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560B1 - Cleaner for cooking utensils and its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Cleaner for cooking utensils and its control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5560B1 KR101025560B1 KR1020080066749A KR20080066749A KR101025560B1 KR 101025560 B1 KR101025560 B1 KR 101025560B1 KR 1020080066749 A KR1020080066749 A KR 1020080066749A KR 20080066749 A KR20080066749 A KR 20080066749A KR 101025560 B1 KR101025560 B1 KR 1010255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 main body
- cooking utensils
- washing chamber
- coo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2—Cutlery bask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4—Drying phases, including dripping-off pha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6—Steam or sterilizing pha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9—Air humidity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1—Air hea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2—Air b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6—Sterilisers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도구용 세척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마나 칼 등의 조리도구의 세정 또는 살균/소독 또는 건조 등을 위한 조리도구용 세척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세척실이 구비된 본체; 내부에 조리도구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가 구비되고, 상기 조리도구를 넣고 뺄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가 가로놓이거나 세워질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세척조를 상기 본체의 세척실에 넣고 뺄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도구용 세척장치, 조리도구용 세척장치의 제어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세척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성이 높고, 세척작업이 보다 수월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cooking utensi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cooking utensils for cleaning or sterilizing / disinfecting or drying a cooking utensil such as a cutting board or knif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provided with at least one washing chamber; A washing tank having a cradle to which cooking utensils are mounted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portion for inserting and removing the cooking utensils; The washing tank is mounted so as to be placed horizontally or upright, movable stand so that the washing tank can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washing chamber of the main body; Cooking apparatus 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method of the cooking apparatus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a By presenting, not only the washing effect is excellent, but also the space utilization is high, and the washing operation is easier.
조리도구, 세척, 세정, 건조, 살균, 소독 Cookware, Wash, Clean, Dry, Sterilize, Disinfe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도구용 세척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마나 칼 등의 조리도구의 세정 또는 살균/소독 또는 건조 등을 위한 조리도구용 세척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cooking utensi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cooking utensils for cleaning or sterilizing / disinfecting or drying a cooking utensil such as a cutting board or knife.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요식업소, 급식단체, 음식물을 취급, 가공하는 공장 등에서는 도마나 칼 등의 조리도구의 위생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여, 조리도구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조리도구를 물리적, 화학적 방법 등으로 세척하는 조리도구용 세척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hygiene management of cooking tools such as cutting boards and knives is most important in homes, food restaurants, food service groups, and factories that handle and process foods. A washing device for cooking utensils for washing with a back is used a lot.
조리도구용 세척장치는 세척방법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cabinet) 구조로 구성되어 열이나 바람 등의 물리적인 방법으로 조리도구를 건조하거나 세척할 수 있는 장치(10)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 구조로 구성되어 세정 또는 살균,세척을 위한 세척액을 이용한 화학적 방법으로 조리도구를 세척할 수 있는 장치(20) 등이 있다.The washing apparatus for cooking utensils is configured as a cabinet (cabinet)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1, according to the cleaning method for drying or washing the cooking utensils by a physical method such as heat or wind, and As shown in FIG. 2, there is an
그런데, 세척장치는 세척방법마다 각각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세척방 법을 보완하기 위해 많이들 여러 개의 세척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However, since the washing apparatus ha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or each washing method, many washing apparatuses are currently used to supplement each washing method.
그러나, 조리도구용 세척장치를 여러 개 사용함에 따라, 조리도구의 세척을 위해 상당히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여러 개의 조리도구용 세척장치 사이에서 조리도구를 여러 번 넣고 빼야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use of a plurality of cooking utensils for clean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fairly large space is required for cleaning the cooking utensils, and the cooking utensils are inserted and removed several times between the several cooking utensil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장치로 여러 세척방법에 의해 조리도구를 세척할 수 있되, 조리도구의 세척에 따른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조리도구의 세척작업이 용이한 조리도구용 세척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wash the cooking utensils by several cleaning methods with a single devic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pace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leaning of the cooking utensils and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cooking utensil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sy cook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cooking utensils.
또한, 본 발명은, 조리도구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조건으로 조리도구를 세척할 수 있는 조리도구용 세척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wash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for washing the cooking utensils in the optimum condition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oking utensil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세척실이 구비된 본체; 내부에 조리도구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가 구비되고, 상기 조리도구를 넣고 뺄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가 가로놓이거나 세워질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세척조를 상기 본체의 세척실에 넣고 뺄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도구용 세척장치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washing chamber; A washing tank having a cradle to which cooking utensils are mounted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portion for inserting and removing the cooking utensils; The washing tank is mounted so as to be placed horizontally or standing, movable stand so that the washing tank can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washing chamber of the main body; proposes a washing apparatus for a cooking utensil comprising a.
상기 본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척실 저면에는, 상기 받침대에 의해 복개될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t least one bottom of the washing chamber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opening portion which can be covered by the pedestal.
상기 본체의 세척실에는, 상기 본체의 세척실에 수납된 상기 세척조의 개방부와 대향될 수 있는 면에, 상기 조리도구의 세정, 세척, 건조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는 세척기구가 장착되거나 상기 세척기구의 토출구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washing chamber of the main body, a washing mechanism that implements at least one function of cleaning, washing, and drying functions of the cooking utensils is provided on a surface that may face the opening of the washing tank housed in the washing chamber of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let of the cleaning device is mounted.
상기 세척조는 세로로 세워져서 상기 본체의 세척실에 수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shing tank is preferably vertically formed to a size that can be stored in the washing chamber of the main body.
상기 세척조는 상기 받침대에 체결부재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shing tank is preferably detachably mounted to the pedestal by a fastening member.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세척조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구비된 상부 받침부; 상기 상부 받침부 하측에 높이 차를 두고 구비된 하부 받침부; 상기 하부 받침부와 상기 상부 받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destal includes an upper support portion having a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washing tank is mounted; A lower support portion provided with a height difference under the upper support por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lower support and the upper support.
상기 받침대는 상기 상부 받침부와 상기 하부 받침부 사이로 상기 본체의 세척실 저면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가 상부 받침부와 하부 받침부의 일단을 연결토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destal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s one end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so that the bottom of the washing chamber of the main body can be inserted between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상기 받침대는 이동 가능토록 적어도 하나의 바퀴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pedestal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t least one wheel to be movable.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리도구가 수납되는 세척실 내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세척실 내 습도에 따라, 건조기능 또는 살균/소독기능 또는 살균/소독 및 건조기능이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도구용 세척장치의 제어방법을 제시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easuring the humidity in the washing room is housed cooking utensils;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humidity in the washing room, the drying function or sterilization / disinfection function or sterilization / disinfection and drying function is selectively operated; suggests a control method of a cooking apparatus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a.
상기 건조기능 또는 살균/소독기능 또는 살균/소독 및 건조기능이 동작 결정되면, 상기 세척실 내 습도와 온도에 따라, 상기 세척실 내 온도와 상기 세척실 내 송풍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drying function or the sterilization / disinfection function or the sterilization / disinfection and drying function is determined,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in the washing chamber and the blowing force in the washing chamber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in the washing chamber. desirable.
상기 세척실 내 온도가 2가지 이상의 열원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2가지 이 상의 열원은 각각 독립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mperature in the wash chamber is controlled by at least two heat sources; Preferably, the two or more heat sources are each independently controlled.
상기 열원은, 히터와, 적외선 또는 자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heat source contains a heater and the lamp which irradiates an infrared ray, an ultraviolet-ray, or far infrared rays.
본 발명은 세척조를 본체의 세척실에 넣고 뺄 수 있고 아울러 세척조를 가로놓거나 세로로 세울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세척방법이 사용될 수 있어 조리도구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고, 세척조를 본체의 세척실에 수납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조리도구의 세척에 따른 공간 효율성이 높고, 세척방법이 달라질 때마다 조리도구를 넣고 빼지 않아도 되므로 세척작업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tank can be put into and removed from the washing chamber of the main body, and since the washing tank can be plac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various washing methods can be used to improve hygiene of cooking tools, and the washing tank is stored in the washing chamber of the main body. Because it can be stored in a kept state, the space efficiency according to the washing of the cooking utensils is high, and since the cooking utensils do not need to be removed every time the washing method is chang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shing operation can be made easier.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세척실 내 습도에 따라 본체의 세척기구가 자동 제어됨으로써, 조리도구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세척조건으로 세척작업을 할 수 있어 세척효과가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washing mechanism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humidity in the washing chamber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washing operation in the optimum wash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oking utensils has an excellent washing effec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리도구용 세척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실(110)이 구비된 본체(100)와, 내부에 조리도구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210)가 구비되고 조리도구를 넣고 뺄 수 있도록 개방부(202)가 형성된 세척조(200)와, 세척조(200)가 장착되고 세척조(200)를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넣고 뺄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받침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or less, the cooking apparatus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체(100)의 세척실(110)은 도어(12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저면에 받침대(300)에 의해 복개될 수 있는 개구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0)의 세척실(110)이 받침대(300)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받침대(300)를 본체(100)의 세척실(110)을 향해 밀어 넣거나 빼내기만 하면, 세척조(200)를 용이하게 넣고 뺄 수 있어, 사용하기 더욱 편리하다. 아울러, 본체(100)의 세척실(110)이 받침대(300)에 의해 밀폐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리도구가 원활하게 세척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300)의 하측부는 바닥과의 접촉으로 인해 오염되기 쉬운데,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수납되지 않기 때문에 본체(100)의 세척실(110)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The
이러한 본체(100)의 세척실(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본 실시 예서와 같이 공간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시된 좌표 X에 따른 본체(100)의 가로 폭을 넓히는 것보다는 도시된 좌표 Z에 따른 본체(100)의 세로 길이를 높이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본체(100)에는 조리도구의 세척을 위해, 조리도구의 세정, 세척, 건조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는 세척기구(130)가 장착된다. 즉, 세척기구(130)로서 세정을 위한 압축공기 등을 분사하는 장치, 건조나 살균/소독을 위한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등을 조사하는 램프(132)나 고온의 열을 공급하는 히터(136), 건조를 위한 송풍기(134)나 히터(136) 등이 있다.In order to clean the cooking utensils, the
이러한 세척기구(130)는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장착되거나, 조리도구의 세척을 위한 세척원이 토출되는 세척기구(130)의 토출구가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장착될 수 있다. The
특히, 세척기구(130)의 세척원을 조리기구를 향해 직접 공급하는 것이 세척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세척기구(130) 또는 세척기구(130)의 토출구는 세척조(200)에 거치된 조리도구를 세척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수납된 세척조(200)의 개방부(202)와 대향될 수 있는 면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세척조(200)가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수납될 때 세척조(200)의 개방부(202)가 본체(100)의 세척실(110)의 후면(112)과 대향된다면, 세척기구(130) 또는 세척기구(130)의 토출구는 본체(100)의 세척실(110)의 후면(112)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directly supplying the cleaning source of the
세척조(200)는 받침대(300)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지만, 다음과 같이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수납되는지 여부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놓이거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세워질 수 있도록 받침대(300)에 장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먼저, 세척조(200)는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수납 가능하되, 본체(100)의 세척실(110)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세척실(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세척조(200)는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수납되었을 때 세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First, the
이와 아울러, 세척조(200)의 개방부(202)가 본체(100)의 세척실(110)의 상면 또는 저면과 대향된다면, 세척조(200) 안쪽에 거치된 조리도구에는 세척기구(130)의 세척원이 직접 공급되기 어렵다. 그러므로 세척조(200)의 개방부(202)는 세척기구(130)의 세척원이 세척조(200)에 거치된 모든 조리기구에 직접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세척실(110)의 측방면(즉,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100)의 세척실(110)의 후면(112))과 대향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f the
그리고, 세정,살균/소독 등을 위한 세척액이나 세척수 등을 이용하여 조리도구를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세척조(200)를 본체(100)의 세척실(110)에서 분리하되, 세척조(200)의 개방부(202)가 상측에 위치되도록 세척조(200)를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세척조(200)의 깊이가 깊으면 조리도구를 넣고 빼기 어렵다.And, if you want to wash the cooking utensils using a washing solution or washing water for cleaning, sterilization / disinfection, etc., the
따라서, 세척조(200)는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수납될 때에는 세로로 세워지고, 본체(100)의 세척실(110)에서 분리되어 세척을 위해 사용될 때에는 가로로 놓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the
상기한 세척조(200)는 용이하게 가로놓여 장착되거나 세워져 장착될 수 있도록, 받침대(300)에 체결부재(400)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써 세척조(200)의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세척조(200)의 일측을 받침대(300)에 회전 가능토록 결합시키고, 세척조(200)의 타측을 체결부재(400)에 의해 받침대(3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세척조(200)가 회전에 의해 가로놓이거나 세워지게 한 후 체결부재(400)에 의해 그 장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는 세척조(200)와 받침대(300) 중 어느 한쪽에 끼움돌기를 형성하고, 그 나머지 하나에 끼움돌기와 합치될 수 있는 끼움홈을 형성함으로써, 세척조(200)를 가로 또는 세로로 받침대(3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세척조(200)가 가로놓이거나 세워지도록 장착될 수 있다면, 세척조(200)가 어떠한 방법으로 받침대(300)에 장착되든 무방함은 물론이다.The
받침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척조(200)를 받칠 수 있다면 어떻게 형성되든 무방하나, 다만 세척조(200)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구비된 상부 받침부(310)와, 상부 받침부(310) 하측에 높이 차를 두고 구비된 하부 받침부(320)와, 하부 받침부(320)와 상부 받침부(310)를 연결하는 연결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부 받침부(310)와 하부 받침부(320)의 높이 차에 의한 여유 공간이 있어서, 세척조(200)가 가로놓이든 세워지든 간에 받침대(300)에 간섭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The
나아가, 받침대(300)는 상부 받침부(310)와 하부 받침부(320) 사이로 본체(100)의 세척실(110) 저면이 끼워질 수 있도록, 연결부(330)가 상부 받침부(310)와 하부 받침부(320)의 일단을 연결토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0)의 세척실(110) 저면에 받침대(300)에 의해 복개될 수 있는 개구부(114)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세척조(200)가 받침대(300)에 장착된 상태로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수납 가능하다.Furthermore, the
한편, 받침대(300)는 이동 가능토록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적어도 하나의 바퀴(340)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받침대(300)에 바퀴(340)가 구비됨으로써, 받침대(300)의 이동 범위의 제한이 없고, 받침대(300)의 이동을 위한 시설을 별도로 구축할 필요가 없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조리도구용 세척장치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using the washing apparatus for a cook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조리도구를 본체(100)에 장착된 세척기구(130)에 의해 세척할 경우 세척 조(200)를 세로로 세운 상태로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수납하면 되고, 조리도구를 세척액이나 세척수 등 본체(100)의 세척기구(130)에 의한 세척 이외 방법으로 세척할 경우 본체(100)의 세척실(110)에서 세척조(200)를 빼서 가로로 장착하면 된다. When the cooking utensils are washed by the
조리도구는 어떠한 순서로 세척되든 무방하나, 세척조(200)를 분리하여 세척액이나 세척수 등에 의해 조리도구를 세정, 살균,소독된 다음, 세척조(200)를 본체(100)에 수납하여 젖은 조리도구를 건조함과 아울러 더 강력하게 살균, 소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The cooking utensils may be cleaned in any order, but by removing the
이때, 세척조(200)가 가로놓이거나 세워질 수 있기 때문에, 세척시마다 조리도구를 세척조(200)에 넣고 뺄 필요가 없어, 수월하게 세척작업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또한, 세척조(200)가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수납 가능하기 때문에, 조리도구뿐만 아니라 세척조(200)도 본체(100)의 세척기구(130)에 의해 세척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청결하게 보관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이다. 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세척조(200)가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수납될 수 있기 때문에, 투인원(2 in 1)방식처럼 세척작업시에는 세척조(200)가 본체(100)로부터 분리되고, 세척 작업 이외 시간에는 본체(100)와 세척조(200), 받침대(300)가 일체화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높다.In addition, since th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리도구용 세척장치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looking at the control method of the washing device for a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조리도구용 세척장치의 제어방법은, 습도계(500) 등에 의해 조리도구가 수납되는 세척실(110) 내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세척실(110) 내 습도에 따라 건조기능 또는 살균/소독기능 또는 살균/소독 및 건조기능이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washing device for a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ing the humidity in the
즉, 통상적으로 조리도구를 세척액, 세척수 등에 의해 세정하거나 살균,소독한 후, 젖은 조리도구를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수납하여 건조 또는 살균,소독처리하기 때문에, 세척조(200)에 거치된 조리도구가 본체(100)의 세척실(110)에 수납되면 본체(100)의 세척실(110) 내 습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젖은 조리도구 및 젖은 세척조(200)는 세균이 번식하기 쉬우므로 바로 건조 또는 살균/소독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체(100)의 세척실(110) 내 습도가 기준치를 넘으면 자동으로 본체(100)의 세척기구(130)가 동작함으로써, 일일이 수동으로 동작시작, 정지를 조작하는 것과 비교하여, 위생성 및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That is, after washing or disinfecting or disinfecting the cooking utensils with a washing solution, washing water, or the like, the wet cooking utensils are stored in the
또한, 본체(100)의 세척실(110) 내 습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자동 동작되고, 본체(100)의 세척실(110) 내 습도에 의해 조리도구가 충분히 건조되었다고 판단되면 자동으로 동작정지되기 때문에, 동작시간을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동작시작,정지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과 비교하여, 사용 편의성 및 관리 효율화, 에너지 최소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the humidity in the
나아가, 조리기구의 건조 및 살균/소독을 위해서는 적정한 온도와 바람이 필수적인 요소인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세척기구(130)의 동작이 결정되면, 세척실(110) 내 습도와 온도계(510) 등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에 따라, 세척 실(110) 내 온도와 세척실(110) 내 송풍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리도구의 건조, 살균/소독상태에 따라 최적의 조건으로 동작될 수 있기 때문에 건조, 살균/소독 효과가 우수하고,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more, proper temperature and wind are essential elements for drying and sterilizing / disinfecting the cooking utensil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ion of the
특히, 세척실(110) 내 온도가 2가지 이상의 열원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세척실(110) 내 온도를 단순히 온/오프 제어하는 것보다는, 세척실(110) 내 온도를 습도 등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2가지 이상의 열원을 각각 전압제어부1(550), 전압제어부2(552)를 둬서 독립제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세척실(110) 내 온도 제어를 위한 열원이 전기저항방식 등의 히터(136)와, 살균,소독에 효과가 있는 자외선, 적외선, 원적외선 등을 조사하는 램프(132) 2가지이면, 히터(136)와 램프(132)의 안정기를 독립 제어한다. 독립제어방식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바람직한 일 예로써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열원을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통상적으로 건조를 위해서는 적정한 온도와 송풍력이 필수적인바, 히터(136)와 송풍력은 연계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when the temperature in the
한편, 상술한 제어방법에 의해 동작되는 조리장치의 세척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530), 총괄 제어를 위한 중앙처리부(540)를 더 포함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제어 상황을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560)와, 수동 제어를 위한 키입력장치(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apparatus of the cooking apparatus operated by the above-described control method further includes a
상기와 같은 제어방법에 의해 조리도구용 세척장치가 동작되면, 습도가 높은 초기 동작시에는 세척실(110) 내 온도와 송풍력이 높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척 실(110) 내 온도, 습도에 따라 세척실(110) 내 온도와 송풍력이 적절히 조절됨으로써, 조리도구가 신속히 건조, 살균/소독될 뿐만 아니라 조리도구가 효과적으로 건조, 살균/소독될 수 있다.When the washing apparatus for cooking utensils is operated by the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of high humidity, the temperature and the blowing force in the
물론, 조리도구용 세척장치가 반드시 본 발명에 의한 제어방법에 의해 한정되어서 동작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 의한 제어방법이 조리도구용 세척장치의 여러 제어모드 중 하나일 수 있다.Of course, the cooking apparatus washing apparatu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of several control modes of the cooking apparatus wash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어방법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리도구용 세척장치에만 한정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건조기능 또는 살균/소독기능 또는 건조 및 살균/소독기능을 갖는 모든 조리도구용 세척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oking apparatus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applied to all cooking apparatus washing apparatuses having a drying function or a sterilization / disinfection function or a drying and sterilization / disinfection function. Can be applied.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inc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s well know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will be sai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which together with the base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리도구용 세척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washing device for a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조리도구용 세척장치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oking apparatus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도구용 세척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3 is a view showing a washing apparatus for a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체와 세척조의 일체상태 구성도이다.Figure 3 is an integrated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washing tank.
도 4는 세척조의 수납 또는 분리 상황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orage or detachment situation of the washing tank.
도 5는 본체와 세척조의 분리상태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of the separated state of the main body and the washing tank.
도 6은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도 7은 제어 블록도이다.7 is a control block diagram.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본체 110; 세척실100;
114; 개구부 120; 도어114;
130; 세척기구 132; 램프130;
134; 송풍기 136; 히터134;
200; 세척조 210; 거치대200;
300; 받침대 340; 바퀴300;
500; 습도계 510; 온도계500;
520; 키입력장치 530; 전원부520; A
540; 중앙처리부 550; 전압제어부1540;
552; 전압제어부2 560; 디스플레이552; A voltage controller 2 560; display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6749A KR101025560B1 (en) | 2008-07-09 | 2008-07-09 | Cleaner for cooking utensils and its control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6749A KR101025560B1 (en) | 2008-07-09 | 2008-07-09 | Cleaner for cooking utensils and its control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6502A KR20100006502A (en) | 2010-01-19 |
KR101025560B1 true KR101025560B1 (en) | 2011-03-30 |
Family
ID=4181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6749A KR101025560B1 (en) | 2008-07-09 | 2008-07-09 | Cleaner for cooking utensils and its control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556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2996B1 (en) | 2012-11-28 | 2013-10-01 | (주)대경테크코리아 | Easy-to-clean knife cleaning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8168B1 (en) * | 2015-12-21 | 2016-05-18 | 주식회사 삼우에스피 | Cleaning apparatus of expansion type using ultrasonic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1113U (en) * | 1998-06-20 | 2000-01-25 | 이재천 | Kitchen utensils sterilizer |
KR200220690Y1 (en) | 2000-10-26 | 2001-04-16 | 안귀인 | sterilizing drier for kitchen knife and chopping board |
JP2001212063A (en) | 2000-02-03 | 2001-08-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upport rack for dishes and cooking utensils and dish washing machine with this rack |
KR200299256Y1 (en) | 2002-07-16 | 2003-01-03 | 박종근 | Cupboard for ultraviolet sterilizing |
-
2008
- 2008-07-09 KR KR1020080066749A patent/KR10102556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1113U (en) * | 1998-06-20 | 2000-01-25 | 이재천 | Kitchen utensils sterilizer |
JP2001212063A (en) | 2000-02-03 | 2001-08-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upport rack for dishes and cooking utensils and dish washing machine with this rack |
KR200220690Y1 (en) | 2000-10-26 | 2001-04-16 | 안귀인 | sterilizing drier for kitchen knife and chopping board |
KR200299256Y1 (en) | 2002-07-16 | 2003-01-03 | 박종근 | Cupboard for ultraviolet sterilizing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2996B1 (en) | 2012-11-28 | 2013-10-01 | (주)대경테크코리아 | Easy-to-clean knife clean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6502A (en) | 2010-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34404Y1 (en) | Knife chopping sterilization dryer | |
US20170260681A1 (en) | A garment care device for drying and sanitizing garments | |
KR100960540B1 (en) | Kitchen Knife Cleaning and Sterilizer | |
KR200434403Y1 (en) | Electric dishwasher | |
KR20130092662A (en) | A plasma sterilization household dryer | |
KR200436595Y1 (en) | Knife sterilizer | |
KR101025560B1 (en) | Cleaner for cooking utensils and its control method | |
JP5153234B2 (en) | Kitchen lifting cabinet | |
KR200447821Y1 (en) | An Apparatus for Sterilization of Knives and Chopping Boards | |
KR100952595B1 (en) | Cutting board | |
KR200270666Y1 (en) | Deposit device of a chopping board | |
CN113243771A (en) | Steaming and baking oven, using method of steaming and baking oven, multifunctional module appliance and integrated stove | |
CN111411665B (en) | Integrated sink | |
KR101904640B1 (en) | Disinfection and washing apparatus using induction heating apparatus | |
KR200408436Y1 (en) | Sink with retractable cutting board | |
KR100945264B1 (en) | Table sterilizer having dryer | |
JP2015073787A (en) | Dishwasher | |
CN208927135U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mobile kitchen disinfection cabinet | |
CN217870774U (en) | Mould-proof and bacteria-removing device for integrated water tank | |
KR20170092884A (en) | Dishcloth sterilizing drying equipment | |
KR200399835Y1 (en) | Storage Container for Simultaneous drying of a kitchen knife, a kitchen board and a dishtowel | |
CN111603078A (en) | Kitchen tool storage rack | |
CN211301259U (en) | Chopstick and cutter integrated storage and sterilization device | |
CN220632639U (en) | Remote control sterilizing cabinet | |
CN222357783U (en) | Tableware disinfection cabin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811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06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103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