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601B1 - 디스펜서용 노즐 - Google Patents

디스펜서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601B1
KR101022601B1 KR1020100080342A KR20100080342A KR101022601B1 KR 101022601 B1 KR101022601 B1 KR 101022601B1 KR 1020100080342 A KR1020100080342 A KR 1020100080342A KR 20100080342 A KR20100080342 A KR 20100080342A KR 101022601 B1 KR101022601 B1 KR 101022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nozzle hole
induction
body member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룡
Original Assignee
정해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룡 filed Critical 정해룡
Priority to KR1020100080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수용되는 액상의 내용물을 그 종류에 따라 사용하기 적합한 상태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후단이 개방되며 전단면의 중앙에는 노즐공(11)이 관통형성되고, 각 내단은 상기 노즐공과 일정간격으로 격리되며 노즐공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배열되게 전단의 내면에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유도편(12)을 구비하는 몸체부재(10)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에 결합하며 지름은 몸체부재의 내부 지름보다 작고 외주면에는 상기 지름들의 차이에 비례하는 두께로 되는 복수의 격리편(21)이 일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유도부재(20)와, 상기 복수의 격리편들에 의해 몸체부재의 내주면과 유도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입로(30) 및 상기 몸체부재의 전단 내면과 유도부재의 전단 외면 사이에 복수의 유도편에 의해 유입로와 연결되게 노즐공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유도로(40)를 포함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펜서용 노즐{Nozzle for dispenser}
본 발명은 디스펜서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되는 액상의 내용물을 그 종류에 따라 사용하기 적합한 상태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화장품이나 세제, 모기약과 같은 각종 살충제 등의 내용물을 담은 용기의 개구부에는 디스펜서를 결합하여 내용물을 필요한 량씩 토출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디스펜서로 종래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용기(9)의 상단 개구부(8)에 나사결합하는 캡(9a)의 상단부에 승강하게 결합설치되며 노즐(2)이 부설된 버튼(1)과 상기 버튼의 하부에 결합하는 스템(2a)과 상기 스템의 하단에 결속되며 버튼과 스프링(5)에 의해 실린더(4)의 하우징(7) 내부에서 승강하게 되는 피스톤(3)과 상기 실린더의 하단 개구부(7a)를 여닫아주게 내부에 장착되는 볼 형태의 체크밸브(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버튼을 누르면 스템과 피스톤이 스프링을 가압하면서 하강하는 과정에서 실린더의 내부에 있는 내용물은 내부압력에 의해 피스톤에 형성된 유입구와 스템의 내부 통로를 거쳐 노즐을 통해 토출되고 체크밸브는 실린더의 개구부를 닫아주게 되며 반대로 버튼을 놓으면 압축되었던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스템과 피스톤이 상승하고 이 과정에서 체크밸브가 열리게 되므로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실린더로 유입되어 다음 토출을 대기토록 한 것이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디스펜서의 노즐(2)은, 버튼(1)을 누르면 스템(2a)에 결속된 피스톤(3)이 스프링(5)을 가압하면서 하강하는 과정에서 실린더(4)의 내부에 있는 내용물이 내부압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유입구와 스템의 내부 통로를 거쳐 압송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게 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내용물을 그 종류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를 수 있도록 토출되는 각도나 거리 또는 토출상태(액체입자의 크기 등)를 달리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용물이 원하는 상태로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유실되는 량이 많게 되어 내용물의 손실은 물론 이에 따른 구입비용의 낭비가 초래되는 등의 문제점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내용물을 그 종류나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내용물의 유실이나 구입비용을 낭비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디스펜서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후단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되며 전단면의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노즐공과 각 내단이 상기 노즐공과 일정간격으로 격리되며 노즐공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배열되게 전단의 내면에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유도편을 구비하는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에 결합하며 지름은 몸체부재의 내부 지름보다 작고 외주면에는 상기 지름의 차이에 비례하는 두께로 되는 복수의 격리편이 일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유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버튼을 누르면 내용물이 스템을 통해 압송되어 상기 몸체부재의 외주면과 유도부재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거쳐 노즐공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사선방향으로 배열된 유도편들에 의해 몸체부재의 전단 내면과 유도부재의 전단 외면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유도로를 회오리바람처럼 회전하면서 통과하여 노즐공을 통해 토출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유도편의 개수에 따라 내용물이 토출되는 각도나 거리는 물론 토출상태가 다르게 되어 내용물을 그 종류나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후단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되며 전단면의 중앙에 내부와 통하게 형성되는 노즐공과 전단부의 내주면은 지름이 상기 노즐공을 향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고 각 내단이 상기 노즐공과 일정간격으로 격리되며 노즐공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배열되게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유도편을 구비하는 몸체부재와, 후단이 개방되고 지름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지름과 같은 원통형으로 되며 전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게 형성된 전단부의 중간에는 외부와 내부가 통하게 복수의 유도공을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수평형성한 유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노즐은, 내용물이 복수의 유도로를 회오리바람처럼 회전하면서 통과하여 노즐공을 통해 토출되게 함으로써 유도로의 개수조절 등으로 토출되는 각도나 거리 또는 토출상태를 내용물의 종류나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토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내용물이 필요 이상으로 토출되어 유실되는 것은 물론 잦은 구입으로 인한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디스펜서용 노즐의 일 사용 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노즐의 일 사용 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노즐을 발췌하여 분리하여 보인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노즐을 결합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
도 5a~c는 도 2의 노즐에서 몸체부재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확대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노즐을 분리하여 보인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노즐을 결합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6의 노즐에서 몸체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배면도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노즐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노즐의 일 사용 예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노즐을 발췌하여 분리하여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노즐을 결합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5a~c는 도 2의 노즐에서 몸체부재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확대 배면도이다.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노즐은, 후단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되며 전단면의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노즐공(11)과 각 내단이 상기 노즐공과 일정간격으로 격리되며 노즐공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배열되게 전단의 내면에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유도편(12)을 구비하는 몸체부재(10)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에 결합하며 지름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 지름보다 작고 외주면에는 상기 지름의 차이에 비례하는 두께로 되는 복수의 격리편(21)이 일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유도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몸체부재(1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노즐공(11)은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커지게 형성된다.
유도부재(2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몸체부재(10)의 내부에 결합하면 복수의 격리편(21)들에 의해 상기 몸체부재의 내주면과 유도부재의 외주면 사이에는 내용물의 유입로(30)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재의 전단 내면과 유도부재의 전단 외면 사이에는 복수의 유도편(12)에 의해 상기 유입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유도로(40)가 노즐공(11)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노즐이 장착된 버튼(1)을 구비하는 디스펜서를 용기(9)의 개구부(8)에 결합하고 상기 버튼을 누르면 스템(2)이 함께 하강하게 되므로 그 상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구(2a)가 실린더(3)에 형성된 복수의 장공(3a)들과 서로 일치하게 되면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내부압력에 의해 상기 장공과 유입구를 거쳐 유통로(2b)로 유입상승하여 복수의 격리편(21)들에 의해 몸체부재(10)의 내주면과 유도부재(2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입로(30)를 분산통과하여 복수의 유도로(40)로 유입된다.
이렇게 복수의 유도로(40)에 유입되는 내용물은, 상기 각 유도로가 중앙의 노즐공(11)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오리바람과 같이 회전하면서 상기 각 유도로를 통과하여 노즐공(1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노즐공(11)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의 각도와 거리 또는 토출상태는 유도로(40)를 형성하게 되는 유도편(12)의 개수에 따라 다르게 됨은 물론 상기 노즐공의 지름이 전단으로 갈수록 커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되는 각도는 더욱 넓어지게 된다.
즉, 실험에 의하면 유도편(12)이 3개인 경우에 토출되는 각도는 노즐공(11)을 중심으로 25°~ 30°정도로 되었고, 4개인 경우에는 40°~ 50°정도로 되었으며, 5개인 경우에는 50°~ 60°정도로 되었다.
또한, 상기 토출되는 각도에 반하여 유도편(12)들의 개수가 적을수록 토출되는 거리는 멀어지는 반면에 토출상태인 액체입자의 크기가 커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실험결과에 의하여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노즐은 내용물이 화장품인 용기의 디스펜서에 적용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유도편(12)을 3개~5개로 형성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용기의 디스펜서에 장착되는 노즐의 크기 등을 감안할 때 가장 적합한 개수이며, 6개 이상은 노즐의 크기에 비하면 형성하는 것 자체가 무리한 개수임은 물론 비록 형성한다 하여도 5개를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별다른 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복수의 유입로(30)를 형성하는 격리편(21)의 개수도 3개 내지 5개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는 노즐이 몸체부재(10)의 내부에 유도부재(20)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도부재를 결합하지 않은 몸체부재만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물론, 이렇게 하는 경우에는 각 유도로(40)의 후방이 개방됨은 물론 유통로(2b)를 통해 유입되는 내용물이 분산되지 않고 몸체부재(10)의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일부의 내용물은 회오리바람처럼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노즐공(11)을 통해 토출되어 결과적으로 토출되는 각도나 거리 또는 토출상태가 유도부재(20)를 결합하였을 때보다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종래의 노즐에 비하면 현저하게 향상되기 때문에 몸체부재(10)만으로 노즐을 구성하여도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노즐을 분리하여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노즐을 결합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노즐에서 몸체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노즐은, 후단이 개방되고 전단부의 외주면은 전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원통형으로 되며 전단면의 중앙에는 내부와 통하게 노즐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전단부의 내주면(10a)은 지름이 노즐공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각 내단은 상기 노즐공과 일정간격으로 격리되며 노즐공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배열되게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유도편(12)을 구비하는 몸체부재(10)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에 결합하며 전단부의 외주면(20a)은 지름이 전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되고 상기 외주면의 중간에는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유도공(22)이 일정간격으로 수평형성된 유도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노즐은, 몸체부재(10)의 내부에 유도부재(20)를 결합하면 경사진 외주면(20a)의 중간에 수평으로 형성된 유도공(22)들은 유도편(12)들이 돌출형성된 경사진 내주면(10a)의 외주연에 위치하게 되며, 아울러 상기 유도편들에 의해 내주면과 외주면의 사이에는 복수의 유도로(40)가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노즐이 장착된 디스펜서를 개구부(8)에 결합한 용기(9)에서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에는 버튼(1)을 눌러 스템(2)을 하강시켜 주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상기 스템의 상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구(2a)가 실린더(3)에 형성된 복수의 장공(3a)들과 서로 일치하게 되므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내부압력에 의해 장공과 유입구를 거쳐 유통로(2b)로 유입상승하여 유도부재(20)의 내부로 유입되어 각 유도공(22)을 분산통과하여 복수의 유도편(12)에 의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각 유도로(40)를 통과하게 된다.(도 2 참조)
따라서, 내용물은 각 유도로(40)를 회오리바람처럼 회전하면서 통과하여 지름이 노즐공(11)을 향해 점차 작아지게 경사진 내주면(10a)의 전단 공간을 거쳐 상기 노즐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노즐공(11)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의 각도와 거리 또는 토출상태는 상기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유도공(22)은 물론 복수의 유도로(40)를 형성하게 되는 유도편(12)의 개수에 따라 다르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기 유도편과 유도공의 개수는 몸체부재(10)와 유도부재(20)의 크기 등을 감안하면 3개~5개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3개 내지 5개로 형성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용기의 디스펜서에 장착되는 노즐의 크기 등을 감안할 때 가장 적합한 개수이며, 6개 이상은 노즐의 크기에 비하면 형성하는 것 자체가 무리한 개수임은 물론 형성한다 하여도 5개를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별다른 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복수의 유도공(22)도 3개~5개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도편(12)의 내단이 위치하는 내주면(10a)의 중간에는 수평면(10b)을 빙 둘러 형성하여 각 유도로(40)를 회오리바람처럼 회전하면서 통과한 내용물이 상기 수평면에 부딪혀서 와류현상을 일으키면서 노즐공(11)으로 이동하여 토출되게 하므로 토출되는 각도나 거리 또는 토출상태가 더욱 향상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의 제2 실시 예에서는 노즐이 몸체부재(10)의 내부에 유도부재(20)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도부재를 결합하지 않은 몸체부재만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물론, 이렇게 하는 경우에는 각 유도로(40)의 후방이 개방됨은 물론 유통로(2b)를 통해 유입되는 내용물이 분산되지 않고 몸체부재(10)의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일부의 내용물은 회오리바람처럼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노즐공(11)을 통해 토출되어 결과적으로 토출되는 각도나 거리 또는 토출상태가 유도부재(20)를 결합하였을 때보다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종래의 노즐에 비하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므로 몸체부재(10)만으로 구성하여도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용 노즐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또는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10 : 몸체부재 10a : 내주면
10b : 수평면 11 : 노즐공
12 : 유도편 20 : 유도부재
20a : 외주면 21 : 격리편
22 : 유도공 30 : 유입로
40 : 유도로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후단이 개방되며, 전단면의 중앙에 관통형성되는 노즐공(11)과, 지름이 상기 노즐공(11)을 향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는 전단부의 내주면(10a) 및 상기 노즐공(11)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배열되게 내주면(10a)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외단에서 내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내단은 노즐공(11)과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형성하는 3개~5개 중 어느 하나로 되는 유도편(12)을 구비하는 몸체부재(10)와;
    상기 몸체부재(10)의 내부에 결합하는 원통형으로 되며, 지름이 전단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되는 전단부의 외주면(20a)과, 전단부의 중간에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게 일정간격으로 수평형성하는 3개~5개 중 어느 하나로 되는 유도공(22)을 구비하는 유도부재(20); 및
    상기 유도편(12)들에 의해 내주면(10a)과 외주면(20a)의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유도로(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노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편(12)의 내단이 위치하는 내주면(10a)의 중간에는 수평면(10b)을 빙 둘러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노즐.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0080342A 2010-08-19 2010-08-19 디스펜서용 노즐 KR101022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342A KR101022601B1 (ko) 2010-08-19 2010-08-19 디스펜서용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342A KR101022601B1 (ko) 2010-08-19 2010-08-19 디스펜서용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601B1 true KR101022601B1 (ko) 2011-03-16

Family

ID=4393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342A KR101022601B1 (ko) 2010-08-19 2010-08-19 디스펜서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592Y1 (ko) 2012-07-02 2012-11-13 홍국선 세포배양 지지체 형성용 디스펜서 노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4346A1 (en) * 2006-12-15 2008-07-10 Jean-Pierre Songbe Spray nozzle, dispensing element comprising such a spray nozzle, dispenser comprising such an element and use of such a spray nozz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4346A1 (en) * 2006-12-15 2008-07-10 Jean-Pierre Songbe Spray nozzle, dispensing element comprising such a spray nozzle, dispenser comprising such an element and use of such a spray nozz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592Y1 (ko) 2012-07-02 2012-11-13 홍국선 세포배양 지지체 형성용 디스펜서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00634B (zh) 包括具有带有整体形成的弹簧的提升阀的压力积累排放阀组件的喷雾器
US5547132A (en) Sprayer having variable spray pattern
JP6630820B2 (ja) 化粧品容器のミストポンプ
EP3018252B1 (en) Hydrocyclone with a bi-directional dilution device
CN102015398A (zh) 用于汽车压缩空气系统的消音器
US9204766B2 (en) Press head assembly
KR101022601B1 (ko) 디스펜서용 노즐
JP3831102B2 (ja) ジェット粉砕機
JP2017508675A (ja) 泡噴出チューブ容器
JP6276271B2 (ja) 流体スプレーヘッドと、このような流体スプレーヘッドを有するディスペンサー装置
EA200800572A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в гидроциклонах и относящиеся к гидроциклонам
CN203845175U (zh) 揿压式外置弹簧香水喷雾器
US6905082B1 (en) Sprayer device having buffering structure
KR20120108252A (ko) 디스펜서용 분무캡
KR101022618B1 (ko) 디스펜서용 노즐
CN110193432B (zh) 用于分配系统的具有台阶式涡流室的分配头
US11129460B2 (en) Opening/closing nozzle of discharge pump for cosmetic container
RU2644115C2 (ru) У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устройство выдачи
JP2012161722A (ja) 粉砕装置
US20150048183A1 (en) Swirler elements for nozzles
KR101652951B1 (ko) 압력밸런스형 볼밸브
JP2017516592A5 (ko)
EP3015173B1 (en) Internal mix air atomizing spray nozzle
ITMI20060128A1 (it) Unita' di fluidificazione per un dispositivo convogliatore di polvere e dispositivo convogliatore di polvere con unita' di fluidificazione
KR102607739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