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218B1 -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218B1
KR101023218B1 KR1020100076818A KR20100076818A KR101023218B1 KR 101023218 B1 KR101023218 B1 KR 101023218B1 KR 1020100076818 A KR1020100076818 A KR 1020100076818A KR 20100076818 A KR20100076818 A KR 20100076818A KR 101023218 B1 KR101023218 B1 KR 101023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fixed
guide
doo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전
Priority to KR1020100076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관문의 철재도어에 내장되어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하고, 외부로 스톱퍼가 노출되지 않으며, 손으로 쉽게 작동시킬 수 있는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며, 내부공간부(12)를 형성하는 판체에 서로 마주보도록 톱니회전부(13)와 회전지지부(14)가 형성되고, 바닥판(11)에 출입홀(11-2)이 형성되되 출입홀(11-2)을 형성하는 일단에 라운딩부(11-1)가 형성되며, 톱니고정부(13)는 내경에 톱니고정부(13-1)와 회전부(13-2)가 서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회전지지부(14)가 형성된 판체 중앙으로 봉홀(14-1)이 형성되며, 톱니고정부(13-1)와 회전지지부(14)에 작동체(2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도어(10); 원통체(21)의 일측 단부 둘레에 고정톱니부(22)가 형성되어 톱니회전부(13)에 삽입되고, 원통체(21)의 타단에 봉체(24)가 돌출 형성되어 회전지지부(14)의 봉홀(14-1)을 통해 도어(10) 실내측면으로 노출되어 손잡이(15)가 봉체(24) 단부에 고정되며, 원통체(21)의 타단이 회전지지부(14)에 삽입될 때 스프링(25)이 개재되어 삽입되어 탄력지지되고, 원통체(21)의 둘레에 작동톱니부(23)가 형성되며, 고정톱니부(22)가 전후이동하면서 톱니고정부(13-1)와 회전부(13-2)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되는 작동체(20); 수직몸체(31)의 하단에 고무몸체(32)가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되고, 수직몸체(31)는 가이드부(31-1)와 톱니부(31-2)로 이루어져 톱니부(31-2)는 작동체(20)의 작동톱니부(23)에 맞물리되 작동톱니부(23)의 폭보다 작아 작동톱니부(23)의 전후이동에도 항상 맞물리게 되며, 고무몸체(32)는 일측면에 경사부(32-1)가 형성되어 하단의 첨부(32-2)로 갈수록 두께(t)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첨부(32-2)가 고정롤러(40)와 탄성가이드(50) 사이에 위치하여 출입홀(11-2)을 통해 바닥판(11)과 바닥(3) 사이에 끼여 압착되는 스톱퍼(30); 도어(10)의 출입홀(11-2) 인접한 곳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고무몸체(32)의 경사부(32-1)와 맞닿는 고정롤러(40); 롤러(52)의 회전축(52-1)이 지지체(5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지지체(53)는 가이드(51)에 삽입되어 공간부(51-2)에서 전후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52-1)은 가이드(51)에 형성된 슬릿홀(51-1)을 통하여 전후이동하게 되고, 지지체(53)는 스프링(54)에 의하여 가이드(51) 내에서 탄력지지되며, 가이드(51)는 도어(10)의 내부공간부(13)에 한쌍이 고정되되 고정롤러(40)와 마주보도록 고정되는 탄성가이드(50); 스톱퍼(30)의 가이드부(31-1)에 맞닿게 다수개의 쌍이 가이드부(3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스톱퍼(3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 { A door structure having stopper in }
본 발명은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관문의 철재도어에 내장되어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하고, 외부로 스톱퍼가 노출되지 않으며, 손으로 쉽게 작동시킬 수 있는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는 다양한 문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문은 잠금과 해제를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문이 열려 있을 때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문의 위치를 고정하여 통풍이나 기타 필요한 경우가 있었다. 특히 현관문의 경우에는 문이 항상 닫히도록 문 상부에 닫힘 스프링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였다.
이와 같이 문을 열은 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여닫이 문 개문시 지지장치(이하 말발굽이라 통칭함)를 사용하고, 지지장치는 도시된 바와같이 여닫이 문의 내측 저부 모서리 부분에 말발굽을 설치하고 이 말발굽을 이용하여 개문시 폐문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말발굽은 여닫이 문의 내측 저부 일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절첩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허리를 굽혀 손으로 절첩 해야함으로 그에 따른 번거로움이 지적 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의 말발굽을 절첩 해야 할 사람이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을 경우에는 손으로 말발굽을 절첩하지 아니하고 발로써 절첩하고 있으나 발로 작동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말발굽은 회전운동에 의하여 지면에 밀착되는 구조이므로 말발굽의 하단이 마모되거나 설치 높이가 맞지 않으면 회전이 제대로 되지 않아 고정위치까지 회전하지 않으므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문이 설치될 때 건축물에 시공된 바닥면의 수평이 균일하게 되지 않으면 이러한 말발굽의 접촉면과 바닥면과의 거리가 일정치 않아 제대로 위치를 고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로 말발굽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문의 외관상 보기 좋지 않다.
이러한 말발굽을 발로 작동시키면 신발을 신은 발로 말발굽을 밀기 어렵고, 신발에 묻은 흙이 그대로 문에 묻어 문이 지저분해 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스톱퍼가 도어 내부에 내장되도록 구성하여 도어 하단의 지저분한 부분을 없애주고, 발로 작동하여야 했었던 종래의 말발굽을 대신하여 손으로 쉽게 작동시킬 수 있게 구성한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스톱퍼의 고무몸체가 도어 하단과 바닥 사이로 나와 그 사이에 끼이면서 도어를 고정하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공간부(12)를 형성하는 판체에 서로 마주보도록 톱니회전부(13)와 회전지지부(14)가 형성되고, 바닥판(11)에 출입홀(11-2)이 형성되되 출입홀(11-2)을 형성하는 일단에 라운딩부(11-1)가 형성되며, 톱니고정부(13)는 내경에 톱니고정부(13-1)와 회전부(13-2)가 서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회전지지부(14)가 형성된 판체 중앙으로 봉홀(14-1)이 형성되며, 톱니고정부(13-1)와 회전지지부(14)에 작동체(2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도어(10); 원통체(21)의 일측 단부 둘레에 고정톱니부(22)가 형성되어 톱니회전부(13)에 삽입되고, 원통체(21)의 타단에 봉체(24)가 돌출 형성되어 회전지지부(14)의 봉홀(14-1)을 통해 도어(10) 실내측면으로 노출되어 손잡이(15)가 봉체(24) 단부에 고정되며, 원통체(21)의 타단이 회전지지부(14)에 삽입될 때 스프링(25)이 개재되어 삽입되어 탄력지지되고, 원통체(21)의 둘레에 작동톱니부(23)가 형성되며, 고정톱니부(22)가 전후이동하면서 톱니고정부(13-1)와 회전부(13-2)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되는 작동체(20); 수직몸체(31)의 하단에 고무몸체(32)가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되고, 수직몸체(31)는 가이드부(31-1)와 톱니부(31-2)로 이루어져 톱니부(31-2)는 작동체(20)의 작동톱니부(23)에 맞물리되 작동톱니부(23)의 폭보다 작아 작동톱니부(23)의 전후이동에도 항상 맞물리게 되며, 고무몸체(32)는 일측면에 경사부(32-1)가 형성되어 하단의 첨부(32-2)로 갈수록 두께(t)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첨부(32-2)가 고정롤러(40)와 탄성가이드(50) 사이에 위치하여 출입홀(11-2)을 통해 바닥판(11)과 바닥(3) 사이에 끼여 압착되는 스톱퍼(30); 도어(10)의 출입홀(11-2) 인접한 곳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고무몸체(32)의 경사부(32-1)와 맞닿는 고정롤러(40); 롤러(52)의 회전축(52-1)이 지지체(5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지지체(53)는 가이드(51)에 삽입되어 공간부(51-2)에서 전후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52-1)은 가이드(51)에 형성된 슬릿홀(51-1)을 통하여 전후이동하게 되고, 지지체(53)는 스프링(54)에 의하여 가이드(51) 내에서 탄력지지되며, 가이드(51)는 도어(10)의 내부공간부(13)에 한쌍이 고정되되 고정롤러(40)와 마주보도록 고정되는 탄성가이드(50); 스톱퍼(30)의 가이드부(31-1)에 맞닿게 다수개의 쌍이 가이드부(3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스톱퍼(3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손잡이로 작동할 수 있어서 도어에 더러운 흙이 묻은 신발을 닿게 하지 않아도 되고, 발로 제대로 작동할 수 없었던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바닥과 도어 하단과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아도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고무몸체의 경사부에 형성되는 주름부가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를 도시한 일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에서 도어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의 탄성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의 주요부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도어(10)의 내부에 작동체(2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작동체(20)의 회전에 따라 상하이동하도록 스톱퍼(30)가 설치되며, 스톱퍼(30) 하단의 고무몸체(32)가 도어(10)의 바닥판(10)과 바닥(3) 사이에 끼워져 압착 고정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어(10)는 두개의 철재 판체 사이에 내부공간부(12)를 형성하는데, 상기 판체에 서로 마주보도록 톱니회전부(13)와 회전지지부(14)가 형성되고, 바닥판(11)에 출입홀(11-2)이 형성된다.
상기 출입홀(11-2)이 형성되도록 절개된 바닥판(11)의 일단에 라운딩부(11-1)가 형성되고, 라운딩부(11-1)는 출입홀(11-2) 단부가 반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톱니고정부(13)는 내경에 톱니고정부(13-1)와 회전부(13-2)가 서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톱니고정부(13-1)가 판체와 인접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지지부(14)가 형성된 판체 중앙으로 봉홀(14-1)이 형성되고, 톱니고정부(13-1)와 회전지지부(14)에 작동체(2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된다.
작동체(20)는 원통체(21)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단부쪽 둘레에 고정톱니부(22)가 형성되어 톱니회전부(13)에 삽입되고, 고정톱니부(22)는 원통체(21)의 전후 이동에 따라 톱니회전부(13) 또는 회전부(13-2)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원통체(21)의 타단에 봉체(24)가 돌출 형성되어 회전지지부(14)의 봉홀(14-1)을 통해 도어(10) 실내측면으로 노출되어 손잡이(15)가 봉체(24) 단부에 고정된다. 손잡이(15)을 잡아당기거나 놓으면 작동체(20)가 전후 이동하게 되는데, 원통체(21)의 타단이 회전지지부(14)에 삽입될 때 스프링(25)이 개재되어 삽입되어 탄력지지된다. 따라서 항상 원통체(21)의 고정톱니부(22)가 스프링(25)의 힘에 의해 톱니고정부(13-1)와 맞물린 상태가 된다. 하지만 손잡이(15)를 잡아당기면 고정톱니부(22)가 톱니고정부(13-1)에서 벗어나 회전부(13-2)에 위치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원통체(21)의 둘레에 작동톱니부(23)가 형성되고, 고정톱니부(22)가 전후이동하면서 톱니고정부(13-1)와 회전부(13-2)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스톱퍼(30)는 수직몸체(31)와 고무몸체(32)로 이루어지고, 수직몸체(31)의 하단에 고무몸체(32)가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된다. 수직몸체(31)는 가이드부(31-1)와 톱니부(31-2)로 이루어져 톱니부(31-2)는 작동체(20)의 작동톱니부(23)에 맞물리되 작동톱니부(23)의 폭보다 작아 작동톱니부(23)의 전후이동에도 항상 맞물리게 된다.
고무몸체(32)는 일측면에 경사부(32-1)가 형성되어 하단의 첨부(32-2)로 갈수록 두께(t)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첨부(32-2)가 고정롤러(40)와 탄성가이드(50) 사이에 위치하여 출입홀(11-2)을 통해 바닥판(11)과 바닥(3) 사이에 끼여 압착된다.
고정롤러(40)는 도어(10)의 출입홀(11-2) 인접한 곳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고무몸체(32)의 경사부(32-1)와 맞닿고, 고무몸체(32)가 지나갈때 고정롤러(40)가 회전하게 된다.
탄성가이드(50)는 고정롤러(4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그 사이에 고무몸체(32)가 끼여져 고정된다. 탄성가이드(50)의 롤러(52)는 회전축(52-1)이 지지체(5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지지체(53)는 가이드(51)에 삽입되어 공간부(51-2)에서 전후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축(52-1)은 가이드(51)에 형성된 슬릿홀(51-1)을 통하여 전후이동하게 되고, 지지체(53)는 스프링(54)에 의하여 가이드(51) 내에서 탄력지지된다. 그리고 가이드(51)는 도어(10)의 내부공간부(13)에 한쌍이 고정되되 고정롤러(40)와 마주보도록 고정된다.
스톱퍼(30)의 가이드부(31-1)에 맞닿게 다수쌍의 가이드롤러(60)가 가이드부(3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스톱퍼(30)의 상하이동을 안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손잡이(15)를 잡아 당겨서 고정톱니부(22)를 톱니고정부(13-1)에서 이탈시키면 작동체(20)가 회전이 가능하고, 손잡이(15)를 회전시키면 작동톱니부(23)와 맞물린 스톱퍼(30)의 톱니부(31-2)의 동작에 의해 스톱퍼(30)가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스톱퍼(30)의 고무몸체(32)가 도어(10)의 바닥판(11)과 바닥(3) 사이로 밀려들어가고, 위로 갈수록 두께(t)가 두꺼워지므로 고무몸체(32)가 바닥판(11)과 바닥(3) 사이에 끼워져 압착되어 도어(10)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15)를 놓으면 톱니고정부(13-1)에 다시 고정톱니부(22)가 들어가 더 이상 회전이 되지 않게 된다.
1 : 문틀 2 : 문지방
3 : 바닥 10 : 도어
11 : 바닥판 11-1 : 라운딩부
11-2 : 출입홀 12 : 내부공간부
13 : 톱니회전부 13-1 : 톱니고정부
13-2 : 회전부 14 : 회전지지부
14-1 : 봉홀 15 : 손잡이
20 : 작동체 21 : 원통체
22 : 고정톱니부 23 : 작동톱니부
24 : 봉체 25 : 스프링
30 : 스톱퍼 31 : 수직몸체
31-1 : 가이드부 31-2 : 톱니부
32 : 고무몸체 32-1 : 경사부
32-2 : 첨부 40 : 고정롤러
50 : 탄성가이드 51 : 가이드
51-1 : 슬릿홀 51-2 : 공간부
52 : 롤러 52-1 : 회전축
53 : 지지체 54 : 스프링
60 : 가이드롤러 t : 두께

Claims (1)

  1. 내부공간부(12)를 형성하는 판체에 서로 마주보도록 톱니회전부(13)와 회전지지부(14)가 형성되고, 바닥판(11)에 출입홀(11-2)이 형성되되 출입홀(11-2)을 형성하는 일단에 라운딩부(11-1)가 형성되며, 톱니고정부(13)는 내경에 톱니고정부(13-1)와 회전부(13-2)가 서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회전지지부(14)가 형성된 판체 중앙으로 봉홀(14-1)이 형성되며, 톱니고정부(13-1)와 회전지지부(14)에 작동체(2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도어(10); 및 원통체(21)의 일측 단부 둘레에 고정톱니부(22)가 형성되어 톱니회전부(13)에 삽입되고, 원통체(21)의 타단에 봉체(24)가 돌출 형성되어 회전지지부(14)의 봉홀(14-1)을 통해 도어(10) 실내측면으로 노출되어 손잡이(15)가 봉체(24) 단부에 고정되며, 원통체(21)의 타단이 회전지지부(14)에 삽입될 때 스프링(25)이 개재되어 삽입되어 탄력지지되고, 원통체(21)의 둘레에 작동톱니부(23)가 형성되며, 고정톱니부(22)가 전후이동하면서 톱니고정부(13-1)와 회전부(13-2)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되는 작동체(20); 가 구비된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에 있어서,
    수직몸체(31)의 하단에 고무몸체(32)가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되고, 수직몸체(31)는 가이드부(31-1)와 톱니부(31-2)로 이루어져 톱니부(31-2)는 작동체(20)의 작동톱니부(23)에 맞물리되 작동톱니부(23)의 폭보다 작아 작동톱니부(23)의 전후이동에도 항상 맞물리게 되며, 고무몸체(32)는 일측면에 경사부(32-1)가 형성되어 하단의 첨부(32-2)로 갈수록 두께(t)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첨부(32-2)가 고정롤러(40)와 탄성가이드(50) 사이에 위치하여 출입홀(11-2)을 통해 바닥판(11)과 바닥(3) 사이에 끼여 압착되는 스톱퍼(30);
    도어(10)의 출입홀(11-2) 인접한 곳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고무몸체(32)의 경사부(32-1)와 맞닿는 고정롤러(40);
    롤러(52)의 회전축(52-1)이 지지체(5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지지체(53)는 가이드(51)에 삽입되어 공간부(51-2)에서 전후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52-1)은 가이드(51)에 형성된 슬릿홀(51-1)을 통하여 전후이동하게 되고, 지지체(53)는 스프링(54)에 의하여 가이드(51) 내에서 탄력지지되며, 가이드(51)는 도어(10)의 내부공간부(13)에 한쌍이 고정되되 고정롤러(40)와 마주보도록 고정되는 탄성가이드(50);
    스톱퍼(30)의 가이드부(31-1)에 맞닿게 다수개의 쌍이 가이드부(3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스톱퍼(3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
KR1020100076818A 2010-08-10 2010-08-10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 KR101023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818A KR101023218B1 (ko) 2010-08-10 2010-08-10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818A KR101023218B1 (ko) 2010-08-10 2010-08-10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218B1 true KR101023218B1 (ko) 2011-03-18

Family

ID=4393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818A KR101023218B1 (ko) 2010-08-10 2010-08-10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2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498U (ko) * 2017-06-05 2018-12-13 강경관 롤러형 도어스토퍼
KR102650612B1 (ko) * 2024-02-02 2024-03-22 (주)명인건축사사무소 도어 내장형 스톱퍼 및 이를 구비한 건축물 도어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452U (ko) * 1996-11-04 1998-08-05 강훈철 여닫이 문의 개문(開門)시 지지장치
KR200235690Y1 (ko) * 2001-03-15 2001-10-08 이종현 여닫이식 도어의 스토퍼장치
JP2007100300A (ja) 2005-09-30 2007-04-19 Haruo Matsushita 扉用ストッパー装置
KR100850317B1 (ko) * 2007-04-12 2008-08-07 김영배 문턱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452U (ko) * 1996-11-04 1998-08-05 강훈철 여닫이 문의 개문(開門)시 지지장치
KR200235690Y1 (ko) * 2001-03-15 2001-10-08 이종현 여닫이식 도어의 스토퍼장치
JP2007100300A (ja) 2005-09-30 2007-04-19 Haruo Matsushita 扉用ストッパー装置
KR100850317B1 (ko) * 2007-04-12 2008-08-07 김영배 문턱 승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498U (ko) * 2017-06-05 2018-12-13 강경관 롤러형 도어스토퍼
KR200488451Y1 (ko) * 2017-06-05 2019-02-01 강경관 롤러형 도어스토퍼
KR102650612B1 (ko) * 2024-02-02 2024-03-22 (주)명인건축사사무소 도어 내장형 스톱퍼 및 이를 구비한 건축물 도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659B1 (ko) 도어핸들을 이용한 안전도어락
KR101023218B1 (ko) 내부에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 구조
CN104334811A (zh) 用于操作锁的防绳索把手和锁眼盖
KR10181048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200409893Y1 (ko) 출입문용 도어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668103B1 (ko) 미닫이여닫이 일체형 창호
KR200414222Y1 (ko) 창문용 크레센트
KR101468619B1 (ko) 방화문용 도어록킹장치
KR101016709B1 (ko) 일체형 스톱퍼가 내장된 건축물의 도어구조
AU2018275570A1 (en) Anti-ligature turn piece
KR20120001601A (ko) 출입문용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CN102421981A (zh) 纱窗装置
JP2016211332A (ja) スライド式ドア装置
JP3183840U (ja) 引戸の隙間防止装置
KR101390975B1 (ko) 미닫이식 도어용 안전 손잡이
KR101952828B1 (ko) 도어의 발 개폐기
KR102416450B1 (ko) 손 끼임 방지를 위한 여닫이 도어용 스토퍼
KR101699587B1 (ko)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여닫이문
KR20160001296U (ko) 슬라이딩 여닫이문
US1570016A (en) Awning
KR20120058793A (ko) 문틈의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937178B1 (ko) 스윙 도어
KR101232692B1 (ko) 도어 고정장치
KR101911471B1 (ko) 자석을 이용한 도어 스토퍼
JP7308500B2 (ja) 足操作式の内締まり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