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814B1 -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 Google Patents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814B1
KR101023814B1 KR1020090034055A KR20090034055A KR101023814B1 KR 101023814 B1 KR101023814 B1 KR 101023814B1 KR 1020090034055 A KR1020090034055 A KR 1020090034055A KR 20090034055 A KR20090034055 A KR 20090034055A KR 101023814 B1 KR101023814 B1 KR 101023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switch
alarm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5468A (ko
Inventor
김기중
Original Assignee
김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중 filed Critical 김기중
Priority to KR1020090034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81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5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전등 스위치의 소등 망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외등이나, 창고, 기계실, 작업실, 화장실, 아파트 베란다와 같이 스위치와 전등이 다른 공간에 있으므로 인하여 스위치 조작 장소에서 전등의 불빛을 볼 수 없는 경우에 실수에 의한 전등 스위치의 소등 망각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간단한 회로로 구성되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이 제 1 단자와 연결된 전원 추출부와; 일단이 상기 전원 추출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단자와 연결된 스위치부와; 상기 전원 추출부에서 추출된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전력 변환부에서 변환된 전력에 의해 경보를 발하는 경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로 구성된다.
점등, 전원 추출부, 스위치부, 지연 구동부, 전력 변환부, 경보부

Description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SWITCH APPARATUS FOR ALARMING LIGHTING}
본 발명은 스위치 수단의 스위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옥외 조명등이나 화장실 전등, 아파트 베란다 전등 등을 점등한 후 깜박 소등하지 않아 전기가 낭비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34582는 인체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이 없을 시 점등된 경우 경고가 발생하여 빨간색 등이 켜지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 일본등록특허 3 467 857는 점등 후 표준 점등으로 타이머 시간 경과 시 경고가 발생하여 경비실로 상황을 알리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센서 및 경보 회로와 관련하여 회로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배선이 복잡하여 별도의 배선을 통해 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간단한 회로에 의해 소등을 깜박하여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경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존의 스위치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 공사가 필요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들에 의해 달성된다. 발명은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이 제 1 단자와 연결된 전원 추출부와 일단이 상기 전원 추출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단자와 연결된 스위치부가 ON 상태일 때, 상기 전원 추출부에서 추출된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여 전력 변환부로 공급하고, 상기 변환된 직류 전력을 입력받아 일정 시간 경과 후 구동 전류를 출력하는 지연 구동부 및 전력 변환부에서 변환된 전력에 의해 경보를 발하는 경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는 별도의 배선 공사가 필요 없어 시공이 간편하며, 추가 배선이 필요 없이 손쉽게 전등의 소등 망각을 방지하는 것으로이에 따른 전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간단한 엘이디(LED)와 다이오드(diode)의 사용으로 저 전력으로 구동되어 진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을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 한 실시예들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제 1 단자(10)와 연결된 전원 추출부(100)와 일단이 전원 추출부(100)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단자(20)와 연결된 스위치부(200) 및 전원 추출부(100)에서 추출된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여 전력 변환부(300)로 공급하고, 그로부터 변환된 직류 전력을 입력받아 일정 시간 경과 후 구동 전류를 출력하는 지연 구동부(400), 그리고 전력 변환부(200)에서 변환된 전력에 의해 경보를 발하는 경보부(5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전원 추출부(100)는 스위치부(200)와 직렬로 연결된다. 전원 추출부(100)는 양단에 걸린 전압만큼의 전력을 회로에서 추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추출부(100)는 다이오드 혹은 제너 다이오드가 될 수 있다. 전력 변환부(300)는 추출된 교류 전력으로부터 경보부(500) 및 회로를 구동하기에 적합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회로로, 간단한 예에 있어서 브리지 회로와 파형 안정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연 구동부(400)는 일정시간 후 경보부(500)에서 경보시키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연 구동부(400)는 타이머와, 그리고 경보부(500)를 단속 구동하기 위한 펄스 발생 회로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부와 방전부를 구성하고 있는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일단이 제 1 단 자(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단자(20)에 연결된 스위치부(200) 및 일단이 제 1 단자(10)에 연결되어 내부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부(600)와 일단이 제 2 단자(20)에 연결되어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700)에서 스위치 오프를 감지하면, 충전부의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일정 시간 지연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지연 구동부(400), 그리고 지연 구동부(400)의 출력에 의해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부(5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충전부(600)는 내부 전원을 충전하여 전원이 공급된다. 감지부(700)는 제 1 단자(10)와 연결된 충전부와 제 2 단자(20)와의 연결 시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감지한다. 지연 구동부(400)는 일정시간 후 경보부(500)에서 경보시키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연 구동부(400)는 타이머와, 그리고 경보부(500)를 단속 구동하기 위한 펄스 발생 회로로 구성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로 연결된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추출부(100)는 제 1 단자(10)와 스위치의 일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다이오드(diode)를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다이오드는 약 1.5V의 전압 강하를 초래하며 이 전압이 추출된다.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 쌍에 의해 교류의 전파 부분이 추출될 수 있다. 추출된 전압은 소형 승압 트랜스에 의해 승압된다. 이 트랜스는 가로폭 19/mm의 소형 승압 트랜스로, 1차측 250회 2차측 1250회로 1:5 권선하여 개방 전압 AC 8V를 출력한다. 그 출력은 후단의 정류회로에서 직류로 정류 된다. 정류된 출력은 후단의 회로로 공급된다.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작동 대기시간 5분 후에 펄스 발생회로가 활성화되며, 그 펄스 발생 회로에 의해 엘이디(500)를 구동하는 펄스 파형이 생성된다. 펄스 발생 회로는 펄스 간격 2초 펄스폭 0.2초에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된다. 이 같이 프로그래밍된 AVR ATTINY13V의 출력측에 직경 3mm의 녹색 고휘도 LED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전등 점등 5분 후, 간격 2초 LED 점등시간 0.2초의 펄스에 의해 전류 7mA로 경보부(500)가 구동되어 섬광성 불빛의 알람 신호를 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너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된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추출부(100)는 제 1 단자(10)와 스위치의 일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제너 다이오드는 약 1.5V의 전압 강하를 초래하며 이 전압이 추출된다. 추출된 전압은 소형 승압 트랜스에 의해 승압된다. 이 트랜스는 가로폭 19/mm의 소형 승압 트랜스로, 1차측 250회 2차측 1250회로 1:5 권선하여 개방 전압 AC 8V를 출력한다. 그 출력은 후단의 정류회로에서 직류로 정류된다. 정류된 출력은 후단의 회로로 공급된다.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작동 대기시간 5분 후에 펄스 발생회로가 활성화되며, 그 펄스 발생 회로에 의해 경보부(500)를 구동하는 펄스 파형이 생성된다. 펄스 발생 회로는 펄스 간격 2초 펄스폭 0.2초에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된다. 이 같이 프로그래밍된 AVR ATTINY13V의 출력측에 직경 3mm의 녹색 고휘도 LED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전등 점등 5분 후, 간격 2초 LED 점등시간 0.2초의 펄스에 의해 전류 7mA로 경보 부(500)가 구동되어 섬광성 불빛의 알람 신호를 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압 회로에 의해 필요한 전압을 승압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추출부(100)는 제 1 단자(10)와 스위치의 일단 사이에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제너 다이오드는 약 1.5V의 전압 강하를 초래하며 이 전압이 추출된다. 추출된 전압은 배전압 회로에 의해 승압된다. 출력은 후단의 정류회로에서 직류로 정류된다. 정류된 출력은 후단의 회로로 공급된다.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작동 대기시간 5분 후에 펄스 발생회로가 활성화되며, 그 펄스 발생 회로에 의해 경보부(500)를 구동하는 펄스 파형이 생성된다. 펄스 발생 회로는 펄스 간격 2초 펄스폭 0.2초에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된다. 이 같이 프로그래밍된 AVR ATTINY13V의 출력측에 직경 3mm의 녹색 고휘도 LED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전등 점등 5분 후, 간격 2초 LED 점등시간 0.2초의 펄스에 의해 전류 7mA로 경보부(500)가 구동되어 섬광성 불빛의 알람 신호를 발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의 단계별 동작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부와 방전부를 구성하고 있는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diode)로 연결된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가 직렬로 연결된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압 회로에 의해 필요한 전압을 승압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 단자 20: 제2 단자
100: 전원 추출부 200: 스위치(SW)
300: 전력 변환부 400: 지연 구동부
500: 경보부 600: 충전부
700: 감지부

Claims (8)

  1. 일단이 제 1 단자와 연결된 전원 추출부와;
    일단이 상기 전원 추출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단자와 연결된 스위치부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스위치부의 일단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diode)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추출부에서 추출된 전력을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전력 변환부에서 변환된 전력에 의해 경보를 발하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와 경보부 사이에 연결되고, 변환된 직류 전력을 입력받아 일정 시간 경과 후 구동 전류를 출력하는 지연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는 직렬로 연결된 2개의 다이오드(di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는 제너 다이오드(zernor di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구동부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7. 일단이 제 1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단자에 연결된 스위치부와;
    일단이 상기 제 1 단자에 연결되어 내부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부와;
    일단이 상기 제 2 단자에 연결되어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스위치 오프를 감지하면, 상기 충전부의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일정 시간 지연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지연 구동부; 및
    상기 지연 구동부의 출력에 의해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고휘도 LED, 음향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KR1020090034055A 2009-04-20 2009-04-20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KR101023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055A KR101023814B1 (ko) 2009-04-20 2009-04-20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055A KR101023814B1 (ko) 2009-04-20 2009-04-20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468A KR20100115468A (ko) 2010-10-28
KR101023814B1 true KR101023814B1 (ko) 2011-03-21

Family

ID=4313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055A KR101023814B1 (ko) 2009-04-20 2009-04-20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8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369B1 (ko) * 2003-07-11 2005-11-09 윤흥식 스위치커버의 비상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369B1 (ko) * 2003-07-11 2005-11-09 윤흥식 스위치커버의 비상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468A (ko)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7680B2 (ja) 点灯制御回路及びその点灯制御回路を用いた照明灯及び点灯制御回路の制御方法
JP5447969B2 (ja) Led点灯装置およびled照明器具
JP2009010100A (ja) 電源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09266777A (ja) 誘導灯点灯装置および誘導灯
CA2798044A1 (en) Light emitting diodes driven by high intensity discharge ballast
JP2012135095A (ja) Led点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9666039B2 (en) Visual notification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6323149B2 (ja) 停電補償機能付き照明用電源装置及び照明装置
EP3032696B1 (en) Emergency lighting unit
KR101023814B1 (ko) 경보형 조명등 스위치
JP2016042756A (ja) 停電補償機能付き照明装置、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及びバッテリ放電制御ユニット
JP2009218084A (ja) 誘導灯装置
KR101012020B1 (ko) 충전 기능을 갖는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JP2012138279A (ja) Led駆動装置
JP5677192B2 (ja) Led点灯装置及びled照明器具
JP5559602B2 (ja) 非常用照明装置
JP2009245811A (ja) 誘導灯点灯装置および誘導灯
JP2014022083A (ja) 照明用電源装置
JP5413694B2 (ja) 電源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1944989B1 (ko) 장애인 및 비장애인용 비상 경고 장치
JP5721496B2 (ja) 光源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JP6569344B2 (ja) Led点灯回路及びled照明装置
KR101608318B1 (ko) 경고 등기구 및 그 운용 방법
US11510296B2 (en) Linear solid-state lighting with a pulse train control
JP6052674B2 (ja) Led点灯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