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984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5984B1 KR101025984B1 KR1020090082977A KR20090082977A KR101025984B1 KR 101025984 B1 KR101025984 B1 KR 101025984B1 KR 1020090082977 A KR1020090082977 A KR 1020090082977A KR 20090082977 A KR20090082977 A KR 20090082977A KR 101025984 B1 KR101025984 B1 KR 1010259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container
- dust
- mounting
- vacuum cleaner
- mov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먼지통; 상기 먼지통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지지하며, 상기 먼지통이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먼지통에 의해서 움직이는 무빙 장치; 및 상기 흡입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먼지통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무빙 장치에 의해서 움직여 상기 먼지통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cuum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A dust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to the cleaner body; A detector for detecting mounting of the dust container; A moving device supporting the sensing unit and moving by the dust container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dust contain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and when the dust container is mounted to the cleaner body, the sensing unit moves by the moving device to be in contact with the dust container.
먼지통 Dust bucket
Description
본 실시 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 모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먼지분리장치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containing dust by using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provided inside the cleaner body, and then filters the dust in the dust separator.
상기 진공 청소기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과 연통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와,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분리유닛 및 상기 먼지분리장치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이 포함된다.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suction nozzle for sucking air containing dust, a cleaner body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nozzle, a suction motor provided in the cleaner body to generate air suction force, and air from the cleaner body. And a dust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dust and a dust container for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상기 먼지통은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때, 상기 먼지통과 상기 먼지분리유닛이 함께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먼지통 만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The dust container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leaner body. At this time, the dust container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may be separated from the cleaner body together, or only the dust container may be separated from the cleaner body.
본 실시 예의 목적은, 먼지통 장착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불필요한 흡입 모터의 작동이 방지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unnecessary suction motor operation is prevented by detecting whether a dust container is mounted.
본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먼지통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의 파손이 방지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prevents damage to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mounting of a dust container.
일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먼지통; 상기 먼지통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지지하며, 상기 먼지통이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먼지통에 의해서 움직이는 무빙 장치; 및 상기 흡입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먼지통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무빙 장치에 의해서 움직여 상기 먼지통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Vacuum cleaner according to one aspect, the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A dust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to the cleaner body; A detector for detecting mounting of the dust container; A moving device supporting the sensing unit and moving by the dust container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dust contain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and when the dust container is mounted to the cleaner body, the sensing unit moves by the moving device to be in contact with the dust container.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먼지통이 미장착된 상태에서 또는 먼지통이 불완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흡입 모터의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먼지통 미장착 신호가 발생되고, 흡입 모터가 정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먼지통 미장착 상태 또는 불완전 장착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불필요하게 흡입 모터가 작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suction motor is input in a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is not mounted or the dust container is incompletely mounted, a dust container non-installa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stat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is not mounted or the incomplete mounting state, and the suction motor can be prevented from operating unnecessarily.
또한, 먼지통이 미장착된 상태에서 먼지통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장착부 내측 에 위치하므로, 감지부가 파손되거나 손상을 입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dust container is located inside the mounting unit in the state that the dust container is not mounted, the detection unit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or damag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먼지통이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3 is a state in which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eparated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에는, 내부에 흡입 모터(도 9의 520참조)가 내장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분리장치(100)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먼지통(200)이 포함된다. 1 to 3, the
상세히,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본체(1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복수의 바퀴(12)가 구비된다. In detail, the
상기 본체(10)는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 바디(10a)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바디(10b)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바디(10b)의 전면부에는 상기 먼지통(200)이 장착되기 위한 제 1 장착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장착부(13)의 상측에는 상기 먼지통(200)이 고정되기 위한 고정 플레이트(14)가 구비된다. The
또한, 상기 상부 바디(10b)의 상측 부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가 장착되는 제 2 장착부(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바디(10a)에는 상기 먼지분리 장치(100)가 상기 제 2 장착부(18)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분리장치(100)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2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커버 부재(20)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외형 일부를 형성한다. In addition, a
상기 커버 부재(20)는 일단이 상기 상부 바디(10a)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One end of the
상기 커버 부재(20)에는 상기 커버 부재(20)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 버튼(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버튼(22)의 단부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20)에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10)를 들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핸들(24)이 구비된다. The
상기와 같이 상기 커버 부재(20)가 상기 먼지분리장치(100)를 커버함에 따라 상기 먼지분리장치(10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장치(100)가 상기 제 2 장착부(18)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의 일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상기 먼지통(200)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16)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6)는 후술할 먼지분리장치(100)의 먼지 배출부(114)와 연통된다. As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와 상기 먼지통(200)이 별개의 물품으로 제공되어 상기 본체(10)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상기 먼지통(200)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먼 지통(200) 만을 상기 본체(10)에서 분리하면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한편,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한 쌍의 흡입홀(15)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에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공기 중의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싸이클론 유닛(110)과,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에 결합되며,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유닛(150)이 포함된다. The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에는, 제 1 싸이클론 바디(112)와,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싸이클론 바디(120)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2)와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20)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은 완전한 형상을 이룬다. The
그리고,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20)에는 복수의 흡입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2)에는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배출되는 먼지 배출부(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장치(100)가 상기 제 2 장착부(18)에 장착되면, 상기 복수의 흡입부(123)는 상기 각 흡입홀(15)과 연통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싸이클론 유동은 수직 회전하게 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axis of cyclone flow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yclone flow thus becomes vertically rotated.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먼지통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먼지통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먼지통(200)에는,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211)가 형성되는 집진 바디(210)와,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측에 분리 가 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부재(250)가 포함된다. 4 to 6, in the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210)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12)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 레버(214)가 구비된다. In detail, the dust collecting
상기 커버 부재(250)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부(2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유입부(252)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의 개구부(16)와 연통된다. The
한편,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부에는 상기 먼지 저장부(211)에 저장된 먼지를 가압하기 위한 복수의 가압 부재가 포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상기 복수의 가압 부재에는, 상기 집진 바디(210)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가압 부재(220)와, 상기 집진 바디(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가압 부재(23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는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서 일 례로 양 방향 회전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include a first pressing
상기 제 2 가압 부재(230)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정축(23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압 부재(230)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저면 또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pressing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에는, 상기 제 2 가압 부재(2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먼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221)과, 상기 가압판(221)과 연결되는 회전축(222)이 포함된다. 상기 가압판(221)은 상기 회전축(22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 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22)은 상기 고정축(232)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222)의 일부는 상기 고정축(232)의 상방에서 상기 고정축(232)에 삽입된다. The first pressing
한편,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는 구동 장치에 의해서 회전된다. 상세히,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원으로는 압축 모터(도 8의 430참조)가 적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pressing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의 회전축(222)에 결합되는 종동 기어(410)와, 상기 종동 기어(410)로 상기 압축 모터(도 8의 430참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어(도 7의 420참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도 7의 420참조)는 상기 압축 모터(도 8의 430참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 모터에 의해서 회전된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drives a
따라서, 상기 압축 모터(도 8의 430참조)가 회전되면, 상기 압축 모터(도 8의 430참조)와 결합된 상기 구동 기어(도 7의 420참조)가 회전된다. 상기 구동 기어(도 7의 420참조)에 의해서 상기 압축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종동 기어(410)로 전달되어 상기 종동 기어(410)가 회전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종동 기어(4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가 회전된다. Therefore, when the compression motor (see 430 of FIG. 8) is rotated, the drive gear (see 420 of FIG. 7) coupled with the compression motor (see 430 of FIG. 8) is rotate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mpression motor is transmitted to the driven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장착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상부 바디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바디의 하측 구조를 보여주는 상부 바디의 부분 사시도이다.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bod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body showing the lower structure of the upper bod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장착부(13)에는 상기 종동 기어(410) 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13a)가 함몰 형성된다. 6 to 8, the first mounting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420)는 상기 상부 바디(10b)의 하측(또는 내측)에 위치하며, 그 일부가 상기 수용부(13a)로 노출된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상부 바디(10b)의 하측에는 상기 먼지통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지지하는 무빙 장치(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3a)의 바닥면에는 상기 감지부가 선택적으로 통과하기 위한 개구부(13b)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ody (10b) is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mounting of the dust container, and a moving
상세히, 상기 무빙 장치(50)에는, 상기 상부 바디(10b)의 하면에 형성된 지지 리브(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디부(51)가 포함된다. In detail, the moving
상기 바디부(50)에는 상기 제 1 장착부(13)에 형성된 홀(13c)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장착부(13)로 돌출되는 돌출부(52)가 형성된다. The
또한, 상기 바디부(50)에는 상기 감지부가 안착되는 감지부 안착부(54)와, 상기 바디부(51)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60)가 안착되는 탄성 부재 안착부(53)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탄성 부재(60)의 일단은 상기 탄성 부재 안착부(53)에 안착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70)에 형성된 안착부(72)에 안착된다. 상기 탄성 부재(60)는 상기 먼지통(200)이 상기 제 1 장착부(13)에 장착된 상태에서 압축되고, 상기 먼지통(200)이 상기 제 1 장착부(13)에서 분리되면 복원된다. On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상부 바디(10b)의 하측에는 상기 바디부(51)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42, 43)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한편, 상기 감지부는 일 례로 마이크로 스위치(44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40)는 상기 개구부(13b)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는 단자부(도 10의 442참조)와, 상기 단자부(도 10의 442참조)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접점(도 10의 444참조)이 포함된다. 상기 단자부(도 10의 442참조)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접점(도 10의 444참조)과 이격되고, 외력이 가해지되면, 상기 접점을 가압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unit may be used as a
그리고, 상기 접점이 가압되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는 온되어 상기 먼지통 장착이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온 신호는 후술할 제어부로 전송된다. Then, when the contact is pressed, the micro switch is turned on to detect the dust box mounting. In addition, the on signal of the micro switch is transmitted to a controller to be described later.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흡입 모터(520)의 동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 입력부(510)와, 상기 먼지통(200)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440)와, 상기 먼지통(200)이 미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520)의 동작 신호 입력 시, 먼지통 미장착 신호를 외부로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530)와, 상기 흡입 모터(520) 및 신호 발생부(5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포함된다. 9,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상세히, 상기 먼지통(200)이 상기 제 1 장착부(1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520)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흡입 모터(520)를 작동시킨다. In detail, when the
반면, 상기 먼지통(200)이 상기 제 1 장착부(13)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520)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신호 발생부(530)에서 먼지통 미장착 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520)가 정지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먼지통(200)이 미장착된 상태에서 불필요한 흡입 모터의 작동이 방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10은 먼지통이 미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부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먼지통이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부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detection unit in the state that the dust container is not mounted, Figure 11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detection unit in the state equipped with the dust container.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먼지통(200)이 미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무빙 장치(50)의 돌출부(52)는 상기 제 1 장착부(13)에 형성된 홀(13c)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장착부(13)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단자부(442)는 상기 제 1 장착부(13)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먼지통(200)이 미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단자부(442)는 상기 제 1 장착부(13)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1 to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따라서, 상기 단자부(442)가 외력에 의해서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refore, the
반면, 상기 먼지통(200)이 상기 제 1 장착부(13)에 완전하게 장착되면, 상기 먼지통(20)이 상기 돌출부(52)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돌출부(52)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무빙 장치(50)가 도 11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탄성 부재(60)는 압축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 무빙 장치(5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단자부(442)가 상기 개구부(13b) 를 관통하여 상기 먼지통(200)의 하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종동 기어(410)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단자부(442)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단자부(442)가 상기 접점(444)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40)에서 온 신호가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된다. When the moving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먼지통(200)이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200)의 장착이 감지되므로, 상기 먼지통의 불완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흡입 모터(520)가 작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unting of the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먼지통이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eparated.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in a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eparated.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먼지통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먼지통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장착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상부 바디의 부분 사시도.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bod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바디의 하측 구조를 보여주는 상부 바디의 부분 사시도.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body showing the lower structure of the upp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0은 먼지통이 미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부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10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detection unit in the state that the dust container is not mounted.
도 11은 먼지통이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부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11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detection unit in the dust container is mounted.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2977A KR101025984B1 (en) | 2009-09-03 | 2009-09-03 |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2977A KR101025984B1 (en) | 2009-09-03 | 2009-09-03 |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4821A KR20110024821A (en) | 2011-03-09 |
KR101025984B1 true KR101025984B1 (en) | 2011-03-30 |
Family
ID=4393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2977A KR101025984B1 (en) | 2009-09-03 | 2009-09-03 |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5984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6657A (en) * | 2003-12-10 | 2005-06-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acuum cleaner |
KR20070018641A (en) * | 2005-08-10 | 2007-02-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sensing the engagement of a dust tank for a robot-cleaner |
JP2007097984A (en) | 2005-10-07 | 2007-04-19 | Funai Electric Co Ltd |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
-
2009
- 2009-09-03 KR KR1020090082977A patent/KR10102598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56657A (en) * | 2003-12-10 | 2005-06-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Vacuum cleaner |
KR20070018641A (en) * | 2005-08-10 | 2007-02-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sensing the engagement of a dust tank for a robot-cleaner |
JP2007097984A (en) | 2005-10-07 | 2007-04-19 | Funai Electric Co Ltd |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4821A (en) | 2011-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2272B1 (en) | A robot cleaner | |
KR101352314B1 (en) | A robot cleaner | |
KR20070093850A (en) | Electric cleaner | |
US8012250B2 (en) | Vacuum cleaner | |
KR20240127317A (en) |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 |
US8584313B2 (en) | Vacuum cleaner | |
KR101411685B1 (en) | Vacuum cleaner | |
KR101411711B1 (en) | Robot cleaner | |
KR20100019146A (en) | Vacuum cleaner | |
WO2008100005A1 (en) | Vacuum cleaner | |
KR101025984B1 (en) | Vacuum cleaner | |
KR100849554B1 (en) | (dust-emptying system for robot vacuum cleaner | |
KR102014760B1 (en) |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 |
KR101072638B1 (en) | Vacuum cleaner | |
KR100988719B1 (en) | Vacuum cleaner | |
KR20100039981A (en) | Vacuum cleaner | |
KR100921186B1 (en) | Vacuum cleaner | |
JP2007236520A (en) | Vacuum cleaner | |
JP4066718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JP4765864B2 (en) | Vacuum cleaner | |
KR100876699B1 (en) | Vacuum cleaner | |
KR20240081936A (en) | Cleaner station | |
KR20100040122A (en) | Vacuum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1136193B1 (en) | Vacuum cleaner | |
JP4984852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