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984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984B1
KR101025984B1 KR1020090082977A KR20090082977A KR101025984B1 KR 101025984 B1 KR101025984 B1 KR 101025984B1 KR 1020090082977 A KR1020090082977 A KR 1020090082977A KR 20090082977 A KR20090082977 A KR 20090082977A KR 101025984 B1 KR101025984 B1 KR 101025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ntainer
dust
mounting
vacuum cleaner
mo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4821A (en
Inventor
김영호
김환철
고무현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2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984B1/en
Publication of KR20110024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8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9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먼지통; 상기 먼지통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지지하며, 상기 먼지통이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먼지통에 의해서 움직이는 무빙 장치; 및 상기 흡입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먼지통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무빙 장치에 의해서 움직여 상기 먼지통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cuum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A dust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to the cleaner body; A detector for detecting mounting of the dust container; A moving device supporting the sensing unit and moving by the dust container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dust contain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and when the dust container is mounted to the cleaner body, the sensing unit moves by the moving device to be in contact with the dust container.

먼지통 Dust bucket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본 실시 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 모터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먼지분리장치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containing dust by using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provided inside the cleaner body, and then filters the dust in the dust separator.

상기 진공 청소기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과 연통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와,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분리유닛 및 상기 먼지분리장치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통이 포함된다.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suction nozzle for sucking air containing dust, a cleaner body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nozzle, a suction motor provided in the cleaner body to generate air suction force, and air from the cleaner body. And a dust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dust and a dust container for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상기 먼지통은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때, 상기 먼지통과 상기 먼지분리유닛이 함께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먼지통 만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The dust container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leaner body. At this time, the dust container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may be separated from the cleaner body together, or only the dust container may be separated from the cleaner body.

본 실시 예의 목적은, 먼지통 장착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불필요한 흡입 모터의 작동이 방지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unnecessary suction motor operation is prevented by detecting whether a dust container is mounted.

본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먼지통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의 파손이 방지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prevents damage to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mounting of a dust container.

일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먼지통; 상기 먼지통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지지하며, 상기 먼지통이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먼지통에 의해서 움직이는 무빙 장치; 및 상기 흡입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먼지통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무빙 장치에 의해서 움직여 상기 먼지통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Vacuum cleaner according to one aspect, the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A dust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to the cleaner body; A detector for detecting mounting of the dust container; A moving device supporting the sensing unit and moving by the dust container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dust contain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and when the dust container is mounted to the cleaner body, the sensing unit moves by the moving device to be in contact with the dust container.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먼지통이 미장착된 상태에서 또는 먼지통이 불완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흡입 모터의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먼지통 미장착 신호가 발생되고, 흡입 모터가 정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먼지통 미장착 상태 또는 불완전 장착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불필요하게 흡입 모터가 작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suction motor is input in a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is not mounted or the dust container is incompletely mounted, a dust container non-installa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he suction motor is stopped.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stat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is not mounted or the incomplete mounting state, and the suction motor can be prevented from operating unnecessarily.

또한, 먼지통이 미장착된 상태에서 먼지통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장착부 내측 에 위치하므로, 감지부가 파손되거나 손상을 입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dust container is located inside the mounting unit in the state that the dust container is not mounted, the detection unit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or damag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먼지통이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3 is a state in which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eparated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에는, 내부에 흡입 모터(도 9의 520참조)가 내장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분리장치(100)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먼지통(200)이 포함된다. 1 to 3,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suction motor (see 520 in FIG. 9) embedded therein, and detachable to the main body 10. Is mounted, the dust separator 100 for separating the dust in the air, and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10, the dust container 200 to store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100 includes do.

상세히,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본체(1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복수의 바퀴(12)가 구비된다. In detail,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12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상기 본체(10)는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 바디(10a)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바디(10b)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바디(10b)의 전면부에는 상기 먼지통(200)이 장착되기 위한 제 1 장착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장착부(13)의 상측에는 상기 먼지통(200)이 고정되기 위한 고정 플레이트(14)가 구비된다. The main body 10 includes a lower body 10a forming a lower appearance and an upper body 10b forming an upper appearance. In addition, a first mounting part 13 for mounting the dust container 200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body 10b. In addition, a fixing plate 14 for fixing the dust container 20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ounting part 13.

또한, 상기 상부 바디(10b)의 상측 부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가 장착되는 제 2 장착부(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바디(10a)에는 상기 먼지분리 장치(100)가 상기 제 2 장착부(18)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분리장치(100)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2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커버 부재(20)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외형 일부를 형성한다. In addition, a second mounting portion 18 on which the dust separator 100 is mounted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0b. In addition, the upper body 10a is provided with a cover member 20 for covering the dust separator 100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separator 100 is mounted to the second mounting unit 18. That is, the cover member 20 forms a part of the outer shape of the cleaner body 10 in a state of covering the dust separator 100.

상기 커버 부재(20)는 일단이 상기 상부 바디(10a)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One end of the cover member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body 10a by a hinge, and the other end of the cover member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4.

상기 커버 부재(20)에는 상기 커버 부재(20)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 버튼(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버튼(22)의 단부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20)에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10)를 들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핸들(24)이 구비된다. The cover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utton 22 to allow the cover member 20 to be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4. In addition, an end of the coupling button 22 is selectively caught by the fixing plate 14. In addition, the cover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handle 24 for allowing a user to move the body 10.

상기와 같이 상기 커버 부재(20)가 상기 먼지분리장치(100)를 커버함에 따라 상기 먼지분리장치(10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어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장치(100)가 상기 제 2 장착부(18)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의 일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상기 먼지통(200)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16)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6)는 후술할 먼지분리장치(100)의 먼지 배출부(114)와 연통된다. As the cover member 20 covers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100 as described above,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100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In addition, a part of the dust separator 100 is seated on the fixing plate 14 while the dust separator 100 is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unit 18. In addition, an opening 16 is formed in the fixing plate 14 to move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or 100 to the dust container 200. The opening 16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ust discharge portion 114 of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100 to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와 상기 먼지통(200)이 별개의 물품으로 제공되어 상기 본체(10)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상기 먼지통(200)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먼 지통(200) 만을 상기 본체(10)에서 분리하면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dust separator 100 and the dust container 200 are provided as separate items and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10, the structure of the dust container 200 can be simplified. It can be lighter. Therefore, since the user only needs to separate the dust container 200 from the main body 10, the user's convenience is enhanced.

한편,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한 쌍의 흡입홀(15)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late 14 is formed with a pair of suction holes 15 for introducing the air containing dust into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100.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에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공기 중의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싸이클론 유닛(110)과,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에 결합되며,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유닛(150)이 포함된다. The dust separation apparatus 100 is coupled to the cyclone unit 110 and the cyclone unit 110 to separate the dust in the air by the cyclone flow,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yclone unit 110 It includes a filter unit 150 for filtering.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에는, 제 1 싸이클론 바디(112)와,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싸이클론 바디(120)가 포함된다. 즉,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2)와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20)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싸이클론 유닛(110)은 완전한 형상을 이룬다. The cyclone unit 110 includes a first cyclone body 112 and a second cyclone body 120 to which the first cyclone body 112 is rotatably coupled. That is, by combining the first cyclone body 112 and the second cyclone body 120, the cyclone unit 110 forms a complete shape.

그리고,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20)에는 복수의 흡입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12)에는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배출되는 먼지 배출부(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장치(100)가 상기 제 2 장착부(18)에 장착되면, 상기 복수의 흡입부(123)는 상기 각 흡입홀(15)과 연통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ction parts 123 are formed in the second cyclone body 120, and a dust discharge part 114 in which dust separated from air is discharged is formed in the first cyclone body 112. . When the dust separator 100 is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unit 18, the plurality of suction units 123 communicate with the respective suction holes 15.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싸이클론 유동은 수직 회전하게 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axis of cyclone flow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yclone flow thus becomes vertically rotated.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먼지통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먼지통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먼지통(200)에는,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211)가 형성되는 집진 바디(210)와, 상기 집진 바디(210)의 상측에 분리 가 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부재(250)가 포함된다. 4 to 6, in the dust container 200, a dust collecting body 210 in which a dust storage unit 211 in which dust is stored is formed,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Cover member 250 is included.

상세히, 상기 집진 바디(210)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12)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결합 레버(214)가 구비된다. In detail,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is formed with a handle 212 that the user can hold. In addition, the handle 21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lever 214 for selectively coupling to the fixed plate 14.

상기 커버 부재(250)에는 상기 먼지분리장치(100)에서 분리된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부(2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유입부(252)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의 개구부(16)와 연통된다. The cover member 250 has a dust inlet 252 through which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or 100 is introduced. In addition, the dust inlet 252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16 of the fixing plate 14.

한편,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부에는 상기 먼지 저장부(211)에 저장된 먼지를 가압하기 위한 복수의 가압 부재가 포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includes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for pressing the dust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211.

상기 복수의 가압 부재에는, 상기 집진 바디(210)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가압 부재(220)와, 상기 집진 바디(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가압 부재(23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는 상기 집진 바디(210) 내부에서 일 례로 양 방향 회전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include a first pressing member 220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and a second pressing member 230 integrally formed with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The first pressing member 220 may be rotated in both directions, for example, inside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상기 제 2 가압 부재(230)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정축(23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압 부재(230)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저면 또는 상기 집진 바디(210)의 내주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pressing member 2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ed shaft 232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In addition, the second pressing member 2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body 210.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에는, 상기 제 2 가압 부재(23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먼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221)과, 상기 가압판(221)과 연결되는 회전축(222)이 포함된다. 상기 가압판(221)은 상기 회전축(22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 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22)은 상기 고정축(232)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222)의 일부는 상기 고정축(232)의 상방에서 상기 고정축(232)에 삽입된다. The first pressing member 220 includes a pressing plate 221 for pressing dust by interaction with the second pressing member 230, and a rotation shaft 222 connected to the pressing plate 221. The pressure plate 22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tion shaft 222. 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222 is coupled to the fixed shaft 232. A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222 is inserted into the fixed shaft 232 above the fixed shaft 232.

한편,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는 구동 장치에 의해서 회전된다. 상세히,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원으로는 압축 모터(도 8의 430참조)가 적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pressing member 220 is rotated by a drive device. In detail, the driving device includes a driving source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source to the first pressing member 220. As the driving source, a compression motor (see 430 of FIG. 8) may be applied.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의 회전축(222)에 결합되는 종동 기어(410)와, 상기 종동 기어(410)로 상기 압축 모터(도 8의 430참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어(도 7의 420참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도 7의 420참조)는 상기 압축 모터(도 8의 430참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 모터에 의해서 회전된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drives a driving gear 410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22 of the first pressing member 220 and a driving force of the compression motor (see 430 of FIG. 8) to the driven gear 410. A gear (see 420 of FIG. 7) is included. In addition, the driving gear (see 420 of FIG. 7)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compression motor (see 430 of FIG. 8) and rotated by the compression motor.

따라서, 상기 압축 모터(도 8의 430참조)가 회전되면, 상기 압축 모터(도 8의 430참조)와 결합된 상기 구동 기어(도 7의 420참조)가 회전된다. 상기 구동 기어(도 7의 420참조)에 의해서 상기 압축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종동 기어(410)로 전달되어 상기 종동 기어(410)가 회전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종동 기어(4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가 회전된다. Therefore, when the compression motor (see 430 of FIG. 8) is rotated, the drive gear (see 420 of FIG. 7) coupled with the compression motor (see 430 of FIG. 8) is rotate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mpression motor is transmitted to the driven gear 410 by the driving gear (see 420 of FIG. 7) to rotate the driven gear 410, and finally, by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410. The first pressing member 220 is rotated.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장착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상부 바디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바디의 하측 구조를 보여주는 상부 바디의 부분 사시도이다.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bod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body showing the lower structure of the upper bod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장착부(13)에는 상기 종동 기어(410) 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13a)가 함몰 형성된다. 6 to 8, the first mounting part 13 is provided with a recess 13a for accommodating the driven gear 410.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420)는 상기 상부 바디(10b)의 하측(또는 내측)에 위치하며, 그 일부가 상기 수용부(13a)로 노출된다. In addition, the driving gear 420 is located below (or inside) the upper body 10b, and part of the driving gear 420 is exposed to the accommodation portion 13a.

한편, 상기 상부 바디(10b)의 하측에는 상기 먼지통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지지하는 무빙 장치(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3a)의 바닥면에는 상기 감지부가 선택적으로 통과하기 위한 개구부(13b)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ody (10b) is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mounting of the dust container, and a moving device 50 for supporting the sensing unit. In addition, an opening 13b for selectively passing through the sensing unit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unit 13a.

상세히, 상기 무빙 장치(50)에는, 상기 상부 바디(10b)의 하면에 형성된 지지 리브(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디부(51)가 포함된다. In detail, the moving device 50 includes a body portion 51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rib 4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0b.

상기 바디부(50)에는 상기 제 1 장착부(13)에 형성된 홀(13c)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장착부(13)로 돌출되는 돌출부(52)가 형성된다. The body part 5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52 that protrudes through the hole 13c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part 13 to the first mounting part 13.

또한, 상기 바디부(50)에는 상기 감지부가 안착되는 감지부 안착부(54)와, 상기 바디부(51)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60)가 안착되는 탄성 부재 안착부(53)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body part 50 includes a sensing part seating part 54 in which the sensing part is seated, and an elastic member seating part 53 in which an elastic member 6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dy part 51 is seated. Is formed.

상기 탄성 부재(60)의 일단은 상기 탄성 부재 안착부(53)에 안착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70)에 형성된 안착부(72)에 안착된다. 상기 탄성 부재(60)는 상기 먼지통(200)이 상기 제 1 장착부(13)에 장착된 상태에서 압축되고, 상기 먼지통(200)이 상기 제 1 장착부(13)에서 분리되면 복원된다.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60 is seated on the elastic member seating part 53, and the other end is seated on the seating part 72 formed in the duct 70 forming a passage of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10. do. The elastic member 60 is compressed when the dust container 200 is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part 13, and is restored when the dust container 2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mounting part 13.

그리고, 상기 상부 바디(10b)의 하측에는 상기 바디부(51)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42, 43)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guide ribs 42 and 43 are formed below the upper body 10b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body 51.

한편, 상기 감지부는 일 례로 마이크로 스위치(44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40)는 상기 개구부(13b)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는 단자부(도 10의 442참조)와, 상기 단자부(도 10의 442참조)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접점(도 10의 444참조)이 포함된다. 상기 단자부(도 10의 442참조)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접점(도 10의 444참조)과 이격되고, 외력이 가해지되면, 상기 접점을 가압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unit may be used as a micro switch 440 as an example. The micro switch 440 has a terminal portion (see 442 of FIG. 10) selectively passing through the opening 13b and a contact (see 444 of FIG. 10) selectively pressed by the terminal portion (see 442 of FIG. 10). This includes. The terminal portion (see 442 of FIG. 10)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see 444 of FIG. 10) in the absence of an external force, and presses the contac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그리고, 상기 접점이 가압되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는 온되어 상기 먼지통 장착이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온 신호는 후술할 제어부로 전송된다. Then, when the contact is pressed, the micro switch is turned on to detect the dust box mounting. In addition, the on signal of the micro switch is transmitted to a controller to be described later.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흡입 모터(520)의 동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 입력부(510)와, 상기 먼지통(200)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440)와, 상기 먼지통(200)이 미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520)의 동작 신호 입력 시, 먼지통 미장착 신호를 외부로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530)와, 상기 흡입 모터(520) 및 신호 발생부(5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포함된다. 9,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ignal input unit 510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suction motor 520, and a detector 440 for detecting mounting of the dust container 200. And a signal generator 530 which generates a dust box-free signal to the outside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suction motor 520 is input while the dust container 200 is not mounted, and the suction motor 520 and the signal generator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530 is included.

상세히, 상기 먼지통(200)이 상기 제 1 장착부(1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520)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흡입 모터(520)를 작동시킨다. In detail, when the dust container 200 is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unit 13, when an operation signal of the suction motor 520 is input, the control unit 500 responds to the input signal. 520 is activated.

반면, 상기 먼지통(200)이 상기 제 1 장착부(13)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520)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신호 발생부(530)에서 먼지통 미장착 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520)가 정지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먼지통(200)이 미장착된 상태에서 불필요한 흡입 모터의 작동이 방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ust container 200 is not mounted to the first mounting unit 13 and the operation signal of the suction motor 520 is input, the control unit 500 is a dust box in the signal generator 530 Allow an unmounted signal to be generated. Then, the suction motor 520 is stopped to be maintained. Therefore,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in the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200 is not mounted is prevented.

도 10은 먼지통이 미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부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먼지통이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부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detection unit in the state that the dust container is not mounted, Figure 11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detection unit in the state equipped with the dust container.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먼지통(200)이 미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무빙 장치(50)의 돌출부(52)는 상기 제 1 장착부(13)에 형성된 홀(13c)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장착부(13)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단자부(442)는 상기 제 1 장착부(13)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먼지통(200)이 미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단자부(442)는 상기 제 1 장착부(13)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1 to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200 is not mounted, the protrusion 52 of the moving device 50 is formed on the first mounting part 13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0. It penetrates through the hole 13c and protrudes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 In addition, the terminal portion 442 of the micro switch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200 is not mounted, the terminal part 442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ounting part 13.

따라서, 상기 단자부(442)가 외력에 의해서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refore, the terminal portion 44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or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반면, 상기 먼지통(200)이 상기 제 1 장착부(13)에 완전하게 장착되면, 상기 먼지통(20)이 상기 돌출부(52)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돌출부(52)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무빙 장치(50)가 도 11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탄성 부재(60)는 압축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ust container 200 is completely mounted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 the dust container 20 is to press the protrusion 52. Then, the moving device 50 is rotated clockwise as shown in FIG. 11 by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rotrusion 52, and the elastic member 60 is compressed.

상기 무빙 장치(5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단자부(442)가 상기 개구부(13b) 를 관통하여 상기 먼지통(200)의 하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종동 기어(410)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단자부(442)에 외력이 가해져서 상기 단자부(442)가 상기 접점(444)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40)에서 온 신호가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된다. When the moving device 50 is rotated, the terminal portion 442 penetrates through the opening 13b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200, more specifically, the driven gear 410. T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erminal portion 442 so that the terminal portion 442 presses the contact point 444, and thus a signal from the micro switch 44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500.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먼지통(200)이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200)의 장착이 감지되므로, 상기 먼지통의 불완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흡입 모터(520)가 작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unting of the dust container 200 is detec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200 is completely mounted, the suction motor 520 operates in the incompletely mounted state of the dust container.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먼지통이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eparated.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분리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in a dust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eparated.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먼지통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먼지통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장착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상부 바디의 부분 사시도.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bod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바디의 하측 구조를 보여주는 상부 바디의 부분 사시도.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body showing the lower structure of the upp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0은 먼지통이 미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부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10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detection unit in the state that the dust container is not mounted.

도 11은 먼지통이 장착된 상태에서 감지부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11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detection unit in the dust container is mounted.

Claims (8)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A cleaner body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먼지통; A dust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to the cleaner body; 상기 먼지통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A detector for detecting mounting of the dust container; 상기 감지부를 지지하며, 상기 먼지통이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먼지통에 의해서 움직이는 무빙 장치; 및 A moving device supporting the sensing unit and moving by the dust container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dust container; And 상기 흡입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is included, 상기 먼지통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무빙 장치에 의해서 움직여 상기 먼지통과 접촉되는 진공 청소기. When the dust container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the detection unit is moved by the moving device in contact with the dust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상기 먼지통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포함되고, The cleaner body includes a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dust container is mounted, 상기 무빙 장치 및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The moving device and the sensing unit are located inside the mounting unit, 상기 먼지통이 장착되면, 상기 무빙 장치 및 상기 감지부가 움직여 상기 무빙 장치의 일부가 상기 장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먼지통에 접촉되는 진공 청소기. When the dust container is mounted, the moving device and the sensing unit move so that a part of the moving device penetrates through the mounting unit to contact the dust container.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무빙 장치에는,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디부와, The moving device includes a body portion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mounting portion; 상기 바디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장착부를 선택적으로 관통하는 돌출부와,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selectively penetrating the mounting portion; 상기 감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nsing unit.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먼지통이 상기 장착부에 미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장착부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In a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is not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the protrusion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상기 먼지통이 장착되면, 상기 먼지통이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여, 상기 바디부가 회전되는 진공 청소기.When the dust container is mounted, the dust container presses the protrusion, so that the body portion is rotated.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바디부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Th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dy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감지부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진공 청소기. The detector is a vacuum cleaner of the micro switch.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바디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guide ribs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bod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먼지통이 미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의 작동 신호 입력 시, 먼지통 미장착 신호를 외부로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Th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dust box not equipped signal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suction motor is input while the dust container is not mounted.
KR1020090082977A 2009-09-03 2009-09-03 Vacuum cleaner KR101025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977A KR101025984B1 (en) 2009-09-03 2009-09-03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977A KR101025984B1 (en) 2009-09-03 2009-09-03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821A KR20110024821A (en) 2011-03-09
KR101025984B1 true KR101025984B1 (en) 2011-03-30

Family

ID=4393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977A KR101025984B1 (en) 2009-09-03 2009-09-03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98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657A (en) * 2003-12-10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KR20070018641A (en) * 2005-08-10 200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sensing the engagement of a dust tank for a robot-cleaner
JP2007097984A (en) 2005-10-07 2007-04-19 Funai Electric Co Ltd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657A (en) * 2003-12-10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KR20070018641A (en) * 2005-08-10 200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sensing the engagement of a dust tank for a robot-cleaner
JP2007097984A (en) 2005-10-07 2007-04-19 Funai Electric Co Ltd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821A (en)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272B1 (en) A robot cleaner
KR101352314B1 (en) A robot cleaner
KR20070093850A (en) Electric cleaner
US8012250B2 (en) Vacuum cleaner
KR20240127317A (en)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US8584313B2 (en) Vacuum cleaner
KR101411685B1 (en) Vacuum cleaner
KR101411711B1 (en) Robot cleaner
KR20100019146A (en) Vacuum cleaner
WO2008100005A1 (en) Vacuum cleaner
KR101025984B1 (en) Vacuum cleaner
KR100849554B1 (en) (dust-emptying system for robot vacuum cleaner
KR102014760B1 (en)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KR101072638B1 (en) Vacuum cleaner
KR100988719B1 (en) Vacuum cleaner
KR20100039981A (en) Vacuum cleaner
KR100921186B1 (en) Vacuum cleaner
JP2007236520A (en) Vacuum cleaner
JP4066718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4765864B2 (en) Vacuum cleaner
KR100876699B1 (en) Vacuum cleaner
KR20240081936A (en) Cleaner station
KR20100040122A (en) Vacuum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136193B1 (en) Vacuum cleaner
JP4984852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