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172B1 -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172B1
KR101019172B1 KR1020080049854A KR20080049854A KR101019172B1 KR 101019172 B1 KR101019172 B1 KR 101019172B1 KR 1020080049854 A KR1020080049854 A KR 1020080049854A KR 20080049854 A KR20080049854 A KR 20080049854A KR 101019172 B1 KR101019172 B1 KR 101019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dm
blast
data
guard interval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671A (ko
Inventor
김진영
김광윤
김윤현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4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17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49Demodulators
    • H04L27/265Fourier transform demodulators, e.g. fast Fourier transform [FFT] or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4Joint weighting using error minimizing algorithms, e.g. 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cross-correlation" or matrix i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7Joint weighting using maximum ratio combining techniques, e.g. signal-to- interference ratio [SIR], received signal strenght indication [R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56Cyclotomic systems, e.g. Bell Labs Layered Space-Time [BL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6Assessment of spectral gaps suitable for allocating digitally modulated signals, e.g. for carrier allocation in cognitive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28Inverse Fourier transform modulators, e.g.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BLAST OFDM(O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직렬로 구성된 입력데이터를 특정 수의 병렬데이터로 변환하는 직/병렬 변환모듈과, 상기 직/병렬 변환모듈로부터 변환된 병렬데이터가 상호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각 부반송파를 곱하여 OFDM 신호로 변조한 후 전송하는 복수의 OFDM 변조모듈과, 각 OFDM 변조모듈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복수의 지연값을 통해 각각 순환적으로 지연시켜 복수의 지연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순환적 지연모듈과, 심벌 및 채널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순환적 지연모듈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지연 신호에 대해 각각 보호구간(Guard Interval, GI)을 삽입하여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생성하는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모듈과, 상기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모듈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채널에 각각 전송하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모듈을 포함함으로써, 다이버시티 이득(diversity gain)의 획득으로 비트 오류 확률(Bit Error Rate, BER)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차등변조 방식의 사용으로 수신단의 복잡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Figure R1020080049854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V-BLAST, FFT, 순환적 지연, 보호구간

Description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RECEIVING IN AN V-BLAST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SYSTEM}
본 발명은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층(layer)별로 송신 안테나의 개수를 증가시키고 안테나별로 순환적으로 지연(cyclic delay)된 심벌(symbol)을 전송하여 다이버시티 이득(diversity gain)을 얻는 CDD(Cyclic Delay Diversity)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비트 오류 확률(Bit Error Rate, BER)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차등변도 방식의 사용으로 수신단의 복잡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한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보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정보 통신기술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기존 음성 서비스를 포함한 영상정보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구 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고속 데이터 전송기술로 최근 가장 받고 있는 기술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 Input Multi Output, MIMO) OFDM,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기술 등이다.
여기서, 통상의 OFDM 방식은 데이터열을 저속의 전송률을 갖는 다수의 데이터열로 나누고, 다수의 부반송파들(Sub-Carriers)을 사용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변조 방식이다.
즉, 상기 OFDM 방식은 주어진 주파수 대역에서 상호 직교성을 갖는 다수의 부반송파들을 사용하여 다중경로를 갖는 채널 환경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방식으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및 고속 푸리에 역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을 이용하여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OFDM 방식은 시간축에서 고속 데이터열을 저속의 데이터열로 나누어 줌으로 지연 확산(delay spread)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다중채널 페이딩(fading) 환경에 강하고, 직교성을 가지는 부반송파를 사용해 높은 스펙트럼 효율을 보인다.
따라서, 상기 OFDM 방식은 주파수 대역의 활용도(bandwidth-efficiency)가 높고 다중경로 페이딩(multipath fading)에 강하기 때문에, 4세대 이동통신 시스 템(4G),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V),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등에서 다양하게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OFDM 방식은 송신 신호의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 비(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제한된 크기를 가지는 신호들이 IFFT 됨에 따라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는 높은 최대치를 가지는 신호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OFDM 방식에 따른 송신 신호가 고전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A)와 같은 비선형 소자(nonlinear device)를 통과하는 경우 높은 PAPR로 인해서 신호가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송신을 위해 입력되는 신호들이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경우에 PAPR이 매우 높게 나타난다.
한편, MIMO 방식중 하나인 V-BLAST(Vertical-Bell Labs Layered Space Time) 방식은 각 안테나들이 동일 전력 동일 변조 방식을 갖는 시스템에서 SIC(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NR)를 이용하여 큰 신호 대 간섭 펄스 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를 가지는 채널을 우선적으로 검출하여 제거함으로써 성능을 높이고자 하는 간섭 제거 방식이다{참조문헌; P.W. Wolniansky, G.J. Foschini, G.D.Golden and R.A.Valenzuela, "V-BLAST: an architecture for achieving very high data rates over the rich-scattering wireless channel", Proc. Int.Symp.Signals, Systems, Electronics, pp.295-300, Oct.1998}.
하지만, 기존의 V-BLAST 방식은 리치 스케터링(Rich scattering) 환경에서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주파수 대역폭의 증가 없이 송신 안테나별로 다른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여 채널 용량(capacity)이 송신 안테나의 개수와 비례하여 증가하지만 복잡도가 증가하게 되고, 멀티패스의 존재로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에 비해 수신단에서 채널 환경을 획득하기 위해 복잡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V-BLAST와 OFDM 방식을 결합한 방식은 두 방식의 장점인 높은 채널 용량(capacity)과 고속 데이터 전송으로 이동통신 환경에서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기존의 V-BLAST OFDM 시스템은 송ㆍ수신단에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채널 용량(capacity)을 가지고, 다수의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OFDM 방식의 사용으로 주파수 선택적 채널을 플랫 페이딩(flat fading) 채널로 변화시켜줌으로써 높은 데이터률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다수의 안테나 시스템에서는 채널의 상태를 수신단에서 획득하기가 어렵고, 기존의 V-BLAST OFDM 시스템의 비트 오류 확률(BER) 성능이 낮아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간단한 채널 환경 추정 기법과 비트 오류 확률(BER) 성능 개선 기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계층(layer)별로 송신안테나의 개수를 증가시키고 안테나별로 순환적으로 지연(cyclic delay)된 심벌(symbol)을 전송하여 다이버시티 이득(diversity gain)을 얻는 CDD(Cyclic Delay Diversity)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비트 오류 확률(Bit Error Rate, BER)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차등변조 방식의 사용으로 수신단의 복잡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한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직렬로 구성된 입력데이터를 특정 수의 병렬데이터로 변환하는 직/병렬 변환모듈; 상기 직/병렬 변환모듈로부터 변환된 병렬데이터가 상호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각 부반송파를 곱하여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로 변조한 후 전송하는 복수의 OFDM 변조모듈; 각 OFDM 변조모듈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복수의 지연값을 통해 각각 순환적으로 지연시켜 복수의 지연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순환적 지연모듈; 심벌 및 채널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순환적 지연모듈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지연 신호에 대해 각각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삽입하여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생성하는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모듈; 및 상기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모듈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채널에 각각 전송하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모듈을 포함하는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직/병렬 변환모듈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차등변조(differential modulation) 방식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차등변조모듈이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순환적 지연모듈은, 동일한 심벌을 지연 파라미터(delay parameter)만큼 순환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각 계층(layer)별로 하나씩 구비되며, 채널을 통해 전송된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보호구간을 각각 제거하는 복수의 보호구간 제거모듈; 상기 보호구간 제거모듈로부터 제거된 심벌을 제공받아 고속 푸리에 변환(FFT)하고, OFDM 방식의 복조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OFDM 복조모듈; 및 상기 복수의 OFDM 복조모듈로부터 전송된 심벌들을 제공받아 널링 벡터(nulling vector)를 이용한 V-BLAST(Vertical-Bell Labs Layered Space Time) 신호처리를 통해 송신단에서 전송한 데이터 신호를 복원하는 V-BLAST 신호처리모듈을 포함하는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V-BLAST 신호처리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차등복조 방식으로 전송된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차등복조모듈이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V-BLAST 신호처리는 제로포싱(Zero Forcing, ZF), 최소 평균 제곱 오차(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또는 최대우도(Maximum Likelihood, ML)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a) 직렬로 구성된 입력데이터를 특정 수의 병렬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변환된 병렬데이터가 상호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각 부반송파를 곱하여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로 변조한 후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전송된 신호를 복수의 지연값을 통해 각각 순환적으로 지연시켜 복수의 지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d) 심벌 및 채널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계(c)에서 생성된 복수의 지연 신호에 대해 각각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삽입하여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d)에서 생성된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채널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 이전에, 전송할 데이터를 차등변조 방식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a') 채널을 통해 전송된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수신된 보호구간을 각각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제거된 심벌을 고속 푸리에 변환(FFT)하고, OFDM 방식 의 복조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에서 전송된 심벌들을 널링 벡터(nulling vector)를 이용한 V-BLAST(Vertical-Bell Labs Layered Space Time) 신호처리 방식으로 상기 채널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 신호를 복원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d') 이후에, 차등복조 방식으로 전송된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V-BLAST 신호처리 방식은 제로포싱(Zero Forcing, ZF), 최소 평균 제곱 오차(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또는 최대우도(Maximum Likelihood, ML)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계층(layer)별로 송신안테나의 개수를 증가시키고 안테나별로 순환적으로 지연(cyclic delay)된 심벌(symbol)을 전송하여 다이버시티 이득(diversity gain)을 얻는 CDD(Cyclic Delay Diversity)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비트 오류 확률(Bit Error Rate, BER)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차등변조 방식의 사용으로 수신단의 복잡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장치(100)는, 크게 직/병렬 변환모듈(110), 복수의 OFDM 변조모듈(120), 순환적 지연모듈(130), 보호구간 삽입모듈(140) 및 송신 안테나모듈(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직/병렬(Serial to Parallel) 변환모듈(110)은 직렬로 구성된 입력데이터를 특정 수의 병렬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직/병렬 변환모듈(110)은 직렬적인 정보 심벌의 블록을 병렬적인 반송파별로 변환한다.
이때,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symbol)은 싱글-캐리어(single-carrier) 시스템보다 시간 듀레이션(time duration)을 길게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OFDM 변조모듈(120)은 직/병렬 변환모듈(110)로부터 변환된 병렬데이터가 상호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각 부반송파(Sub-Carriers)를 곱하여 OFDM 신호로 변조한 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각 OFDM 변조모듈(120)은 입력된 신호를 고속 푸리에 역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직교성을 가지는 서로 다른 부반송파에 싣고, 정보가 실린 상기 부반송파를 다시 시간영역으로 매핑(mapping)하여 출력한다.
상기 복수의 순환적 지연모듈(130)은 각 OFDM 변조모듈(12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복수의 지연값을 통해 각각 순환적으로 지연시켜 복수의 지연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순환적 지연모듈(130)에는 각 계층(layer)별로 안테나 개수만큼 구비되며, OFDM 변조모듈(1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복수의 지연값을 통해 각각 순환적으로 지연시켜 복수의 지연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지연기(135)를 포함한다.
또한, 각 순환적 지연모듈(130)은 각 계층(layer)별로 안테나에 동일한 심벌을 지연 파라미터(delay parameter)만큼 순환적으로 지연시킴이 바람직하다.
보호구간 삽입모듈(140)은 심벌 및 채널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순환적 지연모듈(130)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지연 신호에 대해 각각 보호구간(Guard Interval, GI)을 삽입하여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호구간 삽입모듈(140)은 각 계층(layer)별로 안테나 개수만큼 구비되며, 각 순환적 지연모듈(130)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지연 신호에 대해 각각 보호구간(GI)을 삽입하여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생성하는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기(GI, 145)를 포함한다.
그리고, 송신 안테나모듈(150)은 각 보호구간 삽입모듈(140)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채널에 각각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직/병렬 변환모듈(11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수신단에 연달아 수신되는 신호의 차이로 채널 상태를 추정하는 차등변조(differential modulation) 방식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차등변조모듈(105)이 더 포함됨으로써, 수신단의 복잡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수신장치(200)는, 크게 복수의 수신 안테나(210), 보호구간 제거모듈(220), OFDM 복조모듈(230) 및 V-BLAST 신호처리모듈(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210)는 전술한 각 송신 안테나모듈(150)과 대응되며, 각 계층(layer)별로 하나씩 구비되어 채널을 통해 전송된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복수의 보호구간 제거모듈(220)은 각 수신 안테나(210)로부터 수신된 보호구간(Guard Interval, GI)을 각각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복수의 OFDM 복조모듈(230)은 각 보호구간 제거모듈(220)로부터 제거된 심벌을 제공받아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하고, OFDM 방식의 복조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V-BLAST 신호처리모듈(240)은 각 OFDM 복조모듈(230)로부터 전송된 심벌들을 제공받아 널링 벡터(nulling vector)를 이용한 V-BLAST(Vertical-Bell Labs Layered Space Time) 신호처리를 통해 송신단에서 전송한 원래의 데이터 신호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V-BLAST 신호처리는 통상적으로 여러 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하나씩 차례대로 복원하고, 이미 복원된 심벌은 다른 신호들에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제거하고, 채널에서도 역시 그 송신 안테나에 해당하는 채널 영향을 널링(nulling)시킨 후에 다음 심벌을 복원하는 방식으로 검파하는 처리방법이다.
이러한 V-BLAST 신호처리는 예컨대, 제로포싱(Zero Forcing, ZF), 최소 평균 제곱 오차(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또는 최대우도(Maximum Likelihood, ML)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V-BLAST 신호처리모듈(24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술한 차등변조의 역방식인 차등복조 방식으로 V-BLAST 신호처리모듈(24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차등복조모듈(2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송/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송신단을 살펴보면, 송신장치(100)의 직/병렬 변환모듈(110)에서 전송 데이터를 L개의 계층(layer)
Figure 112008038330335-pat00001
로 분리시킨 다음, 각 계층(layer)별 로 OFDM 변조모듈(120)을 거치게 된다.
이때, 각 OFDM 변조모듈(120)에서는 고속 푸리에 역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을 사용해서 주파수축의 Xk를 시간축의 xn으로 변화시키고 이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38330335-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08038330335-pat00003
은 l번째 계층(layer)의 n번째 시간축 심벌이고, Ns는 부반송파의 개수이다.
이러한 OFDM 변조모듈(120)은 시간축에서 고속 데이터열을 저속의 전송률을 갖는 데이터열로 분배하여 다수의 부반송파에 실어 동시에 전송함으로 지연 확산(delay spread)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다중경로 페이딩(multipath fading) 환경에 강해 고속 전송의 문제점인 심벌 간 간섭을 해결하는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그리고, 다수의 부반송파는 직교성을 가지고 있도록 설정하여 높은 스펙트럼 효율을 가지게 되고, 부반송파별로 다수의 등화기를 대신하여 송신단에서는 고속 푸리에 역변환(IFFT), 수신단에서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 방식을 사용해 간단한 구조로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후에, 순환적 지연모듈(130)을 통해 각 계층(layer)별로 안테나 개수만큼 x(l)을 지연(delay)한 신호를 생성하고 동시에 송신을 하게 된다. 보호대역 즉, 보호구간(Guard Interval, GI)을 초과하지 않기 위해 각 전송 신호의 지연(delay)은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순환(cyclic)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Figure 112008038330335-pat00004
여기서, S는 계층(layer)별 안테나의 개수이고, δs는 각 안테나의 순환적인 지연(cyclic delay)이고,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38330335-pat00005
여기서, M은 변조 인덱스(index)이다.
다음으로, 송신단의 끝에 위치한 보호구간 삽입모듈(140)에서는 심벌 간 간섭을 피하고, 부반송파의 직교성을 유지하기 위해 보호구간(GI)을 추가하게 된다.
만약, 계층(layer)의 개수와 계층(layer)별 안테나의 개수가 2이고, 부반송파가 128개이며, 보호구간의 길이가 Ns/8일 때, 전송 심벌은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38330335-pat00006
한편, 수신단을 살펴보면, 수신장치(200)의 수신 안테나(210)를 통해 채널 임펄스 응답(channel impulse response)은 하기의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38330335-pat00007
여기서, D는 l번째 계층(layer)의 s번째 송신 안테나 Nls에서 r번째 수신 안테나 Nr의 채널 메모리이다. 채널 탭(tap)은 하기의 수학식 6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8038330335-pat00008
여기서, δs는 시간축에서 순환적인 지연(cyclic delay)을 나타내지만, 고속 푸리에 변환(FFT) 연산이후에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의 순환적인(cyclic) 특성에 의해 주파수축에서 d번째 부반송파에 exp(-j2πdδs/Ns)를 곱하는 연산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CDD(Cyclic Delay Diversity)가 공간 다이버시티(Diversity)에서 주파수 다이버시티(Diversity)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고, 좋은 성능의 부반송파가 나쁜 성능의 부반송파에 영향을 주어 시스템의 신뢰도를 개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수학식 4 및 수학식 5에 의해 Nr번째 수신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는 하기의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38330335-pat00009
여기서,
Figure 112008038330335-pat00010
은 수신단의 r번째 안테나의 AWGN이다.
다음으로, 보호구간 제거모듈(220)을 통해 보호구간(GI)을 제거한 후, OFDM 복조모듈(230)을 거친 신호는 하기의 수학식 8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8038330335-pat00011
여기서,
Figure 112008038330335-pat00012
이고,
Figure 112008038330335-pat00013
이다.
이후에, 수신단의 각 심벌은 V-BLAST 신호처리모듈(240)을 통하여 아래와 같은 V-BLAST 신호처리 과정에 의해 송신 신호를 알게 된다.
먼저, 첫 번째 단계로 하기의 수학식 9 및 수학식 10과 같이, 널링 벡터(nulling vector)를 이용하여 추정 확률(decision statistic)을 획득한다.
Figure 112008038330335-pat00014
여기서,
Figure 112008038330335-pat00015
은 k번째 수신 심벌 벡터이다.
Figure 112008038330335-pat00016
여기서, (H)j는 H의 j번째 열이고, Δij는 Kronecker delta를 나타낸다.
다음 두 번째 단계로 하기의 수학식 11과 같이,
Figure 112008038330335-pat00017
을 슬라이싱(Slicing)하 여 검출 심벌을 획득한다.
Figure 112008038330335-pat00018
여기서, Q(ㆍ)는 slicing(quantization) 동작을 의미한다.
이후에 세 번째 단계로 하기의 수학식 12와 같이,
Figure 112008038330335-pat00019
을 가정하고,
Figure 112008038330335-pat00020
수신 벡터에서
Figure 112008038330335-pat00021
을 빼준다.
Figure 112008038330335-pat00022
여기서,
Figure 112008038330335-pat00023
는 수정된 수신 심벌 벡터이다.
마지막으로, 벡터 ak의 모든 심벌을 추정하기 위해 상기의 첫 번째 단계부터 세 번째 단계를 반복한다.
한편, MIMO 채널에서는 채널의 특성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단의 복잡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용된 차등변조 방식은 송신단의 맨 앞에 차등복조는 수신단의 맨 뒤에 위치하면, 시스템의 비트 오류 확률(BER) 성능이 나빠지는 단점을 가지고는 있지만, 채널 추정을 간단히 수행하여 수신단의 복잡도가 감소한다. 수신단의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차등변복조 기법으로 많은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차등변조 기법은 하기의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xn이 들어가서 cn이 나온다. cn의 1번째 비트(bit)는 임의로 설정되고, xn과 cn-1의 AND연산을 통해 cn값이 결정된다. 그리고, 차등복조 기법은 차등변조 기법의 역과정을 통해 결정된다.
Figure 112008038330335-pat00024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순환적으로 지연(Cyclic delay)시키는 방법 및 복원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순환적인 지연(cyclic delay)은 송신단에서 계층(layer)별 안테나의 개수만큼 상기의 수학식 3에 의해 δ값을 구한 후, 안테나별로 순환적인 지연(cyclic delay)을 해준다.
이때, 그냥 지연(delay)을 해주면 보호구간(GI)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하게 된다. 그래서, 순환적인 지연(cyclic delay) 방식을 사용해 보호구간(GI)을 초과하지 않도록 지연(delay)을 설정해준다.
한편, 수신단의 복원과정은 δ값이 시간축에서는 지연(delay) 역할을 하지만, 고속 푸리에 변환(FFT) 후의 주파수축에서는 exp(-j2πdδs/Ns)를 곱한 형식이다. 따라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Diversity gain)을 얻게되어 비트 오류 확률(BER) 특성이 개선된다. 기존의 V-BLAST OFDM 시스템의 복원과정과 동일하고 CDD(Cyclic Delay Diversity)가 적용되어도 수신단의 과정이 변경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호구간(GI) 삽입 방법 및 제거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OFDM 과정 중 맨 뒤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인데 도1에서는 고속 푸리에 역변환(IFFT) 후에 CDD(Cyclic Delay Diversity)를 먼저 해주고 마지막으로 보호구간(GI)을 삽입해 주게 된다.
보호구간(GI)은 ISI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으로 채널에서의 지연(delay) 때문에 심벌사이에 감쇄(distortion)가 발생하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심벌의 주기적인 특성을 사용해 1/8*Ns(시스템에 따라 1/6, 1/4 변동됨)만큼의 비트를 심벌의 앞에 추가해주어 ISI를 극복하게 된다. 따라서, Ns가 128이면 보호구간(GI)을 삽입한 후에는 144bit로 구성된 심벌이 된다. 한편, 보호구간(GI)의 제거는 심벌 앞에 추가된 1/8*Ns를 제거해준다.
도 2는 기존의 V-BLAST OFDM 방식과 본 발명의 CDD를 이용한 V-BLAST OFDM 방식의 BER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로서, 송신단에 계층(layer)별 1, 2, 3개의 안테나를 사용해 순환적인 지연(cyclic delay)(첫 번째 안테나별 : 0, 두 번째 안테나 : 부반송파의 1/2, 세 번째 안테나 : 부반송파의 1/4)된 심벌을 전송하여 비트 오류 확률(BER) 성능이 개선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CDD를 이용한 V-BLAST OFDM 방식에 복잡도가 낮은 채널 추정을 위해 차등변조 기법을 사용 시 BER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와 도 3을 비교하면 차등변조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차등변조 기법의 특성상 비트 오류 확률(BER)이 대략적으로 3dB 손실(loss)이 발생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CDD를 이용한 V-BLAST OFDM 방식의 수신단의 신호처리를 ZF, MMSE, ML의 세 가지 방식에 대해 시뮬레이션 할 때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기존 V-BLAST 방식에서도 ML(Maximum Likelihood), MMSE(Minimum Mean Squared Error), ZF(Zero Forcing) 방식 순으로 비트 오류 확률(BER) 성능이 좋듯이, 본 발명의 제안된 방식에서도 ML(Maximum Likelihood)을 신호처리(signal processing)로 사용했을 때 가장 좋은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기존의 V-BLAST OFDM 방식과 본 발명의 CDD를 이용한 V-BLAST OFDM 방식의 BER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CDD를 이용한 V-BLAST OFDM 방식에 복잡도가 낮은 채널 추정을 위해 차등변조 기법을 사용 시 BER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CDD를 이용한 V-BLAST OFDM 방식의 수신단의 신호처리를 ZF, MMSE, ML의 세 가지 방식에 대해 시뮬레이션 할 때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1)

  1. 직렬로 구성된 입력데이터를 OFDM 변조모듈의 수 만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는 직/병렬 변환모듈;
    상기 직/병렬 변환모듈로부터 변환된 병렬데이터가 상호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각 부반송파를 곱하여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로 변조한 후 전송하는 복수의 OFDM 변조모듈;
    각 OFDM 변조모듈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복수의 지연값을 통해 각각 순환적으로 지연시켜 복수의 지연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순환적 지연모듈;
    심벌 및 채널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순환적 지연모듈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지연 신호에 대해 각각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삽입하여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생성하는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모듈; 및
    상기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모듈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채널에 각각 전송하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모듈을 포함하는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신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병렬 변환모듈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차등변조(differential modulation) 방식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차등변조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신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순환적 지연모듈은, 동일한 심벌을 지연 파라미터(delay parameter)만큼 순환적으로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신장치.
  4. 각 계층(layer)별로 하나씩 구비되며, 채널을 통해 전송된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보호구간을 각각 제거하는 복수의 보호구간 제거모듈;
    상기 보호구간 제거모듈로부터 제거된 심벌을 제공받아 고속 푸리에 변환(FFT)하고, OFDM 방식의 복조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OFDM 복조모듈; 및
    상기 복수의 OFDM 복조모듈로부터 전송된 심벌들을 제공받아 널링 벡터(nulling vector)를 이용한 V-BLAST(Vertical-Bell Labs Layered Space Time) 신호처리를 통해 송신단에서 전송한 데이터 신호를 복원하는 V-BLAST 신호처리모듈을 포함하는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V-BLAST 신호처리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차등복조 방식으로 전송된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차등복조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V-BLAST 신호처리는 제로포싱(Zero Forcing, ZF), 최소 평균 제곱 오차(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또는 최대우도(Maximum Likelihood, ML)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장치.
  7. (a) 직렬로 구성된 입력데이터를 특정 수의 병렬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변환된 병렬데이터가 상호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각 부반송파를 곱하여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로 변조한 후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전송된 신호를 복수의 지연값을 통해 각각 순환적으로 지연시켜 복수의 지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d) 심벌 및 채널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계(c)에서 생성된 복수의 지연 신호에 대해 각각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삽입하여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d)에서 생성된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채널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신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전에, 전송할 데이터를 차등변조 방식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신방법.
  9. (a') 채널을 통해 전송된 복수의 보호구간 삽입 심벌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수신된 보호구간을 각각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제거된 심벌을 고속 푸리에 변환(FFT)하고, OFDM 방식의 복조를 수행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에서 전송된 심벌들을 널링 벡터(nulling vector)를 이용 한 V-BLAST(Vertical-Bell Labs Layered Space Time) 신호처리 방식으로 상기 채널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 신호를 복원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 이후에, 차등복조 방식으로 전송된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V-BLAST 신호처리 방식은 제로포싱(Zero Forcing, ZF), 최소 평균 제곱 오차(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또는 최대우도(Maximum Likelihood, ML)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방법.
KR1020080049854A 2008-05-28 2008-05-28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1019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854A KR101019172B1 (ko) 2008-05-28 2008-05-28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854A KR101019172B1 (ko) 2008-05-28 2008-05-28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671A KR20090123671A (ko) 2009-12-02
KR101019172B1 true KR101019172B1 (ko) 2011-03-03

Family

ID=4168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854A KR101019172B1 (ko) 2008-05-28 2008-05-28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1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765A (ko) * 2004-10-13 200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다중분할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록 부호화기법과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 기법을 사용하는 기지국송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765A (ko) * 2004-10-13 200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다중분할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록 부호화기법과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 기법을 사용하는 기지국송신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A simplified bit allocation for V-BLAST based OFDM MIMO systems in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s",ICC2002 IEEE,(2002.05.)*
논문,"V-BLAST OFDM 시스템을 위한 그룹화된 부채널 기반의 간단한 형태의 비트 할당 기법"(2006.07.)
논문,A new differential modulation for coded OFDM with multiple transmit antennas,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Vol.13(2006.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671A (ko)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1553B2 (en) MIMO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KR101009774B1 (ko) 다중입출력 시스템에서 공간 변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RU2359419C2 (ru) Временная фильтрация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избыточной задержки в системах с ofdm
KR100498953B1 (ko) 불충분한 주기적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다중화 시스템을 위한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7082159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880993B1 (ko) 직교주파수 분할다중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추정방법 및 장치
US7492830B2 (en) Signal receiving method in MIMO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20060215541A1 (en) Transceiv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space-frequency block-coded single-carrier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Ganesh et al. Channel estimation analysis in MIMO-OFDM wireless systems
Bolcskei et al. A subspace-based approach to blind channel identification in pulse shaping OFDM/OQAM systems
US200700980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60078063A1 (en) Block modulation
WO2010050384A1 (ja) マルチユーザmimo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送信装置
EP16296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coding a multicarrier signal
KR20090061564A (ko)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의 채널 추정을 위한 송신기와 수신기 및 이에 적용되는 통신 방법
KR101019172B1 (ko) V-blast ofdm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Sahu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LS and MMSE channel estimation techniques for MIMO-OFDM system
JP4480847B2 (ja) マルチユーザ伝送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Ribeiro et al. An OFDM Symbol Design for Reduced Complexity MMSE Channel Estimation.
Babulkar A Comprehensive Review on Channel Estimation Techniques in MIMO-OFDM
Abd El-Hamid et al. FFT/DWT/DCT OFDM channel estimation using EM algorithm in the presence of chaotic interleaving
KR101225649B1 (ko) 다중 안테나 통신시스템의 채널추정 장치 및 방법
KR20080112578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전송 방식의 주파수 효율 증가 장치및 방법
GB2429612A (en) A method for transmitting MC-CDMA signal with a variable spreading factor
P VANSDADIYA et al. DETECTION OF SC-SFBC SIGNALS SENT ABOVE A FREQUENCY-SELECTIVE WIRELES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