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159B1 - A system for assessing the effect of human related events in nuclear power plants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system for assessing the effect of human related events in nuclear power plants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159B1
KR101026159B1 KR1020080089257A KR20080089257A KR101026159B1 KR 101026159 B1 KR101026159 B1 KR 101026159B1 KR 1020080089257 A KR1020080089257 A KR 1020080089257A KR 20080089257 A KR20080089257 A KR 20080089257A KR 101026159 B1 KR101026159 B1 KR 101026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nuclear power
human
information
pow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2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0351A (en
Inventor
정원대
양준언
김승환
김재환
박진균
김만철
허균영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9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159B1/en
Publication of KR20100030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3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1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직무와 관련하여 일상직무 수행 중 인적오류로 인해 발생되는 인적유발사건이 시스템의 안전성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인적 요인으로 인한 원자력발전소의 불시정지 및 성능 저하를 효과적으로 평가 및 관리할 수 있는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human incidence events in nuclear power plants. More specifically, the human incidence incidents caused by human error during daily work in relation to the daily work performed in the nuclear power plant are related to the safety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degree of impact on performance to effectively evaluate and manage the uninterrupted stoppage and deterioration of a nuclear power plant caused by human factors.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원자력발전소에서 수행되는 일상직무들에 대한 직무 특성 및 직무 수행 환경을 포함하는 직무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직무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직무에 대한 인적오류확률을 산출하며, 기 정의된 직무별 기능상실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각 직무에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획득하는 인적오류 분석 모듈과; 상기 인적오류 분석 모듈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각 직무 정보와 각각의 직무에 대한 인적오류확률 및 기능상실 정보를 전달받아, 각 직무별로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결정론적 모델(deterministic model)에 적용하여, 각 직무의 인적오류에 의한 기능상실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안전성 평가 모듈과; 상기 인적오류 분석 모듈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각 직무 정보와 각각의 직무에 대한 기능상실 정보를 전달받아, 각 직무별로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기준으로 원자력발전소 계통에서의 열효율 측면에서 각 직무의 인적오류로 인한 기 능상실이 원자력발전소의 성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는 성능 시뮬레이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Human impact event evaluation system of a nuclear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ceiving the job information including th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performance environment for the daily duties performed in the nuclear power plant from the user, by using the input job information A human error analysis module for calculating a probability of human error for each job, and acquiring malfun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put jobs by referring to predetermined function failure data for each job; Receive each job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rom the human error analysis module and the human error probability and malfunction information for each job, and apply the func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job to the deterministic model A safety evaluation module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malfunctions caused by human error on each job on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Receive each job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rom the human error analysis module and the malfunction information for each job, the human resources of each job in terms of thermal efficiency in the nuclear power plant system based on the corresponding malfunction information for each job And a performance simulation module for simulating the effect of a malfunction caused by a failure on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원자력발전소, 일상직무, 인적유발사건, 인적오류, 불시정지, 성능 저하, 영향 평가 Nuclear Power Plant, Daily Occupation, Human Accident, Human Error, Uninterrupted Stop, Performance Degradation, Impact Assessment

Description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A system for assessing the effect of human related events in nuclear power plants and the method thereof}System for assessing the effect of human related events in nuclear power plants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직무와 관련하여 일상직무 수행 중 인적오류로 인해 발생되는 인적유발사건이 시스템의 안전성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인적 요인으로 인한 원자력발전소의 불시정지 및 성능 저하를 효과적으로 평가 및 관리할 수 있는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human incidence events in nuclear power plants. More specifically, the human incidence incidents caused by human error during daily work in relation to the daily work performed in the nuclear power plant are related to the safety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degree of impact on performance to effectively evaluate and manage the uninterrupted stoppage and deterioration of a nuclear power plant caused by human factors.

지금까지 원자력발전소에서의 많은 사건·사고 경험을 통해 알려진 바에 의하면,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사건 또는 사고의 결정적인 원인들 중 하나가 인적 요인이라는 점이다. 예를 들어, 2004년 및 2005년에 발생된 불시정지 사건의 약 40% 정도가 인적 요인과 관련된 것으로 밝혀졌을 뿐 아니라, 인적 요인과 관련된 불시정지 사건들 중 80% 이상이 부적절한 원자력발전소의 일상직무(정비/시험 직무 및 비정상 대응 직무)에 기인한 것으로 밝혀졌다.Many experiences and accidents in nuclear power plants have been known so far that one of the decisive causes of events or accidents occurring in nuclear power plants is human factors. For example, about 40% of the uninterrupted events in 2004 and 2005 were found to be related to human factors, and more than 80% of the uninterrupted incidents related to human factors are inadequate daily work at nuclear power plants. (Maintenance / testing jobs and abnormal response jobs).

최근 원자력발전소는 단위용량의 증대, 계측제어시스템의 기능 추가 및 다양화, 고도화된 전자기술 및 인공지능기술의 도입, 안전성 강화를 위한 안전설비의 보강 등이 계속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원자력발전소는 더욱 복잡해지고 이를 운영하는 인간의 역할은 점점더 그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현재의 원자력발전소 운전원은 자동화의 촉진에도 불구하고 안전운전을 위해 계통의 동작을 면밀히 감시하고, 이상을 진단해야 하며, 고장/정지에 대한 대응절차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비정상 및 비상상황시 폭주하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정보를 충분히 이해하고, 신속 정확히 대응해야 하는 등, 업무의 과중한 부담을 안고 있다.Recently, nuclear power plants continue to increase unit capacity, add and diversify measurement control systems, introduce advanced electronic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and reinforce safety facilities to enhance safety. As a result, nuclear power plants become more complex, and the role of humans in operating them is increasing. Despite the facilitation of automation, current operators of nuclear power plants must closely monitor the operation of the system, diagnose faults, and be aware of the failure / stopping procedures for safe operation. In addition, there is a heavy burden of work, such as understand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that is runaway in abnormal and emergency situations and responding quickly and accurately.

원자력발전소는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그 기능이 정의되고, 정의된 기능을 인간과 기계 간에 할당하여 설계가 이루어진다. 인간은 설계자에 의해 설계된 시스템이 제공하는 정보를 감지하고 해석하여 판단을 내리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자의 수행도는 작업자에 미치는 내·외적 인적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되며, 설계시에 이러한 인적요인을 완벽하게 고려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설계자에 의해 정의된 인간의 수행도와 실제 원자력발전소 작업시에 나타나는 작업자의 수행도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할 수 밖에 없다.Nuclear power plants are defined by system designers and are designed by assigning the defined functions between humans and machines. Humans sense, interpret, and make decisions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systems designed by designers. The performance of these workers is influenced by internal and external human factors on the workers, and it is impossible to fully reflect these human factors in the design, so it is impossible to reflect them in the desig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ance of workers in actual nuclear power plant operations.

따라서, 원자력발전소의 불시정지 횟수를 줄이고 궁극적으로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원자력발전소 운영의 주체인 운전원이나 작업자의 인적행위 향상 및 오류감소가 요구된다.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uninterrupted stops of nuclear power plants and ultimately increase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human behavior and errors of operators or workers who are the main operators of nuclear power plants.

이를 위해서는 불시정지 또는 기능저하와 관련하여 일상직무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인적유발사건(human related event)들의 평가를 통해 효과적인 인적오 류(human error) 저감화 방향을 제안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To this end,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suggest effective human error reduction through the evaluation of human related events that may occur during daily work related to uninterrupted or reduced functioning.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력발전소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직무와 관련하여 일상직무 수행 중 인적오류로 인해 발생되는 인적유발사건이 시스템의 안전성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인적 요인으로 인한 원자력발전소의 불시정지 및 성능 저하를 효과적으로 평가 및 관리할 수 있는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degree to which human incidence events caused by human error during daily duties in the nuclear power plant affect the safety and performance of the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vely evaluating and managing an uninterrupted stoppage and a degradation of a nuclear power plan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원자력발전소에서 수행되는 일상직무들에 대한 직무 특성 및 직무 수행 환경을 포함하는 직무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직무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직무에 대한 인적오류확률을 산출하며, 기 정의된 직무별 기능상실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각 직무에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획득하는 인적오류 분석 모듈과; 상기 인적오류 분석 모듈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각 직무 정보와 각각의 직무에 대한 인적오류확률 및 기능상실 정보를 전달받아, 각 직무별로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결정론적 모델(deterministic model)에 적용하여, 각 직무의 인적오류에 의한 기능상실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안전성 평가 모듈과; 상기 인적오류 분석 모듈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각 직무 정보와 각각의 직무에 대한 기능상실 정보를 전달받아, 각 직무별로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기준으 로 원자력발전소 계통에서의 열효율 측면에서 각 직무의 인적오류로 인한 기능상실이 원자력발전소의 성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는 성능 시뮬레이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y receiving the job information including the job characteristics and the job performance environment for the daily jobs performed in the nuclear power plant from the user, each using the input job information A human error analysis module for calculating a probability of human error for a job, and acquiring malfun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put jobs by referring to predetermined function failure data for each job; Receive each job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rom the human error analysis module and the human error probability and malfunction information for each job, and apply the func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job to the deterministic model A safety evaluation module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malfunctions caused by human error on each job on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Receive each job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rom the human error analysis module and the malfunction information for each job, and based on the malfun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job, each job in terms of thermal efficiency in the nuclear power plant system A performance simulation module for simulating the effect of malfunction due to human error on the deterioration of a nuclear power plan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직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원자력발전소에서 수행하는 일상직무들에 대한 직무 정보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각각의 직무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에서 해당 직무 수행과 관련된 인적오류확률(Human Error Probability; HEP)을 산출하는 단계와, 기 정의되어 있는 직무별 기능상실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각각의 직무 수행시 인적오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기능상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각 직무별 기능상실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직무별로, 안전성 관련 기능상실과 성능 관련 기능상실로 구분되는 기능상실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기능상실의 유형이 안전성 관련 기능상실인 경우, 해당 직무에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결정론적 모델에 적용하여, 해당 직무의 인적오류에 의한 기능상실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기능상실의 유형이 성능 관련 기능상실인 경우, 해당 직무에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직무의 인적오류로 인한 기능상실이 원자력발전소 계통의 열효율과 관련된 성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와, 상기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단계 및 성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전체 직무에 대한 안전성 평가 및 성능 저하 시뮬레이션이 완료되면, 출력장치를 통해 전체 직무 목록과 각 직무별 안전성 평가 및 성능 저하 시뮬레이션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input screen for inputting the job information to the user, receiving the job information for the daily duties performed in the nuclear power plan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device, and each of the received job Calculating human error probability (HEP) related to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job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by using the information, and performing each of the inputted tasks with reference to predefined job loss data. Acquiring information on malfunctions that may be caused by human error, and referring to the acquired malfunction information for each job, for each job, a function classified into a safety-related malfunction and a performance-related malfunction Determining the type of loss, and if the determined type of malfunction is a safety-related malfunction, Evaluating the effect of functional failure on the safety of the nuclear power plant by applying the functional information to the deterministic model, and if the determined type of functional failure is a performance-related malfunction, Simulating the effect of functional failure due to human error of the job on performance degradation related to thermal efficiency of nuclear power plant system, evaluating the impact on safety and performance degradation When the safety evaluation and performance degradation simulation of the entire job inputted from the user are completed through the step of simulating the impact, the output device displays a list of all jobs and the safety evaluation and performance degradation simulation results for each job to the us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Provides a method for assessing the impact of human outbreaks in nuclear power plants.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는, 원자력발전소에서의 각 일상직무와 관련된 인적오류가 시스템의 안전성 및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므로,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중요한 일상직무와 관련된 인적오류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원자력발전소의 불시정지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주요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줄여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human incidence events on nuclear power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quantitatively the effects of human error related to each daily work on nuclear power plants on the safety and performance of the system. As a result, measures to reduce human error related to important daily tasks can be easily derived,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uninterrupted stops of nuclear power plants, and improving the safety and economic efficiency of nuclear power plants by reducing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major systems. It can be effectiv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evaluating human impact ev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시스템은 입력장치, 중앙처리장치 및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구현되며,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시스템은 그 기능에 따라 크게 인적오류 분석 모듈(10), 안전성 평가 모듈(20), 성능 시뮬레이션 모듈(30), 중요도 분석 및 출력 모듈(40)로 구성된다.The human incidence event impact evaluation system of a nuclear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hrough a computer system including an input device,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n output device, the human indu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The event impact assessment system is largely composed of human error analysis module 10, safety evaluation module 20, performance simulation module 30, importance analysis and output module 40.

인적오류 분석 모듈(10)은 사용자로부터 원자력발전소에서 수행되는 일상직무들에 대한 정보, 즉 직무 특성 및 직무 수행 환경을 포함하는 직무 정보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고, 입력된 직무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직무에 대한 인적오류확률을 산출하며, 기 정의된 직무별 기능상실 데이터, 즉 전체 직무에 대하여 각각의 직무 수행 중의 인적오류로 인한 원자력발전소 기기의 기능상실 종류가 미리 정의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각 직무에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획득한다.The human error analysis module 10 receives from the user information on daily jobs performed at the nuclear power plant, that is, job information including job characteristics and job performance environment through an input device, and uses the input job information. Calculates the probability of human error for a job, and uses the user's function using predefined job loss data, i.e., data that predefine the type of malfunc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equipment due to human error during each job for all jobs. Acquire the malfun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job input from.

안전성 평가 모듈(20)은 인적오류 분석 모듈(1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각 직무 정보와 각각의 직무에 대한 인적오류확률 및 기능상실 정보를 전달받아, 각 직무별로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결정론적 모델(deterministic model)에 적용하여, 각 직무의 인적오류에 의한 기능상실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여기서, 결정론적 모델은 원자력발전소의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PSA;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에서 주로 이용되는 고장수목(fault tree)을 사용하여 수립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safety evaluation module 20 receives the job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rom the human error analysis module 10 and the human error probability and malfunction information for each job to determine the corresponding malfunction information for each job. Applying to the deterministic model, we analyze the effects of human error of each job on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Here, the deterministic model is preferably established using a fault tree mainly used in the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PSA) of nuclear power plant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do.

성능 시뮬레이션 모듈(30)은 인적오류 분석 모듈(1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각 직무 정보와 각각의 직무에 대한 기능상실 정보를 전달받아, 각 직무별로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기준으로 원자력발전소 계통에서의 열효율 측면에서 특정 직무의 인적오류가 원자력발전소의 성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여 분석한다.The performance simulation module 30 receives the job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the function failure information for each job from the human error analysis module 10, and based on the function lo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job, the nuclear power plant system In this paper, the effect of human error of a specific job on the deterioration of nuclear power plant is simulated and analyzed.

중요도 분석 및 출력 모듈(40)은 안전성 평가 모듈(20) 및 성능 시뮬레이션 모듈(30)로부터 각 직무에 대한 안전성 영향 및 성능 영향 분석 결과를 전달받아, 전달된 안전성 영향 및 성능 영향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각 직무가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및 성능에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중요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직무별 중요도가 포함된 분석 결과를 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준다.The importance analysis and output module 40 receives safety impact and performance impact analysis results for each job from the safety evaluation module 20 and the performance simulation module 30, and uses the safety impact and performance impact analysis results delivered. It calculates the importance of how important each job affects the safety and performance of the nuclear power plant, and displays the analysis result including the calculated job importance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device.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a human incident e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evaluation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직무 정보 입력 단계에서의 입력 화면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안전성 영향 분석 단계에서 사용되는 고장수목의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valuating a human incident e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nput screen in the job information input step shown in FIG. 2, and FIG. 4 is shown in FIG. 2. A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fault trees used in the illustrated safety impact analysis step.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인적오류 분석 모듈(10)은 사용자에게 직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화면을 제공하여,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비 또는 시험 직무와 같이 원자력발전소에서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직무들의 직무 특성 및 직무 수행 환경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S10),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각각의 직무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직무 수행과 관련된 인적오류확률(Human Error Probability; HEP)을 산출한다(S20).Referring to FIG. 2, first, the human error analysis module 10 provides an input screen for inputting job information to a user, and performs a job routinely performed in a nuclear power plant such as a maintenance or test job from a user through an input device. They receive information on their job characteristics and job performance environment (S10), and calculate human error probability (HEP) related to the job performance using each job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S20). .

여기서, 인적오류확률은 본 발명의 출원인인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개발한 K-HRA(Korean Human Reliability Analysis) 기법을 적용하여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K-HRA 기법을 적용하게 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직무 특성 및 직무 수행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에 따른 인적오류확률을 효과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Here, the human error probability is preferably calculated by applying the Korean Human Reliability Analysis (K-HRA) technique developed by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b characteristics input from the user when applying the K-HRA technique An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alculate the probability of human erro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job performance environment.

이와 같은 K-HRA 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S10에서 입력받아야 할 직무 정보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직무명(I1), 직무 유형 정보(I2), 스트레스 수준 정보(I3) 등이 있다. 직무명(I1)에는 원자력발전소에서 규범화되어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절차서를 기준으로 정비 또는 시험 직무와 같이 원자력발전소에서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직무에 대한 표준화된 직무명을 입력하게 되며, 직무 유형 정보(I2)로는 해당 직무의 복잡도와 절차서의 난이도 수준, 해당 직무에 대한 작업자의 친숙도를 입력하게 된다. 한편, 스트레스 수준 정보(I3)로는 해당 직무를 얼마나 빠른 시간 내에 완료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간 긴급성, 해당 직무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의 심각성(예를 들면, 치명적인 사고에 대응하는 사고후 직무인 경우 상황 심각성이 높은 수준이라 할 수 있다),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 데에 따르는 위험성, 해당 직무의 작업자에게 교육훈련이 얼마나 잘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한 교육훈련수준 등이 있다. 또한, 인적오류로 인해 직무 수행에 실패하였을 때 해당 오류에 대한 오류 복구 정보(I4) 즉, 복구에 요구되는 시간 긴급성, 복구와 관련된 MMI(man-machine interface) 제공 수준, 복구 작업 감독을 위해 투입 가능한 감독자 유무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부가적으로, 도면에 예시되지는 않았으나, 위의 직무 특성과 관련된 정보들 외에 직무 환경과 관련된 정보, 즉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의 여유도나 작업 공간의 소음도 등의 환경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각 직무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등의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며, 특정 직무의 작업자가 교체되거나 숙련도가 상승되었을 때, 기존에 저장된 해당 직무 정보를 불러와 변경된 항목을 새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정보 갱신이 가능하다.As the job information to be input in the S10 in order to apply the K-HRA technique, as shown in Figure 3, job name (I1), job type information (I2), stress level information (I3), etc. There is this. In job name (I1), standardized job names for jobs routinely performed at the nuclear power plant, such as maintenance or test jobs, are entered, based on procedures commonly used in nuclear power plants, and job type information (I2). The furnace will enter the complexity of the job,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procedure, and the worker's familiarity with the job. On the other hand, the stress level information (I3) includes time urgency of how quickly the task should be completed, the severity of the situation in which the task should be performed (e.g., a post-accident task in response to a fatal accident). The level of severity), the risks involved in performing the job, and the level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how well the worker is performing. In addition, when failure to perform a job due to human error, error recovery information (I4) for the error, that is, time urgency required for recovery, man-machine interface (MMI) provision level related to recovery, Receiv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supervisor can be input. In addition, 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bove job characteristics, information related to the job environment, that is,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the margin of work space or the noise level of the work space may be input. . Each job information entered as described above is stored in a data repository such as a database. When the worker of a specific job is replaced or the skill level is increased, the information is updated by retrieving the previously stored job information and inputting the changed item. It is possible.

이와 같이 상기 S10 단계를 통해 직무 유형 정보, 스트레스 수준 정보, 오류 복구 정보 등의 직무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S20 단계에서는 인적오류 분석 모듈(10)이 구동되어 입력된 직무 유형 정보와 스트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직무의 작업 오류 확률을 산출하고, 오류 복구 정보로부터 복구 실패 확률을 산출하여,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작업 오류 확률(Pr1)과 복구 실패 확률(Pr2)의 곱으로부터 최종적인 인적오류확률(Pr3)을 산출하게 된다.As such, when job information such as job type information, stress level information, and error recovery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step S10, in step S20, the human error analysis module 10 is driven to use the input job type information and stress information. By calculating the job error probability of the corresponding job, and calculating the recovery failure probability from the error recovery information, the final human from the product of the operation error probability (Pr 1 ) and recovery failure probability (Pr 2 )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Error probability Pr 3 is calculated.

Pr3 = Pr1 × Pr2 Pr 3 = Pr 1 × Pr 2

이후, 인적오류 분석 모듈(10)은 기 정의되어 있는 직무별 기능상실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직무들에 각각 대응하는 기능상실 종류, 즉 각각의 직무 수행시 인적오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기능상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30).Thereafter, the human error analysis module 10 refers to a function failure data for each job, which is defined in advance, and a function that can be generated due to a human error when performing each job.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loss (S30).

이후, 인적오류 분석 모듈(10)은 상기 S30 단계에서 획득된 각 직무별 기능상실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직무별로, 대응되는 기능상실의 유형을 결정하게 된다(S35). 여기서 결정되는 기능상실의 유형은 원자로 불시정지 등과 같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안전성 관련 기능상실과, 안전성에는 영향이 없으나 터빈 출력 감발 등의 원자력발전소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성능 관련 기능상실의 두 종류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각 직무별로 기능상실 유형을 구하는 보다 구체적인 예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reafter, the human error analysis module 10 determines the type of malfunction corresponding to each job by referring to the function failure information for each job obtained in step S30 (S35). The types of malfunctions determined here include safety-related malfunctions that directly affect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such as reactor failures, and performance-related malfunctions that do not affect safety but affect the performance of nuclear power plants, such as turbine output derating. It is divided into two types. As described above, a more specific example of obtaining the type of malfunction for each jo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상기 S35 단계에서 특정 직무에 대응되는 기능상실의 유형이 안전성 관련 기 능상실인 경우, 안전성 평가 모듈(20) 측으로 해당 직무의 인적오류확률 및 기능상실 정보를 전달해주고, 안전성 평가 모듈(20)은 해당 직무에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결정론적 모델에 적용하여, 해당 직무의 인적오류에 의한 기능상실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S40). 여기서, 결정론적 모델로는 원자력발전소의 각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기고장들의 논리적 조합으로 구성된 계통고장모델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통고장모델은 불리안 논리(boolean logic)에 의해 AND, OR, NOT 등의 연산자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구조를 모델링하는 고장수목에 의해 수립된다.If the type of functional los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job in step S35 is a safety-related functional loss, the safety evaluation module 20 transmits the human error probability and the functiona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job to the safety evaluation module 20, and the safety evaluation module 20 By applying the malfun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job to the deterministic model, the effect of the function failure due to human error of the job on the safety of the nuclear power plant is evaluated (S40). Here, it is preferable to use a system failure model composed of a logical combination of equipment failures that can occur in each system of a nuclear power plant as a deterministic model. The system failure model is established by a fault tree that models the structure of the system using operators such as AND, OR, and NOT by boolean logic.

이와 같이 고장수목으로 표현되는 계통고장모델이 수립되면, 작성된 고장수목에 대해 불리안 대수(boolean algebra)를 적용하여 시스템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경로를 찾은 후 최종적으로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서와 같이 두개의 기기(d1, d2)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기기 d1과 기기 d2가 모두 고장나면 시스템의 기능(지점 p1에서 지점 p2로의 냉각수 공급)이 상실된다고 가정해 보자. 여기에서 기기 d1이 고장나는 기능상실 사건을 D1이라 하고, 기기 d2가 고장나는 기능상실 사건을 D2, 시스템 전체의 작동이 불가능해지는 사건을 T라고 할 때, 사건 D1과 D2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 사건 T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고장수목에서는 AND 논리를 사용하여 T = D1×D2 형태로 표현된다. 이는 T라는 중대 사건이 발생하는 경로가 기능상실 사건 D1과 기능상실 사건 D2로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고장수목은 불리안 대수를 사용하여 수학적으로 풀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시스템에 대해서도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경로를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고장수목을 이용한 모델링 및 분석에는 본 발명의 출원인인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개발한 고속 고장수목 정량화 엔진인 FTREX를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system failure model represented by the fault tree is established, the Boolean algebra is applied to the fault tree to find the path where the system can be broken, and finally the impact on the safety of the nuclear power plant. Evaluate. For example, in the system consisting of two devices d1 and d2 as shown in (a) of FIG. 4, if both device d1 and device d2 fail, the system's function (supply of coolant from point p1 to point p2) is lost. Let's say In this case, when the malfunctioning event in which the device d1 malfunctions is called D1, the malfunctioning event in which the device d2 malfunctions is called D2, and the event that the entire system becomes inoperable is called T, when the events D1 and D2 occur simultaneously Event T will occur. Therefore, the fault tree is expressed in the form T = D1 × D2 using AND logic. This means that the path of a serious event called T consists of a malfunctioning event D1 and a malfunctioning event D2. These fault trees can be solved mathematically using Boolean algebra so that even the most complex systems can quickly calculate all possible paths of failure. Here, for modeling and analysis using the fault tree, FTREX, a high-speed fault tree quantification engine developed by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which is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한편, 상기 S35 단계에서 특정 직무에 대응되는 기능상실의 유형이 성능 관련 기능상실인 경우, 인적오류 분석 모듈(10)은 성능 시뮬레이션 모듈(30) 측으로 해당 직무의 기능상실 정보를 전달해주고, 성능 시뮬레이션 모듈(30)은 해당 직무에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직무의 인적오류로 인한 기능상실이 원자력발전소 계통의 열효율과 관련된 성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simulation)한다(S50). 이때, 원자력발전소 계통에서의 열효율 또는 열효율에서 유도될 수 있는 전력량(electric power)을 시뮬레이션하여, 해당 직무의 인적오류가 원자력발전소의 성능(performance), 즉 출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하게 된다. 여기서, 적용되는 시뮬레이션 툴로는 터빈사이클 시뮬레이션을 위해서 미국 ScienTech에서 개발한 PEPSE(Performance Evaluations of Power System Efficiencies)를 사용할 수 있는데, PEPSE는 질량·에너지 방정식을 풀어서 정상상태에서의 터빈사이클 열평형 계산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임의의 복잡도를 갖는 증기터빈 사이클 또는 가스터빈 사이클을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쉽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며, 계산 속도가 빠른 것이 특징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type of malfunc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job in the step S35 is a performance-related malfunction, the human error analysis module 10 delivers the information on the malfunction of the job to the performance simulation module 30, performance simulation The module 30 simulates the effect of the functional loss due to the human error of the job on the performance degradation related to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nuclear power plant system by referring to the malfun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job (S50). At this time, by simulating the thermal efficiency or the electric power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thermal efficiency in the nuclear power plant system, and analyzes the degree to which the human error of the job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nuclear power plant, that is, the output degradation . Here, the applied simulation tool can use the Performance Evaluations of Power System Efficiencies (PEPSE) developed by ScienTech in the United States for turbine cycle simulation. PEPSE solves mass and energy equations and performs turbine cycle thermal balance calculation at steady state. As a program to perform, steam turbine cycles or gas turbine cycles of any complexity can be easily simulated using a graphical interface, and the calculation speed is high.

상기 S35 단계 내지 S50 단계는 상기 S10 단계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전체 직무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이를 통해 각 직무별 안전성 평가 및 성능 저하 시뮬레이션이 완료되면, 중요도 분석 및 출력 모듈(40)은 안전성 평가 모듈(20) 및 성능 시뮬레이션 모듈(30)로부터 전체 직무에 대한 직무별 안전성 평가 및 성능 저하 시뮬레이션 결과를 전달받아 전체 직무 목록과 각 직무별 안전성 평가 및 성능 저하 시뮬레이션 결과를 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해준다. 여기서, 각 직무별 인적오류확률과, 직무별 인적오류에 대한 안전성 평가 또는 성능 저하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하여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및 성능 측면에서 전체 직무의 중요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직무별 중요도를 전체 직무 목록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는 제공된 분석 결과를 근간으로 중요한 일상직무와 관련된 인적오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게 된다.Steps S35 to S50 are repeatedly performed for all job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step S10. When the safety evaluation and performance degradation simulation for each job are completed through this, the importance analysis and output module 40 is safety. The safety evaluation and performance degradation simulation results for all jobs are received from the evaluation module 20 and the performance simulation module 30, and the entire job list and the safety evaluation and performance degradation simulation results for each job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device. Display on the screen. Here, the importance of the overall task in terms of safety and performance of the nuclear power plant is calculated by using the human error probability of each task and the safety evaluation or performance degradation simulation results for the human error of each task, and the calculated importance of each task is calculated.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 list. By providing the analysis results to the user, the user can derive a method to effectively reduce the human error associated with important daily task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rovided.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기능상실 유형 결정 단계에서 사용되는 매핑 테이블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apping table used in the malfunction type determining step illustrated in FIG. 2.

도 5에 도시된 매핑 테이블을 살펴보면, 직무 수행시의 인적오류로 인한 기능상실에 해당하는 최하위 이벤트와, 해당 기능상실에 직접 연관된 상위 기능상실 이벤트들이 논리 연산자에 의해 계층별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mapping table shown in FIG. 5, the lowest events corresponding to malfunctions due to human error when performing a job, and upper malfunction events directly related to the malfunctions are connected by layers by logical operators.

여기서, 최상위 이벤트(Top Event)는 원자력발전소 시스템의 불시정지에 해당하는 이벤트이고, 그 하위의 각 이벤트들은 바로 상위의 이벤트와 관련된 장치를 구성하는 하부 장치의 기능상실에 해당하는 이벤트이며, 제일 우측열의 최하위 이벤트는 그 상위 이벤트들에 영향을 주는 기본적인 기능상실에 해당한다.Here, the top event is an event corresponding to an uninterrupted stop of the nuclear power plant system, and each event below the event corresponds to a malfunction of the lower device constituting the device related to the upper event. The lowest event in the column corresponds to the basic malfunction that affects the higher events.

이들 최하위 이벤트에 해당하는 기능상실은 원자력발전소에서 공통적으로 사 용하는 절차서에 명기된 직무별 인적오류와 직접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기능상실 정보 획득 단계(S30)에서는 각각의 직무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상실 정보, 즉 매핑 테이블의 최하위 이벤트를 기저장된 직무별 기능상실 데이터로부터 독출하여 획득할 수 있다.The mal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se lowest-level events are directly related to job-specific human errors specified in procedures commonly used in nuclear power plants. 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malfunction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30), the malfun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job information, that is, the lowest event of the mapping table, may be read and acquired from previously stored malfunction information for each job.

이와 같이 기능상실 유형 결정 단계(S35)에서는, 도 5와 같은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특정 직무의 인적오류로 인한 기능상실과 연관된 안전성 관련 상위 이벤트들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기능상실이 매핑 테이블에 정의되어 있는 경우 해당 기능상실의 유형이 안정성에 관련된 기능상실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고, 반대로 매핑 테이블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기능상실의 유형이 성능 관련 기능상실임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malfunction (S35), the safety related events related to the malfunction due to the human error of a specific job may be identified using the mapping table as shown in FIG. 5, and the corresponding malfunction is defined in the mapping table. If it is presen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ype of the malfunction is related to stability. On the contrary, if it is not defined in the mapping table, it can be seen that the type of the malfunction is performance related.

예를 들어, 두번째 계층의 이벤트인 “복수기계통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최상위 이벤트인 터빈트립, 즉 터빈이 정지되는 사건이 발생하여 원자력발전소가 정지하게 된다. 세번째 계층을 살펴보면, “복수기 저진공”이 발생하거나(OR) “순환수 기능상실”이 발생할 경우 터빈 정지와 관련된 “복수기계통 이상”이 발생된다. 이때, “복수기 저진공”은 네번째 계층인“steam air ejector 기능상실”과 “진공 기능 상실”이 동시에 발생(AND)할 때 일어나고, “진공기능 상실”은 최하위 계층인 “진공펌프 모두 작동 실패”가 발생하거나(OR) “부적절한 밸브정렬”이 원인이 되어 발생된다.For example, a second-tier event, “plural system fault”, will cause the nuclear power plant to stop due to the turbine trip, which is the highest event, that is, the turbine is stopped. Looking at the third tier, “plural low vacuum” (OR) or “plural system failure” results in “plural mechanical failure” related to turbine shutdown. At this time, the "multiple low vacuum" occurs when the fourth layer "steam air ejector malfunction" and "loss of vacuum function" occur at the same time (AND), and the "loss of vacuum function" is the lowest level of "vacuum pump failed to operate". OR is generated due to "OR improper valve alignment".

이러한 매핑테이블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자력발전소 근무자들이 운전이나 정비를 위해 특정 직무를 수행하는 도중 발생 가능한 인적오류(human error)로 인 한 기능상실이 원자력발전소의 불시정지와 관련된 기능상실, 즉 안전성 관련 기능상실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진공펌프 정비와 관련된 직무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어떤 인적오류로 인해 “진공펌프 모두 작동 실패”가 발생한다면 이는 “복수기계통 이상”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해당 직무의 인적오류로 인한 기능상실의 유형이 안전성 관련 기능상실임을 판단하여, 안전성 평가 모듈(20)에서 매핑 테이블로부터 작성되는 고장수목 모델을 이용하여 최하위의 기능상실로 인한 전체 계통의 기능 고장 확률 등을 계산하여 해당 직무의 인적오류로 인한 안전성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반면, 어떤 인적오류는 “진공펌프 1대 상실”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상기 매핑테이블에서 찾아볼 수 없기 때문에 원자력발전소의 불시정지와 관련이 없는 성능 관련 기능상실을 유발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성능 시뮬레이션 모듈(30)을 구동시켜 “진공펌프 1대 상실”로 인한 전기생산량이 얼마나 감소했는지 등을 시뮬레이션하여, 그 결과를 기준으로 해당 직무의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다.Using the data in this mapping table, the malfunctions, or safety, associated with the uninterrupted shutdown of a nuclear power plant due to human errors that may occur while nuclear workers perform specific tasks for operation or maintenanc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related malfunction. In other words, if a “pump fails to operate” due to any human error that may occur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job related to the vacuum pump maintenance, this may cause a “plural system abnormality”. After determining that the type is a safety-related malfunction, the safety assessment module 20 calculates the probability of failure of the entire system due to the lowest malfunction using the tree model of the fault generated from the mapping table, and calculates the probability of human error in the job. Analyze the safety impact of On the other hand, some human error may cause “one vacuum pump loss”, which cannot be found in the mapping table, and thus may be regarded as causing a performance related function that is not related to an uninterrupted shutdown of a nuclear power plant. Therefore, by driving the performance simulation module 30 to simulate how much the electricity output due to "one vacuum pump loss", etc.,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the job based on the resul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evaluating human impact incid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valuating human-induced events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직무 정보 입력 단계에서의 입력 화면예를 보여주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nput screen in the job information input step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안전성 영향 분석 단계에서 사용되는 고장수목의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concept of the fault tree used in the safety impact analysis step shown in FIG.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기능상실 유형 결정 단계에서 사용되는 매핑 테이블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FIG. 5 shows an example of a mapping table used in the malfunction type determining step shown in FIG. 2;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인적오류 분석 모듈 20 : 안전성 평가 모듈10: human error analysis module 20: safety evaluation module

30 : 성능 시뮬레이션 모듈 40 : 중요도 분석 및 출력 모듈30: performance simulation module 40: importance analysis and output module

Claims (11)

사용자로부터 원자력발전소에서 수행되는 일상직무들에 대한 직무 특성 및 직무 수행 환경을 포함하는 직무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직무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직무에 대한 인적오류확률을 산출하며, 기 정의된 직무별 기능상실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각 직무에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획득하는 인적오류 분석 모듈과;The user receives job information including job characteristics and job performance environment for daily jobs performed at a nuclear power plant, calculates a human error probability for each job by using the input job information, and defines a predefined job. A human error analysis module for acquiring malfun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input job by referring to respective malfunction data; 상기 인적오류 분석 모듈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각 직무 정보와 각각의 직무에 대한 인적오류확률 및 기능상실 정보를 전달받아, 각 직무별로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결정론적 모델(deterministic model)에 적용하여, 각 직무의 인적오류에 의한 기능상실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안전성 평가 모듈과;Receive each job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rom the human error analysis module and the human error probability and malfunction information for each job, and apply the func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job to the deterministic model A safety evaluation module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malfunctions caused by human error on each job on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상기 인적오류 분석 모듈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각 직무 정보와 각각의 직무에 대한 기능상실 정보를 전달받아, 각 직무별로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기준으로 원자력발전소 계통에서의 열효율 측면에서 각 직무의 인적오류로 인한 기능상실이 원자력발전소의 성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는 성능 시뮬레이션 모듈;Receive each job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rom the human error analysis module and the malfunction information for each job, the human resources of each job in terms of thermal efficiency in the nuclear power plant system based on the corresponding malfunction information for each job A performance simulation module for simulating the effects of malfunction due to errors on the deterioration of nuclear power plants;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시스템.Human impact event evaluation system of a nuclear power plan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시스템은,The human incident impact assessment system, 상기 안전성 평가 모듈 및 성능 시뮬레이션 모듈로부터 각 직무에 대한 안전성 영향 및 성능 영향 분석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전달된 안전성 영향 및 성능 영향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각각의 직무가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및 성능에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중요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직무별 중요도가 포함된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주는 중요도 분석 및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시스템.Receive safety and performance impact analysis results for each job from the safety evaluation module and the performance simulation module, and how important each job is for the safety and performance of nuclear power plants using the delivered safety impact and performance impact analysis results. A system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a human power incident on a nuclear power plant, comprising: an importance analysis and output module configured to calculate the importance of the impact and display the analysis result including the calculated job importance to the user.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전성 평가 모듈은,The safety evaluation module, 고장수목(fault tree)으로 모델링되는 결정론적 모델에 의해 각 직무의 안전성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시스템.A human-induced event impact assessment system for a nuclear power plant characterized by analyzing the safety impact of each job by a deterministic model modeled as a fault tree. 입력장치, 중앙처리장치 및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human-induced events of nuclear power plants using a computer system comprising an input device,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n output device, 사용자에게 직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원자력발전소에서 수행하는 일상직무들에 대한 직무 정보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와;Providing an input screen for inputting job information to the user, and receiving job information on the daily jobs performed at the nuclear power plan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device; 상기 입력받은 각각의 직무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에서 해당 직무 수행과 관련된 인적오류확률(Human Error Probability; HEP)을 산출하는 단계와;Calculating a human error probability (HEP) related to performing a corresponding job in a central processing unit using the received job information; 기 정의되어 있는 직무별 기능상실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된 각각의 직무 수행시 인적오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기능상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Acquiring information on malfunctions that may be generated due to human error when performing each of the input tasks by referring to predefined malfunction data for each job; 상기 획득된 각 직무별 기능상실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직무별로, 안전성 관련 기능상실과 성능 관련 기능상실로 구분되는 기능상실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by reference to the acquired malfunction information for each job, a function failure type classified into a safety related function loss and a performance related function loss for each job; 상기 결정된 기능상실의 유형이 안전성 관련 기능상실인 경우, 해당 직무에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결정론적 모델에 적용하여, 해당 직무의 인적오류에 의한 기능상실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단계와;If the determined type of malfunction is a safety-related malfunction, the function of malfun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job is applied to the deterministic model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malfunction caused by human error on the job on the safety of the nuclear power plant. Steps; 상기 결정된 기능상실의 유형이 성능 관련 기능상실인 경우, 해당 직무에 대응되는 기능상실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직무의 인적오류로 인한 기능상실이 원자력발전소 계통의 열효율과 관련된 성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와;If the determined type of malfunction is a performance-related malfunction, simulating the effect of malfunction caused by human error on the job on performance degradation related to thermal efficiency of the nuclear power plant system by referring to the malfun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job. Steps; 상기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단계 및 성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전체 직무에 대한 안전성 평가 및 성능 저하 시뮬레이션이 완료되면, 출력장치를 통해 전체 직무 목록과 각 직무별 안전성 평가 및 성능 저하 시뮬레이션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When the safety evaluation and performance degradation simulation of the entire job inputted from the user are completed through the step of evaluating the impact on safety and simulating the impact on performance degradation, the output device displays the list of all jobs and the respective jobs. Displaying safety evaluation and degradation simulation results to a user;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방법.Human impact event impact evaluation method of a nuclear power plan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직무 정보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에서는,In the step of receiving the job information through an input device, 사용자로부터 직무명, 직무 유형 정보, 스트레스 수준 정보 및 오류 복구 정보가 포함된 직무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방법.A method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human incidence events in a nuclear power plant, characterized in that a user receives job information including job name, job type information, stress level information, and error recovery information.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인적오류확률을 산출하는 단계에서는,In calculating the human error probability, 입력된 직무 유형 정보와 스트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직무의 작업 오류 확률을 산출하고, 오류 복구 정보로부터 복구 실패 확률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작업 오류 확률과 복구 실패 확률의 곱으로부터 최종적인 인적오류확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방법.Using the input job type information and stress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job error probability of the job, from the error recovery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recovery failure probability, the final human error probability from the product of the calculated work error probability and recovery failure probability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impact of human incidence events of a nuclear power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o calculate the.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직무 정보에는,In the job information,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환경 정보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방법.A method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human incidence events on a nuclear power plant,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bout the space in which the job can be performed.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기능상실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In determining the type of malfunction, 직무 수행시의 인적오류로 인한 기능상실에 해당하는 최하위 이벤트와, 해당 기능상실에 직접 연관된 상위 기능상실 이벤트들이 논리 연산자에 의해 계층별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직무의 기능상실 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방법.Using the mapping table, which consists of the lowest level events corresponding to malfunctions due to human error during job performance and the higher level events directly related to the malfunctions, linked by hierarchy by logical operators, the type of malfunctions of each job is identified. A method for assessing the impact of human outbreaks in a nuclear power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rmination.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단계에서는,In the step of evaluating the impact on the safety, 원자력발전소의 각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기고장들을 고장수목에 의해 논리적 조합으로 구성하는 결정론적 계통고장모델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방법.A method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a human power incident on a nuclear power plant, using a deterministic system failure model, which consists of logical combinations of equipment failures occurring in each system of a nuclear power plan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성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에서는,In the step of simulating the impact on the degradation, 원자력발전소 계통에서의 열효율 또는 열효율에서 유도될 수 있는 전력량(electric power)을 시뮬레이션하여, 해당 직무의 인적오류가 원자력발전소의 출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방법.Human induction of a nuclear power plant characterized by simulating the thermal efficiency in the nuclear power plant system or electric power that can be derived from thermal efficiency, and analyzing the extent to which human error in the job affects the output of the nuclear power plant. Event Impact Assessment Method.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전체 직무 목록과 각 직무별 안전성 평가 및 성능 저하 시뮬레이션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는,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entire job list and the safety evaluation and performance degradation simulation results for each job to the user, 각 직무별 인적오류 확률과, 직무별 인적오류에 대한 안전성 평가 또는 성능 저하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하여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및 성능 측면에서 전체 직무의 중요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직무별 중요도를 전체 직무 목록과 함께 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방법.Using the probability of human error in each job and the safety evaluation or performance degradation simulation results for each job, the importance of the overall job is calculated from the safety and performance aspects of the nuclear power plant. A method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human incidence events on a nuclear power plant, which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n output device.
KR1020080089257A 2008-09-10 2008-09-10 A system for assessing the effect of human related events in nuclear power plants and the method thereof KR1010261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257A KR101026159B1 (en) 2008-09-10 2008-09-10 A system for assessing the effect of human related events in nuclear power plants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257A KR101026159B1 (en) 2008-09-10 2008-09-10 A system for assessing the effect of human related events in nuclear power plants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351A KR20100030351A (en) 2010-03-18
KR101026159B1 true KR101026159B1 (en) 2011-04-05

Family

ID=42180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257A KR101026159B1 (en) 2008-09-10 2008-09-10 A system for assessing the effect of human related events in nuclear power plants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15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371B1 (en) * 2011-12-23 2013-04-2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A method for evaluation of operators' diagnosis error for computer-based emergency operating procedures in nuclear power plants and using system thereof
KR101410750B1 (en) * 2012-09-18 2014-06-27 한국원자력연구원 High Risk Inducible Task Evaluating System And Evaluat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555B1 (en) * 2010-12-22 2013-04-0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A Method and System for Human Error Mode Importance Analysis according to the Soft Control Types
KR20160075168A (en) 2014-12-19 2016-06-29 전자부품연구원 Human error analysis and simulation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rine accidents analysis
JP6812312B2 (en) * 2017-06-21 2021-01-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Plant support evaluation system and plant support evaluation method
KR102299231B1 (en) * 2020-04-07 2021-09-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ocess safety evaluation apparatus based on dynamic discrete event tre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76952B1 (en) 2021-02-26 2021-07-13 (주)뉴클리어엔지니어링 Method of improving human reliability analysis for internal flooding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of nuclear power plant
CN116468275B (en) * 2023-04-21 2023-09-29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Water intake risk assessment method considering disaster-causing biological movement characteristics and rhythm behavio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500B1 (en) 2007-03-23 2008-09-04 한국원자력연구원 A method for quantitive evaluation of the damage frequencies of reactor core on external accidents at nuclear power pl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500B1 (en) 2007-03-23 2008-09-04 한국원자력연구원 A method for quantitive evaluation of the damage frequencies of reactor core on external accidents at nuclear power plan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006.12)
논문2(한국안전학회지, 2003)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371B1 (en) * 2011-12-23 2013-04-2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A method for evaluation of operators' diagnosis error for computer-based emergency operating procedures in nuclear power plants and using system thereof
KR101410750B1 (en) * 2012-09-18 2014-06-27 한국원자력연구원 High Risk Inducible Task Evaluating System And Evalua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351A (en)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159B1 (en) A system for assessing the effect of human related events in nuclear power plants and the method thereof
CN100530016C (en) Dynamoelectric system safety analyzing device and method based on cause-effect network model
Authen et al. Reliability analysis of digital systems in a probabilistic risk analysis for nuclear power plants
Rankin et al. A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platform for the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safety control systems
Bieber et al. Safety assessment with AltaRica: lessons learnt based on two aircraft system studies
van der Meulen Definitions for hardware and software safety engineers
KR101865666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Simulating Core Protection system software
Bao et al. Hazard analysis for identifying common cause failures of digital safety systems using a redundancy-guided systems-theoretic approach
Pakonen et al. Model checking reveals design issues leading to spurious actuation of nuclear instrumentation and control systems
US11816024B2 (en) Method of testing a system model
CN114860518A (en) Detection method and system of function safety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233312B1 (en)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lant
Lahtinen Hardware failure modelling methodology for model checking
Fan et al. Empirical analysis of software-induced failure events in the nuclear industry
Park et al. Step complexity measure for emergency operating procedures-determining weighting factors
Singh et al. Reliability prediction through system modeling
Aldemir et al. Methodologies for the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of digital reactor protection and control systems
Diaconeasa et al. Discrete dynamic event tree uncertainty quantification in the ADS-IDAC dynamic PSA software platform
Sun Determination of beta-factors for safety instrumented systems
Hewett et al. A risk assessment model of embedded software systems
Tóth et al. A structural decomposition-based diagnosis method for dynamic process systems using HAZID information
EP3961407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computerized device for testing a technical system
Wang et al. Testability Modeling and Simulation of Ship Equipment Based on Multi-signal Flow Diagram
EP3961406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computerized device for testing a technical system
Picoco Integrated Framework for Representing Recoveries Using the Dynamic Event Tree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