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380B1 -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380B1
KR101022380B1 KR1020090013032A KR20090013032A KR101022380B1 KR 101022380 B1 KR101022380 B1 KR 101022380B1 KR 1020090013032 A KR1020090013032 A KR 1020090013032A KR 20090013032 A KR20090013032 A KR 20090013032A KR 101022380 B1 KR101022380 B1 KR 101022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formation
terminal
called termina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0276A (ko
Inventor
안호태
임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00080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04M3/4365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based on information specified by the calling party, e.g. priority or su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예약 시간에 발신 단말을 호출하여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한 후,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약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예약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예약 통화 정보-여기서, 예약 통화 정보는 예약 시간 정보, 발신 단말의 번호 및 착신 단말의 번호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예약 시간 정보가 현재 시간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에 대한 정상 응답을 받으면,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지능망, 예약 통화, 호출

Description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E CALL SERVIC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예약 시간에 발신 단말을 호출하여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한 후,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화해야 하는 시간을 잊거나 자주 전화를 드려야 하는 경우를 위해 단말에는 예약 통화 기능이 있다. 예약 통화 기능은 일종의 알람 기능으로서, 사용자가 통화를 희망하는 상대방(전화번호)과 시간을 예약해두면 단말이 예약된 시간에 신호음을 울리고 전화번호를 표시해주는 기술이다.
그런데, 이러한 예약 통화 기능은 예약된 시간에 전화번호를 표시하고 통화 예약이 있음을 알려주는 기능만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직접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어서 통화를 시도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입력한 예약 시간에 발신 단말을 호출하여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한 후,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예약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예약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예약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예약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예약 통화 정보-여기서, 예약 통화 정보는 예약 시간 정보, 발신 단말의 번호 및 착신 단말의 번호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예약 시간 정보가 현재 시간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에 대한 정상 응답을 받으면,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예약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예약 통화 정보-여기서, 예약 통화 정보는 예약 시간 정보, 발신 단말의 번호 및 착신 단말의 번호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정보 관리부;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지능형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예약 시간 정보가 현재 시간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의 호출하고, 상기 호출에 대한 정상 응답을 받으면, 상기 지능형 정보 제공부가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예약 시간에 발신 단말을 호출하여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한 후,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 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네트워크는, 단말(100a, 100b, 100c), 이동 통신 장치(200),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300) 및 웹서버(400)를 포함한다. 도 1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말(100a, 100b)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단말이고, 단말(100c)는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예약 통화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는 단말이다.
이동 통신 장치(200)는 단말(100a, 100b)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 기지국(210a, 210b), 교환기(220a, 220b) 및 홈위치등록기(230)를 포함한다. 기지국(210a, 210b) 및 교환기(220a, 220b)는 각각 발신측(210a, 220a)과 착신측(210b, 220b)으로 구분되어 있다.
기지국(210a, 210b)은 단말(100a, 100b) 및 교환기(220a, 220b)와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신호의 송수신, 채널 변조 및 복조, 전력 제어, 프로토콜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교환기(220a, 220b)는 기지국(210a, 210b)을 통해 단말(100a, 100b)과 통화 호를 연결한다.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230)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100a, 100b)의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310), 서비스 제어부(320), 지능형 정보 제공부(330) 및 정보 관리부(340)를 포함하며, 예약된 시간에 통화 대상간의 통화 호를 연결한다.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ervice Switching Point, SSP)(310)는 이동통신장치(2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서비스 제어부(320)와 이동통신장치(200)간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정보 관리부(340)는 웹서버(400) 및 서비스 제어부(320)와 연결되어 있으며, 웹서버(4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예약 통화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예약 통화 정보는 i) 통화 대상에 대한 정보, ii) 통화 시점에 대한 정보 및 iii) 통화 형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 통화 대상에 대한 정보는 발신자 정보, 발신번호, 착신자 정보, 착신번호이고, ii) 통화 시점에 대한 정보는 통화 주기, 날짜, 호출 시간, 호출이 실패했을 때 다시 시도하는 시간 및 횟수 등이고, iii) 통화 형태에 대한 정보는 영상/음성 통화 정보 및 회의 통화 정보일 수 있다.
지능형 정보 제공부(Intelligent Peripheral, IP)(330)는 통화 연결에 대한 ARS 안내 정보를 단말(100a)로 전송(S309)한다.
이때, 통화 연결에 대한 ARS 안내 정보에는, 예약 통화 정보에 발신번호로 입력되어 있는 단말(100a)의 사용자에게 예약 통화 정보에 착신번호로 입력되어 있는 단말(100b)과의 통화 연결의 진행, 거부 또는 일정 시간 후 재시도를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통화 연결에 대한 ARS 안내 정보를 듣고, 착신번호로 입력되어 있는 단말(100b)과의 통화 연결의 진행, 거부 또는 일정 시간 후 재시도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Service Control Point, SCP)(320)는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예약 시간 정보가 현재 시간과 일치하는 경우, 예약 통화 정보에 발신번호로 입력되어 있는 단말(100a)과의 호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통화 연결에 대한 ARS 안내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기초로, 예약 통화 정보에 착신번호로 입력되어 있는 단말(100b)과의 호 처리 수행 여부를 기초로, 통화 대상 간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한다.
웹서버(400)는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있는 단말(100c)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예약 통화 정보를 입력 받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부(32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부(320)는 송수신부(321), 조건 판단부(322), 호처리 판단부(323) 및 제어부(324)를 포함한다.
송수신부(321)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310) 및 웹서버(4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정보를 송수신 한다.
조건 판단부(322)는 정보 관리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예약 통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예약 통화 정보 중 예약 시간 정보가 현재 시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호처리 판단부(323)는 통화 연결에 대한 ARS 안내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기초로, 호 처리 계속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통화 연결의 진행인 경우 호 처리 계속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통화 연결의 거부 또는 일정 시간 후 재시도인 경우 호 처리 중지로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일정 시간 후 재시도인 경우, 서비스 제어부(320)는 일정 시간 후 재시도에 대한 정보를 정보 관리부(340)에 저장한다.
제어부(324)는 송수신부(321), 조건 판단부(322) 및 호처리 판단부(323)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예약 통화 서비스의 등록 과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사용자는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있는 단말(100c)을 통해 웹서버(400)에 접속하여 예약 통화 정보를 입력한다.
웹서버(400)는 입력 받은 예약 통화 정보를 서비스 제어부(320)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어부(320)는 수신한 예약 통화 정보를 정보 관리부(340)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서비스 제어부(320)는 정보 관리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예약 통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예약 통화 정보 중 예약 시간 정보가 현재 시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1).
예약 시간 정보가 현재 시간과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 서비스 제어부(320)는 예약 통화 정보에 발신번호로 입력되어 있는 단말(100a)의 위치 정보를 홈위치등록기(230)에 요청한다(S302). 홈위치등록기(230)는 단말(100a)이 연결되어 있는 교환기(220a)의 정보를 서비스 제어부(320)로 전송한다(S303).
홈위치등록기로부터 단말(100a)이 연결되어 있는 교환기(220a)의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제어부(320)는 교환기(220a)로 단말(100a)의 호출을 요청한다(S304).
단말(100a)의 호출을 요청 받은 교환기(220a)는 단말(100a)을 호출한다(S305). 이후, 단말(100a)로부터 정상 응답(사용자가 통화 버튼을 누름)을 수신(S306)하면, 교환기(220a)는 정상 응답 정보를 서비스 제어부(320)에 전송(S307)한다.
정상 응답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제어부(320)는 정상 응답 정보를 지능형 정보 제공부(330)로 전송(S308)하고, 지능형 정보 제공부(330)는 통화 연결에 대한 ARS 안내 정보를 단말(100a)로 전송(S309)한다.
반면, 정상 응답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서비스 제어부(320)는 실패 정보를 정보 관리부(340)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소정의 시간 후에 다시 단계 S302를 수행한다.
통화 연결에 대한 ARS 안내 정보를 수신한 단말(100a)은, 사용자로부터 착신번호로 입력되어 있는 단말(100b)과의 통화 연결의 진행, 거부 또는 일정 시간 후 재시도 등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 받고(S310), 선택 정보를 서비스 제어부(320) 로 전송(S311)한다.
이후, 서비스 제어부(320)는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기초로, 호 처리 계속 여부를 판단한다(S312).
호 처리 계속으로 판단된 경우, 서비스 제어부(320)는 예약 통화 정보에 착신번호로 입력되어 있는 단말(100b)의 위치 정보를 홈위치등록기(230)에 요청한다(S313). 홈위치등록기(230)는 단말(100b)이 연결되어 있는 교환기(220b)의 정보를 서비스 제어부(320)로 전송한다(S314).
홈위치등록기(230)로부터 단말(100b)이 연결되어 있는 교환기(220b)의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제어부(320)는 교환기(220b)로 단말(100b)의 호출을 요청한다(S315).
단말(100b)의 호출을 요청 받은 교환기(220b)는 단말(100b)을 호출한다(S316). 이후, 단말(100b)로부터 정상 응답을 수신(S317)하면, 교환기(220b)는 정상 응답 정보를 서비스 제어부(320)에 전송(S318)한다.
교환기(220b)로부터 정상 응답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제어부(320)는 예약 통화 정보에 발신번호로 입력되어 있는 단말(100a)과 착신번호로 입력되어 있는 단말(100b) 간의 통화 호를 연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11)

  1. 예약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예약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예약 통화 정보-여기서, 예약 통화 정보는 예약 시간 정보, 발신 단말의 번호 및 착신 단말의 번호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예약 시간 정보가 현재 시간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에 대한 정상 응답을 받으면,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선택 정-여기서 선택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과의 통화 호 연결의 진행, 거부 또는 일정 시간 후 재시도 중에 하나임-보를 기초로,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가 상기 착신 단말과의 통화 호 연결의 진행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가 상기 착신 단말과의 통화 호 연결의 거부 또는 일정 시간 후 재시도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과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가 일정 시간 후 재시도인 경우, 일정 시간 후 재시도에 대한내용을 상기 예약 시간 정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6.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예약 통화 정보-여기서, 예약 통화 정보는 예약 시간 정보, 발신 단말의 번호 및 착신 단말의 번호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정보 관리부;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지능형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예약 시간 정보가 현재 시간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의 호출하고, 상기 호출에 대한 정상 응답을 받으면, 상기 지능형 정보 제공부가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착신 단말로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착신 단말과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호처리 판단부를 포함하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예약 시간 정보가 현재 시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 판단부를 포함하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선택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과의 통화 호 연결의 진행, 거부 또는 일정 시간 후 재시도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가 상기 착신 단말과의 통화 호 연결의 진행인 경우,
    상기 호처리 판단부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기로 결정하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가 상기 착신 단말과의 통화 호 연결의 거부 또는 일정 시간후 재시도인 경우, 상기 호처리 판단부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 호 연결을 수행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가 일정 시간 후 재시도인 경우, 상기 호처리 판단부는 일정 시간 후 재시도에 대한 내용을 상기 예약 시간 정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090013032A 2008-12-30 2009-02-17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022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002 2008-12-30
KR20080137002 2008-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276A KR20100080276A (ko) 2010-07-08
KR101022380B1 true KR101022380B1 (ko) 2011-03-22

Family

ID=4264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032A KR101022380B1 (ko) 2008-12-30 2009-02-17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3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816A (ko) * 2015-02-02 201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예약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413A (ko) * 2003-06-19 2004-12-31 주식회사데이콤 예약 통화 서비스 방법
KR20060007793A (ko) * 2004-07-22 2006-01-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 유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60015170A (ko) * 2004-08-13 2006-02-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17153A (ko) * 2004-08-20 2006-02-2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예약 통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413A (ko) * 2003-06-19 2004-12-31 주식회사데이콤 예약 통화 서비스 방법
KR20060007793A (ko) * 2004-07-22 2006-01-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 유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60015170A (ko) * 2004-08-13 2006-02-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17153A (ko) * 2004-08-20 2006-02-2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예약 통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816A (ko) * 2015-02-02 201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예약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6126072A1 (en) * 2015-02-02 2016-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all reservation and method thereof
US10015313B2 (en) 2015-02-02 2018-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all reservation and method thereof
KR102217220B1 (ko) 2015-02-02 2021-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예약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276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01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wireless roaming
KR101022380B1 (ko) 예약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408183B1 (ko) 자동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8320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099463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중 착신 호 발생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0764477B1 (ko) 비행모드 전환을 통한 안내멘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5998B1 (ko) 무선 통신망을 통한 단말기 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시스템과 그 방법
KR20050052660A (ko) 제3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착신전환번호를 설정하기 위한통화장치 및 방법
KR100233910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의 이동 단말기 분실에 따른 안내 방송서비스 방법
KR1011468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CN101415046A (zh) 一种呼叫提醒控制方法、系统和设备
KR100605938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단말기 전원 오프 상태 안내 서비스방법
KR100744780B1 (ko) 이동통신망에서 지역기반 가상 사설망 서비스의 묵음방지안내 방송 방법
KR101219803B1 (ko) 국제 로밍 서비스에서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11713A (ko) 휴대단말기의 온오프 상태 확인장치 및 방법
KR100426171B1 (ko) 이동 통신망 기반 워키토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274160B1 (ko) 발신전용 ct-2의 접착신 호처리 방법
KR100645111B1 (ko) 착신 제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US20070263817A1 (en) Automated intelligent network service configuration
KR20040076514A (ko) 서비스 제공자 변경과 무관하게 전화번호 유지 서비스를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934182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수신 시점 통보 방법
KR20050044167A (ko)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68463B1 (ko) 번호이동가입자 호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81330B1 (ko) 통화 유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777862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