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251B1 - Process and Location-aware Information Service System - Google Patents

Process and Location-aware Information Servi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251B1
KR101025251B1 KR1020090004212A KR20090004212A KR101025251B1 KR 101025251 B1 KR101025251 B1 KR 101025251B1 KR 1020090004212 A KR1020090004212 A KR 1020090004212A KR 20090004212 A KR20090004212 A KR 20090004212A KR 101025251 B1 KR101025251 B1 KR 101025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situation
loc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84853A (en
Inventor
김건희
한만철
박세형
김래현
하성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04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251B1/en
Publication of KR2010008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8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2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381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dentifiers, e.g. barcodes,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휴대폰, PDA 등)를 통해 사용자의 시공간 상황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tuational awareness-bas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space-time situ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mobile phone, PDA, etc.).

본 발명에서는 제 1 관점으로서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방문목적을 입력받는 1단계와; 입력된 사용자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해야 할 서비스인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2단계와; 센서네트워크서버(400)와 로컬정보시스템(300)의 이벤트 정보인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수집하는 3단계와; 상기 상황정보를 바탕으로 프로세스 확장설정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4단계와; 확장설정이 필요없을 경우, 상기 수집된 상황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의 시공간적 상황을 인지하는 5단계와; 상기 인지한 시공간적 상황을 바탕으로 위치,서비스 정보를 안내하는 6단계와; 제공된 위치,서비스 정보에 대해서 반응한 사용자의 이벤트 정보를 바탕으로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제공방법이 제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first aspect, in a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based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step of receiving a visit purpose of a user; Setting a process which is a service which a user must perform in order to perform the input user purpose; Collecting the user's context information which is event information of the sensor network server 400 and the local information system 300; Determining whether the process extension setting is necessary based on the situation information; Step 5 for recognizing the current spatiotemporal situ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collected situation information when no extension setting is necessary; Step 6 for guiding loc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based on the recognized spatiotemporal situation; Disclosed is a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seven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process is terminated based on event information of a user who responds to the provided loc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제 2 관점으로서,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이해하고, 사용자 상황을 추론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가디언서버(100)와; 위치, 프로세스, 사용자에 관련된 지식이 표현되어 있는 지식모델(200)과; 상기 디지털가디언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정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디바이스(500)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지털가디언서 버(100)에 전송하는 센서네트워크서버(400)와; 사용자에 대한 프로세스 이벤트정보를 상기 디지털 가디언 서버(100)에 전송하는 로컬 정보시스템(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시된다.As a second aspect,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infer the user situation to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service to the user; A knowledge model 200 in which knowledge related to a location, a process, and a user is expressed; A user device 500 for providing a user with the information service received from the digital guardian server; A sensor network server 400 which transmits event information on a user's location to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through a sensor; A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is provided, including a local information system 300 for transmitting process event information about a user to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시공간, 상황인식, 위치, 프로세스, 이벤트 Space-time, situational awareness, location, process, event

Description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Process and Location-aware Information Service System}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Process and Location-aware Information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휴대폰, PDA 등)를 통해 사용자의 시공간 상황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히는,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이해하고, 사용자 상황을 추론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가디언서버(100)와; 위치, 프로세스, 사용자에 관련된 지식이 표현되어 있는 지식모델(200)과; 상기 디지털가디언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정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디바이스(500)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지털가디언서버(100)에 전송하는 센서네트워크서버(400)와; 사용자에 대한 프로세스 이벤트정보를 상기 디지털 가디언 서버(100)에 전송하는 로컬 정보시스템(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tuational awareness-bas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space-time situ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mobile phone, PDA, etc.). More specifically,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infer the user situation to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service to the user; A knowledge model 200 in which knowledge related to a location, a process, and a user is expressed; A user device 500 for providing a user with the information service received from the digital guardian server; A sensor network server 400 which transmits event information about a user's location to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through a sensor; It relates to a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based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local information system 300 for transmitting the process event information for the user to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병원, 관공서와 같은 공공장소에서 복잡한 업무를 수행해야 할 때, 장애인 및 고령자들은 어떠한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지, 어디로 가야 하는지 등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시각장애인의 경우, 방향을 나타내는 표지판은 길을 찾는 데 도움 이 될 수 없으며, 청각장애인이나 고령자의 경우에도 어려운 용어로 표현된 안내문으로부터 정보를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장애인이나 고령자의 편의를 위한 장치 혹은 도우미가 존재하지만, 이들은 한정된 상황들만 처리하거나 제한적인 위치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불편한 경우가 많다. 게다가 일반인이라도 혼잡한 공공장소에서 활동을 한다면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다.When people have to perform complex tasks in public places such as hospitals and government office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older people have difficulties such as what services to get and where to go. Especially for the visually impaired, direction signs cannot help you find your way, and even for the hearing impaired or elderly, it may be difficult to recognize information from the language's guidance. Although there are devices or helpers for the convenience of the disabled or the elderly, they are often inconvenient because they only handle limited situations or exist only in limited locations. In addition, even the general public may have difficulty in activities in crowded public place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상황 기반의 정보 제공 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Paganelli는 여행자를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여행자가 PDA를 갖고 관심을 가지고 있던 여행지점을 지나면 eTourism이 자동적으로 작동된다. 그리고 여행자가 현재 위치한 장소에서 가까운 명소 목록을 계속 업데이트하여 보여준다. 여행정보 제공에 관한 또 다른 연구로서, Stephanidis는 GPS가 탑재된 휴대용 PC(Palmtop)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속하면 도시 안내서비스에 연결되고 다음 여행 장소를 추천받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context-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s have been developed. Paganelli has developed an informational system for travelers. ETourism is automatically activated when a traveler passes a point of interest with a PDA. It also keeps you updated with a list of nearby attractions from where you are. As another study on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Stephanidis proposed a system that uses a portable PC (Palmtop) equipped with GPS to connect to a city guide service when a user connects to the system and recommend the next travel location.

또한, 의사, 간호사와 같은 병원 근무자의 편의를 위한 상황인지 기반의 정보 제공 시스템도 개발되었다. Miguel의 연구에서는 환자의 담당의사, 간호사와 검사실 담당자 간의 정보공유에 관한 연구를 제시하였다. 환자에게 검사를 받게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의사가 검사실에 약물반응검사를 요청하면, 검사실의 담당자는 이 요청을 그의 소형기기(Handheld)로 알게 되고 약물 검사를 실시한다. 그리고 그 결과는 해당 환자의 다음 근무자에게 자동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 연구는 한 환자를 중심으로 담당하는 사람들의 로테이션 정보와 단말기를 통한 실시간 정보 공유를 통해 병원근무자의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병원을 대상으로 하 는 다른 연구로서, Mikael은 환자의 기록을 전자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이 시스템은 간호사가 어떤 환자가 어떤 검사가 필요한지, 그 환자가 지금 병실에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의 기록을 전자적으로 저장함으로써 모든 근무자들이 환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서 실수를 줄일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 context-awar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the convenience of hospital workers such as doctors and nurses. Miguel's study presented a study on the sharing of information between a patient's physician, nurse and laboratory staff. When a doctor thinks the patient needs to be tested, he asks the laboratory for a drug response test, and the laboratory staff knows this request with his handheld and conducts a drug test. The result is then automatically delivered to the next worker of the patient. This study will save hospital workers a lot of time by sharing rotation information of people in charge of one patient and real-time information through the terminal. In another study of hospitals, Mikael presented a system for electronically managing patient records. The system allows nurses to see which patients need what tests and whether they are in the room right now. And by electronically storing patient records, all workers can share information about patients to reduce mistakes.

이러한 기존의 상황인식 기반의 시스템은 특정위치에서 단편적인 정보 및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지만 복잡한 절차를 갖는 업무에 대한 가이드를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것은 사용자가 바로 다음에 해야 할 일은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절차적인 정보제공 가이드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와 프로세스를 동시에 고려하여 위치에 해당하는 단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서 벗어나 사용자가 위치한 시공간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장애인과 고령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인별 맞춤형으로 정보를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존의 본질적인 한계점을 파악하는데서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장애인과 노인에게 적합한 인터페이스로 복잡한 절차를 무리 없이 처리하게끔 안내해주는 상황인식(Context- aware)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Such existing situation-aware systems can provide fragmented information and services at specific locations,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guiding tasks with complex procedures. This is because there is no procedural informational guide on what users should do next and how to do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in time and sp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instead of providing fragmenta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considering the user's location and proces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and senior citizens, it is necessary to convert and provide the information customized for each individual. In addition to identifying the existing inherent limitations, the present invention will introduce a context-aware based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guides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to handle complex procedures without difficulty.

관공서나 은행, 병원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일반인에 맞추어 설정된 복잡한 업무를 수행한다는 것은 장애인 및 고령자에게 있어서 사실상 힘든 일이다. 이를 위해 복잡한 절차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그리고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적절한 정보를 인지하기 쉬운 형태로 안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타입을 고려한 맞춤형 가이드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스(시간)와 위 치(공간)에 대한 지식모델을 바탕으로 시공간 상황을 추론해서 사용자 타입별로 적합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다.Performing complex tasks tailored to the public in public places such as government offices, banks and hospitals is a difficult task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elderly. This requires a service that guides you through the complex process. In addition, in order to guide information appropriate 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in a form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it should be a customized guide considering the user type. To do this, we need a service that provides content suitable for each user type by inferring the time-space situation based on the knowledge model of process (time) and location (space).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익숙하지 않은 공공장소에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해야 할 일과 가야 할 장소를 안내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각종 센서를 통한 공간적 정보,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시간적 정보를 지식모델을 바탕으로 해석하여 사용자 상황을 인식하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정보(위치안내, 서비스 안내, 상황정보 안내 등)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vice for guiding the work to be done and the place to go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in a public place unfamiliar to the user. Spatial information through various sensors and temporal information through process analysis are interpreted based on the knowledge model to recognize the user situation and provide information (location guide, service guide, situation information guide, etc.) suitable for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기존의 상황인식 기반의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로 위치기반의 서비스 시스템이 있다. 이 시스템은 특정위치에서 단편적인 정보 및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지만 복잡한 절차를 갖는 업무에 대한 가이드를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것은 바로 사용자가 다음에 해야 할 일은 무엇이며, 어디로 가야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절차적인 정보제공 가이드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온라인 환경의 가이드 시스템이 있다. 이 시스템은 PC와 같은 특정 환경에서 프로세스 진행에 따라 도움말과 같은 가이드를 제공한다. 하지만 온라인 환경의 가이드 시스템은 온라인 공간이라는 제한적인 상황만을 고려할 뿐이다. 실제 생활공간에서와 같은 다양한 상황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지 않다.Existing situation-based system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First, there is a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The system is capable of providing fragmented information and services at specific locations, but has limitations in guiding tasks with complex procedures. That's because there's no procedural informational guide on what to do next, where to go, and how to do it. Second, there is an online guide system. The system provides guides such as help as the process progresses in certain environments, such as PCs. However, the online guide system only considers the limited situation of online space. It does not have a framework to cope with various situational changes as in the real living space.

본 발명은 위치정보(공간)와 프로세스(시간)에 대한 상황인식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복잡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위치안내와 서비스안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사용자의 목적과 프로세스 그리고 위치 간의 연관관계를 표현한 지식모델을 바탕으로 시공간적 상황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해야 할 업무와 가야 할 위치, 하는 방법 등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ation guide and a service guide to enable a user to handle complex tasks based on situational awareness of location information (space) and process (time). Based on the knowledge model exp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purpose, process, and location, it recognizes the spatiotemporal situa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services such as the work to be done, the location to be taken, and how to go.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관점으로서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방문목적을 입력받는 1단계와; 입력된 사용자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해야 할 서비스인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2단계와; 센서네트워크서버(400)와 로컬정보시스템(300)의 이벤트 정보인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수집하는 3단계와; 상기 상황정보를 바탕으로 프로세스 확장설정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4단계와; 확장설정이 필요없을 경우, 상기 수집된 상황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의 시공간적 상황을 인지하는 5단계와; 상기 인지한 시공간적 상황을 바탕으로 위치,서비스 정보를 안내하는 6단계와; 제공된 위치,서비스 정보에 대해서 반응한 사용자의 이벤트 정보를 바탕으로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제공방법이 제시된다.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in a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comprising: a first step of receiving a visit purpose of a user; Setting a process which is a service which a user must perform in order to perform the input user purpose; Collecting the user's context information which is event information of the sensor network server 400 and the local information system 300; Determining whether the process extension setting is necessary based on the situation information; Step 5 for recognizing the current spatiotemporal situ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collected situation information when no extension setting is necessary; Step 6 for guiding loc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based on the recognized spatiotemporal situation; Disclosed is a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seven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process is terminated based on event information of a user who responds to the provided loc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상기 제 1 관점에 있어서,In the first aspect,

상기 4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확장설정이 필요할 경우 프로세스확장설정을 하고 상기 5단계로 진행하는 8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4, if the extension setting is necessary, the process further includes setting step 8 and proceeding to step 5;

상기 제 1 관점에 있어서,In the first aspect,

상기 7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프로세스가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센서네트워크서버(400)와 로컬정보시스템(300)이 사용자이벤트 정보를 디지털가디언서버에 전달하는 9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7, if the process is not terminated, the sensor network server 400 and the local information system 300 further comprises a nine step of delivering the user event information to the digital guardian server,

상기 제 1 관점에 있어서,In the first aspect,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위치,서비스 정보는 사용자의 인지능력에 맞추어 정보를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may be provided by convert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user.

제 2 관점으로서,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이해하고, 사용자 상황을 추론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가디언서버(100)와; 위치, 프로세스, 사용자에 관련된 지식이 표현되어 있는 지식모델(200)과; 상기 디지털가디언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정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디바이스(500)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지털가디언서버(100)에 전송하는 센서네트워크서버(400)와; 사용자에 대한 프로세스 이벤트정보를 상기 디지털 가디언 서버(100)에 전송하는 로컬 정보시스템(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시된다.As a second aspect,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infer the user situation to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service to the user; A knowledge model 200 in which knowledge related to a location, a process, and a user is expressed; A user device 500 for providing a user with the information service received from the digital guardian server; A sensor network server 400 which transmits event information about a user's location to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through a sensor; A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is provided, including a local information system 300 for transmitting process event information about a user to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상기 제 2 관점에 있어서,In the second aspect,

상기 디지털가디언서버(100)는,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상기 로컬 정보시스템(300)과 센서네트워크서버(400)로부터 받은 위치와 프 로세스 이벤트 정보를 상황관리자(120)에게 제공하는 통신관리자(140)와; 상기 통신관리자(140)로부터 받은 상기 위치와 프로세스 이벤트 정보를 상기 지식모델(200)을 통해 해석하여 현재 사용자의 상황을 정의하는 상황관리자(120)와; 상기 지식모델(200)로부터 지식 정보를 검색하고 추론하여 상기 상황관리자(120)에게 제공하는 지식관리자(130)와; 상기 상황관리자(120)로부터 받은 사용자상황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결정하고 제공하는 업무관리자(1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A communication manager 140 for providing the situation manager 120 with the location and process ev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l information system 300 and the sensor network server 400; A situation manager 120 for interpreting the location and process ev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anager 140 through the knowledge model 200 to define a situation of a current user; A knowledge manager 130 for searching and inferring knowledge information from the knowledge model 200 and providing the knowledge information to the situation manager 120;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task manager 110 for determining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based on the user situation received from the situation manager 120,

상기 제 2 관점에 있어서,In the second aspect,

상기 사용자디바이스(500)는,The user device 500,

상기 디지털가디언서버(100)로부터 결정된 정보를 사용자 모델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형태로 표현, 전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자(510)와; 상기 디지털 가디언 서버(100)의 업무관리자(110)로부터 결정된 정보를 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자(510)에게 전달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통신관리자(5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A user interface manager 510 for express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determined from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in a form suitable for a user according to a user mod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ser device communication manager 520 receives the information determined from the work manager 110 of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and delivers it to the user interface manager 510,

상기 제 2 관점에 있어서,In the second aspect,

상기 사용자디바이스(50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서비스를 사용자의 인지능력에 맞추어 정보를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user device 500,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to the user by converting the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cognitive ability,

상기 제 2 관점에 있어서,In the second aspect,

상기 사용자디바이스(500)는, PDA, 핸드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user device 5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device, such as PDA, mobile phone,

상기 제 2 관점에 있어서,In the second aspect,

상기 센서는, RFID와 같은 위치인식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recognition sensor, such as RFID.

본 발명은 익숙하지 않은 장소에서 복잡한 업무를 처리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가야 하는 장소, 해야 할 업무와 하는 방법을 개인 단말기를 통해 안내함으로써 복잡한 업무를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elps to perform a complex task more easily by guiding a user through a personal terminal the place to go, the task to be done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in handling a complex task in an unfamiliar place. It works.

특히, 장애인이나 노인과 같이 인식, 인지 능력이 부족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부족한 정보를 시스템이 보충함으로써 일반인과 동일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lack of recognition and cognitive ability, such as disabled people and the elderly, the system has the effect of supplementing the information that is insufficient to perform the same tasks as the general public.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제공방법을 도시하고 있다.1 illustrates a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 the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system.

사용자가 특정기관, 장소에 입장하면,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센서를 통해 입장여부를 인식하고 단말기화면에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업무(목적)들을 제시한다. 사용자는 그 중 방문목적을 선택한다(S110). 다음으로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설정된 사용자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해야 할 일(혹은 받아야 할 서비스) 순서를 설정한다(S120). 사용자 목적과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는 지식모델에 정의되어 있고, 이를 검색해서 프로세스를 설정하게 된다. 센서네트워크서버(400)와 로컬정보시스템(300)의 이벤트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수집한다(S130). 수집된 상황정보를 바탕으로 프로세스 확장설정이 필요한지 판단한다(S140). 프로세스 확장설정이 필요한 경우 프로세스 확장설정을 한다(S180). 프로세스 확장설정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수집된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지식모델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공간적 상황을 해석한다.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프로세스 단계 중에 어느 시점에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150). 다음으로,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판단한 사용자의 시공간적 상황을 바탕으로 다음 서비스에 대한 안내, 다음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현재의 위치정보, 사용자가 해야 할 일 등을 안내한다(S160). 다음으로 사용자 이벤트 정보를 바탕으로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한다(S170). 프로세스가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 사용자 이벤트정보를 디지털가디언서버에 전달한다(S190).When a user enters a specific institution or place, a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recognizes whether the user is admitted through a sensor and presents tasks (purposes) that the user can perform on the terminal screen. The user selects the purpose of visit (S110). Next, a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sets an order (or service) to be performed by a user in order to perform a set user purpose (S120). Information about user objectives and processes is defined in the knowledge model and retrieved to set up the process. Based on the events of the sensor network server 400 and the local information system 300 collects the user's situation information (S130). Based on the collected situation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ocess extension setting is necessary (S140). If process extension setting is necessary, process extension setting is made (S180). If the process expansion setting is not necessary, the user's spatiotemporal situation is interpreted based on the collected knowledge of the user's context. It is determined at what point in the process steps to be performed by the user and in what position (S150). Next, the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the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guides the next service, the route to the next destinati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user's work, etc. based on the determined time-space situation. ).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ocess is terminated based on the user event information (S170). If the process is not terminated, the user ev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guardian server (S190).

안내를 위한 정보는 지식모델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알고리즘)은 도메인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과업 1을 위치 a에서 수행중이고, 이후 과업 2를 수행하기 위해 위치 b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가 현재 a라는 것을 센서 정보를 토대로 알아내며 과업 1을 수행중이라는 것을 로컬정보시스템(300)을 통해 알 수 있다. 사용자가 과업 1을 마치게 되면 이 이벤트가 디지털가디언서버(100)로 전송되므로,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센서 정보는 변화가 없더 라도 디지털가디언서버(100)는 사용자에게 과업 2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소 b로 이동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formation for guidance is included in the knowledge model, and the method of utilizing this information (algorithm) can be applied to various domains. For example, if a user is performing task 1 at position a, and then needs to move to position b to perform task 2, a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indicates that the user's position is currently a. Based on the local information system 300 to find out that the task 1 is being performed. When the user completes task 1, the event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Therefore, even if the sensor information of the user's location does not change,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performs the task 2 to the user. It can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move to.

본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상황인지, 정보검색 및 추론을 위한 핵심 방법으로 위치와 프로세스 간의 관계가 표현된 지식모델을 활용한다. 우선, 시공간적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목적을 알아야 하고 그에 따른 프로세스 설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프로세스(Service)와 위치(Location) 간의 연관관계를 표현한 지식모델을 근간으로 수집된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시공간 현재 상황(Context)을 인지하게 된다. 도 13은 프로세스와 위치간의 연관관계를 표한한 지식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해야 할 업무와 가야 할 위치, 하는 방법 등의 종합적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바를 이루고 전체 프로세스를 마무리 지을 수 있게 도와준다. As a key method for context recognition, information retrieval and inference in this time-space situation recognition system, the knowledge model exp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tion and process is used. First, in order to properly recognize the space-time situation, the user's purpose must be known and the process set up accordingly. And it analyzes the context information collected on the basis of the knowledge model expressing the relation between service and location and recognizes the current time and space context. Figure 13 shows a knowledge model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ss and location. Based on this, the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pace-time situational awareness can complete the whole process quickly and conveniently, while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services such as work to be done, location to go and how to go. Help

세부적으로, 사용자의 상황정보는 센서네트워크서버(400)와 로컬정보시스템(300)을 통해 취득한 이벤트 정보를 바탕으로 형성되며, 형성된 상황정보는 지식모델(200)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공간적 상황을 분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목적과 그에 따른 프로세스는 미리 정의된 지식모델(200)에 의해 추론되고, 그 추론값을 가지고 기본 프로세스를 설정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프로세스 단계 중에 어느 시점에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시공간 상황정보로 현재 사용자를 인식한 시스템은 해당 사용자가 알고 싶은 다음 서비스에 대한 안내, 다음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현재의 위치정보, 사용자 가 해야 할 일 등을 안내하게 된다. 이 때 서비스 단계별로 그에 해당하는 정보를 사용자에 맞는 수준의 콘텐츠로 제공한다.In detail, the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formed based on event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ensor network server 400 and the local information system 300, and the formed situation information analyzes the user's spatiotemporal situation based on the knowledge model 200. Done. For example, the user purpose and the resulting process are inferred by the predefined knowledge model 200, and the basic process is set with the inference value. This allows you to determine where and at what point in the process steps the user should perform. The system that recognizes the current user with the spatiotemporal situation information will guide the next service that the user wants to know, the route to the next destinati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work.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level is provided as a level of content suitable for the user.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특정기관, 장소에 입장하면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센서를 통해 입장여부를 위치 정보로 인식하고, 단말기화면에 해당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선택 가능한 여러 프로세스 정보를 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 중에 방문목적에 적합한 프로세스(Original Process)를 선택하게 된다.Basically, when a user enters a specific institution or place, a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pace and time situation recognition recognizes whether or not the position is entered through the sensor and presents various process information that the user can perform on the terminal screen. do. The user selects an original proces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visit.

그 다음으로 시스템은 설정된 사용자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해야 할 일 또는 받아야 할 서비스 순서를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된 전체 프로세스는 실시간으로 수집된 사용자 상황정보를 바탕으로 단계별로 진행된다. 그렇지만 처음에 설정된 기본 프로세스는 사용자의 시공간 상황이 변함에 따라 부분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도 2에서 제시한 병원진료를 예를 들어, 접수를 하고 진료를 하는 것이 기본으로 설정된 프로세스이다. 하지만 진료의 결과에 따라 수납 전에 ‘검사’나 ‘입원’이라는 서비스가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진료’나 ‘이동’ 중에 사용자의 욕구나 상황에 따른 현 상황(Current Situation)의 변화에 의해 ‘화장실’과 ‘휴식’같은 임무가 추가될 수 있다Next, the system sets the order in which the user must do or receive the services to perform the set user purpose. The entire process is set up in stages based on user context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 time. However, the default process initially set up may change in part as the user's space-time situation changes. For example, the reception and the medical treatment of the hospital medical treatment shown in FIG. 2 are basically processes. However,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 medical treatment, services such as 'examination' or 'hospitalization' may be added before receiving. In addition, tasks such as 'toilet' and 'rest' may be added by changing the current situation according to the user's desire or situation during the 'care' or 'movement'.

물론 ‘병원진료’뿐 만 아니라, 일반적인 사용자 안내 서비스에서 이러한 프로세스의 높은 적합성(Adaptation)과 유연성(Flexibility)은 필요한 요건이다.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 시점에서의 편의를 최대한 반영한 것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의 결정된 프로세스를 따라 기본적인 위치 이동 이나 서비스 이동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이 필수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3은 사용자 시공간 상황에 따른 프로세스의 높은 적합성을 도시하고 있다.Of course, not only 'hospital care' but also the high adaptability and flexibility of these processes in general user guidance services are necessary. This is because a system based on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should reflec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t the present tim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user-centered service rather than forcing basic location or service movement according to the existing determined process. Figure 3 illustrates the high suitability of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user space time situation.

도 4는 위치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식구조와 위치와 함께 프로세스를 동시에 고려하기 위한 지식구조를 개념적으로 비교한 도면이다. 기존의 위치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식구조에서는(왼쪽) 각 위치와 각 서비스 간의 관계가 정의되어 있어, 사용자가 해당 위치에 존재하면 위치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위치와 프로세스를 동시에 고려한 지식모델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중에서도 사용자의 목적(프로세스)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음 서비스에 대한 위치 및 내용에 대한 안내를 가능하게 한다.4 is a conceptual comparison of a knowledge structure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and a knowledge structure for simultaneously considering a process together with a location. In the existing knowledge structure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s (left), a relationship between each location and each service is defined, and if a user exists at the location, services related to the location can be provided. In contrast, the knowledge model that considers the location and process at the same time can provide a service that meets the user's purpose (process) among the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at the user's current location. do.

도 5는 위치와 함께 프로세스를 동시에 고려한 지식모델을 통해 가능한 서비스의 예를 보여준다. 도 5의 A는 프로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야 할 위치를 안내하고 찾아가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B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위치에서도 사용자의 목적, 프로세스 진행상황에 따라 다른 정보를 안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302호를 목적지로 가고 있는 사용자가 301호에 있는 경우에는 지금은 301호이고 다음 방이 302호라는 것을 안내할 수 있으며, 목적지가 301호인 사용자에게는 목적지 301호에 도착했음을 알려줄 수 있다.Figure 5 shows an example of a service that is possible through a knowledge model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the process with location. A of FIG. 5 shows that the process information can be used to explain a method of guiding and navigating a user's location. B shows that even in the presence of the user, other information can be guided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and process progress. For example, if the user who is heading for 302 is in 301, the user can be informed that it is now 301 and the next room is 302, and the user whose destination is 301 can be notified that he has arrived at destination 301. .

도 6은 디지털가디언서버(100)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디지털가디언서버(100)는 외부 센서 네트워크서버(400)와 로컬 정보시스템(300)으로부터 상황 정 보를 받아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이해하고, 사용자 상황을 추론하여 사용자디바이스(5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6 shows a system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receives the situ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ensor network server 400 and the local information system 300, understand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infers the user situa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through the user device 500. Provide service.

상기 디지털가디언서버(100)는 통신관리자(140), 지식관리자(130), 상황관리자(120), 업무관리자(110)로 구성된다. 통신관리자(140)는 로컬 정보시스템(300)과 센서네트워크서버(400)로부터 센서 데이터와 이벤트 정보를 입력 받는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 시에 해당 정보를 요청한다. 받은 센서 데이터와 이벤트 정보를 상황관리자(120)에게 제공한다.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is composed of a communication manager 140, knowledge manager 130, situation manager 120, task manager 110. The communication manager 140 receives sensor data and event information from the local information system 300 and the sensor network server 400. It also requests the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the user. Provide the received sensor data and event information to the situation manager 120.

상황관리자(120)는 통신관리자(140)로부터 받은 센서 데이터와 이벤트 정보를 지식모델(200)을 통해 해석하여 현재 사용자의 상황을 정의한다. 특히 사용자의 목적과 현재의 위치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해야 할 일과 가야 할 곳을 지식모델(200)을 통해 추론한다.The situation manager 120 analyzes sensor data and ev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anager 140 through the knowledge model 200 to define the situation of the current user.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user's work and where to go to infer through the knowledge model (200).

지식관리자(130)는 지식모델(200)에서부터 지식 정보를 검색/추론하여 상황관리자(120)가 요구한 정보를 제공한다.The knowledge manager 130 searches for and infers knowledge information from the knowledge model 200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situation manager 120.

업무관리자(110)는 상황관리자(120)로부터 받은 사용자상황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결정하고 제공한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가야 하는 곳을 안내하고, 현재 위치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위치 안내). 현재 사용자의 업무 진행상황을 알려주고,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앞으로 해야 할 일을 안내한다(서비스 안내). 특정 서비스를 받기 위해 사용자가 해야 하는 구체적인 업무 안내(사용법 등)를 하며 대기시간 등의 현재 주변상황 정보를 제공한다.The task manager 110 determines and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based on the user situation received from the situation manager 120. It guides you where to go based on your current location, and provides a description of your current location (location guide). It informs you of the current user's progress and guides you to the future tasks according to your purpose (service guide). It provides specific business guidance (how to use, etc.) that a user must do in order to receive a specific service, and provides the current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such as waiting time.

지식모델(200)은 사용자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위치, 프로세스, 사용자 에 관련된 지식이 표현되어 있다. 특히 위치와 프로세스 간의 관계를 정의하여 위치와 프로세스를 동시에 고려한 상황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도 13과 같이, 지식모델은 시스템이 사용자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위치(Location), 프로세스(Service), 사용자(User) 부분으로 나누어진다.The knowledge model 200 expresses knowledge related to a location, a process, and a user so that the user's situation can be understood. In particular, it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tion and process, making it possible to consider the situation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13, the knowledge model is divided into a location, a service, and a user so that the system can understand the user's situation.

PDA,Smart Phone과 같은 사용자 디바이스(500)는 사용자에게 위치·서비스 안내를 제공한다. 시각장애인에게 문자(Text)를 음성(Voice)으로 안내하는 예와 같이, 장애인 및 고령자 개인의 인지능력에 맞추어 정보를 변환하여 제공하게 된다. 사용자 디바이스(5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자(510)와 사용자 디바이스 통신관리자(520)로 구성된다.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자(510)은 업무관리자(110)로부터 결정된 정보(컨텐츠)를 사용자 모델(나이, 성별, 장애 정도 등)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형태로 표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디바이스 통신관리자(520)는 상기 디지털 가디언 서버(100)의 업무관리자(110)로부터 결정된 정보를 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자(510)에게 전달한다.The user device 500 such as a PDA or a smart phone provides a user with location and service guidance. As in the example of guiding text to the visually impaired, the information is convert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The user device 500 is composed of a user interface manager 510 and a user device communication manager 520. The user interface manager 510 uses information (content) determined from the work manager 110 to determine a user model (age, gender). , The degree of disability, etc.) to express and deliver in a form suitable for the user. The user device communication manager 520 receives the 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task manager 110 of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user interface manager 510.

센서네트워크서버(400)는 RFID와 같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지털 가디언 서버(100)에 전송한다. 센서네트워크서버(400)는 센서와 미들웨어로 이루어져 있다. 에이전시에 배치된 센서는 사용자의 위치나 행동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센서 데이터는 미들웨어를 통해 정보로 변환되어 상기 디지털 가디언 서버(100)로 전달된다.The sensor network server 400 transmits event information about a user's location to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through a sensor such as RFID. Sensor network server 400 is composed of a sensor and the middleware. The sensor disposed in the agency detects information regarding a user's location or behavior, and the detected sensor data is converted into information through middleware and transmitted to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또한 로컬 정보시스템(300)은 사용자에 대한 프로세스 이벤트(예: 접수완료, 수납완료 등) 정보를 상기 디지털 가디언 서버(100)에 전송한다. 로컬 정보 시스템 은 각 에이전시(Agency)의 정보 시스템이며, 사용자에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적인 위치 및 프로세스 정보 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에는 건물의 배치도, 센서 배치에 관련된 정보 등이 있다. 그리고 프로세스 정보에는 각 섹션에서 행해지는 업무의 종류와 에이전시가 관장하는 업무 흐름과 같은 정보가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정보시스템(300)은 에이전시가 주관하는 각종 업무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프로세스 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XML 형태로 표준화하여 상기 디지털 가디언 서버(100)로 전달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지식모델(200)에 저장되며, 지식 관리자(130)에 의해 변환되어 업부관리자(110)와 상황 관리자(120)에게 분산된다. 이렇게 변환되어 분산된 정보들은 사용자의 상황을 면밀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고 프로세스의 말단인 과업의 배치와 수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local information system 300 transmits process event (eg, reception completion, storage completion, etc.) information about the user to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Local information system is an information system of each agency and has basic location and process information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to user. For example,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es a layout of a building, information related to sensor arrangement, and the like. Proces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of work performed in each section and the work flow managed by the agency. In addition, the local information system 300 standardizes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process information, and the event information of the user generated in various tasks managed by the agency in the form of XML and delivers it to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Such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knowledge model 200 and is converted by the knowledge manager 130 and distributed to the business manager 110 and the situation manager 120. This transformed and distributed information enables the user to be closely aware of the user's situation and to efficiently arrange and modify tasks at the end of the process.

본 발명을 구체적인 상황을 통해 살펴보면, 전화예약을 한 후 병원에 처음으로 방문한 환자의 경우, 상기 센서네트워크서버(400)는 RFID와 같은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가 병원 안에 들어왔음을 인식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디지털가디언서버(100)에 전달하고(위치), 상기 디지털가디언서버(100)는 사용자의 예약 여부를 로컬정보시스템(300)을 통해 확인한다(프로세스). 이렇게 형성된 정보는 상기 지식모델(200)을 통해 상황 정보로 체계화된다. 체계화된 상황 정보는 사용자가 ‘어느 장소에 위치하는가?’,‘프로세스가 현재 어디까지 진행되었는가?’라는 물음에 정확한 해답을 제시해준다. 예약한 사용자가 병원 안에 위치함으로 병원진료를 받으러 왔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하고, 한편으로 예약을 하고 왔기에 병원 안에 위 치한 사용자를 예약환자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디에 위치했는가를 파악하고 현 단계의 프로세스를 모두 파악해야만 명확한 사용자 상황을 정의할 수 있게 된다.Looking at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specific situation, in the case of a patient who visited the hospital for the first time after making a telephone reservation, the sensor network server 400 recognizes that the user has entered the hospital through a sensor, such as RFID, through the network.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transmits the position (location), and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checks whether or not the user is reserved through the local information system 300 (process). The information thus formed is organized into contextual information through the knowledge model 200. Organized contextual information provides accurate answers to the questions where users are located and how far is the process going? The user who made a reservation can be recognized that they have come to receive medical treatment by being located in the hospital. On the other hand, the user who is in the hospital can be recognized as a reserved patient because of the appoint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know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to understand all the processes at this stage so that a clear user situation can be defined.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우선 사용자의 시공간 상황을 제대로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7과 같이 사용자의 목적과 프로세스 그리고 위치 간의 연관관계를 표현한 상기 지식모델(200)을 바탕으로 시공간적 상황을 인식한다. 도 7은 시공간 상황 정보 생성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A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must first properly recognize the space-time situation of the user. To this end, as shown in FIG. 7, the spatiotemporal situation is recognized based on the knowledge model 200 expressing a relation between a user's purpose, a process, and a location. 7 illustrates a process of generating space-time situation information.

그리고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시공간적 상황으로부터 사용자의 과업과 경로 등을 추론한다. 이를 근간으로 추론 가능한 시점까지의 프로세스를 구체화하며 특히, 현 단계의 프로세스를 명확히 한다. 마지막으로,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도 8과 같이 사용자의 유형과 등급에 적합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한다. 도 8은 사용자 유형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제공 내용을 도시하고 있다.And the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infers user's task and path from space-time situation. Based on this, the process to the point of inference can be specified, and in particular, the process at the present stage is clarified. Finally, the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provides customized content suitable for the type and grade of the user as shown in FIG. 8. 8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ent of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according to a user type.

다음으로 실시예를 살펴보자. 본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공공기관 중, 복잡한 구조와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는 병원을 대상으로, 진료를 마친 사용자가 채혈을 위해서 다음 검사실로 이동하는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사용자는 진료실부터 다음 서비스인 검사를 받기 위해 이동하면서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고 제공받는다. 이 때, 도 9과 같이 이벤트를 일으키는 주체(시스템 혹은 사용자)와 정보의 종류(위치 혹은 프로세스)에 따라 네 가지의 상황을 제안하였다. Next, let's look at an embodiment. Among the various public institutions that can apply this time and space situ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we set up a scenario in which a user who completed treatment moves to the next laboratory for blood collection, targeting a hospital with a complex structure and process. The user requests and is provided with necessary information while moving from the medical office to the next service, which is a test.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four situations are proposed according to the subject (system or user) causing the event and the kind of information (location or process).

① 첫 번째 상황 : 사용자가 내과 진료를 마치고 나온 직후, 시스템이 다음 서비스 존인 검사실(채혈실)로 가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① First situation: Immediately after the user exits medical treatment, the system provides the user with information to the next service zone, the laboratory (blood collection room).

② 두 번째 상황 : 사용자가 검사실로 가는 도중에 자신의 현재 위치가 궁금해졌다. Mobile Device를 통해 현재 위치와 남은 경로에 대해 정보를 요청하고 제공받게 된다.② Second situation: The user was wondering where he is on the way to the laboratory. The mobile device requests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remaining route.

③ 세 번째 상황 : 사용자가 검사실에 가서 받아야 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③ Third situation: The user will go to the laboratory and ask for the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 and receive the relevant information.

④ 네 번째 상황 : 사용자가 검사실에 도착한 후, 시스템이 대기 인원을 파악하고 대기 혹은 입장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한다.④ Fourth Situation: After the user arrives at the laboratory, the system will identify the waiting personnel and deliver a message about the waiting or entry.

앞에서 분석한 시나리오를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의 시퀀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었다. 도 10은 시퀀스다이어그램에 사용한 아이콘을 설명하고 있다. 도 11은 분석한 시나리오의 시퀀스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있다.The scenario analyzed above is shown as a sequence diagram of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 10 illustrates the icons used in the sequence diagram. 11 shows a sequence diagram of the analyzed scenario.

도 11의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간략히 살펴보면, 사용자(User)가 내과 진료를 마치고 나오면서 사용자의 위치가 진료실에서 복도로 바뀌는 것을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가 인식을 하게 된다. 그리고 그 정보는 바로 서버(D.G.Server)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갱신된다. 이어서 서버는 사용자의 다음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하여 병원 클라이언트(Hospital Client)로부터 입력받았던 사용자의 다음 서비스 정보를 호출하게 되고, 그 내용을 병원서버(Hospital Server)로부터 넘겨받게 된다. 이 정보를 가지고 서버는 다음 서비스 장소가 어디며 어떻게 찾아가야 하는지를 추론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경로 정보를 사용자는 휴대용 장치(Mobile Device)로부터 적합한 컨텐츠로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Referring to the sequence diagram of FIG. 11, the sensor network recognizes that the user's location changes from the office to the corridor as the user exits the medical treatment. The information is immediately moved to the server D.G.Server to update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he server then retrieves information about the user's next service. Thus, the next service information of the user who received the input from the hospital client (Hospital Client) is called, and the contents are transferred from the hospital server. With this information, the server infers where the next service location is and how to get there. The generated route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user as appropriate content from the mobile device.

앞에서 언급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먼저, 우리는 병원의 프로세스와 구조에 대해 분석하여 온톨로지를 이용한 지식모델을 개발한다. 그 다음, UML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설계하고, 서버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갖는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아래 도 12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UI를 나타내었다. 위 그림의 왼쪽 화면은 현재 위치와, 서비스를 받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경로를 나타낸다. 현 위치 혹은 다음 가야 할곳에 대해 정보를 얻고 싶은 사용자는 중앙의 지도에 표시된 위치와 경로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화면 하단에 아이콘 등으로 최소한의 프로세스 정보를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가이드를 제시한다. 사용자가 자세한 프로세스 정보 혹은 대기인수와 같은 유용한 정보를 알고 싶을 때에는 오른쪽 그림과 같은 화면으로 전환하여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You can develop an application based on the scenario mentioned earlier. First, we analyze the process and structure of the hospital and develop a knowledge model using ontology. Next, the system was designed using UML, and a system prototype with servers and mobile devices was developed. The UI of the application implemented in FIG. 12 is shown below. The left screen of the above figure shows your current location and the path you need to travel to get the service. The user who wants to get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location or the next place to go can get the information through the location and route displayed on the central map, and present the guide to the user by displaying the minimum process information by the icon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f the user wants to know useful information such as detailed process information or waiting arguments, the user can switch to the screen as shown on the right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문자 정보에 익숙하지 않은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거나, 저시력자 혹은 전맹과 같이 화면 확대 혹은 시각 정보의 변환이 필요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환되어 제공될 수 있다.Such a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in a variety of forms when it is intended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who is unfamiliar with text information, or when a user needs to enlarge a screen or convert visual information, such as a low vision person or a blind person.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at.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도 1은 본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제공방법을 도시하고 있다.1 illustrates a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 the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system.

도 3은 사용자 시공간 상황에 따른 프로세스의 높은 적합성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3 illustrates the high suitability of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user space time situation.

도 4는 위치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식구조와 위치와 함께 프로세스를 동시에 고려하기 위한 지식구조를 개념적으로 비교한 도면이다.4 is a conceptual comparison of a knowledge structure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and a knowledge structure for simultaneously considering a process together with a location.

도 5는 위치와 함께 프로세스를 동시에 고려한 지식모델을 통해 가능한 서비스의 예를 보여준다.Figure 5 shows an example of a service that is possible through a knowledge model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the process with location.

도 6은 디지털가디언서버(100)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6 shows a system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guardian server 100.

도 7은 시공간 상황 정보 생성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7 illustrates a process of generating space-time situation information.

도 8은 사용자 유형에 따른 맞춤형 컨텐츠 제공 내용을 도시하고 있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ent of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according to a user type.

도 9는 이벤트를 일으키는 주체(시스템 혹은 사용자)와 정보의 종류(위치 혹은 프로세스)에 따라 네 가지의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FIG. 9 shows four situations depending on the subject (system or user) causing the event and the type of information (location or process).

도 10은 시퀀스다이어그램에 사용한 아이콘을 설명하고 있다.10 illustrates the icons used in the sequence diagram.

도 11은 분석한 시나리오의 시퀀스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있다.11 shows a sequence diagram of the analyzed scenario.

도 12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UI를 도시하고 있다.12 illustrates a UI of an application implemented in FIG. 12.

도 13은 프로세스와 위치간의 연관관계를 표한한 지식모델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3 shows a knowledge model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ss and location.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0 : 디지털 가디언 서버 110 : 업무관리자100: digital guardian server 110: task manager

120 : 상황관리자 130 : 지식관리자120: situation manager 130: knowledge manager

140 : 통신관리자 200 : 지식모델140: communication manager 200: knowledge model

300 : 로컬정보시스템 400 : 센서네트워크서버300: local information system 400: sensor network server

500 : 사용자디바이스 510 :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자500: user device 510: user interface manager

520 : 사용자 디바이스 통신관리자520: user device communication manager

Claims (10)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In the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based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사용자의 방문목적을 입력받는 1단계와;Step 1 of receiving a visit purpose of the user; 입력된 사용자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해야 할 서비스인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2단계와;Setting a process which is a service which a user must perform in order to perform the input user purpose; 센서네트워크서버와 로컬정보시스템의 이벤트 정보인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수집하는 3단계와;Collecting user context information which is event information of the sensor network server and the local information system; 상기 상황정보를 바탕으로 프로세스 확장설정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4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process extension setting is necessary based on the situation information; 확장설정이 필요없을 경우, 상기 수집된 상황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의 시공간적 상황을 인지하는 5단계와;Step 5 for recognizing the current spatiotemporal situ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collected situation information when no extension setting is necessary; 상기 인지한 시공간적 상황을 바탕으로 위치,서비스 정보를 안내하는 6단계와;Step 6 for guiding loc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based on the recognized spatiotemporal situation; 제공된 위치,서비스 정보에 대해서 반응한 사용자의 이벤트 정보를 바탕으로 프로세스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는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제공방법.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rocess is terminated based on the event information of the user in response to the provided location, service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4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확장설정이 필요할 경우 프로세스확장설정을 하고 상기 5단계로 진행하는 8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제공방법.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4, when the expansion setting is necessary, the process of setting the expansion and further comprising the eight steps of proceeding to the step 5, the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bas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7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프로세스가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센서네트워크서버와 로컬정보시스템이 사용자이벤트 정보를 디지털가디언서버에 전달하는 9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제공방법.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7, if the process is not terminated, the sensor network server and the local inform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nine steps of delivering the user event information to the digital guardian server, the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based information providing Way.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위치,서비스 정보는 사용자 유형에 따라 제공하는 정보내용과 형태, 표현방법을 다르게 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제공방법.The loc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may be provided by different information content, form, and expression method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r type.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이해하고, 사용자 상황을 추론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가디언서버와;A digital guardian server that understand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and infers the user's situation to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service to the user; 위치, 프로세스, 사용자에 관련된 지식이 표현되어 있는 지식모델과;A knowledge model representing knowledge related to location, process, and user; 상기 디지털가디언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정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와;A user device for providing a user with the information service received from the digital guardian server;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상기 디지털가디언서버에 전송하는 센서네트워크서버와;A sensor network server transmitting event information on a location of a user through a sensor to the digital guardian server; 사용자에 대한 프로세스 이벤트정보를 상기 디지털 가디언 서버에 전송하는 로컬 정보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based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local inform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the process event information for the user to the digital guardian server.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디지털가디언서버는,The digital guardian server, 상기 로컬 정보시스템과 센서네트워크서버로부터 받은 위치와 프로세스 이벤트 정보를 상황관리자에게 제공하는 통신관리자와;A communication manager for providing a situation manager with location and process ev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l information system and sensor network server; 상기 통신관리자로부터 받은 상기 위치와 프로세스 이벤트 정보를 상기 지식모델을 통해 해석하여 현재 사용자의 상황을 정의하는 상황관리자와;A situation manager defining a situation of a current user by interpreting the location and process ev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anager through the knowledge model; 상기 지식모델로부터 지식 정보를 검색하고 추론하여 상기 상황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지식관리자와;A knowledge manager for searching and inferring knowledge information from the knowledge model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situation manager; 상기 상황관리자로부터 받은 사용자상황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결정하고 제공하는 업무관리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based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ask manager to determine and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based on the user situation received from the situation manager.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상기 사용자디바이스는,The user device, 상기 디지털가디언서버로부터 결정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자와;A user interface manager for delivering the information determined from the digital guardian server to a user; 상기 디지털 가디언 서버의 업무관리자로부터 결정된 정보를 받아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통신관리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based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user device communication manager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determined from the task manager of the digital guardian server and delivers it to the user interface manager.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상기 사용자디바이스는,The user device,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서비스를 사용자의 인지능력에 맞추어 정보를 변환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A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characterized by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to the user by convert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gnitive ability.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상기 사용자디바이스는,The user device, PDA, 핸드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Space and time situ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device such as PDA, mobile phone.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상기 센서는,The sensor, RFID와 같은 근거리무선통신 수단인 위치인식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간 상황인식 기반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A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ased on space-time situation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recognition sensor that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RFID.
KR1020090004212A 2009-01-19 2009-01-19 Process and Location-aware Information Service System KR1010252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212A KR101025251B1 (en) 2009-01-19 2009-01-19 Process and Location-aware Information Servi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212A KR101025251B1 (en) 2009-01-19 2009-01-19 Process and Location-aware Information Servic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853A KR20100084853A (en) 2010-07-28
KR101025251B1 true KR101025251B1 (en) 2011-03-29

Family

ID=4264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212A KR101025251B1 (en) 2009-01-19 2009-01-19 Process and Location-aware Information Servi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25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658B1 (en) * 2010-11-15 2014-08-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base station using paging procedure in mobile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635B1 (en) * 2005-02-24 2006-05-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guidance service by using rfid
KR100789370B1 (en) * 2006-10-18 2007-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of guiding a visitor using a sensor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635B1 (en) * 2005-02-24 2006-05-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guidance service by using rfid
KR100789370B1 (en) * 2006-10-18 2007-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of guiding a visitor using a sensor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853A (en)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vares et al. Hefestos: an intelligent system applied to ubiquitous accessibility
Rodriguez-Sanchez et al. Accessible smartphones for blind users: A case study for a wayfinding system
Barbosa et al. TrailCare: An indoor and outdoor Context-aware system to assist wheelchair users
KR20120010864A (en) Guide System and Guide Service Method for a Medical Center
Chaudary et al. Teleguidance-based remote navigation assistance for visually impaired and blind people—usability and user experience
KR20190006754A (en) Hospital reservation system with family management function
WO2020255220A1 (en) Aid giver selection device, aid giver selection method, and program
JP2009123181A (en)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Connier et al. Perception assistance for the visually impaired through smart objects: concept, implementation, and experiment scenario
Bisgaard et al. How is Context and Context-awareness defined and Applied? A survey of Context-awareness
Doush et al. A survey on accessible context-aware systems
Hersh Mobility technologies for blind, partially sighted and deafblind people: Design issues
Tavares et al. Hefestos: a model for ubiquitous accessibility support
Zahabi et al. Design of navigation applica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review of literature and guideline formulation
Macik et al. Smartphoneless context-aware indoor navigation
Black et al. Pervasive computing in the supermarket: Designing a context-aware shopping trolley
Upadhyay et al. Accessibility of healthcare facility for persons with visual disability
Fixova et al. In-hospital navigation system for people with limited orientation
KR101025251B1 (en) Process and Location-aware Information Service System
Ramos et al. Interactive guiding and localization platform
CN116705267A (en) Internet hospit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Minhat et al. TacTalk: Talking tactile map for the visually impaired
Christensen et al. GeoHealth: a location-based service for nomadic home healthcare workers
Tektonidis et al. Accessible Internet-of-Things and Internet-of-Content Services for All in the Home or on the Move.
Harper et al. Exploring hospital wayfinding systems: design guidelines for wayfinding inte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