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601B1 - 쓰레기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601B1
KR101024601B1 KR1020100125432A KR20100125432A KR101024601B1 KR 101024601 B1 KR101024601 B1 KR 101024601B1 KR 1020100125432 A KR1020100125432 A KR 1020100125432A KR 20100125432 A KR20100125432 A KR 20100125432A KR 101024601 B1 KR101024601 B1 KR 101024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eesaw
garbage
case
sl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근
김경지
박창준
정명원
Original Assignee
박윤근
(주)지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근, (주)지앤티 filed Critical 박윤근
Priority to KR102010012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52Lifting, hoisting, elevating mechanisms or the like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8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쉽고 간편한 발 누름 조작을 통해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쓰레기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는 쓰레기통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정면에 도어가 구비되고, 하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도어를 통해 투입된 소형쓰레기통이 안착되며, 양측부에 회전 축이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고, 회전 시 소형쓰레기통에 담긴 쓰레기가 관통공을 통해 쓰레기통에 수용되도록 하는 안착 틀; 상기 안착 틀의 일측 회전 축에 형성된 제1기어와, 상기 케이스의 정면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홀이 구비된 고정블럭과, 상기 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고정설치되어 샤프트의 회전 시 연동하며 외주연에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가 구비된 회동체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는 링크바와, 상기 링크바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케이스를 통과함과 동시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바와, 상기 승하강바의 하단에 설치되는 누름부재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누름조작 시 안착 틀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쓰레기 수거장치{garbage collector}
본 발명은 발 누름 조작을 통해 쉽고 간편하게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쓰레기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 종량제는 쓰레기(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함)없는 깨끗한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95년 1월부터 실시한 제도로 주택의 크기 또는 재산세액에 따라 차등적으로 수수료를 적용하던 기존의 제도와 달리 본인이 버린 쓰레기의 양 만큼 비용을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스스로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품도 최대한 분리 배출하도록 한 제도이다.
특히, 일반가정과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시·군·구에서 제작 판매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에 넣어 일정한 장소에 배출하여야 한다. 그리고, 재활용품과 연탄재는 규격봉투를 사용하지 않으며, 시·군·구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배출하면 무료로 수거해간다. 규격봉투에 넣기 어려운 대형쓰레기 등은 동사무소에 신고한 후 배출하고 시·군·구에 서 정한 별도의 수수료를 납부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종량제 쓰레기 봉투는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량제 쓰레기 봉투의 가격이 비싸다 보니, 많은 량의 쓰레기를 넣기 때문에 봉투가 찢어지는 문제점과 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종량제 쓰레기 봉투는 투명해 내용물이 보임으로 사생활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쓰레기를 버린 만큼 비용을 낸다는 쓰레기 종량제의 기본 원칙 준수가 미흡하여 봉투 가격 인상에 대한 주민 및 시민단체와 자치단체 간의 이견과 반발이 초래되고 지역간 봉투 가격 차이로 인하여 불만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출원인은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98943호 수동식 쓰레기 수거장치를 출원하였습니다.
그러나, 상기한 수동식 쓰레기 수거장치는 사용자가 핸들을 파지한 다음 회전시켜야 함으로써 높은 위치에 있는 핸들을 어린이가 회전하기 쉽지 아니하고, 힘이 약한 노약자도 사용상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습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쉽고 간편한 발 누름 조작을 통해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쓰레기 수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는 쓰레기통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정면에 도어가 구비되고, 하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도어를 통해 투입된 소형쓰레기통이 안착되며, 양측부에 회전 축이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고, 회전 시 소형쓰레기통에 담긴 쓰레기가 관통공을 통해 쓰레기통에 수용되도록 하는 안착 틀; 상기 안착 틀의 일측 회전 축에 형성된 제1기어와, 상기 케이스의 정면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홀이 구비된 고정블럭과, 상기 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고정설치되어 샤프트의 회전 시 연동하며 외주연에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가 구비된 회동체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되는 링크바와, 상기 링크바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케이스를 통과함과 동시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바와, 상기 승하강바의 하단에 설치되는 누름부재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누름조작 시 안착 틀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는 몸체의 중앙 일부가 상기 승하강바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시소바와, 이 제1시소바의 일단에 설치되는 발판과, 상기 제1시소바의 타측이 수용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자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는 일단은 "∩"자형 프레임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시소바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일단은 케이스의 내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체와 연결되어 회전된 회동체를 원위치시키는 제2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 틀에 소형쓰레기통 투입 시 승하강바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상기 일측 회전 축에 형성된 중공과, 상기 중공에 슬라이드 이송가능함과 동시에 양단이 중공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일단은 안착틀을 관통하여 소형쓰레기통 투입 시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바와, 상기 슬라이드바의 일측에 설치되는 "⊃"자형 프레임과, 상기 "⊃"자형 프레임에 시소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이동 시 상단이 상기 슬라이드 바에 밀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 회동하는 제2시소바와, 상기 제2시소바와 "⊃"자형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제2시소바의 회동 시 압축되는 제3스프링과, 상기 제2시소바의 하단에 고정설치됨과 동시에 자유단이 상기 승하강바의 일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제2시소바의 회동 시 자유단이 승하강바로부터 이탈되도록 설치되는 스톱뭉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일단은 슬라이드 바와 연결되고, 타단은 중공과 연결되어 슬라이드 바의 이송 시 압축되는 제4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바는 소형쓰레기통과 접촉되는 일단에 회전롤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쓰레기통과 이 쓰레기통의 상부에 위치하는 케이스를 보호할 수 있도록 캐노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노피는 베이스 판과, 이 베이스 판의 네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에 설치되는 3개의 측판과, 상기 수직바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가 설치되도록 하는 "∩"자형 관체 및 및 상기 수직바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는 사용자의 발 누름 동작에 의해 소형 쓰레기통이 안착된 안착 틀이 180도 회전되어 상기 소형 쓰레기통에 담긴 쓰레기가 케이스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한 쓰레기통에 투입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쓰레기가 담긴 소형쓰레기통이 케이스의 안착 틀에 안착된 후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쓰레기가 버려짐으로 악취의 감소와 미세한 쓰레기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수단을 잠금 및 해제하는 잠금해제수단이 더 구비됨으로써, 소형쓰레기통을 안착 틀에 수용할 때만 승하강봉이 하강함으로써 쓰레기를 버릴 사람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케이스의 일부가 삭제된 후면 사시도,
도 3은 정단면도,
도 4는 평단면도,
도 5는 측단면도,
도 6은 누름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누름부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회동체를 원위치하는 제2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에 잠금해제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이동된 슬라이드 바를 원위치시키는 제4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슬라이드 바의 일단에 구비되는 회전롤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에 캐노피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캐노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안착 틀에 소형 쓰레기통 투입 시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누름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링크바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안착 틀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케이스의 일부가 삭제된 후면 사시도, 도 3은 정단면도, 도 4는 평단면도, 도 5는 측단면도, 도 6은 누름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누름부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회동체를 원위치하는 제2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에 잠금해제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이동된 슬라이드 바를 원위치시키는 제4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슬라이드 바의 일단에 구비되는 회전롤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에 캐노피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캐노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안착 틀에 소형 쓰레기통 투입 시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누름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링크바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안착 틀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10)와, 안착 틀(20)과, 회전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설치되는 안착 틀(20)과, 회전수단(30)을 보호하는 구성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통(G)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정면에 도어(11)가 구비되고, 하면에 쓰레기가 통과하는 관통공(1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2)은 안착 틀(20)에 안착된 소형쓰레기통(g)이 회전수단(30)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소형쓰레기통(g)에 담긴 쓰레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안착 틀(20)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안착 틀(20)은 상기 도어(11)를 통해 투입된 소형쓰레기통(g)이 안착 될 수 있도록 관통공(12)의 양측부에 설치된 플레이트(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축(22)이 양측부에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후술할 회전수단(30)에 의해 회전되면 안착된 소형쓰레기통(g) 또한 회전되어 이 소형쓰레기통(g)에 담긴 쓰레기가 관통공(12)을 통해 쓰레기통(G)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러한 안착 틀(20)은 회전함으로써 안착된 소형쓰레기통(g)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2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3)은 안착 틀(20)이 단차지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부 내주연에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미도시함)
한편, 상기 소형쓰레기통(g)은 안착 틀(20)에 수용됨과 동시에 안착 틀(20)의 회전 시 낙하하지 아니하도록 안착 틀(20)의 크기에 맞게 형성된다. 즉, 규격품을 사용한다.
상기 회전수단(30)은 사용자의 누름조작 시 안착 틀(20)을 회전시켜 안착 틀(20)에 안착된 소형쓰레기통(g)을 회전시켜 이 소형쓰레기통(g)에 담긴 쓰레기가 케이스(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쓰레기통(G)에 담기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수단(30)은 상기 안착 틀(20)의 일측 회전 축(22)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1기어(31)와, 상기 케이스(10)의 정면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수평으로 홀(32a)이 형성되고, 외부와 상기 홀(32a)이 연결되도록 절개부(32b)가 형성된 고정블럭(32)과, 상기 고정블럭(32)의 홀(3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고정블럭(32)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샤프트(33)와, 상기 고정블럭(32)의 절개부(32b)를 통해 일단이 샤프트(33)에 고정설치되어 샤프트(33)의 회전 시 연동하며 외주연에 상기 제1기어(31)와 치합되는 제2기어(34a)가 구비된 회동체(34)와, 상기 샤프트(33)의 일단에 일단부가 고정설치되는 링크바(35)와, 상기 링크바(35)의 타단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케이스(10)의 저면을 통과함과 동시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바(36)와, 상기 승하강바(36)의 하단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하는 누름부재(37)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바(3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면 하부가 "П"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에 승하강바(36)의 상부가 삽입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누름부재(37)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의 중앙 일부가 상기 승하강바(36)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시소바(37a)와, 이 제1시소바(37a)의 일단에 설치되는 발판(37b)과, 상기 제1시소바(37a)의 타측이 수용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자형 프레임(37c)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발판(37b)을 발로 누르면 "∩"자형 프레임(37c)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시소바(37a)가 시소 운동을 하면 이로 인해 제1시소바(37a)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승하강바(36) 또한 하강하여 링크바35와, 샤프트(33)와, 회동체(34) 및 제2기어(34a)와, 제1기어(31)와, 일측 회전축(22)의 연동에 의해 안착 틀(20)이 회전한다.
상기 "∩"자형 프레임(37c)은 지면에 설치되며, 후술할 캐노피(50)가 더 구비될 경우 캐노피(50)의 베이스 판(5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강된 승하강바(36)가 사용자의 누름 조작 완료 시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누름부재(37)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은 "∩"자형 프레임(37c)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시소바(37a)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37d)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수단(3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은 케이스(10)의 내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체(34)와 연결되어 회전된 회동체(34)를 원위치시키는 제2스프링(34b)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착 틀(20)에 소형쓰레기통(g) 투입 시 승하강바(36)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수단(40)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즉, 승하강바(36)가 평소에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안착 틀(20)에 소형쓰레기통(g)을 삽입 안착시킬 때에 승하강바(36)가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잠금해제수단(40)은 상기 일측 회전 축(22)에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양측 개구부 내주연에 단턱(41a)이 형성된 중공(41)과, 상기 중공(41)에 수용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중앙의 직경보다 양단이 직경이 작도록 형성되며, 상기 양단은 중공(41)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일단은 안착 틀(20)을 관통하여 소형쓰레기통(g) 투입 시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바(42)와, 상기 슬라이드 바(42)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자형 프레임(43)과, 상기 "⊃"자형 프레임(43)에 몸체의 중앙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소 운동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드 바(42)의 이동 시 상단이 상기 슬라이드 바(42)에 밀리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하단이 상기 케이스(10)의 저면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제2시소바(44)와, 상기 제2시소바(44)와 "⊃"자형 프레임(43) 사이에 설치되어 제2시소바(44)의 회동 시 압축되는 제3스프링(45)과, 상기 제2시소바(44)의 하단에 고정설치됨과 동시에 자유단이 상기 승하강바(36)의 일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제2시소바(44)의 회동 시 자유단이 승하강바(36)로부터 이탈되도록 설치되는 스톱뭉치(46)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잠금해제수단(4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송된 슬라이드 바(42)가 원위치할 수 있도록 일단은 슬라이드 바(42)와 연결되고, 타단은 중공(41)의 단턱(41a)에 연결되어 슬라이드 바(42)의 이송 시 압축되는 제4스프링(47)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바(42)는 소형쓰레기통(g)과 접촉 시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소형쓰레기통(g)과 접촉되는 일단에 회전롤(42a)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쓰레기통(G)과 이 쓰레기통(G)의 상부에 위치하는 케이스(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캐노피(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상기 캐노피(5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판(51)과, 이 베이스 판(51)의 네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52)와, 상기 수직바(52)에 설치됨과 동시에 정면이 개방되도록 설치되는 측판(530과, 상기 수직바(52)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0)가 설치되도록 하는 "∩"자형 관체(54) 및상기 수직바(5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5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10)에 형성된 도어(11)를 회전 개방한 후, 소형쓰레기통(g)을 투입하여 안착 틀(20)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소형쓰레기통(g)과, 슬라이드 바(42)의 회전롤(42a)이 접촉하게 되며, 이 접촉에 의해 일측 회전 축(22)의 중공(41)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바(42)가 타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중공(41)의 단턱(41a)과 슬라이드 바(42) 사이에 설치된 제4스프링(47)이 압축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바(42)의 이동 시 슬라이드 바(42)에 의해 밀리도록 설치된 제2시소바(44) 또한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2시소바(44)와 "⊃"자형 프레임(43) 사이에 위치한 제3스프링(45) 또한 압축하게 되며, 제2시소바(44)의 하단에 고정설치된 스톱뭉치(46)의 자유단이 승하강바(36)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승하강바(36)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판(37b)을 누르면 "∩"자형 프레임(37c)에 시소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시소바(37a)가 회동하게 되며, 이 제1시소바(37a)의 회동에 의해 승하강바(36)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1시소바(37a)와 "∩"자형 프레임(37c) 사이에 설치된 제1스프링(37d)은 압축하게 되고, 승하강바(36)의 하강에 의해 링크바(35)와, 이 링크바(35)와 연결된 샤프트(33) 또한 회전한다.
그러면, 일단이 샤프트(33)와 연결된 회동체(34) 역시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회동체(34)에 구비된 제2기어(34a)와, 일측 회전 축(22)에 형성되고 제2기어(34a)와 치합되는 제1기어(31)에 의해 일측 회전 축(22)이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안착 틀(20)이 180도 회전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 소형쓰레기통(g)에 담긴 쓰레기가 낙하하여 케이스(10)에 형성된 관통공(12)을 통과한 후, 케이스(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쓰레기통(G)에 담기게 된다.
쓰레기의 투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누르고 있던 발판(37b)의 누름을 종료한다.
그러면, 제1스프링(37d)의 복원 작용에 의해 제1시소바(37a)가 원위치하고, 제2스프링(34b)의 복원 작용에 의해 회동체(34)가 원위치로 복원을 하게 되며, 이때 치합된 제1기어(31)와 제2기어(34a)에 의해 일측 회전 축(22)과, 안착 틀(20) 또한 원위치로 복원된다.
상기 제1시소바(37a)의 복원 후, 안착 틀(20)에서 소형쓰레기통(g)을 이탈시키면, 제3스프링(45)의 복원 작업에 의해 제2시소바(44)가 원위치하게 되어 스톱뭉치(46)의 자유단이 승하강바(36)의 일부분에 삽입되어 승하강바(36)의 승하강 이동을 방지하며, 또한, 제2시소바(44)의 상단이 슬라이드 바(42)를 밀어줌과 더불어 제4스프링(47)의 복원 작용에 의해 슬라이드 바(42)가 원위치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케이스, 11 : 도어, 12 : 관통공, G : 쓰레기통, g : 소형쓰레기통, 20 : 안착 틀, 21 : 플레이트, 22 : 회전 축, 23 : 걸림턱, 30 : 회전수단, 31 : 제1기어, 32 : 고정블럭, 32a : 홀, 32b : 절개부, 33 : 샤프트, 34 : 회동체, 34a : 제2기어, 34b : 제2스프링, 35 : 링크바, 36 : 승하강바, 37 : 누름부재, 37a : 제1시소바, 37b : 발판, 37c : "∩"자형 프레임, 37d : 제1스프링, 40 : 잠금해제수단, 41 : 중공, 41a : 단턱, 42 : 슬라이드 바, 42a : 회전 롤, 43 : "⊃"자형 프레임, 44 : 제2시소바, 45 : 제3스프링, 46 : 스톱뭉치, 47 : 제4스프링, 50 : 캐노피, 51 : 베이스 판, 52 : 수직바, 53 : 측판, 54 : "∩"자형 관체, 55 : 상판

Claims (10)

  1. 쓰레기통(G)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정면에 도어(11)가 구비되고, 하면에 관통공(12)이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도어(11)를 통해 투입된 소형쓰레기통(g)이 안착되며, 양측부에 회전 축(22)이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고, 회전 시 소형쓰레기통(g)에 담긴 쓰레기가 관통공(12)을 통해 쓰레기통(G)에 수용되도록 하는 안착 틀(20);
    상기 안착 틀(20)의 일측 회전 축(22)에 형성된 제1기어(31)와, 상기 케이스(10)의 정면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홀(32a)이 구비된 고정블럭(32)과, 상기 홀(3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33)와, 상기 샤프트(33)에 고정설치되어 샤프트(33)의 회전 시 연동하며 외주연에 상기 제1기어(31)와 치합되는 제2기어(34a)가 구비된 회동체(34)와, 상기 샤프트(33)의 일단에 설치되는 링크바(35)와, 상기 링크바(35)에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케이스(10)를 통과함과 동시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바(36)와, 상기 승하강바(36)의 하단에 설치되는 누름부재(37)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누름조작 시 안착 틀(2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37)는 몸체의 중앙 일부가 상기 승하강바(36)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시소바(37a)와, 이 제1시소바(37a)의 일단에 설치되는 발판(37b)과, 상기 제1시소바(37a)의 타측이 수용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자형 프레임(37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37)는 일단은 "∩"자형 프레임(37c)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시소바(37a)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37d)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30)은 일단은 케이스(10)의 내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체(34)와 연결되어 회전된 회동체(34)를 원위치시키는 제2스프링(34b)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틀(20)에 소형쓰레기통(g) 투입 시 승하강바(36)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수단(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수단(40)은 상기 일측 회전 축(22)에 형성된 중공(41)과, 상기 중공(41)에 슬라이드 이송가능함과 동시에 양단이 중공(41)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일단은 안착 틀(20)을 관통하여 소형쓰레기통(g) 투입 시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바(42)와, 상기 슬라이드 바(42)의 일측에 설치되는 "⊃"자형 프레임(43)과, 상기 "⊃"자형 프레임(43)에 시소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바(42)의 이동 시 상단이 상기 슬라이드 바(42)에 밀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 회동하는 제2시소바(44)와, 상기 제2시소바(44)와 "⊃"자형 프레임(43) 사이에 설치되어 제2시소바(44)의 회동 시 압축되는 제3스프링(45)과, 상기 제2시소바(44)의 하단에 고정설치됨과 동시에 자유단이 상기 승하강바(36)의 일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제2시소바(44)의 회동 시 자유단이 승하강바(36)로부터 이탈되는 스톱뭉치(4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수단(40)은 일단은 슬라이드 바(42)와 연결되고, 타단은 중공(41)과 연결되어 슬라이드 바(42)의 이송 시 압축되는 제4스프링(47)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42)는 소형쓰레기통(g)과 접촉되는 일단에 회전롤(42a)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G)과 이 쓰레기통()G의 상부에 위치하는 케이스(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캐노피(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50)는 베이스 판(51)과, 이 베이스 판(51)의 네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바(52)와, 상기 수직바(52)에 설치되는 3개의 측판(53)과, 상기 수직바(52)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0)가 설치되도록 하는 "∩"자형 관체(54) 및 및 상기 수직바(5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5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장치.
KR1020100125432A 2010-12-09 2010-12-09 쓰레기 수거장치 KR101024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432A KR101024601B1 (ko) 2010-12-09 2010-12-09 쓰레기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432A KR101024601B1 (ko) 2010-12-09 2010-12-09 쓰레기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601B1 true KR101024601B1 (ko) 2011-03-24

Family

ID=4393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432A KR101024601B1 (ko) 2010-12-09 2010-12-09 쓰레기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2991A (zh) * 2018-02-02 2018-08-07 深圳市中科智诚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收集和倒出的智能型公共式垃圾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1763A (ko) * 1988-01-13 1989-08-22 엠.피.잭슨 폐기물 수집통
KR100886969B1 (ko) 2007-10-30 2009-03-09 일월정밀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0892963B1 (ko) 2008-11-03 2009-04-10 (주)오토코리아 소형 쓰레기통 회전수단을 구비한 대형 쓰레기통
KR20100094645A (ko) * 2009-02-19 2010-08-27 주식회사 대우엔텍 회전식 안전 개폐기능의 용적식 쓰레기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1763A (ko) * 1988-01-13 1989-08-22 엠.피.잭슨 폐기물 수집통
KR100886969B1 (ko) 2007-10-30 2009-03-09 일월정밀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0892963B1 (ko) 2008-11-03 2009-04-10 (주)오토코리아 소형 쓰레기통 회전수단을 구비한 대형 쓰레기통
KR20100094645A (ko) * 2009-02-19 2010-08-27 주식회사 대우엔텍 회전식 안전 개폐기능의 용적식 쓰레기 투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2991A (zh) * 2018-02-02 2018-08-07 深圳市中科智诚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收集和倒出的智能型公共式垃圾桶
CN108372991B (zh) * 2018-02-02 2021-03-12 浙江北首岭环卫设备有限公司 一种便于收集和倒出的智能型公共式垃圾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16815A (zh) 一种智能垃圾分类装置
KR101008952B1 (ko) 수동식 쓰레기 수거장치
KR101024601B1 (ko) 쓰레기 수거장치
CN210823785U (zh) 一种垃圾分类式垃圾桶
CN206552629U (zh) 一种脚踏式垃圾回收装置
CN111153068A (zh) 便捷型家庭厨房垃圾分类箱
CN206087992U (zh) 一种家用垃圾桶
CN206871749U (zh) 一种医疗废弃物分类收集装置
CN215132229U (zh) 一种多功能护理用推车
CN109095038A (zh) 智能控制垃圾箱
CN210593624U (zh) 一种组合式生活垃圾投料收集装置
KR20120126325A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20140004272A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20130095545A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 수거장치
CN208603118U (zh) 一种方便使用的垃圾存储装置
CN216637660U (zh) 一种市政建设用垃圾收放装置
KR101010567B1 (ko) 종량제 칩을 이용한 도어잠금해제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장치
CN219619979U (zh) 一种具有去除异味功能的垃圾桶
CN215206666U (zh) 一种家居分类垃圾桶
CN201745997U (zh) 环卫箱
KR20110003409U (ko) 쓰레기통 겸용 쓰레받기
CN216806710U (zh) 一种具有多个分类收集腔的实验室用垃圾收集装置
FR2736334A1 (fr) Conteneur de grandes dimensions pour se debarrasser d'immondices ou de matieres ayant encore de la valeur notamment dans des maisons ou habitent plusieurs familles et des ensembles residentiels
CN211544717U (zh) 一种可分离固液垃圾的医疗垃圾桶
CN211495477U (zh) 一种床旁垃圾分类处置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