Mn이 타겟으로 선택될 수도 있지만, 준비여부에 따른 가중치 Weight_3(i)에 따라 측정값이 가장 큰 Mn이 타겟으로 선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지국에서 부하를 제어하는 방법을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하제어방법은 전체 자원에서 서비스할 자원이 부족하다고 느낄 때 앞서 언급한 가중치를 부여한 타겟 셀 결정 방법과 유사하게 가중치가 적은 순서데로 자원해제를 할 수 있다. 즉, 관리되고 있는 자원중에서 사용량(Usage)을 판단하여 예약된 자원을 해제할 경우 하기 계산식을 이용하여 자원해제 가중치가 큰 순서대로 자원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의미는 본 발명의 advanced HO Preparation 단계에서 핸드오버를 위해 예약된 자원이 실제 사용될 수도 있고 실제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측면에서 과도한 자원예약의 비효율성을 방지하기 위해 현재의 자원을 무엇부터 해제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판단하자는 것이다. 즉, UE가 그 셀에 많이 머물면 해제 가능성이 낮고, 시그널링 지연이 크면 해제 가능성이 낮아진다. 반대로 상대적으로 UE가 그 셀에 많이 머물지 않았거나 시그널링 지연이 그리 크지 않다면 자원해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를 갖는다. 참고적으로 타겟_셀_가중치 계산에서 Weight_3(i)는 도 5의 핸드오버 준비절차가 필요하냐 필요치 않느냐로 차이가 있고, 필요가 있다면 직접적인 패스가 있느냐 아니면 MME를 통해 전달되어야 하느냐의 차이 등이 고려되는 것이고, 자원해제가중치에서의 Weight_3(i)는 도 4의 S3단계의 메시지가 전달되는 데 있어 MME를 거쳐야 하느냐 거치지 않느냐의 차이로 구분할 수 있다.
자원해제가중치 = Weight_A(i) * [1/Weight_2(i)+1/Weight_3(i)]
상기 계산식에서, Weight_A의 값은 예약된 것을 1, 실제 사용중인 것은 0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자원해제가중치 계산식을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토대로 기지국에서 부하를 제어하고, 자원을 해제할 경우에는 가칭 자원상태갱신(ResourceStatusUpdate) 메시지를 인접 셀에 보냄으로서 인접 셀의 자원구성정보를 변경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관리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의 기본 프레임워크 예시도.
도 3은 도 2에서 L3에 위치하는 eNB XLME 주변 구성 예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셀 경계에서의 사용자 단말 이동상황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셀 경계에서의 사용자 단말 위치 예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실행 가능한 이동성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하향신호 측정값의 필터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UE)의 이동에 따른 RSRP의 변화 예시도.
도 13은 하나의 기지국에서 관리되는 자원관리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11)

  1. 삭제
  2.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에 있어서,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 발생시에 기지국 자원의 사전 예약을 위한 인접 기지국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인접 기지국들로 핸드오버 요청하여 인접 기지국들의 자원을 사전 예약하는 핸드오버 준비단계와;
    핸드오버 실행 이벤트 발생시에 사전 예약된 인접 기지국중 타겟 셀을 결정하여 핸드오버 실행하는 핸드오버 실행단계;
    자원해제 이벤트 발생시에 이전 소스 기지국의 자원을 해제 요청하는 자원해제 요청단계; 및
    자원해제 이벤트 발생시에 상기 핸드오버 준비단계에서 사전 예약된 기지국으로 자원해제 요청하는 핑퐁 대비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하향신호 측정결과의 보고방식을 지정한 측정보고방식 지정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측정보고방식 지정정보는 이벤트 발생시 보고 혹은 주기적 보고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정보고방식 지정정보는 이벤트 발생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핸드오버 준비 기준값, 자원관리 기준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정보고방식 지정정보는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 발생후 부터 자원해제 이벤트 발생전까지 주기적 보고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 자원해제 이벤트, 핸드오버 실행 이벤트는 각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하향신호 측정보고 메시지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준비 이벤트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측정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하향신호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핸드오버 준비 기준값(Tprep) 초과시에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실행 이벤트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측정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현재 서빙 셀의 하향신호 측정값 보다 인접 셀의 하향신호 측정값이 높을때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원해제 이벤트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측정보고 메시지에 포함된 임의 셀의 하향신호 측정값이 자원 관리 기준값(TRMT) 보다 낮아질 경우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자원해제 요청시 비사용중이면서 사전 예약된 자원을 우선 대상으로 하여 자원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KR1020080130700A 2008-12-19 2008-12-19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KR10102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700A KR101027095B1 (ko) 2008-12-19 2008-12-19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700A KR101027095B1 (ko) 2008-12-19 2008-12-19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850A KR20100071850A (ko) 2010-06-29
KR101027095B1 true KR101027095B1 (ko) 2011-04-05

Family

ID=4236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700A KR101027095B1 (ko) 2008-12-19 2008-12-19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5440B1 (en) * 2011-04-04 2017-09-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of user equipment based on selective mobility coun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1818770B1 (ko) * 2011-07-26 2018-01-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고속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U2017403047A1 (en) * 2017-03-06 2019-10-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Handover control method, and network-side device and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521A (ko) * 2003-10-16 2005-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도약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 기반의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521A (ko) * 2003-10-16 2005-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도약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 기반의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850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2297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station, radio terminal,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communication quality confirmation method
US117297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of special SCell selection in dual connectivity
JP5916262B2 (ja) セルラー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方法
JP5302338B2 (ja) Rat間/周波数間隣接関係リストの自動管理
EP29505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bility for a cell having a small cell service are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740293B1 (en) Improved handover robustness in cellular radio communications
CN110062430B (zh) 通信网络中用于将无线终端连接到多个小区的方法
US8903399B2 (en) Methods and network nodes for detecting short stay handover
EP2805543B1 (en) Method for improving handover performance in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495935B (zh) 一种切换方法、基站及用户终端
Alexandris et al. Analyzing x2 handover in lte/lte-a
US20120295622A1 (en) Using mobility statistics to enhance telecommunications handover
US20150036663A1 (en) Handover and reselection searching using predictive mobility
US20150038140A1 (en) Predictive mobility in cellular networks
JP6662304B2 (ja) 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872851A (zh) 切换方法、系统以及基站
EP3955642A1 (en) Role management in relay communication
CN106792557B (zh) 一种lte轨道交通场景下数据调度方法
KR101027095B1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성 관리방법
US926496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ng access node candidates for handover of wireless devices
JPWO2016047672A1 (ja) 無線基地局及び無線端末
JP2023513411A (ja) セルラ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通信のためのユーザ機器およびセルラ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通信のためのユーザ機器を動作させる方法
Chen et al. Mobility and handover management
KR101752063B1 (ko) 이종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