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911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통보 및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통보 및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911B1
KR101024911B1 KR1020030088432A KR20030088432A KR101024911B1 KR 101024911 B1 KR101024911 B1 KR 101024911B1 KR 1020030088432 A KR1020030088432 A KR 1020030088432A KR 20030088432 A KR20030088432 A KR 20030088432A KR 101024911 B1 KR101024911 B1 KR 101024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nc
mobile
code
imsi
mobil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4796A (ko
Inventor
경찬호
안종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8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911B1/ko
Publication of KR20050054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cdma2000의 규정에 따른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 :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를 사용하는 기지국/이동국이 특정 국가 내의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한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 : Mobile Network Code)에 대한 정보를 상대측에 통보하여,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로 어떠한 자리 수를 사용하더라도 이동국/기지국이 네트워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cdma2000,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 이동 국가 코드(MCC),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 이동국 식별번호(MSIN)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and extracting code to identify mobile-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ITU-T E.212에 규정된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국제 이동국 식별자의 11번째/12번째 자리 값(IMSI_11_12)이 ITU-T E.212의 규정에 의한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일부와 매칭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이 이동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구조들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세 번째 자리 수를 나타내기 위한 필드(IMSI_10)의 매핑 관계를 나타낸 테이블.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대한 정보를 이동국이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구조들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클래스 0 IMSI의 경우에, 기지국이 이동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클래스 1 IMSI의 경우에, 이동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 한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cdma2000 시스템의 국제 이동국 식별자(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 이하, IMSI라 약칭함)를 구성하는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 : Mobile Network Code)를 이용하여 특정 국가 내의 네트워크를 구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ITU-T E.212에 규정된 IMSI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동 국가 코드(Mobile Country Code ; 이하, MCC라 약칭함)와 이동 네트워크 코드(Mobile Network Code ; 이하, MNC라 약칭함)와 이동국 식별번호(Mobile Station Identifier Number ; 이하, MSIN라 약칭함)를 포함하여 구성된 IMSI를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MCC는 각 국가를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각 국가별로 고유한 번호를 할당하기 위해 세 자리 수를 가진다. 여기서 "자리 수"는 디지트(digit)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도 디지트를 자리 수로 설명한다.
MNC는 각 국가 내에서 네트워크를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동일한 MCC를 사용하는 국가 내에서 여러 네트워크를 구분하는데 사용되며, MNC는 두 자리 또는 세 자리의 수를 가진다.
MSIN는 각 네트워크 내에서 이동국(MS : Mobile Station)을 구분하는데 사되 는 것으로, 동일한 MNC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내에서 여러 이동국을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상기에서 MNC와 MSIN을 합하여 국가 이동국 식별자(NMSI : 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라 한다.
상기에서 MNC와 MSIN을 합하여 국가 이동국 식별자(NMSI : 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라 한다.
IMSI는 상기 MSIN의 길이에 따라 최대 15 자리 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한 도 1과 같이 이동국에게 국제적으로 고유한 식별번호를 할당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IMSI의 MCC와 MNC를 안다면, 이동국이 국제적 로밍(roaming)을 하는 경우라도 그 이동국이 어느 국가의 어느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IMSI를 사용하는 하나의 목적은 이동국의 로밍에 따른 요금 청구(Billing)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cdma2000 시스템에서의 IMSI는, ITU-T E.212에 규정된 도 1의 구성과 달리, MCC와 IMSI의 11번째/12번째 자리 값(이하, IMSI_11_12 라 약칭함)과 IMSI_S로 구성된다.
그리고 cdma2000 시스템에서는 길이에 따라 IMSI를 클래스 0 IMSI(class 0 IMSI)과 클래스 1 IMSI 두 가지로 분류한다. 여기서 클래스 0 IMSI는 15 자리 수를 가지며, 클래스 1 IMSI는 15 자리보다 작은 수를 가진다.
상기한 cdma2000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IMSI에서 MCC는 이동 국가 코드로써 각 국가를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ITU-T E.212에 규정된 MCC와 동일한 부분이다.
또한 IMSI_S는 ITU-T E.212에 규정된 MSIN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10 자리 수로 구성된다.
MSIN이 10 자리 수이면 IMSI_S도 MSIN과 같은 10 자리 수가 된다.
그러나 MSIN이 10 자리 수보다 작고, IMSI 전체의 길이가 10 자리 수이거나 10 자리 수보다 크면, IMSI_S는 전체 IMSI의 수 중에서 최하위 10 자리 수의 값을 가진다.
만약 IMSI 전체의 길이가 10 자리 수보다 작으면, IMSI의 최상위 부분에 무의미한 값('0')을 소정 자리 수만큼 패딩(padding)하여 10 자리 수가 되도록 만들고, 그 10 자리 수를 IMSI_S로 세팅한다.
IMSI_11_12는 IMSI의 11번째 및 12번째 자리 수를 가리키는 값으로서, MNC가 두 자리 수인 경우에는 MNC에 매칭되지만 MNC가 세 자리인 경우에는 MNC의 일부와 매칭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의 11번째/12번째 자리 값(IMSI_11_12)이 ITU-T E.212의 규정에 의한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일부와 매칭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 MNC가 3 자리 수이고 MSIN이 9 자리 수임에 따라 cdma2000의 IMSI_S의 길이가 10 자리 수임을 감안하면, IMSI_11_12는 MNC의 상위 두 자리 수와 매칭된다.
그런데 cdma2000 시스템에서 상기한 도 2의 경우와 같이 IMSI_11_12가 MNC의 일부에만 매칭되면, 이동국으로부터 IMSI를 수신한 기지국은 IMSI로부터 MNC를 알아낼 수 없게 된다. 그에 따라 이동국이 속한 네트워크를 구분할 수 없으므로, 이 동국의 로밍 여부를 확인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즉 이동국에 사용된 MNC가 3 자리 수인 경우에는, IMSI_11_12만을 이용하여 MNC를 알아낼 방법이 없다.
특히 이동국에 사용된 MNC가 3 자리 수인 경우에는, 기지국이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IMSI의 IMSI_11_12로부터 그 이동국의 MNC를 알아낼 수 없기 때문에, 현재 로밍 중인 이동국이 어느 국가의 어느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지를 알아낼 수 없고, 그로 인해 이동국의 국제적 로밍에 따른 요금 청구 정보로써 MNC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기지국에서는 MCC와 IMSI_11_12를 이동국에 전송한다. 그런데 MNC가 3 자리 수인 경우라면, 이동국은 수신된 2 자리 수를 사용하는 IMSI_11_12로부터 MNC를 알아낼 수 없다. 따라서 이동국은 현재 자신이 로밍 중인지 아닌지를 파악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cdma2000의 규정에 따른 IMSI를 사용하는 기지국/이동국이 특정 국가 내의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한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대한 정보(MNC의 길이 및 또는 MNC의 최하위 자리 수 값)를 상대측에 통보하여,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로 어떠한 자리 수를 사용하더라도 이동국/기지국이 네트워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의 제1 특징은, 가변 길이의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 : Mobile Network Code)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와, 소정 디지트의 고정 길이를 갖는 하나의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를 포함하는 제1 필드를 이동국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필드의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가 상기 고정 길이 보다 긴 길이를 갖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제2 필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고정 길이보다 긴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를 지원하는 경우에, 제3 필드가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됨을 나타내기 위한 상기 제2 필드의 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3 필드는 상기 이동국의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에서의 자리 수 값을 나타내는 필드(IMSI_10)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3 필드를 수신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및 3 필드에 포함된 값과 자신의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지를 판단한다.
반면에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고정 길이 2 디지트의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를 지원하는 경우에, 제3 필드가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한 상기 제2 필드의 값을 상기 제3 필드가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됨을 나타내기 위한 필드 값과 다르게 설정한 다. 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고정 길이 2 디지트의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를 지원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제3 필드를 전송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내지 3 필드는 상기 이동국과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호 설정(Call setup) 정보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메시지(overhead message)에 실어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이동국의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를 구성하는 자리 수 중에서 11번째/12번째 자리 값(IMSI_11_12)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제2 필드는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되는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IMSI_10_INCL)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의 제2 특징은, 특정 국가 내의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한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대한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대측으로부터 전송된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구해진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 및/또는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최하위 자리 수 값이다.
또한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 및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최하위 자리 수 값은, 기지국이 호출채널(paging channel)과 방송제어 채널(BCCH : Broadcast Control Channel) 중 어느 하나의 특정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해 이동국으로 통보한다.
또한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는, 이동국이 개설 메시지(ORM : Origination message)와 등록 메시지(RGM : Registration Message)와 호출 응답 메시지(Page Response Message : PRM)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 통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의 제3 특징은, 국가를 구분하기 위한 이동 국가 코드(MCC)에 국가별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한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이 저장하는 단계와, 이동국으로부터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의 이동 국가 코드(MCC)로부터 상기 이동국의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정보에 근거한 상기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의 특정 자리 수를 읽어들여 상기 이동 국가 코드(MCC)에 해당되는 국가 내의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cdma2000 시스템에서 기지국 또는 이동국에 사용된 MNC가 3 자리 수인 경우에도 이동국/기지국이 네트워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MNC에 대한 정보(MNC의 길이 및/또는 MNC 최하위 자리 수 값)를 하기한 두 가지 방식으로 상대측(기지국 또는 이동국)에 통보한다.
첫 째, 가변 길이 즉, 3 자리 수 또는 2 자리 수의 MNC를 사용하는 이동국이 개설 메시지(ORM), 등록 메시지(RGM) 또는 호출 응답 메시지(PRM)를 사용하여 MNC에 대한 정보(MNC의 길이)를 기지국으로 통보한다. 개설 메시지(ORM), 등록 메시지(RGM) 또는 호출 응답 메시지(PRM)에 대한 설명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한다.
둘 째, 가변 길이 즉, 3 자리 수 또는 2 자리 수의 MNC를 사용하는 기지국이 호출채널(Paging Channel) 또는 방송제어채널(BCCH)을 통해 전송되는 특정 파라미터 메시지를 사용하여 MNC에 대한 정보를 이동국으로 통보한다. 호출채널(Paging Channel) 또는 방송제어채널(BCCH)을 통해 전송되는 특정 파라미터 메시지에 대한 설명은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대한 정보(MNC의 길이)를 이동국이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구조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개설 메시지(ORM)의 구조이다.
도 3b는 등록 메시지(RGM)의 구조이다.
도 3c는 호출 응답 메시지(PRM)의 구조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개설 메시지(ORM), 등 록 메시지(RGM) 또는 호출 응답 메시지(PRM)에 MNC의 길이를 나타내는 표시자 필드(3_DIGIT_MNC_IND)를 더 삽입시킨다.
여기서 MNC의 길이를 나타내는 표시자 필드(3_DIGIT_MNC_IND)의 값은 1비트를 사용한다.
MNC의 길이가 3 자리 수이면 그 표시자 필드(3_DIGIT_MNC_IND)의 값이 1로 세팅되고, MNC의 길이가 2 자리 수이면 그 표시자 필드(3_DIGIT_MNC_IND)의 값이 0으로 세팅된다.
결국 3 자리 수의 MNC가 사용되는 경우에,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 MNC의 길이를 통보 받기 때문에, IMSI_11_12로부터 MNC의 2 자리 수 값을 알 수 있고 나머지 한 자리 수 값은 IMSI_S의 최상위 자리 수를 읽어들여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해당 이동국의 로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대한 정보(MNC의 길이와, MNC 최하위 자리 수 값)를 기지국이 이동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구조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Extended System Parameters Message ; 이하, ESPM 라 약칭함)의 구조이다.
도 5b는 ANSI-41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ANSI-41 System Parameters Message ; 이하, A41SPM 이라 약칭함)의 구조이다.
도 5c는 MC-RR 파라미터 메시지(MC-RR Parameters Message ; 이하, MCRRPM 이라 약칭함)의 구조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ESPM, A41SPM 또는 MCRRPM에 MNC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IMSI_10_INCL)와 MNC의 상기 IMSI에서의 자리 수 값을 나타내는 필드(IMSI_10)를 더 삽입시킨다.
여기서 MNC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IMSI_10_INCL)의 값은 1비트를 사용한다.
MNC의 길이가 3 자리 수이면 그 필드(IMSI_10_INCL)의 값이 1로 세팅되고, MNC의 길이가 2 자리 수이면 그 필드(IMSI_10_INCL)의 값이 0으로 세팅된다.
또한 3 자리 수의 MNC에서 최하위 자리 수 값을 나타내는 필드(IMSI_10)의 값은 4비트를 사용한다.
MNC의 최하위 자리 수 값을 그 필드(IMSI_10)의 4비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그러나 MNC의 길이가 2 자리 수이면 그 필드(IMSI_10)의 값을 세팅하지 않는다.
예로써, MNC의 길이가 3 자리 수이면, 기지국은 상기한 도 5a 내지 도 5c의 구조를 갖는 파라미터 메시지들 중 하나를 사용하고, 사용되는 파라미터 메시지의 "IMSI_10_INCL" 필드 값과 "IMSI_10" 필드 값을 세팅하여 이동국에 전송한다. 여기서 "IMSI_10_INCL" 필드 값은 1로 세팅되고, "IMSI_10" 필드 값은 도 4에 나타낸 테이블을 참조한 이진 값 중 하나가 세팅된다.
만약 특정 MNC의 10진 디지트가 "123"인 3 자리 수라면, 기지국은 "IMSI_10_INCL" 필드 값을 1로 세팅하고, "IMSI_10" 필드 값을 10진수 "3"을 나타내는 이진수 "0011"로 세팅한다.
반면에 MNC의 길이가 2 자리 수이면, "IMSI_10_INCL" 필드 값을 0으로 세팅하고, "IMSI_10" 필드에는 값을 세팅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세 번째 자리 수 값을 나타내기 위한 필드(IMSI_10)의 매핑 관계를 나타낸 테이블로써, 10진 디지트와 매핑되는 이진수는 "IMSI_10" 필드에 세팅되는 값들이다.
예를 들어, MNC의 세 번째 자리 수 값이 9이면, "IMSI_10" 필드에는 "1001"이 세팅된다.
결국 3 자리 수의 MNC가 사용되는 경우에,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 MCC와 IMSI_11_12만을 제공받는다 할지라도, IMSI_11_12로부터 MNC의 2 자리 수 값을 알 수 있고 나머지 한 자리 수 값은 "IMSI_10" 필드 값을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동국은 현재 자신이 가진 MNC와 비교하여 로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별도의 예로써, 기지국이 국가를 구분하기 위한 MCC에 국가별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한 MNC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기지국은 MCC에 따른 국가별 MNC의 길이를 이미 알고 있다.
결국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 IMSI를 수신하면, 그 이동국의 IMSI의 MCC만을 확인하여 MNC의 길이를 알 수 있으므로,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IMSI의 IMSI_11_12로부터 MNC의 2 자리 수 값을 알 수 있고 나머지 한 자리 수 값은 IMSI_S의 최상위 자리 수를 읽어들여 알 수 있다.
다음은 통보 받은 MNC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MNC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동국으로부터 전송된 개설 메시지(ORM : Origination message)와 등록 메시지(RGM : Registration Message)와 호출 응답 메시지(Page Response Message : PRM)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나열된 메시지에 삽입된 표시자 필드(3_DIGIT_MNC_IND)의 값을 추출하여 MNC의 길이를 알 수 있다.
이동국 MNC의 길이가 3 자리 수인 경우에, 기지국은 IMSI_11_12로부터 MNC의 상위 2 자리 수 값을 구하고, MNC의 최하위 자리 수는 IMSI_S로부터 추출한다. 그리하여 3 자리 수의 MNC를 읽어들여 현재 이동국의 로밍 여부를 식별한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호출채널(paging channel)이나 방송제어채널(BCCH)을 통해 전송되는 ESPM, A41SPM 또는 MCRRPM를 수신한 이동국은 상기 나열된 파라미터 메시지에 삽입된 필드(IMSI_10_INCL)의 값을 추출하여 MNC의 길이를 알 수 있으며, 필드(IMSI_10)의 값을 추출하여 MNC의 최하위 자리 수 값을 알 수 있다.
MNC의 길이가 3 자리 수인 경우에, 이동국은 IMSI_11_12로부터 MNC의 상위 2 자리 수를 구하고, MNC의 최하위 자리 수 값은 필드(IMSI_10)의 값을 추출하여 구한다. 그리하여 3 자리 수의 MNC를 알 수 있으므로 자신의 로밍 여부를 판단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서 클래스 0 IMSI의 경우에, 기지국이 이동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MNC를 추출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기지국은 이동국이 사용하는 MNC가 3 자리 수인 경우에, IMSI_11_12로부터 MNC의 상위 두 자리 수를 구하고, 마지막 한 자리 수는 IMSI_S의 최상위 한 자리 수로부터 구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서 클래스 1 IMSI의 경우에, 이동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MNC를 추출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도 7은 MNC가 3 자리 수이면서 클래스 1 IMSI의 경우이다. 이와 같이 MNC가 3 자리 수이고 클래스 1 IMSI인 경우에 이동국의 MSIN은 9 자리 수보다 작은 수이다.
따라서 이동국은 IMSI_S의 최상위 한 자리 수를 MNC의 마지막 자리 수로 세팅한다. 그리고 IMSI의 최하위 자리 부분에 MSIN을 세팅한다. 그리고 MSIN의 상위 자리 부분에는 무의미한 값의 패딩을 삽입한다.
도 7은 MSIN이 5 자리 수인 경우로써, IMSI_S의 최상위 한 자리는 MNC의 마지막 자리 수가 되고, IMSI_S의 상위에서 2번째/3번째/4번째/5번째 자리 수는 무의미한 값('0000')의 패딩을 삽입하였다. IMSI_S의 나머지 하위 5 자리 수는 MSIN이 삽입된다.
도 7과 같이 IMSI를 구성함으로써, 기지국은 IMSI_11_12로부터 MNC의 상위 두 자리 수를 구하고, MNC의 최하위 한 자리 수는 IMSI_S로부터 추출해 낸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국/기지국은 상대측으로부터 통보 받은 MNC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MNC를 읽어들여 현재 어느 국가의 어느 네트워크에 속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발명에 따르면,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가 어떤 자리 수(2 자리 수 또는 3 자리 수)를 사용하더라도 네트워크 식별이 가능해 지고, 그에 따라 이동국의 로밍 여부를 기지국과 이동국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이는 cdma2000의 규정에 따른 IMSI를 사용하는 기지국이 특정 국가 내의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한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대한 정보(MNC의 길이 및/또는 MNC의 최하위 자리 수 값)를 이동국으로 통보해 주고, 또한 이동국이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통보해 주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cdma2000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동국이 국제적 로밍을 하는 경우에도, cdma2000의 IMSI를 사용하여 그 해당 이동국의 국제적 로밍에 따른 요구 청구의 편의를 도모하는데 문제가 없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25)

  1. 가변 길이의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 : Mobile Network Code)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와;
    국제 이동국 식별자 (IMSI) 를 구성하는 자리 수 중에서 11번째/12번째 자리값(IMSI_11_12)에 해당하는 제1 필드를 이동국에게 전송하는 단계로써, 상기 IMSI_11_12 는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 에 매칭되는, 상기 전송 단계와;
    상기 제1 필드의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와 관련된 제 2 필드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필드는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 (MNC) 의 길이가 소정의 고정 길이와의 비교에 따라서 상이한 값으로 설정되는, 상기 전송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고정 길이보다 긴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를 지원하는 경우에, 제3 필드가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됨을 나타내기 위한 상기 제2 필드의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필드는 상기 이동국의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에서의 자리 수 값을 나타내는 필드(IMSI_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3 필드를 수신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및 3 필드에 포함된 값과 자신의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고정 길이 2 디지트의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를 지원하는 경우에, 제3 필드가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한 상기 제2 필드의 값을 상기 제3 필드가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됨을 나타내기 위한 필드 값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고정 길이 2 디지트의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를 지원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제3 필드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됨을 나타내기 위한 필드 값을 1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3 필드는, 상기 이동국과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된 호 설정(Call setup) 정보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메시지(overhead message)에 실어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드는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되는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IMSI_10_INC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11. 특정 국가 내의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한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대한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로서,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 (MNC) 의 길이 및/또는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 (MNC) 의 최하위 자리 수 값인, 상기 통보 단계와;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 (MNC) 에 매칭되는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의 11번째/12번째 자리값 (IMSI_11_12) 에 근거하여 상대측으로부터 전송된 이동 네트워크 코드 (MNC) 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구해진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 및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최하위 자리 수 값을, 기지국이 호출채널(paging channel)과 방송제어채널(BCCH) 중 어느 하나의 특정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해 이동국으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메시지는, 확장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Extended System Parameters Message : ESPM)와 ANSI-41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ANSI-41 System Parameters Message : A41SPM)와 MC-RR 파라미터 메시지(MC-RR Parameters Message : MCRRPM)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메시지가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 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IMSI_10_INCL)와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최하위 자리 수 값을 나타내는 필드(IMSI_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가 3 자리 수임에 따라 상기 필드(IMSI_10_INCL)의 값을 1로 세팅하고,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가 2 자리 수임에 따라 상기 필드(IMSI_10_INCL)의 값을 0으로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가 3 자리 수임에 따라 상기 필드(IMSI_10)에 4비트를 할당하고, 상기 필드(IMSI_10)에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최하위 자리 수 값을 나타내는 값을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는, 이동국이 개설 메시지(ORM : Origination message)와 등록 메시지(RGM : Registration Message)와 호출 응답 메시지(Page Response Message : PRM)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를 나타내는 표시자 필드(3_DIGIT_MNC_IN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가 2 자리 수임에 따라 상기 표시자 필드(3_DIGIT_MNC_IND)의 값을 0으로 세팅하고,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가 3 자리 수임에 따라 상기 표시자 필드(3_DIGIT_MNC_IND)의 값을 1로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자 필드(3_DIGIT_MNC_IND)의 값이 1로 세팅됨에 따라, 상기 기지국은 상기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의 11번째/12번째 자리 값(IMSI_11_12)과, 상기 이동국을 식별하기 위해 10 자리 수의 코드(IMSI_S)의 최상위 자리 수를 읽어들여 상기 이동국의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22. 국가를 구분하기 위한 이동 국가 코드(MCC)에 국가별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한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이 저장하는 단계로써,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 (MNC) 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 (MNC) 의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저장 단계와;
    이동국으로부터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의 이동 국가 코드(MCC)로부터 상기 이동국의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정보에 근거한 상기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의 특정 자리 수를 읽어들여 상기 이동 국가 코드(MCC)에 해당되는 국가 내의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23. 삭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가 3 자리 수임에 따라, 상기 기지국은 상기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의 11번째/12번째 자리 값(IMSI_11_12)과, 상기 이동국을 식별하기 위해 10 자리 수의 코드(IMSI_S)의 최상위 자리 수를 읽어들여 상기 이동국의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의 길이가 2 자리 수임에 따라, 상기 기지국은 상기 국제 이동국 식별자(IMSI)의 11번째/12번째 자리 값(IMSI_11_12)을 읽어들여 상기 이동국의 이동 네트워크 코드(MNC)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 통보 및 추출 방법.
KR1020030088432A 2003-12-06 2003-12-0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통보 및 추출 방법 KR101024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432A KR101024911B1 (ko) 2003-12-06 2003-12-0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통보 및 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432A KR101024911B1 (ko) 2003-12-06 2003-12-0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통보 및 추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796A KR20050054796A (ko) 2005-06-10
KR101024911B1 true KR101024911B1 (ko) 2011-03-31

Family

ID=3725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432A KR101024911B1 (ko) 2003-12-06 2003-12-0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통보 및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9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513A (ko) * 1999-04-01 2000-11-2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국제 이동국 확인 번호의 변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513A (ko) * 1999-04-01 2000-11-2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국제 이동국 확인 번호의 변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796A (ko)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5929B2 (en) Conversion of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IMSI) number
US7542451B2 (en) Network operator identification for CDMA communication networks
CN101321110B (zh) 使用接入技术标识符来方便网络选择的装置及相关方法
RU2005141458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маски открытого длинного кода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EP2835996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erforming a mobile network switch
CN1819680B (zh) 移动通信终端、移动通信系统及漫游连接方法
EP11981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route request messages for wireless gateway applications
US20020183081A1 (en) Provision of short message services
RU2000113226A (ru) Зависящий от подсети протокол сходимости для сети мобильной радиосвязи
WO1998025420A2 (en) Paging a mobile station within a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KR10103355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국제 이동국 식별자 및 그를 이용한 이동 네트워크 식별 방법
KR10097647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 방법
JP4647935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を使用して移動局に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PT2273826E (pt) Método para utilização conjunta de uma rede de acesso via rádio por parte de diversos operadores de telefones móveis
US20130212301A1 (en) Method for assigning a subscriber identifier to a network subscriber, communication network and network device
US6735439B2 (en) Pseudo-global title translation for international roaming of ANSI-41 subscribers
KR10102491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네트워크 식별을 위한 코드통보 및 추출 방법
US20040203574A1 (en) Emergency call back method applicable to non-coded mobile stations
US20030140169A1 (en) Profile splitting
KR101024910B1 (ko) 이동통신망의 국제 이동국 식별자 및 그를 이용한 이동망식별 방법
Pandya Numbers and identities for emerging wireless/PCS networks
CN103428669A (zh) 标识、识别临时标识的方法、终端、网元设备和系统
EP1246490A1 (en) A method of selecting one base station, a mobile phone and a base station
AU7218300A (en) Paging a mobile station within a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