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819B1 - 전기통신 시스템용 수정 스케줄링 기술 - Google Patents

전기통신 시스템용 수정 스케줄링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819B1
KR101021819B1 KR1020057004814A KR20057004814A KR101021819B1 KR 101021819 B1 KR101021819 B1 KR 101021819B1 KR 1020057004814 A KR1020057004814 A KR 1020057004814A KR 20057004814 A KR20057004814 A KR 20057004814A KR 101021819 B1 KR101021819 B1 KR 101021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transceivers
transceiver
time slot
bi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8641A (ko
Inventor
피터 제이 블랙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4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Abstract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에 대한 데이터의 송신을 바이어싱하고 스케줄링하는 것이 개시된다. 인접 셀들 사이의 간섭을 바이어싱이 감소시키도록, 인접 셀들에서 송수신기들의 송신 주기가 복수의 타임 슬롯으로 바이어싱된다. 이 후, 송수신기는 서로 별개의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된다.
송수신기, 바이어싱, 타임 슬롯, 셀, 기지국, 원격국, 송신 주기

Description

전기통신 시스템용 수정 스케줄링 기술{MODIFIED SCHEDULING TECHNIQUE FOR A TELECOMMUNICATION SYSTEM}
발명의 배경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격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기술에 대한 것이다.
배경
CDMA2000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과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WCDMA) 양자를 위한 3 세대 (3G) 데이터 서비스는 음성 전송을 위해 최적화된 물리계층 프레임워크에 대해 설계되었다. 음성 서비스는 (순방향 링크와 역방향 링크 사이의) 대칭 트래픽 로딩 및 보증된 서비스의 품질 (레이턴시 (latency), 지연 등) 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단문 메시지 (예를 들어, 데이터에 대한 요청) 및 매우 긴 메시지 (예를 들어, 데이터 다운로드) 를 포함하는 비대칭 트래픽 로딩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음성-트래픽 최적화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은 결국 스펙트럼 효율의 열화 또는 이러한 서비스의 경제성에서의 감소에 이른다.
따라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 (3GPP2) 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기존의 cdma2000 표준에 대해 진화된 접근방법을 채택한다. 또한, 1x 에볼루션 (1xEV) 페이즈 I 로 알려진 고속 데이터 레이트 (HDR) 시스템은 cdma2000 패밀리 표준의 에볼루션이고, 2.4 Mbps 까지의 피크 레이트를 가지는 무선 인터넷과 같은 패킷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1xEV 순방향 링크는 파일럿 채널, 매체 접근 제어 (MAC) 채널, 순방향 트래픽 채널 및 제어 채널을 포함한다. 트래픽 채널은 사용자 데이터 패킷을 반송한다. 제어 채널은 제어 메시지를 반송하고, 사용자 트래픽을 반송할 수도 있다. 이들 채널들은, 모바일에서 정확한 파일럿 기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 (SINR) 측정들을 지원하기 위해, 단일 모바일에 대한 트래픽 채널의 최대 전력 송신을 지원하기 위해, 및 로우 데이터 레이트 MAC 채널의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을 지원하기 위해, 시분할 멀티플렉싱된다.
통상적으로, HDR 시스템에서 인접 셀들은 동일한 주파수를 할당 받는다. 그러나, 인접 셀들은 셀들이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상이한 코드들을 사용하므로 서로 간섭하지 않을 수도 있다.
불행하게도, 다수의 이유때문에 HDR 시스템에서는 간섭이 일어난다. 셀마다 안테나 패턴, 전력 레벨, 스캐터링, 및 파 회절은 다를 수 있다. 빌딩, 다양한 다른 구조물, 언덕, 산, 초목, 및 다른 물리적 대상은, 신호 세기가 셀에 의해 커버링되는 영역에 대해 변화하고 다중 경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의 신호 세기가 모바일과의 통신을 지원하기에 충분한 레벨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계는 셀내에서 그리고 셀마다 광범위하게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서로 인접한 셀들은 일반적으로 정확한 기하학적 경계를 형성하지 않는다. 한 지역의 완전한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핸드오프를 허용하도록 셀 경계들이 중첩해야 하기 때문에, 그리고 셀들의 경계가 부정확하게 정의되기 때문에, 신호들은 서로 자주 간섭한다. 이것은 특히, 섹터화된 셀 패턴이 사용되는 경우, 각 셀에서의 송신기가, 단순한 셀 패턴에서보다 서로 훨씬 더 가까이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또한, 시스템이 완전히 로딩되지 않더라도, 인접 셀들의 송수신기가 통상적으로 동일한 시점에서 송신을 시작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기존의 스케줄러는 인접 셀들 또는 섹터들에서 동시에 송신을 스케줄링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도 1 은 인접 셀들의 4 개의 송수신기 (즉, 송수신기 1-4) 에 대한 송신 시간을 스케줄링하는, 종래 스케줄러의 타임라인 예를 나타낸다.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종래의 스케줄러는 각각의 송수신기에 송신될 데이터의 양에 상관없이, 동일한 시점 (예를 들어, τ0 ) 에서 시작하는 특정 시간 주기 (예를 들어, T) 내에서 인접 셀에서의 4 개의 송수신기에 대한 송신 시간들을 스케줄링한다. 종래의 스케줄러에 의해 스케줄링된 송신 시간들의 중첩은, 인접 셀들의 송수신기들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발생된다. 예를 들어, 도 1 에서, 셀 (1) 및 셀 (3) 에서의 기지국 송수신기들은 제 1 T 주기 동안에 송신될 데이터의 T 값의 약 1/4 만을 갖는 한편 (즉, 대략 25% 로딩됨), 셀 (2) 및 셀 (4) 에서의 기지국 송수신기들이 송신될 데이터의 T 값의 약 1/3 을 갖는다 (즉, 대략 33% 로딩됨) . 그럼에도 불구하고, 송신들은 동시에 시작하는 것으로 스케줄링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서, 경계에서의 셀간의 간섭은, 송신 주기 (T) 의 상당한 부분동안, 모든 4 개의 송수신기가 동시에 송신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을 수도 있다.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특히 시스템이 완전히 로딩되지 않는 경우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식으로 인접 셀들 사이의 데이터 패킷들의 송신에서 수정된 스케줄링 기술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발명의 개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인접 셀들간의 송신 주기를 바이어싱하고, 이러한 네트워크에서의 송수신기에 대한 데이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함으로써 전술한 필요들을 처리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인접 셀들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들은, 인접 셀 들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바이어싱이 동시 송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복수의 타임 슬롯에 걸쳐 송신에 대해 바이어싱된다. 송수신기들은, 각각의 송수신기가 서로 별개인 타임 슬롯에 대해 스케줄링되도록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에서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동안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된다. 송수신기 바이어싱은, 인접 셀들의 평균 송신 부하에 기초하여 복수의 타임 슬롯으로 모든 송수신기들이 바이어싱되도록 송신 주기를 분할하는 것을 포함한다. 간섭을 감소시키는 스케줄링은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송수신기들에 대한 송신 확률을 발생시키고, 각각의 송수신기에 대해 타임 슬롯의 시작에서 난수를 발생하며, 그 난수를 송수신기들에 대한 송신 확률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송수신기의 송신 확률이 난수보다 더 큰 경우,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 송신되도록 바이어싱된 하나의 송신기가 그 선택된 타임 슬롯의 실질적 부분 동안에 송신될 가능성이 있도록 데이터 패킷들이 송신된다. 어떤 경우에는, 셀내의, 다른 타임 슬롯 동안보다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더 높은 확률을, 약한 커버리지 영역내의 원격국으로의 송신이 제공받도록, 셀내의 바이어스는, 전술한 "셀간 (inter-cell)" 바이어싱에 추가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송수신기 사이의 간섭이 감소된다.
다른 양태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 1 송수신기 및 다른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인접 셀들에 위치한 복수의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은 바이어싱 소자와 그 송수신기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케줄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어싱 소자는 동시 송신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인접 셀들간의 송신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복수의 타임 슬롯에 걸쳐 송수신기가 송신하도록 바이어싱시킨다. 각각의 스케줄러는 다른 슬롯과 구분되는 복수의 타임 슬롯 중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동안에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스케줄링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인접 셀 α, β, γ에 대한 셀 송수신기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바이어싱하고 스케줄링하기 위한 종래의 바이어싱 및 스케줄링 기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복수의 셀 α, β, γ를 가지는 하이 데이터 레이트 (HDR)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링크의 데이터 송신 부하에 대한 정보를 통합시키는 바이어싱 및 스케줄링 기술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도 3 에서 설명된 바이어싱 및 스케줄링 기술을 통해 달성된 예시적인 셀 분포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 개의 인접 셀이 바이어스됨).
도 5 는 도 3 에서 설명된 바이어싱 및 스케줄링 기술을 통해 달성된 셀 분포 패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7 개의 인접 셀이 바이어스됨).
도 6 은 도 3 에서 설명된 바이어싱 및 스케줄링 기술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a 는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T1 동안에, 타임 바이어스 α, β, γ를 가지는 셀 송수신기들에 대한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 확률 (Pα1, Pβ1, Pγ1) 을 발생시키는 예시적인 구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 는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T2 동안에, 타임 바이어스 α, β, γ를 가지는 셀 송수신기들에 대한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 확률 (Pα2, Pβ2, Pγ2) 을 발생시키는 예시적인 구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c 는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T3 동안에, 타임 바이어스 α, β, γ를 가지는 셀 송수신기들에 대한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 확률 (Pα3, Pβ3, Pγ3) 을 발생시키는 예시적인 구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액세스 단말기에 대한 커버리지 영역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는 셀내의 스케줄링 기술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특정 셀내의 액세스 단말기들에 대한 커버리지 영역을 나타내는 도 면이다.
도 10 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액세스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1 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블록도이다.
도 12 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예시적인"이란 단어는 본 명세서에서 "예, 예증, 또는 보기로서 기능하는" 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으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에 비해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반드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통신의 맥락에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셀" 이란 용어는 원격 단말기로 신호를 송신하고 원격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고정형 기지국 송수신기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한다. "섹터" 라는 단어는 통상적으로 셀의 서브세트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셀" 이라는 용어는 이하에서 셀 및/또는 셀내의 섹터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인접 셀들의 기지국내에 위치된 송수신기의 송신 시간의 종래의 스케줄링과 연관된 전술한 곤란함을 인정하여, 이들 인접 셀들 사이의 간섭 (즉, 셀간의 간섭 (inter-cell interference)) 을 감소시키기 위해, 인접 셀들에서의 송수신기들의 송신 시간이 충분히 떨어져 있게 유지시키는 수정된 스케줄링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본 명세서는 설명한다. 특히, 시스템 구성시, 인접 셀들의 각각의 송수신기는 셀들의 송신 부하 또는 능력에 따라, 다른 송수신기와 별개의 타임 슬롯으로 바이어싱되어, 각 송수신기는 그것의 송신이 다른 송수신기의 송신과 충분히 분리되도록 다른 타임 슬롯들보다 바이어스 또는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송신할 가능성 더 크다. 따라서, 바이어싱 (biasing) 은, 인접 셀들에서의 송수신기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도록 (즉, 임의의 다른 타임 슬롯보다는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동안에 송신할 가능성이 크도록), 각각의 송수신기의 송신 시간을 다른 송신기들과 별개의 타임 슬롯으로 할당하는 수단이다. 인접 셀들에서의 각각의 송수신기에 대해, 그 후 스케줄러는 임의의 다른 타임 슬롯보다는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내에서 데이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한정이 아닌 예시의 목적으로, 본 발명이 한정적이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이러한 사용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설명된다.
시스템 구성에서, 인접 셀들에서의 기지국 송수신기들은 그 송수신기들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도록 타임 바이어싱될 수도 있다. 즉, 시스템 구성에서, 다수의 인접 셀 송수신기들이 바어어싱되도록 선택된다. 바이어싱은 송신 주기 (일반적으로, CDMA 시스템에서 대략 1.67ms로 설정됨) 를 인접 셀 송수신기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타임 슬롯으로 분할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후, 인접 셀 송수신기들은, 이들 송수신기들의 각각이 다수의 타임 슬롯 중에서 하나의 타임 슬롯내에서 그것의 데이터를 송신할 가능성이 크도록 구성된다. 특정 송수신기에 대해 선택된 타임 슬롯은 "바이어싱된" 또는 "선택된" 타임 슬롯으로 지칭되고, 각 송수신기에 대해 서로 상이하다. 대기열 길이 (queue length) 와 같은 일부 송신 부하 파라미터가 송신 확률에 의해 결정된 어떤 포인트까지 증가하기만 하면, 특정 송수신기는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이외의 타임 슬롯들에서 송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송수신기는, 그 송수신기가 그 타임 슬롯 동안 송신해야만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각 타임 슬롯에 대한 송신 확률을 가진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기지국 송수신기들에 의해 이용되는 시간 주기들이 실질적으로 중첩하지 않도록, α, β, γ 가 각각의 개별 셀에 대한 송신 확률을 나타내기 위해, α, β, γ각각의 타임 바이어스들로 3 개의 인접한 셀들에서의 송수신기가 바이어싱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α, β및 γ에 의해 타임 바이어싱된 송수신기들은 각각 간단히 셀 α, β, 및 γ로서 종종 언급된다. 그러나, 이들 명칭은 α, β, γ의 타임 바이어스를 가지는 기지국 송수신기들을 갖는 셀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시스템 구성에서 바이어싱 소자에 의해 바이어싱이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송수신기의 동작 동안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동적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일단 바이어싱이 완료되면, 각각의 기지국 송수신기에 대응하는 스케줄러는 바이어싱된 송신 확률에 따라 송수신기로부터 데이터 송신을 제어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스케줄러는 특정 송수신기에 대해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동안 그 특정 송수신기로부터 데이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한다. 또한, 스케줄러는 대기열 길이와 같은 일부 송신 부하 파라미터에 기초한 다른 타임 슬롯들에 대한 그 특정 송수신기의 송신 확률에 기초하여, 다른 타임 슬롯들 동안에 데이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약 특정 송수신기에 대한 대기열 길이가 제로에 근접하는 경우, 스케줄러는 바이어싱된 슬롯 이외의 슬롯 동안에 데이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스케줄러는 셀의 고정형 기지국에 상주한다. 따라서, 인접 셀들에 대한 스케줄러는 분산되어, 각각의 스케줄러는 인접 셀들로부터의 송신을 조정하는 것 없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스케줄러는 인접 셀들에서의 모든 기지국 또는 일부 기지국에 연결되는 일부 다른 엔티티 (예를 들어 원격국) 또는 기지국 제어기에 상주할 수도 있다. 만약 스케줄러가 기지국 제어기에 상주하는 경우, 스케줄러는 인접 셀들에서의 송수신기들이 동시에 송신하지 않도록 인접 셀들에서의 복수의 송수신기들의 스케줄링을 코디네이팅해야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임 슬롯들의 사이즈가 인접 셀들의 실제 송신 부하에 따라 동적으로 조정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인접 셀들 사이의 스케줄링은 실제로 개선될 수도 있다. 만약 그 스케줄러가 원격국에 상주하는 경우, 원격국은 인접 셀들의 송수신기들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을 제어하고 코디네이팅하는 메커니즘을 적어도 포함하여야 한다.
전술한 3 개의 인접 셀 예에서, 만약 송수신기가 타임 슬롯 T1 동안에 송신하기 위해 타임 바이어스 α에 의해 바이어싱되는 경우, 송수신기는 타임 슬롯 T1 동안에 1 의 송신확률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된다. (즉, 타임 슬롯 T2 및 T3 동안에 송신하도록 타임 바이어스 β및 γ에 의해 바이어싱되는 ) 다른 셀들에서의 송수신기들에 대해, 타임 슬롯 T1 동안 데이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확률들은 셀 β및 γ 각각의 송수신기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의 대기열 길이와 같은, 셀 β및 γ의 데이터 저장 능력에 의존한다.
도 2 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복수의 셀 α, β, γ(즉, 이들 셀들은 α, β, 및 γ의 타임 바이어스를 가지는 기지국 송수신기들을 가짐) 를 가지는 하이 데이터 레이트 (HDR) 시스템 (200) 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액세스 단말기로 지칭되는 HDR 원격국 AT1 은 이동형 또는 고정형일 수도 있고, 본 명세서에서 액세스 포인트들로 지칭되는 하나 이상의 HDR 기지국들 AP1-AP3 와 통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형태에서, HDR 시스템 (200) 은, 액세스 단말기 AT1 이 액세스 포인트 AP4 내의 하나 이상의 섹터화된 안테나들과 통신하는 복수의 섹터들로 유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 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셀 α 및 셀 β 의 공통 에지 부근에 위치된 액세스 단말기 AT1 은 셀 α 및/또는 셀 β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이한 송신 시간에서 송신하기 위해, 셀 α, β, γ에서의 송수신기들이 타임 바이어싱되고 스케줄러 (202, 204, 206) 에 의해 스케줄링되기 때문에, 데이터는, 도 1 에 설명된 종래의 구성보다 현저하게 감소된 셀간 간섭으로 액세스 단말기 AT1 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도 3 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어싱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도시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시간 주기 (T) 은 3 개의 서브-주기 또는 슬롯 T1, T2, T3로 분할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시간 주기 T 의 분할은 인접 셀 α, β, γ의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들상의 평균 송신 부하에 기초하며, 이것은 예시된 실시형태의 약 33% 이다. 그 평균 송신 부하는 각각의 송수신기의 송신 부하를 조합함으로써 그리고 송수신기 바이어싱을 위해 상정된 인접 셀들의 개수로 그 총합을 나눔으로써 계산될 수도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그 송신 부하는 용이하게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시간 주기 T 는 더 많은 또는 더 작은 개수의 서브-주기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가 송수신기들의 평균 송신 부하를 사용하더라도, 중간 로드 또는 최대 송신 메시지 길이의 약간의 퍼센테이지가 송수신기를 바이어스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α의 타임 바이어스를 가지는 송수신기가 다른 타임 슬롯 T2 또는 T3보다 타임 슬롯 T1 동안에 그것의 데이터를 송신할 가능성이 크도록, β의 타임 바이어스를 가지는 송수신기가 다른 타임 슬롯 T1 또는 T3보다 타임 슬롯 T2 동안에 그것의 데이터를 송신할 가능성이 크도록, 및 γ의 타임 바이어스를 가지는 송수신기가 다른 타임 슬롯 T1 또는 T2보다 타임 슬롯 T3 동안에 그것의 데이터를 송신할 가능성이 크도록, 바이어싱은 인접 셀 α, β, γ 에서의 송수신기를 바이어스시킨다. 따라서, 각각의 타임 슬롯에서 각각의 송수신기가 송신하도록 확률 함수가 할당된다.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동안에 송수신기가 송신하는 확률 함수는 1 이 되도록 또는 가장 발생할 가능성이 크도록 선택된다. 각각의 타임 슬롯에 대해, 스케줄러는 그 타임 슬롯에 대해 결정된 확률 함수와 난수를 비교함으로써 그 송수신기에 대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스케줄링한다. 만약, 확률 함수가 그 난수이상인 경우, 스케줄러는 그 타임 슬롯 동안에 송신하도록 송수신기를 스케줄링한다.
통상적으로 인접 셀 송수신기들의 바이어싱은 대응하는 스케줄러들의 구성을 통해 실행된다. 따라서, 도 3 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바이어싱 소자는, 모든 송수신기들이 t0 에서 송신을 시작하도록 스케줄링하는 것 대신 각각의 송수신기가 t0, t1, 및 t2 각각에서 그들의 바이어싱된 송신들을 시작하게 스케줄링하도록 스케줄러를 구성함으로써, 셀 α, β,및 γ에서의 송수신기를 바이어싱한다. 따라서, T 기간의 상당한 부분 동안에는, 임의의 특정 시간 또는 기간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인접 셀들의 송수신기들 중에서) 단지 하나의 송수신기가 존재한다. 또한, 심지어 평균 송신 부하가 33% 보다 더 크더라도, 스케줄러는, 대부분의 시간, 단지 하나의 송수신기가 임의의 특정 시간 또는 기간에서 송신하도록 송수신기를 적절하게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T/3 만큼 각각의 셀 송수신기를 바이어싱함으로써, 셀들 사이의 간섭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도 있고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 (SINR) 가 증가될 수도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시간 주기 (T) 은 동일한 서브-주기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시간 주기 (T) 은 동일하지 않는 서브-주기들로 분할될 수도 있고 이것은 인접 셀들의 평균 송신 부하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서브-주기들의 파생물이 동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적절하게 조정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시간 주기 (T) 은 대략 1.67 ms로 선택될 수도 있으며, 이것은 CDMA 시스템에 대한 전형적인 스케줄링 기간이다.
도 4 는 전술한 바이어싱된 스케줄링 기술을 통해 달성된 예시적인 셀 분포 패턴을 도시한다. 그 예시적인 분포 패턴은, 각 셀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의 송신 주기가 타임 슬롯에서 실질적으로 격리되고, 어떠한 인접 셀의 송수신기도 실질적으로 동시에 송신하지 않도록, 셀들이 어떻게 배치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각 셀 송수신기의 격리는, 송수신기가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송신할 확률이 송수신기가 다른 타임 슬롯 동안에 송신할 확률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도록, 선택된 타임 슬롯으로 송수신기를 바이어싱함으로써 제공된다.
도 4 에 도시된 분포 패턴은 3 개의 채널 (즉 k=3) 을 가지는 주파수 재사용 패턴 (frequency reuse pattern) 과 유사하다. 따라서, 이 패턴은 임의의 추가적인 하드웨어 없이도 각 셀 송수신기에 대한 바이어스를 부가함으로써 3 개의 채널을 가지는 주파수 재사용 패턴과 유사한 간섭 분포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부 기능은 하드웨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송수신기들은 3 보다 많거나 적은 타임 슬롯으로 바이어스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분포 패턴은, 7 개의 타임 슬롯으로 셀 송수신기를 바이어싱함으로써, 7 개의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주파수 재사용 패턴의 셀 분포 패턴과 유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송수신기는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타임 슬롯으로 바이어스될 수도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 은 전술한 바이어싱 및 스케줄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프로세싱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초기에, 바이어싱을 구동하는 다수의 요인들이 600 에서 결정된다. 그 요인들은 바이어스될 인접 셀 송수신기들의 수, 바이어싱 메트릭 (예를 들어, 송신 주기를 서브-분할하는데 사용된 셀들의 평균 송신 부하와 같은 파라미터), 및 타임 서브분할의 개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602 에서, 바이어싱이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도록, 송수신기는 600에서 결정된 요인들을 사용하여 복수의 타임 슬롯으로 바이어싱되고, 이것은 인접 셀들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형태에서, 바이어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 셀들의 평균 송신 부하에 기초하여 타임 슬롯 또는 서브-주기들의 적절한 개수로 전체 송신 시간 주기 (도 3 에서의 T) 을 분할하는 것을 포함한다. 각각의 송수신기가 상이한 서브-주기에 할당될 수 있도록, 서브-주기의 적절한 개수는 바이어스될 인접 셀 송수신기의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임 바이어스를 가지는 특정 송수신기가 선택된 또는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동안에 그것의 데이터를 송신할 가능성이 가장 크도록, 바이어싱은 인접 셀들에서의 송수신기들을 바이어싱한다. 특히, 바이어싱 소자는, 다른 비-선택된 타임 슬롯내에서 보다 더 높은 송신 확률을 가지는 선택된 또는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내에서 송수신기에 대한 데이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도록, 특정 송수신기에 대응하는 스케줄러를 구성한다. 그 후, 각각의 송수신기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택된 타임 슬롯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스케줄러에 의해 스케줄링된다.
604 에서, 복수의 타임 슬롯 중에서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인접 셀들의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들에 대해, 송신 확률이 스케줄러에서 발생된다. 예를 들어, 도 7a 는 타임 바이어스 α (즉, 도 3 에서 T1) 를 가지는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에 대해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α, β, γ의 타임 바이어스를 가지는 셀 송수신기들에 대한 송신 확률 (Pα1, Pβ1, Pγ1) 를 발생시키는 예시적 구현을 나타낸다. 도 7a 는, 이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T1) 동안에 셀 α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에 대한 송신 확률 (Pα1) 은 1 이 되도록 구성되고, 반면 셀 β및 γ각각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에 대한 송신 확률 (Pβ1, Pγ1) 은 이들 송수신기에서의 데이터 패킷의 대기열 길이와 같은 파라미터에 기초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셀 β및 γ각각의 송수신기에서 데이터 패킷들의 대기열 길이에서의 증가에 응답하여 송신 확률 Pβ1, 및 Pγ1 은 증가된다. 따라서,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T1 동안에, 셀 α에서의 송수신기는 송신에 대해 그것의 선택된 타임 슬롯을 항상 이용할 것이고, 반면, 셀 β및 γ에서의 송수신기들은 그들 각각의 대기열 길이에 기초하여 송신할 것이다.
특히, 셀 β및 γ각각에서의 송수신기들에 대한 송신 확률 Pβ1, 및 Pγ1 은, 0 과 동일한 대기열 길이에서 확률 0.0부터 일부 대기열 길이 L1 에서 확률 1.0 까지 증가한다. 이는,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송신하도록 바이어싱되지 않는 송수신기 (즉, 이 경우에는 셀 β및 γ에서의 송수신기) 가 그 송수신기에 대한 대기열 길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송신되지 않을 가능성이 가장 크도록 수행된다. 그러나,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송신하도록 바이어싱되지 않는 송수신기에 대한 대기열 길이가, 송신될 것을 기다리는 대기열이 송수신기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칠수도 있도록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바이어싱되지 않은 송수신기가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송신하도록 송신 확률이 조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대기열 길이 한계 L1 은 송수신기에서의 대기열과 메모리의 실질적으로 효과적인 구성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a 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L1 의 선택은 송신 확률의 슬로프(slope) 를 결정한다. 따라서, L1 의 선택 및 향후, 송신 확률 곡선의 슬로프는 데이터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 (QoS) 과 같은 일부 파라미터의 함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연에 내성이 없는 데이터 트래픽은 더 높은 우선순위를 다른 데이터 프래픽보다 얻을 수도 있고 따라서 더 경사가 급한 슬로프를 얻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다운로딩과 같은 지연-민감성 송신 (non-delay-sensitive transmission) 에 대해, 낮은 값이 슬로프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L1 에 대해 높은 값). 실시간 게임 (gaming) 과 같은 지연-민감성 송신에 대해, 그 슬로프에 대해 높은 값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L1 에 대해 낮은 값).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T2 및 T3 동안에 송수신기에 대한 송신 확률은 도 7b 및 도 7c 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T1 에 대한 전술한 프로세스에 유사하게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T2 동안에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확률을 획득하기 위해, Pβ2 는 1에서 유지되고 그 반면, Pα2 , 및 Pγ2 는 셀 α및 γ 각각에서의 송수신기의 대기열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α의 타임 바이어스를 가지는 송수신기에 대해, 선택된 또는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T1 동안에 송신 확률 (Pα1 ) 은 가장 높고, 이것은 1 과 같다. T2 및 T3 동안에, 송신 확률 (Pα2, Pα3) 는 송수신기의 대기열 길이와 같은 파라미터들에 의존한다.
606 에서, 또한, 선택된 타임 슬롯에 대한 스케줄링은, 0 과 1 사이에 난수 X 를 발생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난수는 균일한 분포에 기초하여 발생될 수도 있다. 인접 셀들의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에 대해, 그 후 발생된 난수 X 는 608 에서 그 발생된 송신 확률과 비교되어, 인접 셀들의 송수신기의 그룹내의 특정 송수신기가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송신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발생된 송신 확률이 그 발생된 난수 X 보다 더 큰 경우, 610 에서 스케줄러는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스케줄링한다. 이러한 방식의 스케줄러는 대부분의 시간, 단지 바이어싱된 송수신기만이 그 바이어싱된 송수신기에 대해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송신한다는 것을 보장해준다.
바이어싱 및 스케줄링에 대해 설명된 동작 또는 절차들이 특정 시퀀스로 제시되었다 하더라도, 그 동작/절차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교환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 는 인접 셀들간의 셀 송수신기 바이어스 개념을 확장한 추가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추가적인 실시형태는,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로부터 특정 셀내의 상이한 액세스 단말기로의 데이터 패킷에 대한 송신 시간들이 그 액세스 단말기의 위치/커버리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도 2 내지 도 7 과 연계하여 전술한 "셀간" 바이어스에 반대되는) "셀내"바이어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 에 도시된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 (900) 는 대략 50% 의 송신 부하로 셀 α를 커버한다 (도 8 참조). 즉, 송수신기 (900) 는 하나의 송신 주기 T 에서의 시간의 대략 50% 를 송신한다. 그러나,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시간 주기 (T) 은 3 개의 서브-주기 (예를 들어, T1, T2, T3) 로 분할되고, 각각의 서브-주기는 송신 주기 (T) 의 약 33% 를 커버링한다. 이것은, 인접 셀들을 바이어싱하는데 송신 주기가 3 개의 인접 셀의 송신을 분리시키기 위해, 3 개의 서브-주기들로 분할된 사실에 기인할 수도 있다. T1 에서 시작한 (셀 α에서의 송수신기에 대한) 데이터 송신의 대략 17% (50%-33%) 는 T2 동안에 인접 셀의 바이어싱된 송수신기에서의 데이터의 송신과 중첩한다. 셀내의 바이어스는, 상이한 액세스 단말기로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적절하게 바이어싱함으로써 시간의 17% 동안에, 인접 셀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동작한다.
도 8 및 도 9 의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스케줄러는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스케줄링하여, 소스 단말기 또는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 (900) 로부터 약한 (weak) 커버리지 영역 (B; 910) 내의 액세스 단말기로의 송신에는, 소스 단말기에 할당된 타임 슬롯 T1 동안의 송신에 대해 비교적 높은 확률이 제공된다. 소스 단말기 또는 송수신기 (900) 에 비하여 우수한 커버리지 영역 (G; 912) 내의 액세스 단말기로의 송신에는, 할당된 타임 슬롯 T1 동안의 송신에 대해 비교적 낮은 확률이 제공되어, 우수한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이들 액세스 단말기에 대한 송신들이 인접 셀로부터의 데이터 송신과 간섭할 수도 있는 (T2내에서) 17% 기간 동안에 이루어질 가능성이 더 크다. 그러나, 우수한 커버리지 영역 (G; 912) 에서의 액세스 단말기가 송수신기 (900) 근처의 셀 α 중심영역 근처에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이 이들 송신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낮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액세스 단말기 (1000) 의 블록도이다. 액세스 단말기 (1000) 는 안테나 (1002), 무선 주파수 (RF) 프론트 엔드 (1004),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1006), 범용 프로세서 (1008), 메모리 장치 (1010),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1012) 를 포함한다.
전술한 프로세싱에 따르면, 안테나 (1002) 는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스케줄러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로부터의 순방향 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신호들은 적절하게 증폭된 다음, 필터링되고, 다른 방식으로, RF 프론트 엔드 (1004) 에 의해 프로세싱된다. 그 후, RF 프론트 엔드 (1004) 로부터의 출력은 DSP (1006) 에 제공된다. 이 DSP (1006) 는 수신된 순방향 링크 신호를 디코딩한다. 또한, DSP (1006) 는 수신된 순방향 링크의 상대 품질에 대한 표시를 제공한다. 이 상대 품질의 표시는 메모리 (1010) 에 저장된다. 범용 프로세서 (1008) 는 DSP (1006) 및 메모리 (1010) 에 커플링된다. 범용 프로세서 (1008) 는 메모리 (1010) 로부터 상대 품질의 표시를 판독한 다음, 각각의 수신 순방향 링크가 데이터를 지원할 수 있는 레이트를 결정하고, 어떤 순방향 링크가 최고 데이터 레이트를 지원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RF 프론트 엔드 (1004) 는 역방향 링크 출력신호를 처리한 다음, 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로의 송신을 위해 안테나에 그 역방향 링크 출력 신호를 커플링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1100) 의 블록도이다. 액세스 포인트 (1100) 는 안테나 (1102) 및 RF 프론트 엔드 (1104) 와 같은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 (1100) 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1106), 범용 프로세서 (1108), 메모리 장치 (1110) 및 통신 인터페이스 (1112) 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안테나 (1102) 는 근처 액세스 단말기 (1000) 로부터 송신되는 역방향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안테나는 이들 수신 신호를, 신호들을 필터링하고 증폭하는 RF 프론트 엔드 (1104) 에 커플링한다. 이 신호는 RF 프론트 엔드 (1104) 로부터 DSP (1106) 로, 그리고, 복조, 디코딩 및 추가 필터링 등을 위해 범용 프로세서 (1108) 로 커플링된다. 또한, DSP (1106) 는 각각의 수신된 역방향 링크 신호에 대하여 액세스 단말기 (1000) 로부터의 송신신호전력의 세기를 결정한다. 액세스 포인트 (1100) 는 통상적으로 그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 (1100) 로부터의 역방향 링크 신호를 한번에 수신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 (1108) 는 각각의 역방향 링크에 할당되어야 하는 전력량을 DSP (1106) 에 전달한다. 전력 할당에 기초하여, DSP (1106) 는 액세스 포인트 (1100) 에 의해 송신될 순방향 링크 신호를 변조 및 인코딩한다. 그 신호는 RF 프론트 엔드 (1104) 에 커플링된다. RF 프론트 엔드는 액세스 단말기에 순방향 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1102) 로 그 신호를 커플링한다. 도 1 내지 도 9 와 연계하여 설명된 스케줄링 기술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로부터 액세스 단말기 (1000) 로의 순방향 링크 신호의 송신 스케줄이 결정된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는, 그 스케줄러는 범용 프로세서 (1108) 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1200) 의 블록도이다. 시스템 (1200) 은 도 2 에 도시된 바이어싱된 시스템 (200) 과 유사하지만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시스템 (1200) 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 (1202), 복수의 스케줄러 (1208), 바이어싱 소자 (1206), 및 복수의 액세스 단말기 AT1-AT5 를 포함한다. 도 12 에서는 2 개의 송수신기 (1202A, 1202B) 가 명확하게 도시된다. 그러나, 시스템 (1200) 에는 임의 개수의 송수신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2 개의 대응하는 스케줄러 (1208A, 1208B) 가 명확하게 도시된다. 그러나, 시스템 (1200) 에는 임의 개수의 스케줄러가 포함될 수 있다. 바이어싱 소자 (1206) 는 인접 셀들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송수신기 (1202) 를 복수의 타임 슬롯으로 바이어싱한다. 바이어싱 소자 (1206) 는 인접 셀들의 평균 송신 부하에 기초하여 복수의 타임 슬롯으로 송신 주기를 분할시키는 디바이더 (1212) 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케줄러 (1208) 는 서로 별개의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스케줄링한다. 스케줄러 (1208) 는 발생기 (1214) 및 복수의 확률 선택기 (1216) 을 포함한다. 발생기 (1214) 는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송수신기 (1202) 에 대한 송신 확률을 발생시킨다. 확률 선택기 (1216) 중의 하나는 일정 레벨의 최대 확률에서 선택된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송수신기에 대하여 확률 곡선을 설정한다. 다른 선택기 (1216) 는 다른 송수신기에서의 데이터 패킷의 대기열 길이와 같은 파라미터에 기초되어지는, 선택된 타임 슬롯이외의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다른 송수신기에 대하여 확률 곡선을 구성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선택기 (1216) 는 데이터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함수로서 확률 곡선의 슬로프를 결정하는 계산기를 포함한다. 최종적으로, 송수신기 (1202) 는 액세스 단말기 AT 로 송신하기 위해 스케줄러 (1208) 에 의해 스케줄링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정보 및 신호가 임의의 각종 상이한 기술 및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세한 설명을 통해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어,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볼, 및 칩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계 및 자기 입자, 광학계 및 광학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기재된 각종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회로,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교환성 (interchangeability) 을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서, 각종 예시적인 구성요소, 블록, 모듈, 회로 및 단계가 일반적으로 그들의 기능성의 견지에서 전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의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설계 제약에 종속한다.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기능성을 각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방법을 달리하면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상기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 별도의 게이트 (discrete gate)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어떤 결합 (any combination) 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될 수도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콘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 (state machine) 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연산 장치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형태와 관련되어 설명된 방법 또는 기술은 하드웨어내에, 프로세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내에, 또는 상기 2 개의 결합 내에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램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flash memory),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PROM memory), EEPROM (EEPROM memory),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이동형 디스크 (removable disk), CD-ROM, 또는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저장 매체의 어떠한 다른 형태로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 저장 매체는, 그 프로세서가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도,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로세스에 연결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저장 매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일체로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상기 ASIC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주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자 단말기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의 이용 또는 제조가 가능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이들 실시형태들의 여러 변형도 가능하며, 명세서내에 규정된 일반 원리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또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내의 원리와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폭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Claims (22)

  1. 인접 셀들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들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바이어싱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들의 송신 시간들을 조정하도록, 상기 인접 셀들에서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들을 복수의 타임 슬롯들로 바이어싱하는 단계로서, 상기 바이어싱 단계는 송신 시간 주기를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들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바이어싱 단계; 및
    다른 송수신기들에 의해 선택된 타임 슬롯들과 별개인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동안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각각의 송수신기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단계는 상기 인접 셀들의 평균 송신 부하에 기초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단계는, 일 송수신기가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들에서의 다른 타임 슬롯들보다 상기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데이터를 송신할 가능성이 가장 크도록, 상기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들의 송신 시간들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단계는, 상기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 상기 송수신기들에 대한 송신 확률들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확률들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제 1 송수신기에 대한 확률 곡선을 일정 레벨의 최대 확률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타임 슬롯 이외의 타임 슬롯들에 대응하는 다른 송수신기들에 대한 확률 곡선들을 상기 다른 송수신기들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의 대기열 길이들에 기초하도록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확률 곡선들을 구성하는 단계는, 데이터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의 함수로서 상기 확률 곡선들의 슬로프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률 곡선들의 슬로프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지연-둔감성 (non-delay sensitive) 데이터 트래픽보다는 지연-민감성 (delay sensitive)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더 경사가 급한 슬로프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단계는,
    난수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송수신기들에 대한 송신 확률들을 상기 난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단계는,
    상기 송신 확률이 상기 난수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의 데이터 송신 확률이 다른 타임 슬롯들 동안의 데이터 송신 확률보다 더 높도록,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일 셀 내에서, 약한 (weak) 커버리지 영역 내의 원격국들로의 송신이 다른 타임 슬롯들 동안보다 상기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 더 높은 송신 확률을 갖도록 셀 내 (intra-cell) 바이어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방법.
  12.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들에 대한 데이터의 송신을 바이어싱 및 스케줄링하는 방법으로서,
    인접 셀들에서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들의 각각의 송수신기를 타임 슬롯으로 바이어싱하는 단계;
    상기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인접 셀들에서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들에 대한 송신 확률들을 발생시키는 단계;
    난수를 발생시키는 단계;
    각각의 송수신기에 대해 대응하는 타임 슬롯 동안 상기 각각의 송수신기에 대한 송신 확률들을 상기 난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확률이 상기 난수보다 더 큰 경우, 상기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의 상당한 부분 동안에, 상기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동안에 송신하도록 바이어싱되는 단 하나의 송수신기만이 송신하고 있도록,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데이터의 송신을 바이어싱 및 스케줄링하는 방법.
  13.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송신을 바이어싱 및 스케줄링하는 방법을 포함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데이터의 송신을 바이어싱 및 스케줄링하는 방법은,
    인접 셀들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들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바이어싱이 송신 시간들을 조정하도록, 상기 인접 셀들에서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들을 복수의 타임 슬롯들로 바이어싱하는 단계; 및
    다른 송수신기들에 의해 선택된 타임 슬롯들과 별개인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각각의 송수신기를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4. 제 1 송수신기 및 다른 송수신기들을 포함하며 인접 셀들에 위치된 복수의 송수신기들;
    상기 인접 셀들에서의 각각의 송수신기를 타임 슬롯으로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접 셀들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송신 시간들을 조정하도록 동작하는 바이어싱 소자; 및
    복수의 스케줄러들로서, 각각의 스케줄러는 각각의 송수신기에 대응하며, 각각의 스케줄러는 다른 송수신기들에 의해 선택된 타임 슬롯과 별개인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동안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기 복수의 스케줄러들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소자는,
    상기 인접 셀들의 평균 송신 부하에 기초하여 송신 주기를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들로 분할하는 디바이더 (divider) 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스케줄러는,
    상기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송수신기들에 대한 송신 확률들을 발생시키는 발생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기는,
    상기 선택된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송수신기에 대한 확률 곡선을 일정 레벨의 최대 확률로 설정하고, 상기 선택된 타임 슬롯 이외의 타임 슬롯들에 대응하는 상기 다른 송수신기들에 대한 확률 곡선들을 상기 다른 수신기들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의 대기열 길이들에 기초하도록 구성하는 복수의 확률 선택기들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확률 선택기들은, 데이터 트래픽의 서비스 품질의 함수로서 상기 확률 곡선들의 슬로프들을 결정하는 계산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9. 인접 셀들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들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바이어싱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들의 송신 시간들을 조정하도록, 상기 인접 셀들에서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기들을 복수의 타임 슬롯들로 바이어싱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바이어싱은 송신 시간 주기를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들로 분할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바이어싱 수단; 및
    다른 송수신기들에 의해 선택된 타임 슬롯들과 별개인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들 중 바이어싱된 타임 슬롯 동안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각각의 송수신기를 스케줄링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인접 셀들의 평균 송신 부하에 기초하여 송신 주기를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들로 분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수단은, 상기 선택된 타임 슬롯 동안에 상기 송수신기들에 대한 송신 확률들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수단은,
    상기 선택된 타임 슬롯에 대응하는 확률 곡선을 일정 레벨의 최대 확률로 설정하고, 상기 선택된 타임 슬롯 이외의 타임 슬롯들에 대응하는 확률 곡선들을 데이터 패킷들의 대기열 길이들에 기초하도록 구성하는 확률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057004814A 2002-09-19 2003-09-18 전기통신 시스템용 수정 스케줄링 기술 KR101021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51,938 US7239622B2 (en) 2002-09-19 2002-09-19 Modified scheduling technique for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10/251,938 2002-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641A KR20050048641A (ko) 2005-05-24
KR101021819B1 true KR101021819B1 (ko) 2011-03-17

Family

ID=3199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814A KR101021819B1 (ko) 2002-09-19 2003-09-18 전기통신 시스템용 수정 스케줄링 기술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239622B2 (ko)
EP (1) EP1543693A2 (ko)
JP (1) JP4414336B2 (ko)
KR (1) KR101021819B1 (ko)
CN (1) CN100411472C (ko)
AU (1) AU2003270718A1 (ko)
BR (1) BR0314609A (ko)
CA (1) CA2499239A1 (ko)
MX (1) MXPA05003073A (ko)
RU (1) RU2005111551A (ko)
TW (1) TW200409554A (ko)
WO (1) WO20040281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3375A (en) * 2003-06-24 2004-12-29 Nokia Corp Time slicing between adjacent ce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005055B2 (en) 2003-07-23 2011-08-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managing conges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050128977A1 (en) * 2003-07-23 2005-06-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managing conges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050286529A1 (en) * 2004-06-29 2005-12-29 Ambalavanar Arulambalam Method and apparatus for ATM adaptation layer staggered constant bit rate cell scheduling
US7881339B2 (en) * 2004-10-06 2011-02-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users to use interlaces in a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O2007002032A2 (en) * 2005-06-20 2007-01-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low uplink power control
US7822000B2 (en) * 2005-06-30 2010-10-26 Symbol Technologies, Inc. Time division multiplexing for access ports in a wireless network
CN101043693B (zh) * 2006-03-23 2011-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小区间消除干扰的方法及系统
US7813222B2 (en) * 2007-02-01 2010-10-12 Ion Geophysic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seismic data
CN101394576B (zh) * 2007-09-17 2012-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同步基站、无线传输通信系统及数据传输方法
US9066306B2 (en) * 2007-09-21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power control
US9078269B2 (en) * 2007-09-21 2015-07-0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HARQ interlaces
RU2464734C2 (ru) * 2007-09-21 2012-10-2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Управление взаимными помехами, используя профили мощности и ослабления сигнала
US8824979B2 (en) * 2007-09-21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employing fractional frequency reuse
US9374791B2 (en) * 2007-09-21 2016-06-21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power and attenuation profiles
US8493919B2 (en) * 2007-09-21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080499A1 (en) * 2007-09-21 2009-03-2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employing fractional code reuse
US9137806B2 (en) 2007-09-21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employing fractional time reuse
US8705506B2 (en) * 2007-11-16 2014-04-22 Qualcomm Incorporated Time reservation for a dominant interference scenari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948095B2 (en) 2007-11-27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frequency selective transmission
US20090135754A1 (en) * 2007-11-27 2009-05-28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verhead channel power control
US10069586B2 (en) 2010-06-28 2018-09-04 Lantiq Deutschland Gmbh Optical network power consumption mitigation
US9065584B2 (en) 2010-09-29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rise-over-thermal threshold
US9137809B2 (en) 2011-02-24 2015-09-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inter-cell interference of an access point in a wireless access system
KR20130011259A (ko) * 2011-07-21 2013-01-30 정현철 Ap의 전송 시점을 분산시킴으로써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터 쏠림 현상을 줄이는 방법
US9560572B2 (en) * 2011-11-28 2017-01-31 Kyocera Corporation Handov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hierarchical cells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time periods for uplink communication
US9713170B2 (en) * 2015-08-04 2017-07-1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using traffic monitoring for co-existence with unlicensed networks
US10432272B1 (en) 2018-11-05 2019-10-01 XCOM Labs, Inc. Variabl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user equipment
US10756860B2 (en) 2018-11-05 2020-08-25 XCOM Labs, Inc.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0812216B2 (en) 2018-11-05 2020-10-20 XCOM Labs, Inc.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scheduling
US10659112B1 (en) 2018-11-05 2020-05-19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assis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AU2019388921A1 (en) 2018-11-27 2021-06-03 XCOM Labs, Inc. Non-coherent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US11063645B2 (en) 2018-12-18 2021-07-13 XCOM Labs, Inc. Methods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group of devices
US10756795B2 (en) 2018-12-18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with cellular link and peer-to-peer link
US11330649B2 (en) 2019-01-25 2022-05-10 XCOM Labs, Inc. Methods and systems of multi-link peer-to-peer communications
US10756767B1 (en) 2019-02-05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cellular signal with another user equipment
US10686502B1 (en) 2019-04-29 2020-06-16 XCOM Labs, Inc. Down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US10735057B1 (en) 2019-04-29 2020-08-04 XCOM Labs, Inc. Up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US11411778B2 (en) 2019-07-12 2022-08-09 XCOM Labs, Inc. Time-division duplex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alibration
US11411779B2 (en) 2020-03-31 2022-08-09 XCOM Labs, Inc. Reference signal channel estim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375A (ja) * 1997-09-19 1998-05-06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14471T3 (es) * 1991-07-08 2004-09-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odo y disposicion para la transmision de datos.
EP0524676A1 (en) * 1991-07-08 1993-01-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rrangement for data transmission
US5734646A (en) * 1995-10-05 1998-03-31 Lucent Technologies Inc.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providing load and interference based demand assignment service to users
GB9621332D0 (en) * 1996-10-12 1996-11-27 Northern Telecom Ltd An adaptive communications system
EP0959636A1 (en) * 1998-05-18 1999-11-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cell TDMA radio communication through limited subsets of time slots
US6597705B1 (en) * 1998-09-10 2003-07-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optimal reverse link scheduling of resources, such as a rate and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0308124A (ja) 1999-04-26 2000-11-02 Mitsubishi Electric Corp 制御チャネル配置方法
DK1265550T3 (da) * 2000-03-10 2005-07-25 Macropore Biosurgery Inc Resorberbar mikromembran til formindskelse af arvæv
US7236793B2 (en) * 2001-01-31 2007-06-26 Ipr Licensing, Inc. Queuing far/far service requests in wireless network
JP3898533B2 (ja) * 2002-03-11 2007-03-28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375A (ja) * 1997-09-19 1998-05-06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28186A3 (en) 2004-08-12
US7239622B2 (en) 2007-07-03
JP2006500822A (ja) 2006-01-05
CN100411472C (zh) 2008-08-13
KR20050048641A (ko) 2005-05-24
US20040057398A1 (en) 2004-03-25
JP4414336B2 (ja) 2010-02-10
TW200409554A (en) 2004-06-01
AU2003270718A1 (en) 2004-04-08
WO2004028186A2 (en) 2004-04-01
BR0314609A (pt) 2005-08-16
CA2499239A1 (en) 2004-04-01
RU2005111551A (ru) 2005-09-20
MXPA05003073A (es) 2005-07-13
EP1543693A2 (en) 2005-06-22
CN1689360A (zh)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819B1 (ko) 전기통신 시스템용 수정 스케줄링 기술
TWI381680B (zh) 用於以時間可調為優先基礎之排序器之系統及方法
JP4738710B2 (ja) キュー/チャネルの利用度に基づくパケットデータについての電力制御アルゴリズム
AU2002329073B2 (en) Power controlling method during a soft handoff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6589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간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US71204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arriers
EP3091799B1 (en) Synchroniz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7558577B2 (en) Methods for dividing base station resources
Pedersen et al. Application and performance of downlink beamforming techniques in UMTS
US20040120290A1 (en) Admission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11808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scheduling using neighboring base station load information
TW201032608A (en) Adaptive semi-static interference avoidance in cellular networks
US20210352762A1 (en) Dynamic packet duplication convergence protocol configuration
JP4012395B2 (ja) 下りパケット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無線基地局
CN101390422A (zh) 移动通信系统、基站和蜂窝间干扰降低方法
EP3493637B1 (en)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gical channel
EP1865614B1 (en) Code series transmitting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EP1252731B1 (en) A packet scheduler and method therefor
US70723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ally allocating orthogonal codes
WO20232162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delink transmission or reception
JP2002027538A (ja) セル間相互監視による適応的順方向リンクスケジューリング
US8134959B1 (en) Method for control channel cycle management
GB2332595A (en) Slot Allocation in a TD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843435A (zh) 调度方法、基站和基站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