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266B1 - 지형물의 위치정보 변동을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형물의 위치정보 변동을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266B1
KR101021266B1 KR1020100101520A KR20100101520A KR101021266B1 KR 101021266 B1 KR101021266 B1 KR 101021266B1 KR 1020100101520 A KR1020100101520 A KR 1020100101520A KR 20100101520 A KR20100101520 A KR 20100101520A KR 101021266 B1 KR101021266 B1 KR 101021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hip
tail
points
analo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홍진
Original Assignee
(주)선운 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운 이앤지 filed Critical (주)선운 이앤지
Priority to KR1020100101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CDIGITAL COMPUTERS IN WHICH ALL THE COMPUTATION IS EFFECTED MECHANICALLY
    • G06C11/00Output mechanisms
    • G06C11/02Output mechanisms with visual indication, e.g. counter dru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8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symme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형물의 위치정보 변동을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박(2)의 항법장치(N)와의 통신을 통해 해안과의 거리를 확인하고, 발신기(10)로부터 발신되는 아날로그신호의 세기를 제어하면서 발신 세기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기(40): 선박(2) 선두에 설치되는 하나의 선두발신기(11); 측면에 서로 대칭하게 설치되는 한 쌍 또는 두 쌍 이상의 측면발신기(12, 12'); 후미에 서로 대칭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후미발신기(13, 13');로 구성되되, 제어기(40)의 제어에 따라 아날로그신호의 발신 세기를 제어하는 증폭모듈(10a)을 각각 포함하고, 식별코드와 상기 발신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동일 세기의 아날로그신호를 일정 간격으로 발신하는 발신기(10): 상기 아날로그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식별코드와 상기 발신 세기 정보와 수신 세기와 발신 방향을 확인하는 수신모듈(21); 선두발신기(11), 측면발신기(12, 12') 및 후미발신기(13, 13') 각각의 식별코드와 발신 세기 정보와 수신 세기와 발신 방향에 따라 차량(1)의 위치 표시인 사용자 이미지(MI)를 기준으로 한 선박(2)의 선두지점(SF)과 측면지점(SS1, SS2)과 후미지점(SE1, SE2)을 추적하고, 상기 지점(SF, SS1, SS2, SE1, SE2)을 잇는 외곽라인을 도화하며, 후미지점(SE1, SE2)의 중점(P)과 선두지점(SP)을 잇는 중심축(L)을 기준으로 상기 외곽라인의 대칭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모듈(22); 측면지점(SS1, SS2)과 후미지점(SE1, SE2) 중 사용자 이미지(MI)와 상대적으로 더 인접한 측면지점(SS2)과 후미지점(SE2)을 확인하고, 선박(2)의 이동으로 재확인된 선두지점(SF')과 이전 선두지점(SF)을 잇는 수정 중심축(L")을 기준으로 상기 더 인접한 측면지점(SS2)과 후미지점(SE2)의 대칭 지점을 확인해 서로 연결해서 수정 외곽라인을 도화하는 수정모듈(27); 차량의 GPS위치를 확인하는 GPS(24); 상기 GPS위치에 링크된 배경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DB(25); 상기 외곽라인 또는 수정 외곽라인에 따른 선박이미지(SI)를 도화하고, 이미지DB(25)에서 검색한 해당 배경이미지에 합성해서, 공간이미지를 완성하는 합성모듈(23);로 구성된 처리수단(20): 및 합성모듈(23)로부터 전달된 상기 공간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형물의 위치정보 변동을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시스템{Space image picturing system reflecting the change of object`s posi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지형물의 위치정보 변동을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GPS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GIS 등의 지리정보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이를 통해 공급되는 위치정보는 인간생활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정보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일반인에게 가장 널리 활용되는 지리정보 기술은 차량에 설치되거나 개인이 소지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등의 위치추적 기술인데, 이러한 기술은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 또는 다른 이의 위치를 추적해서 해당 위치를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한 도화기술이 병행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GPS가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해 출력하는 위치정보는 단순 수치일 뿐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위치정보만으로는 자신의 위치를 가늠할 수 없지만, 항공에서 촬영해 실제 현장 모습을 담은 공간이미지에서 상기 수치에 상응하는 지점을 표기해 출력할 경우엔 사용자가 상기 표기된 지점과 공간이미지의 내용을 비교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위치한 지점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한편, 공간이미지는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현재는 3차원의 지형모습도 출력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사용자는 실사에 가까운 공간이미지를 배경으로 자신의 위치 또는 다른 이의 위치를 추적해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이미지는 인공적으로 건설된 정지된 구조물, 자연적으로 형성된 정지된 지형물로 이루어지므로, 대형 선박과 같이 유동적인 지형물은 공간이미지에 표현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물론, 이러한 한계로 인해, 해안/하안 도로 또는 항구 근처를 통행하는 사용자는 인근에 선박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내비게이션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항공촬영정보를 기초로 제작된 공간이미지에서 특정 대상물인 선박만을 독립적으로 분리해 편집 및 출력해서, 사용자가 보다 현실감 있는 위치추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지형물의 위치정보 변동을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2)의 항법장치(N)와의 통신을 통해 해안과의 거리를 확인하고, 발신기(10)로부터 발신되는 아날로그신호의 세기를 제어하면서 발신 세기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기(40):
선박(2) 선두에 설치되는 하나의 선두발신기(11); 측면에 서로 대칭하게 설치되는 한 쌍 또는 두 쌍 이상의 측면발신기(12, 12'); 후미에 서로 대칭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후미발신기(13, 13');로 구성되되, 제어기(40)의 제어에 따라 아날로그신호의 발신 세기를 제어하는 증폭모듈(10a)을 각각 포함하고, 식별코드와 상기 발신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동일 세기의 아날로그신호를 일정 간격으로 발신하는 발신기(10):
상기 아날로그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식별코드와 상기 발신 세기 정보와 수신 세기와 발신 방향을 확인하는 수신모듈(21); 선두발신기(11), 측면발신기(12, 12') 및 후미발신기(13, 13') 각각의 식별코드와 발신 세기 정보와 수신 세기와 발신 방향에 따라 차량(1)의 위치 표시인 사용자 이미지(MI)를 기준으로 한 선박(2)의 선두지점(SF)과 측면지점(SS1, SS2)과 후미지점(SE1, SE2)을 추적하고, 상기 지점(SF, SS1, SS2, SE1, SE2)을 잇는 외곽라인을 도화하며, 후미지점(SE1, SE2)의 중점(P)과 선두지점(SP)을 잇는 중심축(L)을 기준으로 상기 외곽라인의 대칭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모듈(22); 측면지점(SS1, SS2)과 후미지점(SE1, SE2) 중 사용자 이미지(MI)와 상대적으로 더 인접한 측면지점(SS2)과 후미지점(SE2)을 확인하고, 선박(2)의 이동으로 재확인된 선두지점(SF')과 이전 선두지점(SF)을 잇는 수정 중심축(L")을 기준으로 상기 더 인접한 측면지점(SS2)과 후미지점(SE2)의 대칭 지점을 확인해 서로 연결해서 수정 외곽라인을 도화하는 수정모듈(27); 차량의 GPS위치를 확인하는 GPS(24); 상기 GPS위치에 링크된 배경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DB(25); 상기 외곽라인 또는 수정 외곽라인에 따른 선박이미지(SI)를 도화하고, 이미지DB(25)에서 검색한 해당 배경이미지에 합성해서, 공간이미지를 완성하는 합성모듈(23);로 구성된 처리수단(20): 및
합성모듈(23)로부터 전달된 상기 공간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수단(30):
을 포함하는 지형물의 위치정보 변동을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선박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발신기의 신호 정보를 수신해서 발신기가 이루는 외곽 라인을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외곽 라인을 통해 선박의 모습과 크기에 따른 대상물인 선박이미지를 도화해 편집해서, 사용자가 자신의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출력되는 공간이미지에서 유동적인 선박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화처리시스템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화처리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화처리시스템의 작동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4는 선박에 설치된 발신기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출력되는 선박이미지에 대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선박에 설치된 발신기를 비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출력되는 선박이미지에 대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비정상적인 수신 내용을 수정해 출력되는 선박이미지에 대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화처리시스템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화처리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화처리시스템은 선박(2)의 외곽에 설치되는 다수의 발신기(10)와, 발신기(10)의 신호를 수신해 선박(2)의 외곽라인을 이미지로 생성하는 처리수단(20)과, 처리수단(20)의 공간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수단(30)을 포함한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차량(1)이 해안도로를 통행하면,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에 설치된 내비게이션의 출력화면(31)에는 사용자이미지(MI)가 상기 해안도로를 주행하는 모습으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내비게이션에 본 발명에 따른 도화처리시스템이 적용될 경우, 차량(1)의 인접위치에 운항중인 선박(2)의 선박이미지(SI)가 출력화면(31)에 출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화처리시스템을 갖춘 내비게이션은 선박(2)의 이동을 계속 추적하므로, 상기 선박(2)의 운항 모습이 출력화면(31)에 그대로 표현된다. 물론, 사용자는 이러한 출력화면(31)을 통해 공간이미지에 대한 현실감을 느낄 수 있고, 출력화면(31)에서 출력되는 사용자이미지(MI)의 위치 확인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발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화처리시스템은 다수의 발신기(10)가 선박(2)의 외곽을 따라 설치된다. 여기서, 발신기(10)는 자체 식별코드와 발신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동일한 세기의 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하는데, 차량(1)에 설치된 내비게이션의 처리수단(20)은 상기 아날로그신호의 수신과 식별 작업을 진행해서 그 위치를 확인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발신기(10)는 식별코드와 발신 세기 정보가 포함된 아날로그신호를 발신하므로, D/A컨버터와, 일정한 신호출력을 위한 증폭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발신장치가 구성된다. 이러한 발신기(10)의 구성은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상기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발신기(10)는 선박(2)의 외곽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되, 선박의 선두에는 하나의 선두발신기(11)가 설치되고, 후미에는 서로 대칭되도록 두 개의 후미발신기(13, 13')가 설치된다. 또한, 선박(2)의 측면에는 한 쌍 또는 두 쌍 이상의 측면발신기(12, 12')가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각각의 발신기(10)는 지속적으로 아날로그신호를 발신하는데, 모든 발신기(11, 12, 12', 13, 13'; 모두를 가리킬 땐 '10')의 아날로그신호의 발신 세기는 동일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단(20)은 수신된 아날로그신호들의 수신방향과 시간차와 세기 차 등을 활용해서, 차량(1)과 발신기(10) 간의 거리와 방향을 연산할 수 있고, 이렇게 확인된 거리와 방향을 고려해 해당 지점을 연결해서 선박이미지(SI)를 도화할 수 있다.
한편, 발신기(10)는 아날로그신호의 세기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증폭모듈(10a)을 포함하고, 증폭모듈(10a)은 선박(2)의 항법장치(N)로부터 선박(2)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제어기(40)의 제어를 받아 아날로그신호의 세기를 조정토록 한다. 참고로, 전원(B)은 증폭모듈(10a)의 출력에 필요한 전력을 발신기(10)에 제공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박(2)에 설치된 항법장치(N)는 운항중인 선박(2)의 위치를 파악해 출력하는 통상적인 장비로, 선박(2)이 해안선으로부터 얼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추적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기(40)는 이러한 항법장치(N)의 추적 정보를 통해 해안선과 선박(2) 간의 간격을 확인하고, 상기 간격에 따라 아날로그신호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증폭모듈(10a)을 제어한다. 즉, 제어기(40)는 선박(2)이 해안선으로부터 멀어지면 아날로그신호의 세기를 높이고, 해안선으로부터 가까워지면 아날로그신호의 세기를 낮추어서, 처리수단(20)이 발신기(10)의 아날로그신호를 선박(2)의 위치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신호에는 아날로그신호의 발신 세기 정보가 포함된다. 즉, 제어기(40)는 항법장치(M)의 추적 정보에 따라 아날로그신호의 발신 세기 정보를 결정해서 증폭모듈(10a)을 제어함은 물론, 상기 발신 세기 정보를 아날로그신호에 삽입해서, 처리수단(20)이 발신 세기 정보를 기준으로 발신기(1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단(20)은, 발신기(10)의 아날로그신호를 각각 수신해서 A/D 변환하고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수신모듈(21)과, 아날로그신호의 발신 세기 정보와 수신방향과 시간차와 세기 차 등을 확인해서 발신기(10)의 위치를 확인하고 선박이미지(SI)의 외곽라인을 형성시키는 분석모듈(20)과, 상기 외곽라인을 수정하는 수정모듈(27)과, 확정된 외곽라인에 따라 선박이미지(SI)를 도화하고 기존 공간이미지에 합성하는 합성모듈(23)과,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GPS(24)와, 배경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DB(25)와, 차량(1)의 주행 상태를 연산하는 연산모듈(26)을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도화처리시스템이 분명해지도록, 상기 도화처리시스템의 동작모습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화처리시스템의 작동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4는 선박에 설치된 발신기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출력되는 선박이미지에 대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선박에 설치된 발신기를 비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출력되는 선박이미지에 대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비정상적인 수신 내용을 수정해 출력되는 선박이미지에 대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S10; 발신단계
선박(2)의 선두, 측면 및 후미에 각각 설치된 선두발신기(11), 측면발신기(12, 12') 및 후미발신기(13, 13')가 동일한 시간과 간격으로 아날로그신호를 발신한다. 상기 아날로그신호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신호형식으로서, 모든 발신기(10)로부터 최초 발신되는 아날로그신호의 세기는 모두 동일하다. 그러나, 선박(2)의 위치에 따라 아날로그신호의 발신 세기는 차이가 있고, 상기 발신 세기는 발신 세기 정보로서 아날로그신호에 포함된다.
참고로, 선박(2)에 설치되는 발신기(10) 중 하나의 선두발신기(11)는 선박(2)의 선두에 설치되고, 측면발신기(12, 12')는 선박(2)의 측면에 최소 한 쌍 이상이 서로 대칭되는 지점에 설치되며, 후미발신기(13, 13')는 선박(2)의 후미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는 지점에 설치된다.
S20; 신호 처리단계
차량(1)에 설치된 처리수단(20)의 수신모듈(21)은 발신기(10)의 아날로그신호를 수신하고, A/D 변환을 통해 상기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해서 발신 세기 정보와 식별코드를 확인한다. 여기서, 식별코드는 선두발신기(11)의 식별코드와, 측면발신기(12, 12')의 식별코드와, 후미발신기(13, 13')의 식별코드로 크게 구분되어야 하나, 한 쌍을 이루는 측면발신기(12, 12')와 후미발신기(13, 13') 각각은 동일한 식별코드로 통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한 쌍 또는 두 쌍 이상의 모든 측면발신기(12, 12')로부터 발신하는 아날로그신호에는 동일한 식별코드가 포함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단(20)은 상기 아날로그신호의 발신이 측면발신기(12, 12')로부터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으면 족한 것이다. 이는 다수의 식별코드를 확인해 처리하는 과정에서 처리지연 및 시스템의 과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발신기(10) 제작의 비용절감 또한 기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수신모듈(21)은 발신 세기 정보와 아날로그신호의 수신 세기를 비교 확인해서 상기 아날로그신호를 발신한 발신기(10)와 차량(1) 간의 거리를 연산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신기(10)는 선박(2)의 위치에 따라 조정되는 발신 세기 정보를 아날로그신호에 포함시켜 발신하므로, 수신모듈(21)은 이를 기초해서 상기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계속해서, 수신모듈(21)은 아날로그신호의 수신방향을 확인해서 상기 아날로그신호를 발신한 발신기(10)의 위치를 추적한다. 그런데, 아날로그신호가 발신된 지점을 추적하는 기술은 레이더 기능을 갖춘 통상적인 수신모듈(21)의 공지,공용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수신모듈(21)에 장착되는 전자부품에 대한 설명과 회로동작 모습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S30; 외곽라인 도화단계
분석모듈(22)은 수신모듈(21)로부터 전달된 발신기(10) 각각의 식별코드와 위치 및 거리에 대한 정보를 분석해서, 선박이미지(SI) 도화를 위한 외곽라인 도화 작업을 진행한다.
분석모듈(22)은 상기 식별코드와 위치 및 거리를 활용해 선두지점(SF)과 측면지점(SS1, SS2)과 후미지점(SE1, SE2)을 각각 체크하는데, 이때 상기 식별코드를 통해 선두지점(SF)과 후미지점(SE1, SE2)은 정확히 구분한다.
계속해서, 출력화면(31)에 출력될 사용자 이미지(MI)를 기준으로 선두지점(SF)과 측면지점(SS1, SS2)과 후미지점(SE1, SE2)을 확정하고 이를 일렬로 연결해서 외곽라인을 확정한다.
S40; 대칭 확인단계
선박(2)의 외곽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발신기(10)는 차량(1)을 기준으로 모두 다른 거리와 방향에 위치하므로, 신호 전달의 방해가 없다면 분석모듈(22)에 의해 확정된 외곽라인은 서로 대칭된 모습으로 표현될 것이고, 이를 통해 상기 외곽라인은 선박이미지(SI)로서 그대로 활용될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석모듈(22)은 한 쌍의 선미지점(SE1, SE2) 간 중점(P)과 하나의 선두지점(SF)을 서로 연결해서 중심축(L)을 생성시키고, 한 쌍의 측면지점(SS1, SS2) 간 연결선과 중심축(L) 간의 교점(C)을 확인해서, 도 4와 같이 각 측면지점(SS1, SS2)과 교점(C) 간 거리가 서로 일치하면 당해 외곽라인을 선박이미지(SI)로 확정하고, 도 5와 같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당해 외곽라인의 수정과정을 진행한다. 여기서, 외곽라인의 대칭은 각 측면지점(SS1, SS2)과 교점(C) 간 거리가 완벽히 일치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일정 비율별로 범위를 설정해서 상기 거리의 차이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을 경우, 해당 외곽라인을 대칭으로 보고 선박이미지(SI)로의 확정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차량(1)이 상대적으로 높은 도로를 통행하면서 선박(2)의 평면이 그대로 노출될 경우, 선박(2) 외곽에 설치된 발신기(10)의 아날로그신호는 방해 없이 수신모듈(21)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선박(2)이 대형이어서 갑판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발신기(10)의 아날로그신호가 중앙 본체에 가려지면, 상기 아날로그신호의 전달은 상기 중앙 본체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되고, 이를 통해 수신모듈(21)이 수신하는 해당 발신기(10)의 아날로그신호는 그 세기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날로그신호는 상기 중앙 본체의 방해로 전달속도에 영향을 받아, 수신모듈(21)의 수신 시간 또한 더욱 늦춰질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조건에서 분석모듈(22)이 도화하는 외곽라인은 도 5와 같은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런데, 도 5에 도시된 외곽라인은 선박이미지(SI)로는 적절치 않음이 분명하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후미지점(SE1', SE2) 간 중점(P')과 선두지점(SF)을 연결하는 중심축(L')을 확인하고, 측면지점(SS1', SS2) 간의 연결선과 중심축(L') 간의 교점(C')을 확인하면, 각 측면지점(SS1', SS2)과 교점(C) 간 거리가 서로 일치하지 않음이 분명하다. 이는 해당 외곽라인이 선박이미지(SI)를 정확히 도화하고 있지 않음을 명백히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외곽라인의 수정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참고로, 선두에 설치되는 선두발신기(11)의 아날로그신호는 선박(2)의 구조적인 특성상 전파에 방해를 받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도화처리시스템은 선두지점(SF)에 대한 오차는 무시한다. 또한, 후미발신기(13, 13')는 하나가 아닌 두 개가 선박(2) 후미에 각각 설치되는데, 이는 후미발신기(13, 13')로부터 발신되는 최소한 하나의 아날로그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S50; 인접지점 확인단계
대칭 확인단계(S40)에서, 분석모듈(22)이 도화한 외곽라인이 선박이미지(SI)로는 적절치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수정모듈(27)은 선두지점(SF)과 측면지점(SS1, SS2)과 후미지점(SE1, SE2)에서, 선두지점(SF)은 물론 측면지점(SS1', SS2) 및 후미지점(SE1', SE2) 중 사용자 이미지(MI)와 상대적으로 더 인접한 측면지점(SS2)과 후미지점(SE2)을 확인한다.
계속해서, 발신기(10)는 일정주기로 아날로그신호를 동시에 발신하므로, 수신모듈(21)은 다음 아날로그신호를 수신하고, 분석모듈(22)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된 선두지점(SF')을 체크한다.
수정모듈(27)은 이전 선두지점(SF)과 변경된 선두지점(SF')을 연결하는 수정 중심축(L")을 형성시킨다.
S60; 대칭 도화단계
수정모듈(27)은 수정 중심축(L")을 기준으로, 상기 인접한 측면지점(SS2)과 후미지점(SE2)을 잇는 외곽라인의 대칭인 수정 외곽라인을 도화한다.
S70; 배경이미지 합성 도화단계
GPS(24)는 차량(1)의 GPS위치를 확인하고, 합성모듈(23)은 상기 GPS위치에 링크된 배경이미지를 이미지DB(25)에서 검색해서, 상기 수정 외곽라인에 따른 선박이미지(SI)를 상기 배경이미지에 합성한다.
한편, 전술한 과정에 따라 완성된 선박이미지(SI)는 선박(2)의 외곽라인만을 따라 도화한 것이므로 개략적인 형상은 선박이미지로 보이나, 선박이미지 도화 당시 중앙 본체의 형상과 입체감 여부는 고려하지 않으므로, 사실성이 다소 부족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합성모듈(23)은 선박이미지에 임의 중앙 본체 이미지를 합성 적용해서, 완전한 선박의 모습이 표현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3D로 공간이미지를 조정할 경우 선박이미지에 임의 높이를 적용해서, 상기 선박이미지(SI)가 상기 조정에 따라 3D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S80; 출력단계
이렇게 완성된 공간이미지는 출력수단(30)으로 전달되고, 출력수단(30)은 상기 공간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통상적인 기술로 처리해서 출력화면(31)을 통해 출력한다.
한편, 연산모듈(26)은 차량(1)의 이동에 따른 GPS(24)의 처리 내용을 확인해서, 차량(1)의 속도 등을 연산할 수 있고, 합성모듈(23)은 이렇게 연산한 속도정보를 공간이미지에 합성해서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한다.

Claims (1)

  1. 선박(2)의 항법장치(N)와의 통신을 통해 해안과의 거리를 확인하고, 발신기(10)로부터 발신되는 아날로그신호의 세기를 제어하면서 발신 세기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기(40):
    선박(2) 선두에 설치되는 하나의 선두발신기(11); 측면에 서로 대칭하게 설치되는 한 쌍 또는 두 쌍 이상의 측면발신기(12, 12'); 후미에 서로 대칭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후미발신기(13, 13');로 구성되되, 제어기(40)의 제어에 따라 아날로그신호의 발신 세기를 제어하는 증폭모듈(10a)을 각각 포함하고, 식별코드와 상기 발신 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동일 세기의 아날로그신호를 일정 간격으로 발신하는 발신기(10):
    상기 아날로그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식별코드와 상기 발신 세기 정보와 수신 세기와 발신 방향을 확인하는 수신모듈(21); 선두발신기(11), 측면발신기(12, 12') 및 후미발신기(13, 13') 각각의 식별코드와 발신 세기 정보와 수신 세기와 발신 방향에 따라 차량(1)의 위치 표시인 사용자 이미지(MI)를 기준으로 한 선박(2)의 선두지점(SF)과 측면지점(SS1, SS2)과 후미지점(SE1, SE2)을 추적하고, 상기 지점(SF, SS1, SS2, SE1, SE2)을 잇는 외곽라인을 도화하며, 후미지점(SE1, SE2)의 중점(P)과 선두지점(SP)을 잇는 중심축(L)을 기준으로 상기 외곽라인의 대칭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모듈(22); 측면지점(SS1, SS2)과 후미지점(SE1, SE2) 중 사용자 이미지(MI)와 상대적으로 더 인접한 측면지점(SS2)과 후미지점(SE2)을 확인하고, 선박(2)의 이동으로 재확인된 선두지점(SF')과 이전 선두지점(SF)을 잇는 수정 중심축(L")을 기준으로 상기 더 인접한 측면지점(SS2)과 후미지점(SE2)의 대칭 지점을 확인해 서로 연결해서 수정 외곽라인을 도화하는 수정모듈(27); 차량의 GPS위치를 확인하는 GPS(24); 상기 GPS위치에 링크된 배경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DB(25); 상기 외곽라인 또는 수정 외곽라인에 따른 선박이미지(SI)를 도화하고, 이미지DB(25)에서 검색한 해당 배경이미지에 합성해서, 공간이미지를 완성하는 합성모듈(23);로 구성된 처리수단(20): 및
    합성모듈(23)로부터 전달된 상기 공간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수단(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물의 위치정보 변동을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시스템.
KR1020100101520A 2010-10-18 2010-10-18 지형물의 위치정보 변동을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시스템 KR101021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520A KR101021266B1 (ko) 2010-10-18 2010-10-18 지형물의 위치정보 변동을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520A KR101021266B1 (ko) 2010-10-18 2010-10-18 지형물의 위치정보 변동을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266B1 true KR101021266B1 (ko) 2011-03-11

Family

ID=43938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520A KR101021266B1 (ko) 2010-10-18 2010-10-18 지형물의 위치정보 변동을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2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192B1 (ko) 2011-06-02 2011-08-22 (주)그린공간정보 측량정보에 따른 수치지도이미지 내 검출 오류의 실시간 수정 출력이 가능한 편집형 측지측량시스템
KR101058189B1 (ko) 2011-07-06 2011-08-22 (주)그린공간정보 지상기준점 측량데이터와 지피에스/아이엔에스를 연계한 측지측량 처리 보정용 제어시스템
KR101555254B1 (ko) 2014-07-07 2015-09-24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디지털 항공촬영정보의 대상물 편집을 3차원 도화이미지로 합성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2477365B1 (ko) * 2022-06-27 2022-12-14 (주)서원공간정보 디지털 항공촬영 정보의 편집을 3차원 이미지로 합성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477366B1 (ko) * 2022-06-27 2022-12-14 (주)서원공간정보 디지털 항공촬영 정보를 대상물 별로 편집하여 3차원 이미지로 합성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828A (ko) * 2004-01-13 2004-01-31 주식회사 씨스캔 수중음 송수신기를 이용한 해저 침몰체의 위치파악장치
JP2010152227A (ja) 2008-12-26 2010-07-08 Casio Computer Co Ltd 立体地図データ提供装置、立体地図データ提供プログラム、立体地図データ作成方法、及び端末装置、端末制御プログラム、端末制御方法
KR20100097586A (ko) * 2009-02-26 2010-09-03 한국과학기술원 선박 접안 시스템, 선박 접안 장치, 및 선박 접안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828A (ko) * 2004-01-13 2004-01-31 주식회사 씨스캔 수중음 송수신기를 이용한 해저 침몰체의 위치파악장치
JP2010152227A (ja) 2008-12-26 2010-07-08 Casio Computer Co Ltd 立体地図データ提供装置、立体地図データ提供プログラム、立体地図データ作成方法、及び端末装置、端末制御プログラム、端末制御方法
KR20100097586A (ko) * 2009-02-26 2010-09-03 한국과학기술원 선박 접안 시스템, 선박 접안 장치, 및 선박 접안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192B1 (ko) 2011-06-02 2011-08-22 (주)그린공간정보 측량정보에 따른 수치지도이미지 내 검출 오류의 실시간 수정 출력이 가능한 편집형 측지측량시스템
KR101058189B1 (ko) 2011-07-06 2011-08-22 (주)그린공간정보 지상기준점 측량데이터와 지피에스/아이엔에스를 연계한 측지측량 처리 보정용 제어시스템
KR101555254B1 (ko) 2014-07-07 2015-09-24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디지털 항공촬영정보의 대상물 편집을 3차원 도화이미지로 합성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2477365B1 (ko) * 2022-06-27 2022-12-14 (주)서원공간정보 디지털 항공촬영 정보의 편집을 3차원 이미지로 합성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477366B1 (ko) * 2022-06-27 2022-12-14 (주)서원공간정보 디지털 항공촬영 정보를 대상물 별로 편집하여 3차원 이미지로 합성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269B1 (ko) 디지털 항공촬영 정보의 편집을 대상물별로 진행하여 3차원 도화이미지를 합성하는 입체영상 도화시스템
KR101021266B1 (ko) 지형물의 위치정보 변동을 반영하는 공간이미지의 도화처리시스템
KR101409188B1 (ko) 디지털 항공촬영 정보의 대상물 편집을 3차원 도화이미지로 합성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1072397B1 (ko) 모니터를 이용한 선박용 증강 현실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JP2014529322A (ja) 天井移動型透明ディスプレイを用いた船舶用増強現実システム及びその具現方法
JP5441834B2 (ja) 航法データ共有システム及び航法機器
JP2011516830A (ja) 聴覚的な表示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30141221A1 (en) Apparatus
KR101525109B1 (ko) 디지털 항공촬영 정보의 대상물 편집을 3차원 도화이미지로 합성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1015904B1 (ko) 수치보정에 따른 삼차원 공간영상도화 갱신시스템
JP4266669B2 (ja) バイスタティック方位検出システム及び検出方法
JP2012122736A (ja) 水中探知装置及び水中探知システム
KR101464167B1 (ko) 디지털 항공촬영 정보의 대상물 편집을 3차원 도화이미지로 합성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WO2022085355A1 (ja) 船舶監視システム、船舶監視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202083395U (zh) 对照电子海图的雷达导航系统
KR101484519B1 (ko) 디지털 항공촬영 정보의 대상물 편집을 3차원 도화이미지로 합성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EP1901089B1 (en) Object tracker
US114757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own vehicle behavior
JP2006065831A (ja) 船舶の運航管理方法及び装置
CN108107914B (zh) 浮游移动体、跟随系统及控制方法
US7791535B2 (en) Positioning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multiple positioning devices
WO2022163307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1711959B1 (ko) 디지털 항공촬영 정보의 대상물 편집을 3차원 도화이미지로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WO2023233866A1 (ja) 船舶情報共有装置、船舶情報共有方法、及び船舶情報共有システム
WO2023233868A1 (ja) 船舶情報共有装置、船舶情報共有方法、及び船舶情報共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