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297B1 -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 - Google Patents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297B1
KR101021297B1 KR1020100036062A KR20100036062A KR101021297B1 KR 101021297 B1 KR101021297 B1 KR 101021297B1 KR 1020100036062 A KR1020100036062 A KR 1020100036062A KR 20100036062 A KR20100036062 A KR 20100036062A KR 101021297 B1 KR101021297 B1 KR 101021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unnel
unit
emergency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주)설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설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설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036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1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tunn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화재 발생에 따른 정전시에도 램프를 통해 소방기구가 비치된 곳을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하는 한편, 그 정전상황에 대응하여 신속한 방재활동을 위해 소방기구가 배치된 박스가 자동적으로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터널 내 화재발생을 대비한 소방기구를 보관하도록 설치되는 비상기구함에 있어서, 전면이 강화유리로 보호되는 상기 비상기구함의 상부 및 하부의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축전하기 위한 축전부(110)와, 상기 축전부(110)와 연결되는 발광램프(120)로 이루어진 비상식별부(100)와; 터널 내측으로의 전원 인가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정전감지부(210)와, 상기 정전감지부(210)의 신호에 따라 평상시 상기 비상기구함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정전 발생 시 그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전자식 잠금부(220)로 이루어진 자동개폐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EMERGENCY BOX OF AUTOMATIC OPEN AND SHUT TYPE IN TUNNEL INCLUDING IDENCIFICATION APPLRATUS ON BLACKOUT BY TUNNLE FIRE}
본 발명은 터널 내 비상기구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재 발생에 따른 정전시에도 램프를 통해 소방기구가 비치된 곳을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하는 한편, 그 정전상황에 대응하여 신속한 화재 진압활동을 위해 소방기구가 배치된 박스가 자동적으로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교통수단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도로시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 기존도로 시설의 개선 및 신규도로의 신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신설되는 신규도로는 이동시간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능한 직선화하여 건설되는데, 산악지형이 많은 우리나라의 실정을 고려하여 도로를 직선화하기 위해 대규모의 터널 건설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장대화된 터널은 자연생태계의 흐름을 차단하는 지상도로에 비해 이를 보호하는데 상대적으로 유리하며, 도로가 직선화되어 교통흐름이 원활한 장점이 있는 반면, 터널 내부에서의 대형사고, 예로써 화재와 같은 재난 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고 초기에 진압하지 않으면 대형 참사가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터널 내부의 재난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화재 진압기구들이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터널 내 설치되는 소방기구들은 도난이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보관함에 보관되는데, 화재 발생에 의해 터널의 조명까지 파손되는 경우 연기와 어둠으로 인해 터널 내부에서 그 보관함을 찾기 어려울 수 있어 이에 의해 조속한 화재진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발생에 따른 정전시에도 램프를 통해 소방기구가 비치된 곳을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하는 한편, 그 정전상황에 대응하여 신속한 화재 진압활동을 위해 소방기구가 배치된 박스가 자동적으로 열린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널 내 화재발생을 대비한 소방기구를 보관하도록 설치되는 비상기구함에 있어서, 전면이 강화유리로 보호되는 상기 비상기구함의 상부 및 하부의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축전하기 위한 축전부와, 상기 축전부와 연결되는 발광램프로 이루어진 비상식별부와; 터널 내측으로의 전원 인가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정전감지부와, 상기 정전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평상시 상기 비상기구함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정전 발생 시 그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전자식 잠금부로 이루어진 자동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전감지부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감지센서와, 이 전압감지센서로의 전원인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식 잠금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어회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전압감지센서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축전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으로 상기 전자식 잠금부는 평상시에 상기 정전감지부를 거쳐 인가되는 교류전압에 의해 상기 비상기구함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정전시에 교류전압이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개방되는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은 화재 발생에 따른 정전시에도 비상식별부가 자체 구비된 축전부에 의해 발광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어 소방기구가 비치된 곳을 용이하게 확인하게 하는 동시에 터널 내 정전을 감지하여 그 비상기구함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자동개폐부를 통해 신속한 화재 진압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의 설치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 중 비상식별부와 자동개폐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의 설치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은 터널 내 화재발생을 대비해 비치되는 소화기, 소방호스와 같은 각종 소방기구를 보관하도록 설치되는 비상기구함에 대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터널 내 정전시에도 자체 발광가능한 비상식별부(100)와, 정전에 따라 비상기구함을 자동 개방시키는 자동개폐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비상식별부(100)는 빛을 투광시키기 위해 전면이 강화유리로 보호되는 비상기구함의 상부 및 하부의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고 외부, 예를 들어 터널 조명등으로 공급되는 전원과 연결되어 이로부터의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기 위한 축전부(110)와, 축전부(110)와 연결되는 발광램프(120)로 구성됨으로써 터널 내 정전상황에서도 축전부(110)를 통해 발광램프(120)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어 비상기구함의 시각적인 위치 확인이 용이해진다.
또한 시각적으로 비상기구함의 위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는 상기 발광램프(120)에 더하여, 청각적으로 비상기구함의 위치를 확인가능하게 하는 알람부(130)가 축전부(110)에 더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알람부(130)는 이하 기술되는 정전상태를 감지하는 정전감지부(210)의 제어회로부(212)에 의해 구동여부가 결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 중 비상식별부와 자동개폐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자동개폐부(200)는 터널 내측으로의 전원 인가 유무, 다시 말해서 터널 내 전기를 사용하는 조명등과 같은 기기로의 전원 인가 유무를 확인하도록 그러한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정전감지부(210)와, 정전감지부(210)의 신호에 따라 평상시 비상기구함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정전 발생 시 그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전자식 잠금부(2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정전감지부(21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감지센서(211)와, 이 전압감지센서(211)로의 전원인가 여부를 확인하여 전자식 잠금부(220)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어회로부(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어회로부(212)는 전압감지센서(211)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축전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됨으로써 전자식 잠금부(220)와 이전에 기술된 알람부(130)를 작동시키게 된다. 참고로 전자식 잠금부(220)로는 아파트, 개인주택 등의 각종 건축물 도어에 설치되는 다양한 종래의 번호 키패드를 구비한 전자식 자물쇠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관리자가 키패드를 통해서 암호 입력 후 비상기구함의 도어를 열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정전감지부(210)나 전자식 잠금부(220)의 경우 정교한 동작을 보장하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비싼 이유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평상시에 정전감지부(210)를 거쳐 인가되는 교류전압에 의해 비상기구함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정전시에 교류전압이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개방되도록 하는 전자석의 구조를 전자식 잠금부(220)가 갖도록 하여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정전감지부(210)는 단순히 외부로부터 전압이 인가될 시에 이를 조절하여 전자식 잠금부(220)가 자성을 갖게 하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전자식 잠금부(220)의 자성이 사라져 비상기구함의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원리에 따른다.

Claims (3)

  1. 터널 내 화재발생을 대비한 소방기구를 보관하도록 설치되는 비상기구함에 있어서,
    전면이 강화유리로 보호되는 상기 비상기구함의 상부 및 하부의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축전하기 위한 축전부(110)와, 상기 축전부(110)와 연결되는 발광램프(120)로 이루어진 비상식별부(100)와;
    터널 내측으로의 전원 인가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정전감지부(210)와, 상기 정전감지부(210)의 신호에 따라 평상시 상기 비상기구함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정전 발생 시 그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전자식 잠금부(220)로 이루어진 자동개폐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감지부(21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감지센서(211)와, 이 전압감지센서(211)로의 전원인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식 잠금부(200)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어회로부(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회로부(212)는 상기 전압감지센서(211)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축전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전자식 잠금부(220)는 평상시에 상기 정전감지부(210)를 거쳐 인가되는 교류전압에 의해 상기 비상기구함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정전시에 교류전압이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개방되는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
  2. 삭제
  3. 삭제
KR1020100036062A 2010-04-19 2010-04-19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 KR101021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062A KR101021297B1 (ko) 2010-04-19 2010-04-19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062A KR101021297B1 (ko) 2010-04-19 2010-04-19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297B1 true KR101021297B1 (ko) 2011-03-11

Family

ID=4393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062A KR101021297B1 (ko) 2010-04-19 2010-04-19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312B1 (ko) 2023-05-02 2024-05-14 주식회사 휴먼시스템즈 안전대피를 위한 터널제어함체 원격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0989A (ja) * 1998-08-25 2000-02-29 Taisei Corp 消火栓箱に設けた開閉扉の自動解錠装置
KR200324154Y1 (ko) * 2003-05-16 2003-08-21 신말봉 소화구 보관함
KR200408284Y1 (ko) * 2005-10-04 2006-02-08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비상조명등 기능이 내장된 소방기구 및 인명구조기구보관함
KR200427721Y1 (ko) * 2006-06-21 2006-09-29 캡스시스템 주식회사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0989A (ja) * 1998-08-25 2000-02-29 Taisei Corp 消火栓箱に設けた開閉扉の自動解錠装置
KR200324154Y1 (ko) * 2003-05-16 2003-08-21 신말봉 소화구 보관함
KR200408284Y1 (ko) * 2005-10-04 2006-02-08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비상조명등 기능이 내장된 소방기구 및 인명구조기구보관함
KR200427721Y1 (ko) * 2006-06-21 2006-09-29 캡스시스템 주식회사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312B1 (ko) 2023-05-02 2024-05-14 주식회사 휴먼시스템즈 안전대피를 위한 터널제어함체 원격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7315A1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CN102220878A (zh) 一种双重防护结构的固定式避难所
CN211986704U (zh) 多功能逃生装置
IL258171A (en) System and method for two-stage protection of access to closed or semi-closed premises
KR101736816B1 (ko) 열차단 효율을 높인 소방용 방화기구
CN104818939B (zh) 一种防盗护栏连接件及其制造方法
CN105484575A (zh) 防盗门
KR101021297B1 (ko) 터널 내부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식별장치를 가진 자동 개폐식 터널 내 비상기구함
CN201184115Y (zh) 窗口多功能护栏
CN104832070B (zh) 一种自动垂直有线防盗报警护栏的制造方法
KR101637979B1 (ko) 방화겸용 롤스크린
CN105804543A (zh) 楼宇推拉窗限位防盗报警装置及其使用方法
Botting The impact of post-earthquake fire on the urban environment
CN108678608B (zh) 一种具有火警报警功能的紧急逃生门
KR20140134545A (ko) 다용도 개폐기함
CN207591121U (zh) 楼顶钢化玻璃门火灾逃生装置
KR20150034150A (ko) 건물(아파트)화재 발생시 옥상 방화문 자동개방장치
CN205445153U (zh) 防盗门
CN205577680U (zh) 楼宇推拉窗限位防盗报警装置
CN219758926U (zh) 一种常闭防火门自动报警装置
Rini Applying Indonesia Regulation on Fire Protection System at WTC 1 Building in Jakarta through Fire Risk Assessment (FRA)
WO2022243587A1 (es) Unidad modular de contención frente a incendios
KR20080092162A (ko) 전기 충격 커튼을 이용한 방범 장치
KR200382273Y1 (ko) 도시가스배관용 방범경보기
CN107456669A (zh) 楼顶钢化玻璃门火灾逃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