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230B1 - Lid for pouch container - Google Patents

Lid for pouch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230B1
KR101026230B1 KR1020100043221A KR20100043221A KR101026230B1 KR 101026230 B1 KR101026230 B1 KR 101026230B1 KR 1020100043221 A KR1020100043221 A KR 1020100043221A KR 20100043221 A KR20100043221 A KR 20100043221A KR 101026230 B1 KR101026230 B1 KR 101026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container
lid
air communication
disengagement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2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병철
조병구
조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Priority to KR1020100043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2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2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PURPOSE: The lid of a pouch container is provided to prevent a user from swallowing the lid of the pouch container 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lid of the pouch container. CONSTITUTION: A sealing part(30) seals the opening part of a pouch container. A combination releasing part(10) combines and releases the sealing part with respect to the opening part of the pouch container. A connection rib(20) connects the combination releasing part and the sealing part. A vertical direction air connecting part allows air to pass through a space between the sealing part and the combination releasing part. A horizontal direction air connecting part allows air to pas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aling part.

Description

파우치 용기의 뚜껑{LID FOR POUCH CONTAINER}Lid of the pouch container {LID FOR POUCH CONTAINER}

본 발명은 파우치 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질식을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of a pouch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uch container lid that can prevent choking of a user.

운반 및 사용의 편리성 때문에, 현재 레토르트 식품 또는 아이스크림 등의 빙과류를 수용하는 파우치 용기가 시중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Because of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use, pouch containers for receiving ice cream such as retort food or ice cream are now widely used on the market.

사용 중 사용자의 부주의로 파우치 용기의 뚜껑을 삼키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기도를 막아 질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If the user inadvertently swallows the lid of the pouch container during use, it may cause a problem of choking the user's airway.

따라서, 사용자가 일차적으로 파우치 용기의 뚜껑을 삼키는 것을 어렵게 만들 필요가 있으며, 설령 삼킨다고 하더라도 질식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swallow the lid of the pouch container first, and to prevent choking even if swallowed.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파우치 용기 뚜껑을 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uch container lid which can prevent a user from inadvertently swallowing the pouch container li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령 사용자가 파우치 용기 뚜껑을 삼키더라도 사용자의 질식을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uch container lid which can prevent the choking of the user even if the user swallows the pouch container li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파우치 용기의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파우치 용기에 결합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수직방향을 따라 공기를 연통시킬 수 있는 수직방향 공기연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밀폐부 주위를 둘러싸며, 상기 밀폐부를 상기 파우치 용기로부터 결합, 해제시키는 결합해제부와; 상기 결합해제부와 상기 밀폐부를 연결하는 연결리브와; 상기 결합해제부 및 상기 연결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밀폐부의 수평방향을 따라 공기를 연통시킬 수 있는 수평방향 공기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달성 될 수 있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aling portion coupled to the pouch container to seal the opening of the pouch container; A decoupling portion forming a vertical air communicating por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air along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ealing portion, surrounding the sealing portion, and engaging and releasing the sealing portion from the pouch container; A connecting rib connecting the release part and the sealing part; It may be achieved by further comprising a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portion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release portion and the connecting rib,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por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ai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aling portion.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는, 상기 결합해제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문자 또는 도형에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된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rough hol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engagement portion provid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letter or figure.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는, 상기 결합해제부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해제부의 외면에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utout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engagement portion along the edge direction of the disengagement portion.

상기 연결리브의 높이는, 상기 밀폐부 및 상기 결합해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of the connecting rib, characterized in that lower than the height of at least one of the sealing portion and the release portion.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는, 상기 결합해제부의 외면에 마련되어 그 중심선과 상기 밀폐부의 수직방향의 연장선 사이의 각도가 90도가 아닌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원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engagemen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between the center line and the extension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al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rough hole not 90 degrees. Through th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용기의 뚜껑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id of the pouch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파우치 용기 뚜껑의 부피를 크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상기 파우치 용기 뚜껑을 삼킬 수 없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파우치 용기 뚜껑의 밀폐부에 결합해제부를 연결함으로써 쉽게 삼키지 못하게 할 수 있다.First, 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pouch container lid, the user cannot easily swallow the pouch container lid. Specifically, it can be prevented from swallowing easily by connecting the disengagement portion to the sealing portion of the lid of the pouch container.

둘째, 상기 파우치 용기 뚜껑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모든 방향을 따라 공기가 연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우치 용기 뚜껑이 기도에 어떤 위치로 삼켜지더라도 공기가 상기 파우치 용기 뚜껑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질식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Secondly, by allowing air to communicate along all direction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pouch container lid so that air can pass through the pouch container lid no matter where the pouch container lid is swallowed in the airway; It can dramatically improve the possibilities.

셋째, 상기 파우치 용기 뚜껑의 외면을 형성하는 결합해제부의 측면의 공기연통부에 소정의 문자 또는 숫자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고를 하거나 또는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정보전달이 가능하다.Third, by forming a predetermined letter or number in the air communication portion of the side of the disengagement portion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uch container lid, it is possible to transmit information that can warn or alert the user.

도 1a, 1b는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와 측면도,
도 1c, 1d는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단면도,
도 2a, 2b는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와 측면도,
도 3a, 3b는 본원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와 측면도,
도 4a, 4b는 본원 발명의 제4실시에에 관한 사시도와 측면도,
도5는 본원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 6a, 6b는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7은 본원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C and 1D are cross-sectional views relat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flow of air;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용기의 뚜껑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Specific embodiments of the lid of the pouch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면에 표시된 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First,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defined as follows.

도1a에 나타나 있는 방향표시에서, x방향과 z방향은 상기 파우치 용기의 뚜껑의 가로방향으로서, 횡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호칭될 수 있다. y방향은 상기 파우치 용기의 뚜껑의 길이방향으로서, 종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호칭될 수 있다.In the direction indication shown in Fig. 1A, the x direction and the z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transverse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as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lid of the pouch container. The y direction i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d of the pouch containe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의 뚜껑(100)은, 도 1a, 도 1b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30); 결합해제부(10); 연결리브(20); 수직방향 공기연통부(40) 및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를 포함한다.Lid 100 of the pouch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a, 1b and 5, the seal 30; Decoupling unit 10; Connecting ribs 20; It includes a vertical air communication portion 40 and a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portion (50).

상기 밀폐부(30)는 상기 파우치 용기(600)의 개구부(60)를 밀폐한다. 상기 밀폐부(30)는 상기 파우치 용기(600)의 개구부(6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seal 30 seals the opening 60 of the pouch container 600. The sealing part 30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60 of the pouch container 600.

상기 밀폐부(30)는 상기 결합해제부(10)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밀폐부(30)는 상기 연결리브(20)를 통해 상기 결합해제부(10)에 연결된다.The sealing part 30 is located inside the disengagement part 10. The sealing part 30 is connected to the disengagement part 10 through the connecting rib 20.

상기 밀폐부(30)는 상기 파우치 용기의 개구부(60)와 다양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밀폐부(30)의 내측과 상기 파우치 용기의 개구부(60)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미도시)을 이용하여 서로 나사결합 될 수 있다. 또한, 걸림턱(미도시)과 걸림돌기(미도시)에 의한 걸림 결합이 될 수도 있다. 그밖에 다양한 결합수단이 가능하다. The seal 30 may be coupled to the opening 60 of the pouch container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be screwed together using a screw thread (not show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aling portion 30 and the outer side of the opening 60 of the pouch container. In addition, it may be coupled by the locking step (not shown) and the locking projection (not shown). Various other coupling means are possible.

상기 밀폐부(30)는 상기 파우치 용기의 개구부(60)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상기 밀폐부(30)의 내면을 항균처리 할 수도 있다.Since the sealing part 30 is a part in direct contact with the opening 60 of the pouch container,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ing part 30 may be antibacterial.

만일, 상기 밀폐부(30)가 상기 결합해제부(10)와 분리되어 상기 밀폐부(30)만을 삼키게 되더라도, 식도나 기도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밀폐부(30)의 외형은 둥근 곡면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If the sealing part 30 is separated from the decoupling part 10 and swallows only the sealing part 30, in order to protect the esophagus or airway, the shape of the sealing part 30 has a rounded curved shape. Can be prepared as.

상기 결합해제부(10)는 상기 밀폐부(30)를 둘러싸는 형상이다. 상기 결합해제부(10)는 상기 결합해제부(10)의 내측과 상기 밀폐부(30)의 외측에 연결된 상기 연결리브(20)를 통해 상기 밀폐부(30)와 연결되어, 견고하게 지지된다.The disengagement unit 10 has a shape surrounding the sealing unit 30. The decoupling part 10 is connected to the sealing part 30 through the connection ribs 20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decoupling part 10 and the outside of the sealing part 30, and is firmly supported. .

상기 결합해제부(10)는 상기 밀폐부(30)를 개방하기 위한 힘을 받는 부분이다. The disengagement unit 10 is a portion that receives a force for opening the sealing unit 30.

상기 결합해제부(10)는, 상기 밀폐부(30)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파우치 용기의 뚜껑을 잡고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상기 결합해제부(10)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그 외면에 홈(미도시) 또는 돌기(15)을 가진다. 물론, 상기 돌기(15) 또는 홈(미도시)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결합해제부(10)를 회전하여 개방하는 경우, 상기 돌기(15)은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회전방향에 대해 수직방향(y축)으로 마련 될 수 있다. 상기 돌기(15)는 상기 홈(미도시)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disengagement unit 10 has a groov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engagement unit 10 so that the user's hand does not slip from the disengagement unit 10 when the user holds the lid of the pouch container and rotates it to open the seal 30. (Not shown) or the protrusion 15 is provided. Of course, the protrusion 15 or the groove (not shown) can be omitted. When the coupling release portion 10 is rotated to open, the protrusion 15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y-axis) to increase the friction force. The protrusion 15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of the groove (not shown).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돌기(15)와 상기 홈(미도시)이 함께 공존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돌기(15)와 상기 홈(미도시)이 교대로 상기 결합해제부(10)의 외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protrusion 15 and the groove (not shown) may coexist together. If necessary, the protrusions 15 and the grooves (not shown) may be alternate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coupling portion 10.

물론, 상기 결합해제부(10)를 수직방향(y축)으로 잡아당겨 상기 밀폐부(30)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돌기(15)은 상기 결합해제부(10)의 둘레방향으로 마련 될 수 있다. Of course, when pulling the coupling release portion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y-axis) to open the sealing portion 30, the protrusion 15 may be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upling release portion (10). have.

상기 결합해제부(10)는 상기 밀폐부(30)에 연결되어 크기를 확장시켜 상기 밀폐부(30)만을 삼키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밀폐부(30)보다 반경이 큰 동심원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밀폐부(30)의 외측으로 상기 연결리브(20)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밀폐부(30)를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disengagement unit 10 is connected to the sealing unit 30 to expand the size to prevent swallowing only the sealing unit 30. Therefore, the radiator may have a radius larger than that of the sealing part 3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ealing part 30 through the connecting ribs 20 to surround the sealing part 30. It can have

상기 결합해제부(10)는 상기 파우치 용기의 뚜껑을 개방하려는 경우, 손으로 잡기 쉽도록 상부의 반경을 하부의 반경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즉, 아래로 내려 갈수록 반경이 커지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해제부(10)의 형상은 원통형을 비롯하여, 아래도 내려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When the release portion 10 is to open the lid of the pouch container, the upper radius can be smaller than the lower radius so that it is easy to hold by hand. That is, it may b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radius increases downward.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disengagement portion 10, including the cylindrical, Various embodiments such as a triangular prism, a square prism, and the like, of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larger as it goes down are possible.

상기 결합해제부(10)는 공기연통부(40,50)를 포함한다. The disengagement unit 10 includes air communication units 40 and 50.

상기 결합해제부(1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공기연통부(40)가 마련되어, 공기가 상기 뚜껑의 수직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The disengagement unit 10 has one or more vertical air communication units 40 provided at the top and the bottom thereof, so that air can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id.

상기 수직방향 공기 연통부(40)는 상기 결합해제부(1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형성된 상부 공기연통부(41) 및 하부공기연통부(42)를 포함한다. 간단히 말해서, 상기 결합해제부(10)는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관(管)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관 형상은 일례에 불과하고, 공기가 상기 수직방향(y)을 따라 흐를 수 있는 한 상기 결합해제부(10)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vertical air communication portion 40 includes an upper air communication portion 41 and a lower air communication portion 42 form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ecoupling portion 10. In brief, the disengagement unit 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to allow air to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course, the tubular shape is only one example, and as long as air can flow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y), the disengagement unit 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상기 결합해제부(10)는 측면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둘 이상의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는 상기 뚜껑의 수평방향으로 공기가 통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disengagement unit 10 may be provided with two or mor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s 5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ide part.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is for allowing air to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lid.

한편,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는 공기가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파우치 용기 뚜껑(100)을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is provided so that air can pass through the pouch container lid 100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는 상기 결합해제부(10)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공기연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공기연통공의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ir communication holes formed discontinuously with each other along the edge of the disengagement unit 10. Her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air communication holes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는 원의 형태가 바람직하나,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가 가능하다.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circle, the shap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cations.

상기 연결리브(20)는 상기 결합해제부(10)와 상기 밀폐부(30)의 사이에 마련된다. 즉, 상기 결합해제부(10)의 내측과 상기 밀폐부(30)의 외측에 접촉하여 연결된다.The connecting rib 20 is provided between the disengagement part 10 and the sealing part 30. That is, the inner side of the decoupling portion 10 and the outer side of the sealing portion 30 is connected in contact.

상기 연결리브(20)는 상기 결합해제부(10)를 상기 밀폐부(30)와 고정시키며, 동시에, 상기 결합해제부(10)의 형태를 지지한다. The connecting rib 20 fixes the disengagement part 10 to the sealing part 30,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the form of the disengagement part 10.

따라서, 상기 연결리브(20)는 상기 밀폐부(30)와 상기 결합해제부(10)를 연결하고, 상기 결합해제부(10)로부터 상기 밀폐부(30)로 힘을 전달하기 위해, 쉽게 휘거나 구부러지지 않는, 일정 크기 이상의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리브(20)는 일정크기 이상의 강성을 가지기 위해, 소정치 이상의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Therefore, the connecting rib 20 easily connects the sealing part 30 and the decoupling part 10, and transfers a force from the decoupling part 10 to the sealing part 30. It is desirable to have a stiffness of a certain size or more that does not bend or bend. That is, the connecting rib 20 may be provided to have a thickness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n order to have a rigidity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상기 연결리브(20)는 상기 결합해제부(10)와 상기 밀폐부(30)의 사이에 위치하는 바, 상기 결합해제부(10)의 수직방향 공기연통부(40)와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를 통과하는 공기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rib 20 is located between the disengagement part 10 and the sealing part 30, and the vertical air communication part 40 and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part of the disengagement part 10 are provided. It is desirable to be provided so as not to disturb the air flow through the 50.

따라서, 상기 연결리브(20)는 수직방향(y축)의 공기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의 형태로 연결 될 수 있다. Therefore, the connecting ribs 20 may be connect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not to disturb the air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y-axis).

또한, 수평방향(x,z축)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상기 연결리브(20)는 공기 연통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rib 20 may include an air communication unit 21 in order not to disturb the air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z axis).

이때, 상기 연결리브(20)에 마련되는 공기연통부(21)는 상기 결합해제부(10)에 마련된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와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어, 공기가 통하기 쉽게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air communication unit 21 provided in the connecting rib 2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provided in the disengagement unit 10, so that air may be easily communicated.

상기 연결리브(20)는 상기 뚜껑의 수평방향으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도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리브(20)의 상단부의 위치가 상기 밀폐부(30)의 상단부, 또는, 상기 결합해제부(10)의 상단부보다 낮을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리브(20)의 폭(w1)은 상기 밀폐부(30)의 폭(w2)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밀폐부(30)의 하단을 기준으로 한, 상기 연결리브(20)의 높이(h1)는 상기 밀폐부(30)의 높이(h2)보다 낮을 수 있으며, 상기 밀폐부(30)의 높이(h2)는 상기 결합해제부(10)의 높이(h3)보다 낮을 수 있다.(h3 > h2 > h1, w2 > w1)As shown in FIG. 1D, the connecting rib 20 may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lid, and 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ib 20 may be the upper end of the sealing part 30, or the It may be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decoupling portion 10. That is, the width w1 of the connecting rib 20 is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sealing part 30, or based on the lower end of the sealing part 30, of the connecting rib 20. The height h1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h2 of the closure part 30, and the height h2 of the closure part 30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h3 of the disengagement part 10. (h3> h2> h1, w2> w1)

이것은, 상기 결합해제부(10)의 상부면 공기연통부(40)와 하부면 공기연통부(40)가 막히게 되더라도, 상기 결합해제부(10)의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밀폐부(30), 또는 결합해제부(10)의 길이보다 짧은 상기 연결리브(20)에 의해 마련된 중공부(미도시)를 통해 공기가 흐를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introduced through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portion 50 of the decoupling portion 10 even if the upper surface air communication portion 40 and the lower surface air communication portion 40 of the decoupling portion 10 is blocked. This is because the air may flow through the hollow part (not shown) provided by the connecting rib 20 having a shorter air than the length of the sealing part 30 or the disengaging part 10.

상기 연결리브(20)는 수평방향의 공기흐름을 막지 않기 위해 공기연통부(21)를 갖거나, 상기 밀폐부(3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방향 공기연통부(41,42)가 기도에 막힌 경우, s1은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연결리브(20)의 상부를 통과하여 상기 뚜껑(100)을 통과하는 것이며, s2는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연결리브(20)의 상기 공기연통부(21)를 통과하는 모양을 도시한 것이다.The connecting rib 20 may have an air communicating portion 21 or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ealing portion 30 so as not to block the air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as shown in FIG. 6B, when the vertical air communication parts 41 and 42 are blocked by the airway, s1 indicates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part 50 has an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rib 20. Pass through the lid 100 and s2 shows the shap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passes through the air communication unit 21 of the connecting rib 20. .

상기 연결리브(20)는 판 형상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컨대, 여러 개의 선형부재로 연결될 수 있으며, 기타, 상기 결합해제부(10)와 상기 밀폐부(30)를 연결 지지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이 가능하다. The connection rib 20 may be various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plate shape. For example, it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inear members, and other, any method that can support the coupling release portion 10 and the sealing portion 30 is possible.

상기 연결리브(20)는 주로,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해제부(10)와 상기 밀폐부(30)보다 강도가 강한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connecting rib 20 may be mainly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olyethylene, polyester, or the like,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strength greater than that of the debonding part 10 and the sealing part 30.

상기 연결리브(20)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결합해제부(10)와 상기 밀폐부(30)를 연결하고 힘을 전달하기 위해 최소한 둘 이상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connecting rib 20 may have a variety of shapes and shapes, at least two should be provided to connect the disengagement unit 10 and the sealing unit 30 and transmit a force.

이때, 복수개의 상기 연결리브(20)는 상기 밀폐부(30)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직방향의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한, 상기 밀폐부(30)와 상기 결합해제부(10)를 견고하게 연결지지하기 위해, 소정의 개수 이상이 필요하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ibs 20 are preferably provid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sealing part 30, and do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aling part 30 and In order to firmly support the disengagement unit 10,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is required.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의 뚜껑(20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해제부(10), 연결리브(20), 밀폐부(30), 수직방향 공기연통부(40) 및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1)를 포함한다. 상기 뚜껑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Lid 200 of the pouch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a, the decoupling portion 10, the connecting rib 20, the sealing portion 30, the vertical air communication portion 40 and a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1. The configuration of the lid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다만,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해제부(10)의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는 참신한 형상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는 원형, 사각형 등의 도형이 아니라, 회사의 상표, 내용물, 이름 등에 관한 문자를 형상화 하여 공기연통부(50)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해제부(10)의 측면부의 공기유입을 가능케 함과 동시에, 일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However,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of the disengagement unit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a novel shape. That is,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is not a circular, rectangular, or other figures, but rather the shape of the letters related to the company's trademark, contents, name, etc. to make the air communication unit 50. Through this, the inflow of the air in the side portion of the disengagement unit 10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deliver a certain information.

또한, 상기 결합해제부(10)의 외면에 형성되는 문구는 도면에서는 "FOOD"로 예를 들어설명하고 있으나, 그 문구는 "WARNING"과 같이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삼킬 수 있음을 경고하는 경고문구로 대체될 수도 있다. 물론, 그 외에도 다양한 정보 전달 문구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ras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engagement unit 10 is described as an example "FOOD" in the drawings, the phrase is replaced with a warning statement to warn that the user can be inadvertently swallowed, such as "WARNING". May be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various information transfer phrases can be arranged.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는, 그 밖에, 캐릭터나 이미지 등을 형상화 하여 마련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provided by shaping a character or an image.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는, 직접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문자나 이미지를 형상화 하는 경우 상기 공기연통부(50)의 모서리나 마감부에 의해 다치지 않도록, 마감처리를 할 수 있다.Since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is a part directly contacting the skin, when the character or image is shaped,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may be finished so as not to be injured by the edge or the finish of the air communication unit 50.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의 뚜껑(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해제부(10), 연결리브(20), 밀폐부(30), 수직방향 공기연통부(40) 및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2)를 포함한다. 상기 뚜껑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Lid 300 of the pouch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disengagement portion 10, the connecting rib 20, the sealing portion 30, the vertical air communication portion 40 and a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2. The configuration of the lid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다만,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해제부(11)는, 뚜껑의 수직방향(y축)으로 절개되어 분리되어 있다. 물론, 상기 결합해제부(11)사이에 절개된 수평방향의 공기연통부(52)는 일정크기 이하이어야 한다. 상기 결합해제부(10)가 상기 연결리브(20)를 따라, 상기 뚜껑의 수직방향으로 분리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해제부(10)의 측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However, the disengagement portion 1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ut and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y-axis) of the lid. Of course,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portion 52 is cut between the disconnection portion 11 should be less than a certain size. The decoupling portion 10 is separated along the connecting rib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id, so that air may flow into the side portion of the decoupling portion 10.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의 뚜껑(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해제부(12), 연결리브(20), 밀폐부(30), 수직방향 공기연통부(40) 및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3)를 포함한다. 상기 뚜껑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Lid 400 of the pouch contai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disengagement portion 12, the connecting rib 20, the sealing portion 30, the vertical air communication portion ( 40) and a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portion 53. The configuration of the lid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다만, 제4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해제부(10)는, 상기 결합해제부(12)의 둘레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분리되어 있다. 즉, 연결리브(20)의 개수와 상관없이 둘 이상의 결합해제부(12)로 분리될 수 있다.However, the disengagement unit 1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cut and separ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sengagement unit 12. That is,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he connecting ribs 20 may be separated into two or more disconnection portion 12.

다시 말해, 상기 결합해제부(10)는 그 테두리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된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3)를 포함한다.In other words, the disengagement unit 10 includes a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3 which is continuously provided along the edge direction thereof.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3)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흐를 수 있다. 이때, 수평방향으로 분리된 상기 결합해제부(12)는 절개된 부분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일정 크기이상의 간격이 유지되며, 절개되어 분리된 상기 결합해제부(12)는 둘 이상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By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3, air may flow in and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disengagement portion 12 sepa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maintained at a distan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so that air is introduced into the dissection portion, the disengagement portion 12 is cut and separated to be separated into two or more Can be.

도 5는 상기 파우치 용기(600)와 상기 파우치 용기(600)를 밀폐하는 뚜껑(100)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exploded view of the pouch container 600 and the lid 100 that seals the pouch container 600.

상기 파우치 용기(600)는 내용물을 수용하며, 그 상부에는 상기 수용된 내용물이 출입가능한 스파우트(60, 70)가 부착된다.The pouch container 600 accommodates contents, and the spouts 60 and 70 to which the accommodated contents are accessible are attached thereto.

상기 파우치용기의 뚜껑(100)은, 상기 파우치 용기(600)의 상기 스파우트(60,70)와 함께 제조 또는 유통될 수 있다. 상기 스파우트(60,70)는 몸체부(60)와, 상기 몸체부(60)를 상기 파우치 용기(600)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부(70)를 포함한다.The lid 100 of the pouch container may be manufactured or distributed together with the spouts 60 and 70 of the pouch container 600. The spouts 60 and 70 include a body portion 60 and an adhesive portion 70 for attaching the body portion 60 to the pouch container 600.

상기 접착부(70)는 스파우트(60,70)가 파우치용기(60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파우치 용기의 일측단에 삽입되어 열용착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상기 스파우트(60, 70)는 다양한 결합방식에 따라 상기 파우치 용기(6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adhesive part 70 is a part in which the spouts 60 and 70 are connected to the pouch container 600, and may be inserted into one side end of the pouch container to be thermally welded.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pouts 60 and 70 may be coupled to the pouch container 600 according to various coupling methods.

상기 몸체부(60)는 파우치 용기(600)의 외부로 돌출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몸체부(60)는 상기 파우치 용기(600)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함몰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body portion 60 protrudes out of the pouch container 600. In some cases, the body portion 60 may be provided in a recessed form without protruding outside the pouch container 600.

상기 몸체부(60)는 내용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관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60 may be provided in a tubular shape to allow the contents to enter and exit.

상기 스파우트(60, 70)는 상기 파우치 용기 뚜껑(100)의 밀폐부(30)와 결합된다.The spouts 60 and 70 are combined with the seal 30 of the pouch container lid 100.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용기 뚜껑(100)을 삼킨 경우, 상기 수직방향 공기연통부(40) 및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의 기능에 대해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hen a user swallows the pouch container li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the vertical air communication unit 40 and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Let's explain.

먼저, 상기 수직방향 공기연통부(40)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 6a에 상세히 그려져 있다.First, the function of the vertical air communication unit 40 is illustrated in detail in FIG. 6A.

상기 파우치 용기 뚜껑(100)을 삼켜서 상기 파우치 용기의 뚜껑(100)이 기도(700)를 막더라도 상기 상부 공기연통부(41) 및 하부 공기연통부(42)를 통해 통기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질식할 가능성은 없다.Even though the lid 100 of the pouch container covers the airway 700 by swallowing the pouch container lid 100, it is possible to ventilate through the upper air communication part 41 and the lower air communication part 42. There is no possibility of choking.

그 다음으로,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 가운데 어느 하나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후술할 상기 연결리브(20)와 상기 밀폐부(3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거쳐서 또 다른,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로 빠져 나갈 수 있다. 여기서, 공기가 잘 통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function of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6B, the air introduced throug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s 50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exit to another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through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rib 20 and the sealing portion 30. Here,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may be formed in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so that air can pass through well.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는 상기 뚜껑의 수평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흐르는 바, 상기 뚜껑이 기도의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기도를 막게 되어 상기 수직방향 공기연통부(40)가 기도에 의해 막히더라도,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를 통하여, 최소한의 기도를 확보하여 질식할 가능성이 없다.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의 공기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리브(20)에는 공기연통부(21)가 마련될 수 있다.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is the air flows into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lid flows through the bar, the lid is blocked in the airwa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airway so that the vertical air communication unit 40 in the airway Even if it is blocked by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there is no possibility of securing the minimum airway and choking. An air communication unit 21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on rib 20 so as not to disturb the air flow of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한편, 도 1a, 도 1b, 도 6a 및 도 6b에 따르면, 상기 파우치 용기의 뚜껑(500) 및 스파우트(60,70)는 열 가소성 수지인 폴레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사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해제부(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수직방향 공기연통부(40)는 수직방향의 금형을, 상기 결합해제부(10)의 측면부의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는 수평방향의 금형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방향 금형은 상기 파우치 용기의 뚜껑(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FIGS. 1A, 1B, 6A, and 6B, the lid 500 and the spouts 60 and 70 of the pouch container may be injection molded using a synthetic resin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the like, which is a thermoplastic resin. Can be prepared. In this case, the vertical air communication portion 40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isengagement portion 10 is a vertical mold,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portion 50 of the side portion of the disengagement portion 10 Requires a mol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ere, the vertical mold may be disposed inside the lid 100 of the pouch container.

이때, 수평방향 금형(펀치)과 수직방향의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파우치 용기의 뚜껑(100)을 사출성형 및 가공하는 과정 중에 상기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금형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의 형성을 위한 금형(P)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 금형(미도시)과 별도로, 상기 뚜껑의 외부로부터 상기 뚜껑의 수직방향(Pa)을 따라 상기 결합해제부(10)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를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olds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during the process of injection molding and processing the lid 100 of the pouch container using a horizontal mold (punch) and a vertical mold. The mold P for forming the air communication unit 50 is coupled to the vertical direction Pa of the lid from the outside of the lid, separately from the vertical mold (not shown), as shown in FIG. 1C.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may be formed by passing through the release unit 10. Of course,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여기서, 상기 수평방향 금형(P)은 반드시 수직방향(y)을 따라서 상기 결합해제부(10)를 관통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직방향 금형과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상기 수직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결합해제부(10)를 관통할 수도 있다. Here, the horizontal mold (P)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penetrate the disengaging portion 1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y), and crosses at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reduce interference with the vertical mold. It may pass through the disengagement unit 10 along the direction to.

여기서, 상기 수평방향 금형(P)은 상기 밀폐부의 수직방향에 대해 90도를 이루면서 상기 결합해제부(10)를 관통하지만 않으면 대체로 상기 수직방향 금형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Here, the horizontal mold (P) can substantially reduce the interference with the vertical mold unless it passes through the disengagement portion 10 while forming a 90 degre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al.

여기서, 상기 수평방향 금형(P)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의 테두리(51)의 단면방향은 대체로 상기 수직방향(y)과 평행이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테두리(51)의 단면방향의 연장선과 상기 수직방향(y) 사이의 사잇각은 예각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테두리(51)의 단면방향의 연장선과 상기 수직방향(y) 사이의 사잇각은 90도가 아닐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50)는, 상기 결합해제부(10)의 외면에 마련되어 그 중심선과 상기 밀폐부의 수직방향의 연장선 사이의 각도가 90도가 아닌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ross-sectional direction of the edge 51 of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formed by the horizontal mold (P)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y). In some cases, the angle between the extension line in the cross-sectional direction of the edge 51 and the vertical direction y may be an acute angle. That is, the angle between the extension line in the cross-sectional direction of the edge 51 and the vertical direction y may not be 90 degrees. Accordingly,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50 may b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isengagement unit 10 so that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which the angle between the center line and the extension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aling unit is not 90 degrees.

10, 11, 12 : 결합해제부 20: 연결리브
21 : 연결리브 공기연통부 30: 밀폐부
41,42 : 수직방향 공기연통부 50,51,52,53 : 수평방향 공기연통부
60 : 스파우트 몸체부 70 : 스파우트 접착부
600 : 파우치 용기 700 : 기도(氣道)
15 : 돌기
10, 11, 12: disconnection part 20: connecting rib
21: connecting rib air communication part 30: sealing part
41,42: Vertical air communication part 50,51,52,53: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part
60: spout body portion 70: spout bonding portion
600: pouch container 700: airway
15: turning

Claims (5)

내용물이 수용가능한 파우치 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파우치 용기의 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파우치 용기에 결합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와 이격되어 상기 밀폐부 주위를 둘러싸며, 상기 밀폐부를 상기 파우치 용기의 개구로부터 결합, 해제시키는 결합해제부와;
상기 결합해제부와 상기 밀폐부를 연결하며, 상기 밀폐부 및 상기 결합해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높이보다 낮게 마련되는 연결리브와;
상기 결합해제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마련되어 공기가 상기 밀폐부와 상기 결합해제부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방향 공기연통부; 및
상기 결합해제부 및 상기 연결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밀폐부의 수평방향을 따라 공기를 연통시킬 수 있는 수평방향 공기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용기의 뚜껑.
In the lid of the pouch container the contents are acceptable,
A closure portion coupled to the pouch container to seal the opening of the pouch container;
A decoupl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sealing portion and surrounding the sealing portion and engaging and releasing the sealing portion from the opening of the pouch container;
A connection rib connecting the release part and the sealing part and provided to be lower than at least one height of the seal part and the release part;
At least one opening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sengagement portion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a space spaced between the seal and the disengagement portion; And
The lid of the pouch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portion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disengagement portion and the connecting rib, the air communication portion can communicate ai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al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는,
상기 결합해제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문자 또는 도형에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된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용기의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Lid of the pouc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engagement portion provid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or fig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는,
상기 결합해제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해제부의 외면에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용기의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Lid of the pouch container comprising a cutout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engagement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sengagement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 공기연통부는, 상기 결합해제부의 외면에 마련되어 그 중심선과 상기 밀폐부의 수직방향의 연장선 사이의 각도가 90도가 아닌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용기의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The horizontal air communication unit, the cover of the pouc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rough hol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engagement portion and the angle between the center line and the extension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aling portion is not 90 degrees.
KR1020100043221A 2010-05-07 2010-05-07 Lid for pouch container KR1010262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221A KR101026230B1 (en) 2010-05-07 2010-05-07 Lid for pouch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221A KR101026230B1 (en) 2010-05-07 2010-05-07 Lid for pouch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230B1 true KR101026230B1 (en) 2011-03-31

Family

ID=4393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221A KR101026230B1 (en) 2010-05-07 2010-05-07 Lid for pouch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23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188B1 (en) * 2023-04-05 2023-10-26 주식회사 중앙플라텍 Spout with warranty means on ca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728A (en) * 2005-07-30 2005-09-23 이정민 Top cap structure of discharge device containing different materia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728A (en) * 2005-07-30 2005-09-23 이정민 Top cap structure of discharge device containing different materi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188B1 (en) * 2023-04-05 2023-10-26 주식회사 중앙플라텍 Spout with warranty means on c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2344A (en) Housing and spout
KR101989217B1 (en) Cap for a receptacle such as a bottle
JP6697472B2 (en) Free food container
US9701451B2 (en) Dispensing closure
CN110088008B (en) Safety cap spout providing accuracy and inspection convenience in unsealing
US11203468B2 (en) Pouring spout of container
US20050247714A1 (en) Closure for drink bottle
US20070221608A1 (en) Handle and finish attachment for a container
JP2008213854A (en) Double container with pump
US9408778B2 (en) Chambered mixing bottle
US20150217573A1 (en) Ink Tank Parts
KR101026230B1 (en) Lid for pouch container
JP5315098B2 (en) Bottle set
RU2005111543A (en) HORN FOR INFANTS AND CHILDREN
JP2008297010A (en) Hinged cap integral type tube container
CN217497105U (en) Bottle cap and container
JP2006240667A (en) Plastic cap having straw piercing port
US20160318684A1 (en) Pouch container
JP2011173597A (en) Airtight container
JP3163596U (en) Plastic bottle cup
KR200459770Y1 (en) A vessel cap
JP5426870B2 (en) Container spout
JP2010018319A (en) Spout member of packaging bag
KR20170097600A (en) Container
BRPI0615975A2 (en) pierceable lid for container, mold and lid manufactur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