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813B1 - 신규 광망 종단 장치 등록 방법 - Google Patents

신규 광망 종단 장치 등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813B1
KR101023813B1 KR1020090017034A KR20090017034A KR101023813B1 KR 101023813 B1 KR101023813 B1 KR 101023813B1 KR 1020090017034 A KR1020090017034 A KR 1020090017034A KR 20090017034 A KR20090017034 A KR 20090017034A KR 101023813 B1 KR101023813 B1 KR 101023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message
message
transmitted
optical
o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1267A (ko
Inventor
곽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061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8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94Allocation of channels in TDM/TDMA networks, e.g. distributed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6Provisions for optical burst or packet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TDMA-PON에서의 신규 ONU/ONT 등록 방법이 개시된다. 신규 ONU/ONT 등록 방법은 연속모드 수신기를 갖는 OLT와 버스트모드 송신기를 갖는 ONU/ONT들로 구성된 TDMA-PON에서 수행되는 신규 ONU/ONT를 등록시키기 위한 절차에서 연속모드 수신기의 클록 데이터 복원 회로(clock data recovery)가 정상상태를 유지하도록, 타이밍 유닛이 OLT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특정한 타이밍 패턴을 갖는 신호를 OLT로 2회 송신하는 단계; 및 신규 ONU/ONT가 OLT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OLT로 응답 메시지를 2회 송신하되, 1차 응답 메시지는 1차 송신된 타이밍 패턴 신호와 중첩되게 그리고 2차 응답 메시지는 2차 송신된 타이밍 패턴 신호와 중첩되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고속의 연속모드 수신기를 갖는 OLT와 버스트모드 송신기를 갖는 ONU/ONT로 TDMA-PON의 상향링크에서 고속의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통신을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신규 광망 종단 장치 등록 방법{Registration method for ONU or ONT}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수동 광가입자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 광가입자망 시스템을 구성하는 광 회선 단말(Optical Line Terminal, OLT)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명: 광가입자망(FTTH) 서비스 개발 실험 사업]
최근 국내외에서 FTTH(Fiber to the Home) 네트워크의 설치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FTTH 네트워크를 기술적 방식으로 구분하면, 크게 AON(Active Optical Network), TDMA-PON(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Passive Optical Network), WDM-PON(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Passive Optical Network) 세 가지로 구분된다. 이 세 가지 방식의 FTTH 네트워크 중 TDMA-PON에 대해 살펴본다.
TDMA-PON의 핵심 구성요소는 광 회선 단말(Optical Line Terminal), 수동 광 분배망, 광망 종단 장치(광 네트워크 단말(Optical Network Terminal, ONT) 혹은 광 네트워크 유닛(Optical Network Unit, ONU))이다. 현재 TDMA-PON의 하향링크(OLT 송신, ONU/ONT 수신)는 연속모드(Continuous Mode) 송수신기로 구성되어 있고, 상향링크(ONU/ONT 송신, OLT 수신)는 버스트모드(Burst Mode) 송수신기로 구성되어 있다.
TDMA-PON은 광 파워 스플리터(optical power splitter)를 통해 점대다중점(point to multi-point, P2MP)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OLT에서 ONU/ONT들까지의 물리적 거리가 각각의 ONU/ONT의 위치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ONU/ONT의 위치에 따라 광신호의 전송지연 시간과 전송경로 손실이 이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OLT의 수신기는 ONU/ONT의 위치에 따른 광신호의 전송지연 시간과 전송경로 손실에 무관하게 통신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동일한 속도의 연속모드 수신기와 버스트모드 수신기를 비교해 보면, 연속모드 수신기는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가 좁다. 또한 전송지연의 편차가 심한 신호들로부터 클록과 데이터를 복원해내기 위해서는 상당히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연속모드 수신기의 문제점 때문에 현재의 TDMA-PON OLT는 버스트모드 수신기를 갖는다.
한편, 현재 운용중인 TDMA-PON은 프로토콜에 따라 GE-PON(Gigabit Ethernet-PON), G-PON(Gigabit capable PON)로 구분된다. GE-PON의 경우 상향링크 전송속도와 하향링크 전송속도가 1.25Gbps로 동일하다. 그리고 G-PON의 경우 상향링크의 최대 전송속도는 2.5Gbps이며, 하향링크의 최대 전송속도는 1.25Gbps로 비대칭 구조를 갖는다.
IEEE나 FSAN 등의 표준화 단체에서는 2~3년 후 상용시스템 출시를 목표로 10Gbps의 상향/하향링크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GE-PON, G-PON 시스템에 대한 표준화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GE-PON이나 G-PON 모두 하향링크는 연속모드 송수신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송속도를 높이는 데는 큰 문제점이 없다. 그러나 상향링크는 버스트모드 송수신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송속도를 높이는데 문제가 있다. 현재 10Gbps급의 고속 연속모드 송수신기는 이미 개발이 완료되어 메트로망이나 장거리 전송망 시스템에 적용되어 있으나, 2.5Gbps 이상의 고속 버스트모드 송수신기는 기술개발이 진행중이기 때문이다. 특히 고속의 버스트모드 수신기의 경우 기술개발의 속도가 빠르지 않은 편이다. 2000년대 초반에 155Mbps급 또는 622Mbps급 버스트모드 수신기가 상용화된 이후, 2008년 현재 1.25Gbps급 버스트모드 수신기가 상용화되어 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고속의 연속모드 수신기를 갖는 OLT와 버스트모드 송신기를 갖는 ONU/ONT로 TDMA-PON의 상향링크에서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신규 ONU/ONT를 OLT에 등록하는 프로토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신규 ONU/ONT 등록 방법은 연속모드 수신기를 갖는 OLT와 버스트모드 송신기를 갖는 ONU/ONT들로 구성된 TDMA-PON에서 수행되는 신규 ONU/ONT를 등록시키기 위한 절차에서 연속모드 수신기의 클록 데이터 복원 회로(clock data recovery)가 정상상태를 유지하도록, 타이밍 유닛이 OLT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특정한 타이밍 패턴을 갖는 신호를 OLT로 2회 송신하는 단계; 및 신규 ONU/ONT가 OLT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OLT로 응답 메시지를 2회 송신하되, 1차 응답 메시지는 1차 송신된 타이밍 패턴 신호와 중첩되게 그리고 2차 응답 메시지는 2차 송신된 타이밍 패턴 신호와 중첩되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타이밍 유닛은 ONU/ONT들 중 적어도 하나에 구성되거나, 하향 링크를 통해OLT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TDMA-PON에 새로이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타이밍 유닛에서 수행되는 신규 ONU/ONT 등록 방법은 연속모드 수신기를 갖는 OLT와 버스트모드 송신기를 갖는 ONU/ONT들로 구성된 TDMA-PON에서 수행되는 신규 ONU/ONT를 등록시키기 위한 절차에서 OLT로부터 하향 링크를 통해 송신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하향 링크를 통해 송신된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연속모드 수신기의 클록 데이터 복원 회로(clock data recovery)가 정상상태를 유지하도록 특정한 타이밍 패턴을 갖는 신호를 OLT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신규 ONU/ONT에서 수행되는 등록 방법은 연속모드 수신기를 갖는 OLT와 버스트모드 송신기를 갖는 ONU/ONT들로 구성된 TDMA-PON에서 수행되는 신규 ONU/ONT를 등록시키기 위한 절차에서 OLT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메시지 수신에 대하여 OLT로 1차 응답 메시지 및 1차 응답 메시지와 동일한 2차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되, 1차 응답 메시지 및 2차 응답 메시지 각각이 신규 ONU/ONT를 등록시키기 위한 절차에서 연속모드 수신기의 클록 데이터 복원 회로(clock data recovery)가 정상상태를 유지하도록 연속모드 수신기에 수신되는 1차 타이밍 패턴 신호 및 1차 타이밍 패턴 신호와 동일한 2차 타이밍 패턴 신호에 중첩되도록 1차 응답 메시지와 2차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신규 ONU/ONT를 OLT에 등록하는 프로토콜은 고속의 연속모드 수신기를 갖는 OLT와 버스트모드 송신기를 갖는 ONU/ONT로 TDMA-PON의 상향링크에서 고속의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OLT의 광 수신기를 연속모드 수신기로 구현함으로 인해 버스트모드 수신기를 갖는 OLT와 비 교하여 OLT 가격을 저가화하는 부가적인 효과를 창출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TDMA-PON 구성도이다.
TDMA-PON은 크게 OLT(100)와 RN(remote node = optical power splitter)(110) 및 ONU/ONT(120)로 구성된다. OLT(100)는 버스트모드 수신기(burst mode receiver, BM-RX)(101)와 연속모드 송신기(continuous mode transmitter, CM-TX)(102)를 가지며, ONU/ONT(120)는 버스트모드 송신기(burst mode transmitter, BM-TX)(121)와 연속모드 수신기(continuous mode receiver, CM-RX)(122)를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MA-PON 구성도이다.
전체 구성은 도 1의 TDMA-PON 구성과 동일하게 OLT(200)와 RN(remote node)(210) 및 ONU/ONT(220)로 구성된다. OLT(200)는 연속모드 수신기(continuous mode receiver, CM-RX)(201)와 연속모드 송신기(continuous mode transmitter, CM-TX)(202)를 가지며, ONU/ONT(220)는 버스트모드 송신기(burst mode transmitter, BM-TX)(121)와 연속모드 수신기(continuous mode receiver, CM-RX)(122)를 가진다. 도 1과 비교하였을 때 TDMA-PON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의 차이점은 도 1의 OLT(100) 는 상향링크에 대하여 버스트모드 수신기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도 2의 OLT(200)는 상향링크에 대하여 연속모드 수신기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도 3은 연속모드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연속모드 수신기는 광 검출기(photodetector, PD)(300),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transimpedance amplifier, TIA)(310), 제한 증폭기(limiting amplifier, LA)(320), 및 클록 데이터 복원회로(clock data recovery, CDR)(330)를 가진다. TIA(310), LA(320), CDR(330)은 CM용 신호처리소자들이다. TIA(310)는 PD(300)에 의해 변환된 전류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한다. LA(320)는 TIA(310)에서 수신한 전압 신호를 증폭하여 일정한 출력 레벨을 갖는 신호로 만들어 CDR(330)로 전달한다. 즉 LA(320)는 CDR(330)이 0 혹은 1 신호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전압 레벨을 출력한다. 그러면 CDR(330)이 LA(320)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데이터와 클록을 복구한다.
한편, 점대다중점(point to multi-point) 구조의 TDMA-PON에서 ONU/ONT가 POWER-OFF 상태에서 POWER-ON 상태로 바뀌었을 때, OLT는 새롭게 POWER-ON된 ONU/ONT를 발견하고 네트워크에 등록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OLT는 알려진 Discovery process와 Gating process를 수행한다. Discovery process란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 새로운 ONU가 추가되는 경우 이를 OLT에 등록하는 절차를 말한다. 이를 위한 종래의 프로토콜이 도 4에 명시되어 있다.
도 4는 종래 신규 ONU/ONT 등록 절차도이다.
도 1의 OLT(100)가 새롭게 POWER-ON된 ONU/ONT(120)를 발견하기 위하여 하향 링크로 GATE(for Discovery)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400). 새롭게 POWER-ON된 ONU/ONT(120)는 하향링크를 통해 GATE(for Discovery)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향링크로 REGISTER_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410). REGISTER_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OLT(100)는 신규 ONU/ONT(120)에 대한 MAC 주소 등을 포함한 REGISTER 메시지를 송신하고(단계 S420), 또한 GRANT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430). GRANT 메시지를 수신한 신규 ONU/ONT(120)는 REGISTER_ACK 메시지를 OLT(100)로 송신한다(단계 S440).
한편, 도 2의 OLT(200)도 도 4의 TDMA-PON 프로토콜과 같이 신규 ONU/ONT를 발견하고 등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연속모드 수신기의 두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도 4의 프로토콜을 도 2의 OLT(200)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첫 번째 문제점은 연속모드 수신기는 일정시간 이상 수신신호가 없는 경우, CDR이 동기정보를 상실하게 되어 정상상태에서 초기상태로 천이하고, 초기상태의 CDR이 정상상태로 천이하여 클록과 데이터를 복원해내기 위해서는 상당히 긴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 문제점은 연속모드 수신기는 입력 광신호의 Dynamic Range가 작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속모드 수신기의 첫 번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두 번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과는 무관하다. 이하에서는 연속모드 수신기의 CDR이 정상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수신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신규 ONU/ONT의 버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해결 방안에 대하여 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TDMA-PON에서 ONU/ONT가 상향링크로 송신하는 버스트 형태의 REGISTER_REQUEST 메시지의 예시도이며, 도 6은 종래 TDMA-PON에서 버스트모드로 송수신되는 REGISTER_REQUEST 메시지의 예시도이다. 도 5와 도 6을 비교해보면, ONU/ONT 버스트모드 송신기의 레이저 Turn-On, Turn-Off 동작에 의한 특성과 Data 부분은 동일하다. 그러나 도 5의 연속모드 수신기를 위한 REGISTER_REQUEST 메시지는 AGC(automatic gain control), CDR을 위한 리던던트(redundant) 비트열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iming Unit이 생성하여 OLT로 송신하는 신호 예시도이다.
Timing Unit은 설정된 TDP, T1, T2 파라미터 값에 따라 타이밍 패턴인 Discovery Pattern을 생성하고, OLT의 GATE(for Discovery)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Discovery Pattern을 송신한다. TDP, T1, T2 파라미터 값은 OLT에 의해 설정과 변경이 가능하다. TDP는 Discovery Pattern의 전체 길이를 지정하는 파라미터이고, T1은 Discovery Pattern에서 “1010...”비트열의 길이를 지칭하는 파라미터이고, T2는 Discovery Pattern에서 “0000...”비트열의 길이를 지칭하는 파라미터이다. 즉, Discovery Pattern은 (T1 + T2)의 주기로 일정한 형태의 비트패턴이 TDP 동안 반복되며, OLT(200)의 연속모드 수신기(201)는 Discovery Pattern을 수신함으로써 초기상태로 천이하지 않고 정상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Timing Unit은 미리 지정된 ONU/ONT에 구성되어 그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아니면 독립적으로 새로이 TDMA-PON에 구성되어 그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ONU/ONT 등록 절차도이다.
도 2의 OLT(200)가 새롭게 POWER-ON된 ONU/ONT(220)를 발견하기 위하여 하향링크로 GATE(for Discovery)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800). 하향링크를 통해 GATE(for Discovery) 메시지를 수신한 Timing Unit(230)은 GATE(for Discovery)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향링크로 Discovery Pattern을 1차 송신 완료한 후 2차 송신한다(단계 S805)(단계 S810). 새롭게 POWER-ON된 ONU/ONT(220)는 하향링크를 통해 GATE(for Discovery)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향링크로 REGISTER_REQUEST 메시지를 2회 송신한다(단계 S815)(단계 S820).
GATE(for Discovery)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OLT(200)의 연속모드 수신기(201)로 수신되는 신호는 도 9의 DISCOVERY_RESPONSE_1과 DISCOVERY_RESPONSE_2이다. 이들 신호의 유일한 차이점은 DISCOVERY_RESPONSE_2에 중첩되어 있는 2차 REGISTER_REQUEST 신호가 DISCOVERY_RESPONSE_1에 중첩되어 있는 1차 REGISTER_REQUEST 신호와 비교하여 TSHIFT만큼 시간지연을 갖는다는 점이다. 즉, 새롭게 POWER-ON된 ONU/ONT(220)는 하향링크를 통해 GATE(for Discovery)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향링크로 1차 REGISTER_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고, (TDP+ TSHIFT) 만큼의 시간이 경과한 뒤 2차 REGISTER_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
위 과정에서 동일한 형태의 Discovery Pattern과 REGISTER-REGUEST 메시지를 2회 전송하고 2차 REGISTER-REGUEST 메시지를 송신할 때 TSHIFT 만큼의 시간지연을 두는 이유는, ONU/ONT(220)가 송신하는 REGISTER_REQUEST 메시지와 Discovery Pattern의 101010... 부분의 중첩이 발생하면, 중첩된 부분에서는 REGISTER_REQUEST 메시지를 복원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TSHIFT 만큼의 시간지연으로 인해 1차 REGISTER_REQUEST 메시지와 2차 REGISTER_REQUEST 메시지가 Discovery Pattern과 중첩되는 부분이 달라지도록 하고, OLT(200)는 2회의 수신결과를 조합함으로써, REGISTER_REQUEST 메시지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한다.
REGISTER_REQUEST 메시지를 복원한 OLT(200)는 신규 ONU/ONT(220)에 대한 MAC 주소 등을 포함한 REGISTER 메시지를 송신하고, 또한 GRANT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825)(단계 S830). 하향링크를 통해 GATE(for GRANT) 메시지를 수신한 Timing Unit(230)은 위 GATE(for Discovery) 메시지에 대한 응답과 마찬가지로 상향링크로 Discovery Pattern을 1차 송신 완료한 후 2차 송신한다(단계 S835)(단계 S840). 새롭게 POWER-ON된 ONU/ONT(220)도 위 GATE(for Discovery) 메시지에 대한 응답에서와 마찬가지로 상향링크로 REGISTER_ACK 메시지를 2회 송신한다(단계 S845)(단계 S850). 즉, ONU/ONT(220)는 하향링크를 통해 GATE(for Grant)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향링크로 1차 REGISTER_ACK 메시지를 송신하고, (TDP+ TSHIFT) 만큼의 시간이 경과한 뒤 2차 REGISTER_ACK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 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TDMA-PON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MA-PON 구성도.
도 3은 일반적인 연속모드 수신기의 블록도.
도 4는 종래 신규 ONU/ONT 등록 절차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TDMA-PON에서 ONU/ONT가 상향링크로 송신하는 버스트 형태의 REGISTER_REQUEST 메시지의 예시도.
도 6은 종래 TDMA-PON에서 버스트모드로 송수신되는 REGISTER_REQUEST 메시지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iming Unit이 생성하여 OLT로 송신하는 신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ONU/ONT 등록 절차도.
도 9는 디스커버리 프로세스 과정에서 OLT의 GATE(for Discovery)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OLT에 수신되는 메시지 예시도.

Claims (12)

  1. 연속모드 수신기를 갖는 광 회선 단말과 버스트모드 송신기를 갖는 광망 종단 장치들로 구성된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광가입자망에서 수행되는 신규 광망 종단 장치를 등록시키기 위한 절차에서 상기 연속모드 수신기의 클록 데이터 복원 회로(clock data recovery)가 정상상태를 유지하도록, 타이밍 유닛이 상기 광 회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특정한 타이밍 패턴을 갖는 신호를 상기 광 회선 단말로 2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광망 종단 장치가 상기 광 회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광 회선 단말로 응답 메시지를 2회 송신하되, 1차 응답 메시지는 상기 1차 송신된 타이밍 패턴 신호와 중첩되게 그리고 2차 응답 메시지는 상기 2차 송신된 타이밍 패턴 신호와 중첩되게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광망 종단 장치 등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유닛은 상기 광망 종단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구성되거나, 하향 링크를 통해 상기 광 회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광가입자망에 새로이 독립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광망 종단 장치 등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유닛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 값들에 따라 상기 특정한 타이밍 패턴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광망 종단 장치 등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유닛은 상기 타이밍 패턴의 전체 길이를 지정한 파라미터, 제1비트패턴의 비트열 길이를 지정한 파라미터, 제2비트패턴의 비트열 길이를 지정한 파라미터를 가지고 상기 제1비트패턴과 상기 제2비트패턴이 반복되며 상기 지정된 전체 길이를 갖는 타이밍 패턴 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광망 종단 장치 등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유닛은 상기 타이밍 패턴 신호를 1차 송신 완료한 후 2차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광망 종단 장치 등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광망 종단 장치는 상기 1차 응답 메시지가 상기 1차 송신된 타이밍 패턴 신호에 중첩되는 부분과 상기 2차 응답 메시지가 상기 2차 송신된 타이밍 패턴 신호에 중첩되는 부분이 달라지도록 상기 1차 응답 메시지와 상기 2차 응답 메시지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광망 종단 장치 등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광 회선 단말로부터 송신된 디스커버리용 게이트(GATE for discovery)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회신되는 등록 요청(REGISTER REQUEST)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광망 종단 장치 등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는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 및 클록 데이터 복구 회로(clock data recovery)를 위한 리던던트 비트열이 누락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광망 종단 장치 등록 방법.
  9. 연속모드 수신기를 갖는 광 회선 단말과 버스트모드 송신기를 갖는 광망 종단 장치들로 구성된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광가입자망에서 수행되는 신규 광망 종단 장치를 등록시키기 위한 절차에서 상기 광 회선 단말로부터 하향 링크를 통해 송신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 링크를 통해 송신된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연속모드 수신기의 클록 데이터 복원 회로(clock data recovery)가 정상상태를 유지하도록 특정한 타이밍 패턴을 갖는 신호를 상기 광 회선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유닛에서 수행되는 신규 광망 종단 장치 등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유닛은 상기 광망 종단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구성되거나, 하향 링크를 통해 상기 광 회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광가입자망에 새로이 독립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유닛에서 수행되는 신규 광망 종단 장치 등록 방법.
  11. 연속모드 수신기를 갖는 광 회선 단말과 버스트모드 송신기를 갖는 광망 종단 장치들로 구성된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광가입자망에서 수행되는 신규 광망 종단 장치를 등록시키기 위한 절차에서 상기 광 회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수신에 대하여 상기 광 회선 단말로 1차 응답 메시지 및 상기 1차 응답 메시지와 동일한 2차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1차 응답 메시지 및 상기 2차 응답 메시지 각각이 상기 신규 광망 종단 장치를 등록시키기 위한 절차에서 상기 연속모드 수신기의 클록 데이터 복원 회로(clock data recovery)가 정상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연속모드 수신기에 수신되는 1차 타이밍 패턴 신호 및 상기 1차 타이밍 패턴 신호와 동일한 2차 타이밍 패턴 신호에 중첩되도록 상기 1차 응답 메시지와 상기 2차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광망 종단 장치에서 수행되는 등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타이밍 패턴 신호가 상기 광 회선 단말에 수신 완료된 후 상기 2차 타이밍 패턴 신호가 수신되며,
    상기 1차 응답 메시지와 상기 2차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1차 응답 메시지가 상기 1차 타이밍 패턴 신호에 중첩되는 부분과 상기 2차 응답 메시지가 상기 2차 타이밍 패턴 신호에 중첩되는 부분이 달라지도록 상기 1차 응답 메시지와 상기 2차 응답 메시지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광망 종단 장치에서 수행되는 등록 방법.
KR1020090017034A 2008-11-28 2009-02-27 신규 광망 종단 장치 등록 방법 KR101023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804 2008-11-28
KR20080119804 2008-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267A KR20100061267A (ko) 2010-06-07
KR101023813B1 true KR101023813B1 (ko) 2011-03-21

Family

ID=4236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034A KR101023813B1 (ko) 2008-11-28 2009-02-27 신규 광망 종단 장치 등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8958A (zh) * 2021-08-06 2021-11-26 深圳市西瑞联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onu自动配置路由器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560A (ko) * 2008-07-16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속 모드 신호처리소자들로 광 수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광 회선 단말과 그 인터페이스를 위한 동작 방법 및 광네트워크 유닛에서 수행되는 광 회선 단말의 연속 모드신호 처리를 위한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560A (ko) * 2008-07-16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속 모드 신호처리소자들로 광 수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광 회선 단말과 그 인터페이스를 위한 동작 방법 및 광네트워크 유닛에서 수행되는 광 회선 단말의 연속 모드신호 처리를 위한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267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 et al. Theory of burst-mode receiver and its applications in optical multiaccess networks
US9225453B2 (en) Optimizing optical systems using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nd/or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JP4558703B2 (ja) イーサネット受動型光加入者網におけるバーストデータ受信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10534989A (ja) 受動光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データ伝送延長を実現する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US8744263B2 (en) WDM-PON system, ONT, OLT and method for initialization of tunable laser
KR20170003649A (ko) 파장 스위칭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5144609B2 (ja) Ponシステムの局側終端装置
CN103125095B (zh) 基站侧装置和pon系统
JP5930990B2 (ja) 光受信器
JP2016163253A (ja) データ受信装置
KR101078052B1 (ko) 수동 광 통신 망에서의 수신 데이터 복원 장치 및 방법
KR101023813B1 (ko) 신규 광망 종단 장치 등록 방법
KR101063012B1 (ko) 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수동 광가입자망을 구성하는 광 회선 단말 및 광 회선 단말의 연속모드 수신기
US8538271B2 (en) Combined burst mode level and clock recovery
US201200452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rst mode clock and data recovery
JP4429988B2 (ja) 受動光網システムの局側通信装置及び上りバースト光信号送信タイミング制御方法
Kani et al. Current TDM-PON Technologies
US11516563B2 (en) Passive optical network (PON) synchronization and clock recovery
US10484096B2 (en) Relay apparatus and relay method for passive optical network
WO2019019073A1 (zh) 数据处理方法、光线路终端、光网络单元及系统
JP5588814B2 (ja) バースト受信機,バースト受信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00124420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4567827A (zh) 确定无源光网络传输时延的方法
US11375299B2 (en) Optical network power conservation
KR20120018086A (ko) 버스트 모드 클럭 및 데이터 복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