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685B1 -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 방법 및 그 측정기 - Google Patents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 방법 및 그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685B1
KR101021685B1 KR1020080130032A KR20080130032A KR101021685B1 KR 101021685 B1 KR101021685 B1 KR 101021685B1 KR 1020080130032 A KR1020080130032 A KR 1020080130032A KR 20080130032 A KR20080130032 A KR 20080130032A KR 101021685 B1 KR101021685 B1 KR 101021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ultrasonic
reflected
porous reflector
ultrasonic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353A (ko
Inventor
임종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0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685B1/ko
Publication of KR20100071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7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3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524Transmitters

Abstract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 방법 및 그 측정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관측점으로부터의 거리 측정 대상인 다공성 반사체에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고, 다공성 반사체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며, 반사된 초음파 신호의 파형의 선단부 첨두값에 대해 비선형 최소자승법을 적용하여 구한 함수의 영점 교차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영점 교차점으로부터 획득한 초음파의 전달시간 및 초음파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다공성 반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체의 표면 조건이 일정하지 않음으로써 반사 초음파의 크기 및 파형의 형태가 수시로 변화할 경우에도 정확한 거리값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다공성 반사체, 거리 측정, 초음파, 첨두값

Description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 방법 및 그 측정기{Method for Distance Measurement of Porous Media and Measur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 방법 및 그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체의 표면 조건이 일정하지 않음으로써 반사 초음파의 크기 및 파형의 형태가 수시로 변화할 경우에도 정확한 거리값을 측정할 수 있는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 방법 및 그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눈이 내리는 기상상황에 대한 감시를 위해 적설된 눈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상부에 위치한 초음파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눈 표면에서 반사하는 초음파의 전달시간을 측정하여 눈이 쌓인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눈의 특성상 벽 등의 반사체와는 달리 밀도가 일정하지 않은 다공성의 형태를 가지므로 (Sirpa Rasmus, "Snow pack structure characteristics in Finland-Measurements and modeling" ,Report series in geophysics No 48, Helsinki, 2005) 정밀하게 눈 표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노면결빙 등의 예측에 어려움이 있다.
종래의 초음파를 이용한 거리계는 트리거를 이용하여 초음파 송신기를 통해 펄스 또는 톤버스트 형태의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켜 대상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 신호를 별도의 또는 동일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수집한다. 수신신호에 대해 일정 기준값과의 비교를 통해 전달시간(TOF, Time of Flight)을 측정하여 온도를 보정함으로써 대상체와의 거리를 환산하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한다. 이 경우 기준값의 설정은 경험에 의해 최적의 잡음대 신호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벽면반사의 경우와 같이 반사파의 특성이 급격히 변화되지 않고 거리에 따라 단순감소되는 경우 거리에 따른 이득함수를 적용하여 반사파의 크기를 거리에 무관하게 일정하게 만드는 역보정을 통해 거리를 측정함에 있어 거리에 무관한 일정한 기준값을 적용할 수 있다.
교차상관법 또는 쳐플렛 등의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거리값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대상물체의 표면 조건이 일정하지 않음으로써 반사파의 크기 및 파형의 형태가 수시로 변화할 경우 정확하게 거리값을 구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체의 표면 조건이 일정하지 않음으로써 반사 초음파의 크기 및 파형의 형태가 수시로 변화할 경우에도 정확한 거리값을 측정할 수 있는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 방법 및 그 측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 방법은, 관측점으로부터 거리 측정 대상인 다공성 반사체에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반사체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반사된 초음파 신호의 파형의 선단부 첨두값에 대해 비선형 최소자승법을 적용하여 구한 함수의 영점 교차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영점 교차점으로부터 획득한 초음파의 전달시간 및 초음파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다공성 반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기는, 관측점으로부터의 거리 측정 대상인 다공성 반사체에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부; 상기 다공성 반사체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부; 및 상기 반사된 초음파 신호의 파형의 선단부 첨두값에 대해 비선형 최소자승법을 적용하여 구한 함수의 영점 교차점을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산출된 영점 교차점으로부터 획득한 초음파의 전달시간 및 초음파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다공성 반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체의 표면 조건이 일정하지 않음으로써 반사 초음파의 크기 및 파형의 형태가 수시로 변화할 경우에도 정확한 거리값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된 반사 초음파 파형의 선단부의 증가 부분을 이용함으로써 눈이 최초에 내리는 경우와 같이 반사 초음파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도 거리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초음파 거리계는 초음파 센서를 펄스 또는 톤버스트로 구동함으로써 공기중을 통해 단속적인 초음파 신호를 발생킨다. 대상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켜 공기중을 전파한 초음파가 대상체 표면에서 반사해서 돌아오는 반사 초음파를 같은 또는 별도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수신함으로써 초음파의 전달시간을 측정하여 이것을 이미 알고있는 초음파의 진행속도로 나누어줌으로써 대상체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이것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
d = ΔT / 2 v
여기서, d는 대상체까지의 거리, ΔT는 초음파의 전달시간, v는 공기중에서의 초음파의 속도를 나타낸다. 역으로 대상체까지의 거리를 알고 있을 경우 동일한 식을 이용하여 초음파의 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도 있다.
초음파의 전달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기준값에 의한 비교법, 영점교차법, 교차상관법 (Hull, D. R., H. E. Kautz, and A. Vary, Materials Evaluation, 43, Oct., 1985, 1455-1460), 위상기울기법(Wormley, S. J., K. Forouraghi, Y. Li, and R. B. Thompson, Review of Progress in Quantitative Nondestructive Evaluation, Vol. 9, 1990, 951-958)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다공성의 특징을 갖는 눈 등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거리계에 그대로 적용하는 데 있어 정밀도에 문제가 있다.
즉 다공성을 갖는 대상체의 특성에 따라 반사되는 초음파 파형의 변화가 발생하며 이것은 다공성이라는 특성을 갖는 대상체의 밀도 및 형상함수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도 1은 초음파 신호의 벽면에서의 반사 초음파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초음파 신호의 다공성 반사체 표면인 적설면에서의 반사 초음파 신호의 파형을 규격화하여 도1에서의 반사 초음파 신호의 파형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초음파 신호의 다공성 반사체에서의 반사 초음파 신호는 다공성이 아닌 벽면에서의 반사 초음파 신호의 파형에 비해 파형의 선단부에서의 초기 진폭이 커지면서 전체적으로 파형이 넓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 기(100)는 초음파 송신부(130)를 통해 초음파를 다공성 반사체에 송신한 후에, 초음파 수신부(150)를 통해 수신한 반사 초음파 신호를 수신한다.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기(100)의 연산부(190)는 초음파 수신부(150)가 수신한 반사 초음파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얻은 후에 이 디지털 파형신호에 대해 반사 초음파의 파형으로부터의 선단부의 첨두값(2)들을 추출한다. 한편, 선단부는 초음파 신호의 파형에서의 머리부를 의미하며, 머리부는 도 3을 참조하면, 수신된 초음파 신호의 최초 수신점에서부터, 최소 자승법을 적용하기 위해 첨두값(2)들이 추출되는 마지막 지점까지의 구간을 의미한다.
연산부(190)가 선단부 첨두값(2)들을 추출함에 있어서는, 소정의 기준값(1) 이상인 첨두값(2)들만을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값(1)은 반사 초음파 신호가 아직 수신되지 않은 경우의 노이즈에 의한 신호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값으로서, 반사 초음파가 없는 구간에서의 노이즈 신호의 분산값보다는 적어도 큰 값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다음, 연산부(190)는 추출된 선단부 첨두값(2)들에 대해 비선형 최소자승법을 적용하여 구한 함수의 영점 교차점(3)을 산출한다. 여기서, 영점 교차점(3)은 반사 초음파의 최초 도달시간이 되며, 비선형 최소자승법이란, 가정한 함수에서 실제 데이타와 오차의 제곱들을 모두 합한 값이 최소가 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여, 가정한 함수의 형태를 찾아내는 방법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수신한 반사 초음파 신호를 정류(rectify)한 것에 대해 비선형 최소자승법을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연산부(190)는 영점 교차점(3)을 산출함으로써, 반사 초음파의 최초 도달시간 및 초음파의 전달시간(ΔT)을 얻게 되며, 이미 알려진 값인 공기중에서의 초음파 속도(v), 및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다공성 반사체까지의 거리(d)를 계산하 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공기중에서의 초음파 속도(v)는 온도에 따른 보정을 실행한 값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반사 초음파 파형의 선단부의 증가 부분을 이용함으로써 눈이 최초에 내리는 경우와 같이 반사 초음파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도 거리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초음파 신호의 벽면에서의 반사 초음파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초음파 신호의 다공성 반사체 표면인 적설면에서의 반사 초음파 신호의 파형을 규격화하여 도1에서의 반사 초음파 신호의 파형과 함께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서의 다공성 반사체 표면에서의 반사 초음파 신호를 분석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기의 구성도이다.

Claims (2)

  1.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기가, 관측점으로부터 거리 측정 대상인 다공성 반사체에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거리 측정기가, 상기 다공성 반사체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거리 측정기가, 상기 반사된 초음파 신호의 파형의 머리부 첨두값들에 대해 비선형 최소자승법을 적용하여 구한 함수의 영점 교차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측정기가, 상기 산출된 영점 교차점으로부터 획득한 초음파의 전달시간 및 초음파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다공성 반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 방법.
  2. 관측점으로부터의 거리 측정 대상인 다공성 반사체에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부;
    상기 다공성 반사체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부; 및
    상기 반사된 초음파 신호의 파형의 머리부 첨두값들에 대해 비선형 최소자승법을 적용하여 구한 함수의 영점 교차점을 산출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산출된 영점 교차점으로부터 획득한 초음파의 전달시간 및 초음파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다공성 반사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인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기.
KR1020080130032A 2008-12-19 2008-12-19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 방법 및 그 측정기 KR101021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032A KR101021685B1 (ko) 2008-12-19 2008-12-19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 방법 및 그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032A KR101021685B1 (ko) 2008-12-19 2008-12-19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 방법 및 그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353A KR20100071353A (ko) 2010-06-29
KR101021685B1 true KR101021685B1 (ko) 2011-03-17

Family

ID=4236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032A KR101021685B1 (ko) 2008-12-19 2008-12-19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 방법 및 그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512B1 (ko) * 2012-09-03 2013-01-2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Tdoa 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미지신호 발생원 위치 측정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8956A (ja) 2001-07-13 2003-01-29 Fujitsu Ltd 超音波を用いた距離計測装置ならびに位置計測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100501949B1 (ko) * 2001-11-06 2005-07-1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동기된 의사위성을 이용한 정밀 항법시스템
WO2008017032A2 (en) 2006-08-03 2008-02-07 Ntt Docomo Inc. Iterative method for jointly estimating time-of-arrival of received signals and terminal location
US20080218404A1 (en) * 2004-06-28 2008-09-11 Yugang Ma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of radar apparatus based on reflected signa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8956A (ja) 2001-07-13 2003-01-29 Fujitsu Ltd 超音波を用いた距離計測装置ならびに位置計測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100501949B1 (ko) * 2001-11-06 2005-07-1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동기된 의사위성을 이용한 정밀 항법시스템
US20080218404A1 (en) * 2004-06-28 2008-09-11 Yugang Ma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of radar apparatus based on reflected signals
WO2008017032A2 (en) 2006-08-03 2008-02-07 Ntt Docomo Inc. Iterative method for jointly estimating time-of-arrival of received signals and terminal lo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353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8414B2 (en) Signal travel time flow meter
KR101622543B1 (ko) 파이프 두께 자동 측정 기능을 구비하는 외벽 부착식 초음파 유량계
RU2017132560A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система и датчик для машины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KR101238387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빙해수조 얼음두께 계측 시스템 및 그 계측 방법
RU2007106983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положения наблюдаемого объекта по глубине в водной среде
RU2451300C1 (ru) Гидроакустическая навиг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CN106153173A (zh) 一种水中声速测量方法及装置
RU2649073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координат подводного объекта гидроакустической системой подводной навигации с юстировочным маяком
KR101021685B1 (ko) 다공성 반사체의 거리 측정 방법 및 그 측정기
JP5904339B2 (ja) 液体検知方法および液体検知装置
RU2510608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толщины льда с подводного носителя
CN106443645A (zh) 一种超声波测距系统、回波取值方法及装置
US20150323370A1 (en) Method for Evaluation for Measurement Signals of a Level Gauge
Weiss et al. Monostatic radio-acoustic sounding system
KR100522113B1 (ko) 초음파 수신 신호의 도달시간 결정방법
Soldatov et al. Ultrasonic borehole depth-gauge
JPS6311673Y2 (ko)
US20200233070A1 (en) Ultrasonic wave apparatus for measure of distance
DK181025B1 (en) Flow Sensor and Method Providing Corrected Values of the Density and/or the Flow Based on Values of the Expected Speed of Sound
RU2195635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уровня жидких и сыпучих сред
SU1122986A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 сдвига ветра
KR20230087823A (ko) 초음파 신호를 이용한 거리 측정 장치
TWI628420B (zh) 即時漂砂及水位觀測設備
JPH0367195A (ja) 波動伝播を利用した大気の温度及び湿度測定方法及び装置
RU2672464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скорости судна доплеровским лаг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