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580B1 -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580B1
KR101019580B1 KR1020100066956A KR20100066956A KR101019580B1 KR 101019580 B1 KR101019580 B1 KR 101019580B1 KR 1020100066956 A KR1020100066956 A KR 1020100066956A KR 20100066956 A KR20100066956 A KR 20100066956A KR 101019580 B1 KR101019580 B1 KR 101019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
unit
switchboard
control unit
abnorm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규
김영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Priority to KR1020100066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07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 H02J13/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using modification of a parameter of the network power sign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1Methods to deal with contingencies, e.g. abnormalities, faults or fail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8Electronic means for switching from one power supply to another power supply, e.g. to avoid parallel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2Energy storage unit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e.g. in the last power distribution st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8UPS systems or standby or emergency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1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크인 배전반 내부 및 외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이상 신호 분석 작업 및 사용자 확인 작업을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워크인 배전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은 워크인 배전반의 비상전원 구동 및 비상 상황을 제어하는 배전반 관리제어부, 상기 배전반 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충전하는 태양광모듈부 및 상기 배전반 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워크인 배전부에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전력 휴식기 및 비상 정전 시, 상기 태양광모듈부의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walk in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히는 전력 휴식기 또는 비상 정전 시, 워크인 배전부에 비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워크인 배전반 내부 및 외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이상 신호 분석 작업 및 사용자 확인 작업을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워크인 배전반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차단기나 소형 발전기 등의 각종 전력장비를 수용하고, 전력장치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크게 옥내에 설치되는 배전반과 옥외에 설치되는 배전반으로 구분된다.
옥내에 설치되는 배전반은 소형의 캐비닛으로 형성되어, 캐비닛 내부에 각종 전력장치가 설치되며, 옥외에 설치되는 배전반은 침수에 의한 누전 및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더 구비하여 설치된다.
또한, 옥외에 설치되는 배전반 중에 그 규모가 큰 워크인(Walk-In) 배전반의 경우, 배전반 일측에 출입문을 형성하여, 작업자나 관리자가 직접 배전반 내부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종래 워크인 배전반은 무단 침입, 누수, 화재 등과 같이 전기 안전 사고를 유발하는 비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의 구축되지 않아, 워크인 배전반의 관리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워크인 배전반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전력 휴식기 및 비상 정전 시에 워크인 배전반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시설이 마련되지 않아 워크인 배전반 상태를 사전 점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목적은, 전력 휴식기 또는 비상 정전 시, 워크인 배전부에 비상 전력을 공급하여 운용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워크인 배전반 내부 및 외부에서 감지되는 이상신호를 외부 중앙관리서버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배전반에 출입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촬영부를 더 포함하여,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현장을 영상촬영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경보부를 더 포함하여, 이상신호 및 외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경보 및 안내메시지를 외부에 전달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워크인 배전반의 이상신호에 감지에 따라 비상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관리자에 통지하여, 워크인 배전반의 관리 효율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경보통지부를 더 포함하여, 비상상황을 관리자단말기에 실시간으로 통지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여, 워크인 배전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따른 인증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전력 휴식기에서 전력 공급기로 전환되기 전 워크인 배전부의 내부 기기들이 정상 가동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은 워크인 배전반의 비상전원 구동 및 비상 상황을 제어하는 배전반 관리제어부, 상기 배전반 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충전하는 태양광모듈부 및 상기 배전반 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워크인 배전부에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전력 휴식기 및 비상 정전 시, 상기 태양광모듈부의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은 배전반 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워크인 배전반 내부 또는 외부의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상신호를 외부에 전송하는 배전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워크인 배전부에서 전송되는 이상신호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비상상황에 따른 대응 신호를 상기 워크인 배전부에 전송하는 중앙관리통신부, 상기 중앙관리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워크인 배전부의 비상상황 판단 및 사용자 인증 작업을 제어하는 중앙관리제어부 및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워크인 배전부에서 전송되는 이상신호를 분석하여, 관리 비상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상황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은, 전력 휴식기 또는 비상 정전 시, 워크인 배전부에 비상 전력을 공급하여 운용함으로써, 전력 공급이 없는 기간 또는 비상 정전 시, 워크인 배전반의 정상적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감지부 및 배전통신부를 포함함으로써, 워크인 배전반 내부 및 외부에서 감지되는 이상신호를 외부 중앙관리서버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배전반에 출입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광모듈부 및 비상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전력 휴식기 또는 비상 정전 시, 워크인 배전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시 워크인 배전반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현장을 영상 촬영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보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이상신호 및 외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경보 및 안내메시지를 외부에 전달하여, 외부에 경각심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함으로써, 워크인 배전반의 이상신호에 감지에 따라 비상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관리자에 통지하여, 워크인 배전반의 관리 효율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보통지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비상상황을 관리자단말기에 실시간으로 통지하여, 비상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워크인 배전부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따른 인증 작업을 수행하여, 워크인 배전반 관리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 휴식기에서 전력 공급기로 전환되기 전 워크인 배전반의 내부 기기들이 정상 가동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여, 워크인 배전반의 운용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워크인 배전부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감지부의 상세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중앙관리서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의 워크인 배전부(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배전반 관리 제어부(13), 태양광 모듈부(15) 및 비상전원공급부(17)를 포함하며, 감지부(11), 사용자 정보 입력부(12), 배전통신부(14), 경보부(16), 및 촬영부(18)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전반 관리 제어부(13)는 워크인 배전반의 비상전원 구동 및 비상 상황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관리 제어부(13)는 전력 휴식기와 전력 공급기를 구분하여, 전력휴 식기에서 전력 공급기로 전환될 경우, 워크인 배전반 내부 기기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를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력 휴식기 동안 동작이 중지된 전기 기기들이 고장으로 인한 무동작 또는 오동작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전력 휴식기의 기간이 길어지고, 전력휴식기 동안의 워크인 배전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변화가 커질수록 전기 기기의 오동작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전력 공급기 이전에 워크인 배전반의 내부 기기를 사전에 점검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태양광 모듈부(15)는 상기 배전반 관리제어부(13)와 연결되어,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7)는 상기 배전반 관리제어부(13)와 연결되어, 워크인 배전부에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전력 휴식기 및 비상 정전 시, 상기 태양광모듈부의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배전반 관리 제어부(13)에서 워크인 배전부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전력 휴식기 또는 비상 정전 상황을 판단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부(15)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비상전원공급부(17)를 통해, 워크인 배전부의 조명 또는 기타 부가적인 관리시설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상전원공급부(17)는 전력 휴식기에서 전력공급기로 전환되기 전 워크인 배전반의 내부 전기 기기들에 관한 사전 점검 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지부(11)는 워크인 배전반 내부 또는 외부의 이상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배전반 관리 제어부(1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감지부(111), 누수감지부(113), 화재감지부(115) 및 침입감지부(117)를 포함하지만 워크인 배전반의 관리 목적 및 관리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접근감지부(111)는 워크인 배전반 외부에 접근하는 사람 및 물체를 감지하게 되며, 근접거리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접근감지부(111)를 설치하게 되면, 근접 거리 산출도 가능하다.
상기 누수감지부(113)는 침수로 인한 워크인 배전반의 누수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재감지부(115)는 워크인 배전반의 내부 또는 외부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침입감지부(117)는 워크인 배전반의 출입문 및 내부에 설치되며, 관리자 인증을 거치지 않은 사람이 무단으로 출입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지부(11)를 형성함으로써, 워크인 배전반 내부 및 외부에서 발생하는 이상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경우, 워크인 배전반을 원격으로 관리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12)는 워크인 배전반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배전반 관리 제어부(1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12)는 워크인 배전반의 출입을 요청하는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겠으나 사용자의 고유 정보가 포함된 태그 정보 및 바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부(11)에서 감지된 이상신호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입력부(12)에 입력된 사용자정보를 상기 배전통신부(14)를 통해 상기 중앙관리서버(20)에 전달한다.
상기 경보부(16)는 배전반 관리제어부(13)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11)에서 감지된 이상신호 및 외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경보 및 안내 메시지를 외부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11)의 상기 접근감지부(111)에서 이상신호를 감지할 경우, 상기 경보부(16)를 이용하여, 고압 수전 받는 옥외 변전실이며, 위험하오니 접근하지 말라는 메시지 등을 송출하여, 접근자에게 경각심을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은 외부 중앙관리서버(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중앙관리서버(20)는 상기 워크인 배전부로(10)부터 상기 이상신호를 수신 받아 비상상황을 판단하여, 상기 관리자단말기(30)에 통지하는 역할을 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관리통신부(21), 중앙관리제어부(22), 사용자인증부(23), 관리저장부(24), 관리상황 분석부(25), 경보 통지부(26) 및 모니터링부(27)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관리통신부(21)는 상기 워크인 배전부(10)에서 전송되는 이상신호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중앙관리제어부(22)에 전달하며, 상기 중앙관리제어부(22)로부터 전달받은 비상상황에 따른 대응 신호를 상기 워크인 배전부(1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앙관리제어부(22)는, 상기 중앙관리통신부(21)로부터 전달받은 워크인 배전부(10)의 관리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워크인 배전부(21)의 비상상황 판단 및 사용자 인증 작업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중앙관리제어부(22)는 상기 워크인 배전부(21)로부터 감지된 이상신호를 상기 관리상황분석부(25)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관리상황분석부(25)는 상기 중앙관리제어부(22)로부터 상기 워크인 배전부(10))에서 전송되는 이상신호를 분석하여, 관리 비상상황 여부를 판단하며, 비상상황 판단 결과를 상기 중앙관리제어부(2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워크인 배전부(10)의 이상신호에 따라 감지 신호 종류에 따라 비상상황을 판단하며, 감지 신호의 간격 및 감지 강도에 따라 비상상황의 긴급 정도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관리제어부(22)는 상기 워크인 배전부(21)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증부(23)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인증부(23)는 상기 워크인 배전부에서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증 작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사용자 인증 작업의 결과는 상기 중앙관리제어부(22)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인증부(23)는 상기 관리저장부(24)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 인증 작업을 하게 되며, 상기 관리저장부(24)는 워크인 배전반의 관리 상황 및 워크인 배전반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경보 통지부(26)는 상기 중앙관리제어부(22)와 연결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워크인 배전부(10)의 비상 상황을 메시지로 작성하여, 관리자단말기(3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니터링부(27)는 상기 중앙관리제어부(22)와 연결되어, 상기 워크인 배전부(10)의 촬영부(18)에서 촬영한 이상신호가 감지된 현장 영상을 도시하여,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을 적용하면, 전력 휴식기 또는 비상 정전 시, 워크인 배전부에 비상 전력을 공급하여 운용함으로써, 전력 공급이 없는 기간 또는 비상 정전 시, 워크인 배전반의 정상적 관리가 가능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더불어, 워크인 배전반의 이상신호에 감지에 따라 비상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관리자에 통지하여, 비상상황에 따른 신속한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배전반에 출입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 인증 작업 수행하여, 워크인 배전반의 관리의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다.
10 : 워크인 배전부 11 : 감지부
12 : 사용자정보 입력부 13 : 배전반 관리 제어부
14 : 배전통신부 15 : 태양광모듈부
16 : 경보부 17 : 비상전원공급부
18 : 촬영부 20 : 중앙관리서버
21 : 중앙관리통신부 22 : 중앙관리 제어부
23 : 사용자 인증부 24 : 관리저장부
25 : 관리상황분석부 26 : 경보통지부
27 : 모니터링부 30 : 관리자단말기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워크인 배전반의 비상전원 구동하고, 비상 상황을 제어하며, 전력 휴식기와 전력 공급기를 구분하여, 전력휴식기에서 전력 공급기로 전환될 경우, 워크인 배전반 내부 기기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배전반 관리제어부;
    상기 배전반 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충전하는 태양광모듈부;
    상기 배전반 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워크인 배전부에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전력 휴식기 및 비상 정전 시, 상기 태양광모듈부의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전원공급부;
    상기 배전반 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워크인 배전반 내부 또는 외부의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배전반 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상신호를 외부에 전송하는 배전통신부;
    상기 배전반 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배전반의 접근 감지 시, 사용자의 고유 정보가 포함된 태그 정보 또는 바코드 정보로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
    상기 배전반 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이상신호가 감지된 워크인 배전반 내부 또는 외부 현장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배전반 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이상신호 및 외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경보 및 안내 메시지를 외부로 송출하는 경보부 및
    상기 배전통신부로부터 상기 이상신호를 수신 받아 비상상황을 판단하여, 관리자단말기에 통지하는 중앙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워크인 배전부에서 전송되는 이상신호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비상상황에 따른 대응 신호를 상기 워크인 배전부에 전송하는 중앙관리통신부;
    상기 중앙관리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워크인 배전부의 비상상황 판단 및 사용자 인증 작업을 제어하는 중앙관리제어부;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워크인 배전부의 비상 상황을 메시지로 작성하여,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경보통지부;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워크인 배전부에서 전송되는 이상신호를 분석하여, 관리 비상상황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상황 분석부;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워크인 배전부에서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증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및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워크인 배전부의 이상신호가 감지된 현장을 촬영한 영상을 도시하여, 감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워크인 배전반 외부에 접근하는 사람 및 물체를 감지하며, 근접거리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 시, 근접 거리를 산출하는 접근감지부;
    침수로 인한 워크인 배전반의 누수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
    워크인 배전반의 내부 또는 외부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 및
    워크인 배전반의 출입문 및 내부에 설치되며, 관리자 인증을 거치지 않은 사람이 무단으로 출입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침입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066956A 2010-07-12 2010-07-12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 KR101019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956A KR101019580B1 (ko) 2010-07-12 2010-07-12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956A KR101019580B1 (ko) 2010-07-12 2010-07-12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9580B1 true KR101019580B1 (ko) 2011-03-08

Family

ID=4393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956A KR101019580B1 (ko) 2010-07-12 2010-07-12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456B1 (ko) * 2014-12-01 2015-07-23 태광전기공업 주식회사 배전반 자동 확산 소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286A (ko) * 2003-02-17 2003-05-09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원격 전력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789777B1 (ko) * 2006-02-28 2008-01-02 (주)태성계전 태양광발전 수배전반
KR100845337B1 (ko) * 2007-12-17 2008-07-10 허점수 디지털영상센서와 무선전류센서를 이용한 원격수배전반감전사고 방지시스템
KR20080110115A (ko) * 2007-06-14 2008-12-1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태양 전지를 이용하는 발전기 탑재형 수배 전반 및 그 발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286A (ko) * 2003-02-17 2003-05-09 성보전기공업 주식회사 원격 전력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789777B1 (ko) * 2006-02-28 2008-01-02 (주)태성계전 태양광발전 수배전반
KR20080110115A (ko) * 2007-06-14 2008-12-1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태양 전지를 이용하는 발전기 탑재형 수배 전반 및 그 발전방법
KR100845337B1 (ko) * 2007-12-17 2008-07-10 허점수 디지털영상센서와 무선전류센서를 이용한 원격수배전반감전사고 방지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456B1 (ko) * 2014-12-01 2015-07-23 태광전기공업 주식회사 배전반 자동 확산 소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101995U (zh) 机房综合环境监控预警系统
CN206451034U (zh) 一种机房环境监测管理系统
KR101106724B1 (ko) 보조 배터리와 블랙박스를 구비한 스마트 분전반
CN105785895A (zh) 一种变电站智能监控系统
CN102723782A (zh) 基于硬件叠加技术的变电站综合信息处理平台
CN104483909A (zh) 一种楼宇通讯机柜自控装置
CN207395796U (zh) 一种基于窄带物联网的基站动力环境监控管理系统
WO2014142486A1 (ko) 태양전지모듈용 정션박스 및 그의 구동방법
CN106331086A (zh) 基于云平台的数据中心自动基础设施管理系统
KR102006201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
CN106223775B (zh) 一种跨越消防分区方法、装置及系统
CN104362737A (zh) 智能综合在线监控系统
RU70733U1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и управления "сос-95"
CN105321125A (zh) 无人值守变电站监管系统
CN214202124U (zh) 配电房智能监视屏柜
KR101019580B1 (ko) 워크인 배전반 관리 시스템
CN204407714U (zh) 一种具有监测功能的开关柜
CN204331960U (zh) 变电站隐蔽区域预警系统
CN203691059U (zh) 一种箱式变电站智能监测仪
CN204203738U (zh) 一种楼宇通讯机柜自控装置
CN110843564A (zh) 一种电动车智能充换电系统
CN202649804U (zh) 通讯基站集中控制系统
CN105223891A (zh) 一种应用于数据中心机房的智能机柜
KR20230119065A (ko) 배전반 관리 시스템
CN215340347U (zh) 核辐射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