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465B1 - 뜸기구 - Google Patents

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465B1
KR101024465B1 KR1020090011373A KR20090011373A KR101024465B1 KR 101024465 B1 KR101024465 B1 KR 101024465B1 KR 1020090011373 A KR1020090011373 A KR 1020090011373A KR 20090011373 A KR20090011373 A KR 20090011373A KR 101024465 B1 KR101024465 B1 KR 101024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combustion
supply hole
air supply
moxibustio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147A (ko
Inventor
이흥규
Original Assignee
이흥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규 filed Critical 이흥규
Priority to KR1020090011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4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Abstract

본 발명은, 시술 부위에 화상을 입지 않고 뜸을 뜰 수 있으며, 시술 부위에 열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또는 자장을 공급하여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뜸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뜸재료를 수용하는 몸체와,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의 측부에 형성되어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홀 및 상기 몸체의 내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변형됨으로써 상기 공기공급홀을 폐쇄하여 상기 연소용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뜸기구 { DEVICE FOR MOXIBUSTION }
본 발명은 뜸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술 부위에 화상을 입지 않고 뜸을 뜰 수 있으며, 시술 부위에 열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또는 자장을 공급하여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뜸기구에 대한 발명이다.
뜸은 쑥과 같은 뜸재료를 피부의 혈(穴) 위에 올려놓고 태워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온열효과로 경혈을 자극하게 함으로써 세포가 열리게 하여 뜸재료의 진액과 열에너지가 시술 부위에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뜸은, 양기를 보호하여 시술 부위를 따뜻하게 해주고, 기가 가라앉는 것을 끌어 올려주며, 약이 미치지 못하고 침이 치료하지 못하는 한계부위를 상기 뜸재료의 진액이 침투하여 약리작용을 함으로써 피하조직의 활성과 밸런스를 회복시켜, 질환을 치료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뜸은 뜸재료를 피부 위에 올려놓고 연소시키게 되는바, 직접적인 강한 열자극을 수반하므로, 고통이 따르고 시술 목적에 따라 원하지 않는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뜸을 뜨는 경우에 있어서,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때문에 상기 뜸에 의한 효과 외의 다른 치료효과를 가져오기 위한 시술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뜸을 뜨더라도 시술 부위에 화상을 입히지 않는 뜸기구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에 의한 뜸의 치료효과 이외에도 원적외선 또는 자장과 같은 별도의 치료효과도 가져올 수 있는 뜸기구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의 일실시예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뜸재료를 수용하는 몸체와,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의 측부에 형성되어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홀 및 상기 몸체의 내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변형됨으로써 상기 공기공급홀을 폐쇄하여 상기 연소용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변형되는 바이메탈과, 상기 공기공급홀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일측은 상기 몸체의 내측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바이메탈의 변형에 의하여 압박됨으로써 상기 공기공급홀을 폐쇄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공기공급홀은, 상기 뜸재료가 연소하여 발생한 배출가스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측을 향해 만곡된 V형상으로 상기 몸체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의 일실시예는, 상기 연소용 공기가 상기 몸체의 개구된 상부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덮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의 일실시예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뜸재료를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고 그물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소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몸체의 하단에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원적외선 발생부 또는 하측으로 자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에 의하면, 뜸을 뜨더라도 시술 부위에 화상을 입히지 않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에 의하면, 뜸의 치료효과 이외에도 원적외선 또는 자장과 같은 별도의 치료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의 바이메탈이 변형하기 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의 바이메탈이 변형한 후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공기공급홀(200)과, 차단유닛(300) 및 연소통(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뜸재료를 수용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높이는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의 면적과 함께, 뜸을 뜨는 시간을 고려하여 형성된다.
즉, 뜸을 오래동안 떠야하는 경우에는 상기 뜸재료의 양이 많이 필요하므로, 상기 몸체(100)에 상기 뜸재료를 보다 많이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의 높이를 높게 하고, 하단면의 면적을 넓게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뜸재료의 연소를 위한 연소용 공기가 상기 몸체(100)의 상부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0)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덮개(11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덮개(110)가 없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홀(200)을 통해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상기 차단유닛(300)이 차단하더라도, 상기 연소용 공기는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110)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덮개(120)에는 상기 뜸재료가 연소된 이후에 배출되는 배출가스가 유출될 수 있는 배출홀(112)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는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원적외선 발생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구비된 옥, 맥반석, 코발트, 바이오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진 상기 원적외선 발생부(120)를 이용함으로써, 뜸을 뜨는 치료효과 이외에도 피하심층의 온도상승을 통한 혈액순환 촉진과 같은 원적외선에 의한 치료효과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 발생부(120)에 의하여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의 전달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원적외선 발생부(120)에는 메인홀(122)과 서브홀(124)이 마련된다. 상기 메인홀(122)은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을 시술 부위의 중심에 집중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원적외선 발생부(120)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홀(124)은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을 시술 부위의 주변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홀(122)을 중심으로 방사되 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메인홀(122)에는 후술할 상기 연소통(400)이 돌출되어 시술 부위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뜸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자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미도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구비된 영구자석을 통하여, 뜸을 뜨는 치료효과 이외에도 헤모글로빈의 활성화를 통환 혈액순환 촉진과 같은 자장에 의한 치료효과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공급홀(200)은 상기 뜸재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100)의 측부에 마련된다.
특히, 상기 공기공급홀(200)은 하측을 향해 만곡된 V형상으로 상기 몸체(100)의 하측부에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뜸재료가 연소하여 발생한 배출가스가 상기 공기공급홀(200)을 통하여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배출가스는 상기 연소용 공기보다 가벼우므로, 상기 공기공급홀(200)이 상측부에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공기공급홀(200)이 수평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100)의 외측을 향할수록 높게 기울여져 형성되면, 상기 배출가스가 상기 공기공급홀(200)을 향하여 배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상기 공기공급홀(200)은 하측을 향해 만곡된 V형상으로 상기 몸체(100)의 하측부에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일반적으로 기압을 고려하여 볼 때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급하는 것보다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상기 공기공급홀(200)은 상기 몸체(100)의 외 부와 대면하여 연소용 공기가 최초로 공급되는 부분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만곡된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된다.
한편, 상기 차단유닛(300)은,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의 과도한 공급으로 인한 시술 부위의 화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공기공급홀(200)을 폐쇄하여 상기 연소용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뜸재료의 연소를 줄여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의 공급을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차단유닛(300)은 상기 몸체(100)의 내측부에 상기 공기공급홀(200)이 형성된 것에 대응하여 마련되며, 바이메탈(310)과 차단부재(3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이메탈(310)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팽창·수축하는 정도가 다른 두 종류의 얇은 금속을 포개어 붙여서 만든 것으로,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변형된다.
즉, 상기 바이메탈(310)에 있어서, 열팽창율이 작은 금속을 후술할 상기 차단부재(320)를 향하여 배치하면,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열팽창율이 큰 금속은 상기 열팽창율이 작은 금속보다 더 많이 팽창하게 되어 상기 차단부재(320)를 향하여 굽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바이메탈(310)의 굽음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320)를 압박하게 되어 상기 공기공급홀(200)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차단부재(320)는 상기 바이메탈(310)의 변형에 의하여 압박됨으 로써, 상기 공기공급홀(200)을 폐쇄하는 것으로, 일측은 상기 몸체(100)의 내측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바이메탈(310)의 팽창율이 작은 금속에 대면된다.
즉, 상기 바이메탈(310)만으로 상기 공기공급홀(200)도 폐쇄할 수 있으나, 상기 차단부재(320)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바이메탈(310)만으로 상기 공기공급홀(200)을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없는 문제점 및 상기 바이메탈(310)의 반복되는 변형으로 인하여 형상이 변화할 경우에 상기 공기공급홀(200)을 폐쇄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러한 상기 차단부재(320)는, 차후 상기 뜸재료의 연소가 종료된 이후에는 상기 공기공급홀(200)을 다시 개방하여야 하므로, 상기 공기공급홀(200)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320)와 상기 공기공급홀(200)이 접촉되는 지점에는 내열성이 있는 탄성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차후 상기 바이메탈(310)의 반복되는 변형으로 그 기능이 떨어지더라도 상기 공기공급홀(200)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소통(400)은 상기 뜸재료의 연소에 의한 열이 상기 몸체(100)로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몸체(100)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뜸재료를 수용하고,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연소통(400)은 상기 뜸재료의 연소에 의한 열을 하측으로 공급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상기 몸체(100)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고, 공기 순환과 열 발산이 용이하도록 천공된 그물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뜸재료의 연소에 의한 열은 하측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연소통(200)은 하측면만 그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원적외선 발생부(120)에 마련된 메인홀(122)을 경유하여 시술 부위와 접촉하는 부분만을 그물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연소통(200)은 상기 몸체(100)로부터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몸체(100)가 시술 부위에 고정된 이후에도 쉽게 상기 뜸재료를 재공급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원적외선 발생부(13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연소통(200)의 하측면, 특히 시술 부위와 접촉하는 면에 원적외선 발생물질(미도시)이 코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가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뜸을 떠야하는 시술 부위에 상기 몸체(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상기 연소통(400)에 뜸재료를 넣고 연소시킨다. 그 후, 상기 몸체(100)의 상부를 상기 덮개(110)를 이용하여 덮는다.
이와 같이, 뜸을 뜨기 시작하면 상기 공기공급홀(200)을 통하여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연소통(400)에 수용된 상기 뜸재료가 연소되며, 이러한 상기 뜸재료의 연소에 의하여 상기 시술 부위에 열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배출가스는 상기 덮개(110)에 마련된 배출홀(112)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 후, 소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시술 부위에 충분히 열이 공급되어 치료가 됨과 동시에, 상기 바이메탈(310)에도 충분히 열이 공급되어 변형하기 시작한다. 즉, 상기 바이메탈(310)은, 열팽창율이 높은 금속이 상측에 마련된 열팽창율이 작은 금속보다 더 팽창하게 되어, 상기 바이메탈(310)과 대면하고 있는 상기 차단부재(320)를 향하여 만곡된다. 이와 같은 상기 바이메탈(310)의 만곡은 상기 차단부재(320)를 압박하게 되고 상기 차단부재(320)에 의하여 상기 공기공급홀(200)이 폐쇄된다.
상기 공기공급홀(200)이 폐쇄되면, 상기 뜸재료에 공급되던 상기 연소용 공기는 더 이상 공급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뜸재료의 연소도 차츰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뜸재료의 연소가 차츰 줄어들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인 시술 부위의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술 부위에 충분히 열이 공급될 때, 상기 원적외선 발생부(130)에서는 상기 시술 부위로 원적외선을 공급하여 피하심층의 온도상승을 통한 혈액순환 촉진시키며, 상기 영구자석(140)에서는 상기 시술 부위로 자장을 공급하여 헤모글로빈의 활성화를 통환 혈액순환 촉진시킨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 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의 바이메탈이 변형하기 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뜸기구의 바이메탈이 변형한 후의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 110 : 덮개
120 : 원적외선 발생부 200 : 공기공급홀
300 : 차단유닛 310 : 바이메탈
320 : 차단부재 400 : 연소통

Claims (7)

  1.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뜸재료를 수용하는 몸체;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의 측부에 형성되어,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홀; 및
    상기 몸체의 내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변형됨으로써 상기 공기공급홀을 폐쇄하여 상기 연소용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유닛; 을 포함하는 뜸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변형되는 바이메탈과,
    상기 공기공급홀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일측은 상기 몸체의 내측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바이메탈의 변형에 의하여 압박됨으로써 상기 공기공급홀을 폐쇄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홀은,
    상기 뜸재료가 연소하여 발생한 배출가스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측을 향해 만곡된 V형상으로 상기 몸체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용 공기가 상기 몸체의 개구된 상부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덮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뜸재료를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보다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고, 그물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소통;을 더 포함하는 뜸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원적외선 발생부 또는 하측으로 자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뜸기구.
  7. 상단이 개구된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된 뜸재료를 연소시켜 하측으로 열을 발산하는 몸체;
    상기 뜸재료가 연소되어 발생한 배출가스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측을 향해 만곡된 V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의 하측부에 마련되며, 상기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홀;
    상기 뜸재료의 연소를 위한 연소용 공기가 상기 몸체의 개구된 상부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덮개;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변형되는 바이메탈;
    상기 공기공급홀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일측은 상기 몸체의 내측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바이메탈에 결합하여, 상기 바이메탈의 변형에 의하여 압박됨으로써 상기 공기공급홀을 폐쇄하여 상기 연소용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재; 및
    하부에는 상기 뜸재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원적외선 발생부; 를 포함하는 뜸기구.
KR1020090011373A 2009-02-12 2009-02-12 뜸기구 KR101024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373A KR101024465B1 (ko) 2009-02-12 2009-02-12 뜸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373A KR101024465B1 (ko) 2009-02-12 2009-02-12 뜸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147A KR20100092147A (ko) 2010-08-20
KR101024465B1 true KR101024465B1 (ko) 2011-03-23

Family

ID=4275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373A KR101024465B1 (ko) 2009-02-12 2009-02-12 뜸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9112A (zh) * 2016-11-15 2017-02-15 邱晓虎 艾灸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2237A (zh) * 2020-10-29 2021-02-26 上海八凌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红外太赫兹复合灸疗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083A (ko) * 2004-04-06 2005-10-11 김진섭 쑥뜸용 온구기
KR100869068B1 (ko) 2007-10-02 2008-11-18 이부 쑥뜸기 및 그를 이용한 쑥뜸장치.
KR100874821B1 (ko) 2007-06-20 2008-12-19 김진섭 쑥뜸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083A (ko) * 2004-04-06 2005-10-11 김진섭 쑥뜸용 온구기
KR100874821B1 (ko) 2007-06-20 2008-12-19 김진섭 쑥뜸기
KR100869068B1 (ko) 2007-10-02 2008-11-18 이부 쑥뜸기 및 그를 이용한 쑥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9112A (zh) * 2016-11-15 2017-02-15 邱晓虎 艾灸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147A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25780B (ko)
CN112842869B (zh) 女性用外阴部熏蒸清洗器
JP2814195B2 (ja) 温きゅう器
KR101024465B1 (ko) 뜸기구
CN201609484U (zh) 远红外线温风机
KR101119245B1 (ko) 뜸기구
CN104042440A (zh) 一种便携式艾灸仪
KR20090011177A (ko) 안면 미용 마스크
KR102309340B1 (ko) 여성용 외음부 훈증세정기
DE60038489D1 (de) Vorrichtung zur wärmebehandlung von körpergewebe
KR102341168B1 (ko) 개별제어가 가능한 여성용 외음부 훈증세정기
KR102430952B1 (ko) 여성용 외음부 살균드라이기
KR101831640B1 (ko) 갑상선치료기
KR20110055123A (ko) 온열 쑥뜸기
CN204521560U (zh) 一种无烟温针灸器
KR20220013628A (ko) 휴대용 온열 치료기
KR200382822Y1 (ko) 쑥뜸질용 한방벨트
CN2363679Y (zh) 低温热功率鼻炎治疗器
CN207708183U (zh) 一种热灸针
KR102609501B1 (ko) 여성용 음부 훈증세정기
KR200419836Y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침낭
KR101738958B1 (ko) 온열 뜸질기
CN109481291A (zh) 艾灸熏蒸罐
KR20140120632A (ko) 쑥뜸 보조구
KR102623755B1 (ko) 펠티어소자를 통해 냉온 기능을 조절가능한 핸드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