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568B1 -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568B1
KR101021568B1 KR1020100075080A KR20100075080A KR101021568B1 KR 101021568 B1 KR101021568 B1 KR 101021568B1 KR 1020100075080 A KR1020100075080 A KR 1020100075080A KR 20100075080 A KR20100075080 A KR 20100075080A KR 101021568 B1 KR101021568 B1 KR 101021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iogas
natural gas
combustion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0726A (ko
Inventor
정현태
김현배
박현건
윤희철
이보원
최재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ublication of KR2011002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5/00Disposition of burners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one another; Mounting of burners in combustion apparatus
    • F23C5/02Structural details of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8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in association with a gaseous fuel source, e.g. acetylene generator, or a container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01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for sludges or waste products from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이오가스가 저장된 바이오가스 저장부와, 천연가스가 저장된 천연가스 주입부와, 천연가스와 바이오가스를 혼합시키도록 배관을 개재해서 연결된 혼합부와, 이 상기 혼합부에서 혼합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도록 연결되며 슬러지를 건조시키기 위한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연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부의 하류에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 건조가스로 사용하고 연소부로 투입시키는 배출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를 혼합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연소장치의 연료비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의 사용량을 절감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연소가스를 재활용하여 연소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Apparatus for mixing and combusting bio gas and natural gas and apparatus for drying sludg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 생성된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를 혼합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2007년 기준으로 전국 347개소의 공공하수처리시설이 가동 중으로 하루 평균7,631톤의 하수슬러지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중 약 68.5%가 해양배출되어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런던협약 의정서 발효에 따라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의 해양배출기준이 대폭 강화되어 2011년 2월 이후에는 해양배출을 전면 금지하는 해양환경관리법이 개정되어 항후 하수슬러지 처리에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육상처리를 통한 재활용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방안으로는 고화방법, 단순건조, 퇴비화, 탄화, 건조연료화 방법이 있으며, 최근 국제 화석연료가격 상승에 따라 화석연료를 대체할 신재생에너지 확보와 온실가스 감축 등의 측면에서 폐기물 에너지화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화가 매우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수슬러지의 재활용 방법으로 건조 연료화 기술 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수슬러지를 건조 연료화하여 화력발전소 등의 보조연료로 활용하면, 유연탄 대체 기능으로 인한 온실가스 저감효과로 청정개발체제(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사업이 가능하고, 2012년부터 시행될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인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법에 대응이 가능하다.
하지만, 기계적 탈수기에 의해 배출된 함수율 80% 내외의 하수슬러지를 함수율 10%이하의 바이오매스 연료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많은 건조 에너지가 소요된다. 통상적으로 하수슬러지에 함유된 1kg의 수분을 증발시키는데 1,000kcal/kg-water가 소요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수슬러지를 건조하는데 필요한 연로로서 LNG 나 LPG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연료비가 건조공정 운영비의 60%이상을 차지하여 연료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건조장치의 연료로 화석연료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고, 바이오가스와 같은 재생에너지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효율이 낮아서 대형설비가 필요하므로 설비의 가동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연소장치의 연료비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의 사용량을 절감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며, 최적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연소시켜 연소장치의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이들의 혼합비 및 투입량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연소장치의 발열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유기성 폐기물 처리설비의 유기적인 조합이 가능하여 설비의 효율화가 가능하며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공정에서 발생된 바이오가스가 저장된 바이오가스 저장부; 천연가스가 저장된 천연가스 주입부; 상기 천연가스와 상기 바이오가스를 1:0.7∼1:1.9의 혼합비로 혼합시키도록 상기 바이오가스 저장부 및 상기 천연가스 주입부에 각각의 배관을 개재해서 연결된 혼합부; 및 상기 혼합부에서 혼합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도록 상기 혼합부에 배관을 개재해서 연결되며,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공정에서 발생된 슬러지를 건조시키기 위한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연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부의 하류에는, 상기 연소가스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연소가스의 일부를 상기 연소가스에 의해 열교환되어 상기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건조가스로 사용하고, 상기 연소가스의 나머지를 상기 연소부로 투입시키는 배출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혼합부는, 상기 바이오가스의 배관이 상기 천연가스의 배관 보다 높은 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바이오가스의 배관 및 상기 천연가스의 배관에는, 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와, 배관 내로 유동하는 가스의 유량을 계량하는 적산유량계와, 가스의 유량을 초기 설정한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혼합가스의 배관에는, 혼합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와, 혼합가스의 유량을 계량하는 적산유량계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바이오가스의 배관, 상기 천연가스의 배관 및 상기 혼합가스의 배관에는, 상기 배관 및 상기 연소부의 이상시 가스의 유동을 우회시키도록 바이패스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혼합부는, 상기 바이오가스와 상기 천연가스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내부 압력을 250∼350㎜Aq로 유지하는 버퍼탱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로서, 상기 연소부에서의 연소가스가 투입되어 건조가스를 가열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건조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공정을 거쳐 얻어지는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슬러지 건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를 혼합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연소장치의 연료비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의 사용량을 절감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연소가스를 재활용하여 연소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효과를 제공한다.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투입위치를 다르게 하여 혼합을 용이하게 하며, 최적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연소장치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이오가스, 천연가스 및 혼합가스의 투입용 배관에 각종 밸브를 설치하여 이들의 혼합비 및 투입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연소장치의 발열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유기성 슬러지의 혐기성 소화 공정에서 생성되는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를 슬러지 건조장치에 구비하여 슬러지 처리설비에서 건조공정과 혐기성 소화공정이 유기적으로 형성되어 슬러지 처리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온실가스 저감을 통한 청정개발체제(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는 바이오가스 저장부(10), 천연가스 주입부(20), 혼합부(30), 연소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하며, 음식물, 축산분뇨, 슬러지 등의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공정에 사용되는 열교환기(60) 및 슬러지 건조기(70) 등에 열원을 제공한 후 배연설비(80)를 통해 외부로 연소가스를 배출하게 된다.
바이오가스 저장부(10)는 음식물, 하수슬러지, 축산분뇨 등의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공정에서 발생된 바이오가스가 저장되는 저장조로서, 바이오가스의 배관(11)을 개재해서 혼합부(30)와 연결되어 있다.
바이오가스는 미생물 등을 사용해서 생산된 수소 또는 메탄 등과 같은 가스 상태의 연료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성 슬러지의 혐기성 소화 공정에서 발생된 바이오가스를 사용한다.
바이오가스의 배관(11)에는 혼합부(30)로 투입되는 바이오가스의 압력을 350㎜Aq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12), 배관(11) 내로 유동하는 바이오가스의 유량을 계량하는 적산유량계(13) 및 배관(11) 내로 유동하는 바이오가스의 유량을 초기 설정한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자동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이오가스의 배관(11)에는 적산유량계(13) 및 유량제어밸브(14)의 이상시 바이오가스를 우회하여 유동시키도록 바이패스 라인(15)이 형성되어 있다.
천연가스 주입부(20)는 LNG(liquefied natural gas), LPG(liquefied petroleum gas) 등과 같이 화석연료에서 얻은 천연가스가 주입되는 곳으로서, 천연가스의 배관(21)을 개재해서 혼합부(30)와 연결되어 있다.
천연가스는 천연적으로 지하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로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연성 가스로서, 본 실시예의 천연가스로는 LNG를 사용한다.
천연가스의 배관(21)에는 혼합부(30)로 투입되는 천연가스의 압력을 350㎜Aq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22), 배관(21) 내로 유동하는 천연가스의 유량을 계량하는 적산유량계(23) 및 배관(21) 내로 유동하는 천연가스의 유량을 초기 설정한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자동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천연가스의 배관(21)에는 적산유량계(23) 및 유량제어밸브(24)의 이상시 천연가스를 우회하여 유동시키도록 바이패스 라인(25)이 형성되어 있다.
혼합부(30)는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를 혼합시키도록 각각 배관(11, 21)을 개재해서 바이오가스 저장부(10) 및 천연가스 주입부(20)와 연결된 혼합조로서, 연소부(40)에 배관(31)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혼합부(30)에는 바이오가스의 비중이 천연가스 보다 크기 때문에 원활한 가스의 혼합을 위해 바이오가스의 배관(11)이 천연가스의 배관(21) 보다 높은 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혼합부(30)는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혼합가스를 250∼350㎜Aq로 일정한 압력에서 난류와 체류시간이 유지될 수 있는 버퍼탱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가스의 압력을 250∼350㎜Aq로 유지하는 이유는 250㎜Aq 보다 낮으면 체류시간이 지연되어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 사이의 혼합은 잘 이루어지나 혼합가스의 공급에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어 연소효율이 저하되고, 350㎜Aq 보다 높으면 체류시간은 단축되나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 사이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버퍼탱크는 혼합조 내에 별도로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혼합가스의 배관(31)에는 연소부(40)로 투입되는 혼합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32)와, 연소부(40)로 투입되는 혼합가스의 유량을 계량하는 적산유량계(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혼합가스의 배관(31)에는 압력제어밸브(32) 및 적산유량계(33)의 이상시 혼합가스를 우회하여 유동시키도록 바이패스 라인(34)이 형성되어 있다.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를 각각 350㎜Aq, 350㎜Aq의 압력으로 혼합부(30)로 유입시키고, 혼합부(30)의 내부 압력을 250∼350㎜Aq로 유지하여 가스의 혼합효율을 높이며, 일정한 량이 공급되도록 한다. 혼합부(30) 내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압력제어밸브(32)로 컨트롤하며, 혼합부(30) 내부에서 가스의 압력을 250∼350㎜Aq로 유지하므로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을 원활히 할 수 있게 하였다.
바이오가스의 연소열량이 천연가스(10,000kcal/Nm3) 보다 낮은 5,500kcal/Nm3이므로, 바이오가스가 천연가스 유량의 1.9배 보다 크면 혼합가스의 열량이 낮아지고, 천연가스 유량의 0.7배 보다 작으면 천연가스의 사용량이 증가되어 비용이 증가하므로, 혼합부(30)에 천연가스와 바이오가스의 혼합비를 1:0.7∼1:1.9로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최적의 연소효율을 위해서는 표1의 천연가스와 바이오가스의 혼합비 최적화 실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천연가스와 바이오가스의 혼합비를 1:0.82로 유지하여 메탄 혼합농도를 60∼70%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천연가스 유량
(㎥)
바이오가스 유량
(㎥)
혼합비
(천연가스:바이오가스)
혼합압력
(㎜H2O)
1 7.0 4.8 1:0.69 304
2 9.6 8.3 1:0.86 326
3 14.0 11.5 1:0.82 354
4 13.9 11.4 1:0.82 345
5 14.7 11.5 1:0.78 346
6 14.2 13.1 1:0.92 335
7 14.3 12.1 1:0.85 316
평균 10.4 12.5 1:0.82 332
특히, 천연가스 배관의 압력과 바이오가스 배관의 압력을 각각의 압력제어밸브(12, 22)에 의해 동일하게 유지하여, 혼합조 내부에서 일정한 비율의 가스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부(40)는 혼합부(30)에서 혼합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도록 배관(31)을 개재해서 혼합부(30)와 연결되어 있는 버너로서, 혼합가스의 발열량과 혼합가스의 메탄 함유량을 기준으로 일정한 혼합비율로 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초기에 적정한 혼합비율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소부(40)의 상류에는 외기를 투입하기 위한 외기 공급팬(41)이 설치되고, 연소부(40)의 하류에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소가스 배출팬(42)이 설치되어 있다.
통상적인 혐기성 소화공정에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는 메탄의 함유량이 50∼55%정도이므로 LNG의 발열량보다 40% 가량 낮기 때문에, 기존 LNG용 버너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별도로 혼합가스용 버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혼합가스용 버너에 설치된 노즐은 바이오가스와 LNG를 혼합하여 연소하는 혼소 노즐과, 바이오가스가 소진되면 LNG만을 사용하는 LNG 전용 노즐을 함께 설치하여 병행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처음부터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연료 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단일노즐로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혼소 노즐과 LNG 전용 노즐을 병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배관에서 압력조절밸브의 압력이 변하면, 즉 바이오가스 배관(11)의 압력이 낮아지면, 바이오가스 저장조에서 배출되는 바이오가스가 소진된 것이므로 바이오가스의 유량제어밸브(14)가 폐쇄되고 LNG가스만 LNG 전용 노즐로 투입하게 된다.
제어부(50)는 별도로 설치되어 바이오가스의 배관(11), 천연가스의 배관(21) 및 혼합가스의 배관(31) 내부의 유량 및 압력 등의 각종의 상태를 검출하여, 초기에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각각의 배관에 설치된 각종 밸브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투입량을 제어하여 이들 사이의 혼합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혼합가스의 투입량을 제어하여 연소부(40)의 발열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바이오가스 저장부(10)에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공정에서 발생된 바이오가스가 저장되고, 천연가스 주입부(20)에 LNG가 저장된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배관(11, 21)에 설치된 압력제어밸브(12, 22), 적산유량계(13, 23) 및 유량제어밸브(14, 24)를 제어부(50)에서 배관의 상태를 검출하여 설정값에 따라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된 상태로 바이오가스와 LNG가 혼합부(30)로 투입되어 혼합된다. 혼합부(30)로 투입된 바이오가스와 LNG는 소정시간 체류하여 균일하게 혼합되어 배관(31)을 통해서 연소부(40)로 투입되며, 이때 외기와 건조가스도 함께 투입된다. 혼합가스의 배관(31)에도 제어부(50)에 의해서 제어되는 압력제어밸브(32)가 설치되어 혼합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제어하게 된다.
연소부(40)에서 연소된 연소가스는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공정에 사용되는 열교환기(60)를 통과하여 슬러지 건조기(70)에 투입되는 건조가스를 가열시킨 후, 배출팬(42)을 통해 일부가 배연설비(80)로 투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며, 또 일부는 연소부(40)로 투입되며, 나머지는 건조가스와 함께 열교환기(60)로 투입된다.
슬러지 건조기(70)에 투입된 건조가스는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시킨 후, 일부가 열교환기(60)로 재투입되며, 나머지는 연소부(40)로 투입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공보 제10-0812707호의 슬러지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과, 등록특허공보 제10-0851948호의 유기성슬러지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에 있어서의 건조공정에 사용되는 열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바이오가스는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2009-30936호의 일체형 2상 혐기소화조 및 이를 구비하는 혐기소화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러지 건조장치(200)는 열원설비로서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를 구비한 것으로서, 바이오가스 저장조(110), LNG 주입부(120), 혼합조(130) 및 연소실(140)을 구비한 혼합 연소장치(100)와, 열교환기(210)와, 슬러지 건조기(220)를 포함한다.
또한, 슬러지 건조장치(200)의 상기 구성 이외의 구성은 종래의 슬러지 건조장치와 동일하거나,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공보에 기재된 슬러지 건조장치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바이오가스 저장조(110)에는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유기성 슬러지의 혐기성 소화조(300)에서 생성된 바이오가스가 이송되어 저장된다. 바이오가스와 LNG가 혼합조(130)에서 혼합되어 연소실(140)로 투입된다. 연소실(140)로 투입된 혼합가스가 연소된 연소가스는 열교환기(210)로 투입되어 슬러지 건조기(220)로 투입되는 건조가스를 가열하게 된다. 또한 연소실(140)의 연소가스가 슬러지 건조기(220)로 직접 투입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습슬러지의 건조공정 전 단계인 슬러지의 혐기성 소화공정에서 생성된 바이오가스와 LNG를 혼합하여 슬러지 건조장치(200)의 연소실(140)에 투입되는 연료로 사용하므로, 슬러지 처리설비에서 건조공정과 혐기성 소화공정이 유기적으로 형성되어 슬러지 처리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바이오가스 저장부 20: 천연가스 주입부
30: 혼합부 40: 연소부
50: 제어부 60: 열교환기
70: 슬러지 건조기 80: 배연설비

Claims (7)

  1.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공정에서 발생된 바이오가스가 저장된 바이오가스 저장부;
    천연가스가 저장된 천연가스 주입부;
    상기 천연가스와 상기 바이오가스를 1:0.7∼1:1.9의 혼합비로 혼합시키도록 상기 바이오가스 저장부 및 상기 천연가스 주입부에 각각의 배관을 개재해서 연결된 혼합부; 및
    상기 혼합부에서 혼합된 혼합가스를 연소시키도록 상기 혼합부에 배관을 개재해서 연결되며,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공정에서 발생된 슬러지를 건조시키기 위한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연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부의 하류에는, 상기 연소가스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연소가스의 일부를 상기 연소가스에 의해 열교환되어 상기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건조가스로 사용하고, 상기 연소가스의 나머지를 상기 연소부로 투입시키는 배출팬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이오가스의 배관 및 상기 천연가스의 배관에는, 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와, 배관 내로 유동하는 가스의 유량을 계량하는 적산유량계와, 가스의 유량을 초기 설정한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혼합가스의 배관에는, 혼합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와, 혼합가스의 유량을 계량하는 적산유량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이오가스의 배관 및 상기 천연가스의 배관에는, 상기 적산유량계 및 상기 유량제어밸브의 이상시 바이오가스나 천연가스의 유동을 우회하여 공급하도록 바이패스 라인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혼합가스의 배관에는, 상기 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적산유량계의 이상시 혼합가스의 유동을 우회하여 공급하도록 바이패스 라인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소부는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를 혼합하여 연소하는 혼소 노즐과, 바이오가스의 소진시 천연가스 만을 사용하는 천연가스 전용 노즐을 함께 설치하여 병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바이오가스의 배관이 상기 천연가스의 배관 보다 높은 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바이오가스와 상기 천연가스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내부 압력을 250∼350㎜Aq로 유지하는 버퍼탱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
  7. 제 1 항, 제 2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로서,
    상기 연소부에서의 연소가스가 투입되어 건조가스를 가열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건조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공정을 거쳐 얻어지는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슬러지 건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100075080A 2009-08-24 2010-08-03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 KR101021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78130 2009-08-24
KR1020090078130 2009-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726A KR20110020726A (ko) 2011-03-03
KR101021568B1 true KR101021568B1 (ko) 2011-03-16

Family

ID=4392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080A KR101021568B1 (ko) 2009-08-24 2010-08-03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398B1 (ko) * 2011-03-23 2013-04-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유기성폐기물 건조물과 동, 식물성 폐유지를 혼합하여 제조한 고형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장치 및 방법
KR101650086B1 (ko) * 2014-12-02 2016-08-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오일과 석유계 유류의 혼합연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에너지 생산방법
KR102650467B1 (ko) * 2023-10-07 2024-03-22 주식회사 성진엠텍 바이오가스 혼소용 버너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908A (ko) * 2001-07-02 2001-09-29 박종수 듀얼연료용 디젤엔진
KR200418479Y1 (ko) 2006-03-07 2006-06-12 성상훈 바이오 연료의 혼합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908A (ko) * 2001-07-02 2001-09-29 박종수 듀얼연료용 디젤엔진
KR200418479Y1 (ko) 2006-03-07 2006-06-12 성상훈 바이오 연료의 혼합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726A (ko)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rakami et al.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sewage sludge in an incineration plant for energy recovery
BRPI0712491A2 (pt) sistema de homogeneização de gás para regular caracterìsticas de gás e processo para converter um gás de entrada a um gás regulado
JPWO2011016556A1 (ja) 有機性廃棄物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287184B1 (ko) 연료 농후형 바이오매스 반탄화 장치
KR101021568B1 (ko) 바이오가스와 천연가스의 혼합 연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장치
JP4963406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並びにその運転方法
KR101656005B1 (ko)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열병합 발전 시스템
JP2007321520A (ja) バイオマス発電施設にて発生する熱利用方法
CN205535842U (zh) 生活垃圾双室蓄热二次燃烧装置
AU2010321483A1 (en) Method for replenishing fuel with high-temperature flue gas in upgrading low-rank coal
CN104344414A (zh) 废热回收装置以及废热回收方法
JP4720966B2 (ja) バイオガスを燃料とするガスタービン発電装置
US9074151B2 (en) Plasma assisted gasification system with an indirect vacuum system
KR20160006908A (ko)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JP4783582B2 (ja) バイオマスから生成した可燃性ガスを利用した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
CN209213887U (zh) 一种锅炉用激波吹灰系统
JP2002004948A (ja) 炭化水素を原料とした動力発生装置および方法
KR101172831B1 (ko) 가스화기와 관류보일러를 이용한 가축분뇨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200410605Y1 (ko) 축산분뇨 및 폐수와 슬러리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과 유기질비료 제조장치
KR100704272B1 (ko) 축산분뇨 및 폐수와 슬러리를 이용한 에너지 생성 및 유기질 비료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N219607109U (zh) 一种有机废液处理设备
Haibo et al. Economic research relating to a 200 MWe oxy‐fuel combustion power plant
CN110762543B (zh) 无氯高浓度有机废液蒸汽再循环氧化床焚烧设备与工艺
CN220017387U (zh) 一种卧立混合上胶机组voc废气处理系统
JP3952287B2 (ja) 可燃物からのエネルギー回収方法及び回収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