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133B1 -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 Google Patents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133B1
KR101017133B1 KR1020100083716A KR20100083716A KR101017133B1 KR 101017133 B1 KR101017133 B1 KR 101017133B1 KR 1020100083716 A KR1020100083716 A KR 1020100083716A KR 20100083716 A KR20100083716 A KR 20100083716A KR 101017133 B1 KR101017133 B1 KR 101017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motor
handrail frame
power
build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83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60Solar heat collectors integrated in fixed constructions, e.g. in buildings
    • F24S20/62Solar heat collectors integrated in fixed constructions, e.g. in buildings in the form of fences, balustrades or hand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20/10Solar modules layout; Modular arrangements
    • F24S2020/18Solar modules layout; Modular arrangement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prismatic, pyramidal
    • F24S2020/183Solar modules layout; Modular arrangement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prismatic, pyramidal in the form of lou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와 같은 비상시 자동으로 동작하여 거주자의 대피로를 제공하는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각틀체 내에 다수개의 타공판이 소정각도 경사지게 고정된 난간프레임; 상기 난간프레임의 단부를 아래층의 개구부 측에 위치되게 상기 난간프레임을 힌지회전시킬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의 인접한 일측 벽체에 설치공간을 갖는 제1 함체가 설치되며, 상기 설치공간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1 구동모터와 이와 축결합된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인접한 일측에 이와 치합을 이루는 피동기어부를 갖는 연결구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의 단부에 서로 대향을 이루고 있는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플레이트의 단부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2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2 구동모터와 축결합되어 제2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힌지회전하는 결속구가 설치되고, 상기 결속구의 상부에는 상기 난간프레임의 하단이 삽입된 상태로 볼트체결을 이루는 수용홈이 마련된 각도변환장치; 상기 각도변환장치에 의해 힌지회전하는 난간프레임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의 인접한 타측 벽체에 가이드홈을 갖는 제2 함체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인접한 일측에 가이드홈 측으로 돌출되는 회전기어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회전기어의 후방에 상기 회전기어와 밸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타측벽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을 이루는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받침플레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상기 회전기어와 치합을 이루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상기 장홈에 삽입연결되는 걸림턱이 마련된 이탈방지장치; 상기 난간프레임의 힌지회전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의 내벽 양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설치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4 구동모터와 그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나선축이 설치되며, 상기 나선축에는 이와 볼트너트체결방식으로 결속된 승하강고정구가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고정구의 단부에 상기 난간프레임의 상단과 걸림을 이루는 꺽쇠편이 마련된 전도방지장치; 상기 제1 구동모터, 제2 구동모터, 제3 구동모터 및 제4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 및 상기 제1 구동모터, 제2 구동모터, 제3 구동모터 및 제4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Safty guardrail having refuge ability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시 각도변환장치와 이탈방지장치 및 전도방지장치의 동작에 의해 난간프레임을 자동으로 대피에 편리한 위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거주자가 편리하게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안전난간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건축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 외에도 태양열을 이용한 비상 전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로 인해 건축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단전시에도 안전난간의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코니는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의 공간활용 및 미관향상의 목적으로 구성된 공간이다.
이러한 발코니는 사람이나 물건 등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 파이프를 이용한 난간을 설치하고 있다.
한편, 아파트의 경우에 소방법상 별도의 비상탈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출입구를 이용하거나 발코니를 이용하되, 발코니를 이용시에는 고가 사다리와 같은 특수 인력 및 장비를 통해서만 비상탈출이 가능하였다.
그래서 아파트의 발코니에 구비된 난간을 이용하여 화재와 같은 비상시 비상사다리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여러 형태로 개시된바 있다.
즉, 종래에는 상하 수평프레임과 상하 수평프레임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된 난간프레임의 양단부를 발코니 벽면에 분리가능한 조인트로 연결하고 일측 하부는 회전축으로 연결하여 상기 조인트를 분리한 후 난간프레임을 발코니 벽면에서 분리한 상태로 일측 하부의 회전축을 이용하여 하방향으로 회전 설치함으로 아래층 발코니로 피난할 수 있는 비상사다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비상사다리는 난간프레임이 중량체 이므로 조인트를 분리한 상태로 사다리를 전체적으로 들어올려 회전시키는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종래기술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대처방안으로 난간프레임의 회전동작을 전원공급을 통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구동수단을 이용한 방법이 개시된바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화재발생시 나타나는 고온의 열기에 의해 전선이 단선 되거나 전선의 피복이 녹아내려 합선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여 전원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비상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안전난간의 구조개선을 통해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시 각도변환장치와 이탈방지장치 및 전도방지장치의 동작에 의해 난간프레임을 자동으로 대피에 편리한 위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거주자가 편리하게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난간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건축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 외에도 태양열을 이용한 비상 전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로 인해 건축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단전시에도 안전난간의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창문을 설치하기 위해 마련된 건축물의 개구부(10)에 설치되어 추락방지 기능과 비상시 대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에 있어서,
상기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은
사각틀체 내에 다수개의 타공판이 소정각도 경사지게 고정된 난간프레임;
상기 난간프레임의 단부를 아래층의 개구부 측에 위치되게 상기 난간프레임을 힌지회전시킬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의 인접한 일측 벽체에 설치공간을 갖는 제1 함체가 설치되며, 상기 설치공간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1 구동모터와 이와 축결합된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인접한 일측에 이와 치합을 이루는 피동기어부를 갖는 연결구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의 단부에 서로 대향을 이루고 있는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플레이트의 단부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2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제2 구동모터와 축결합되어 제2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힌지회전하는 결속구가 설치되고, 상기 결속구의 상부에는 상기 난간프레임의 하단이 삽입된 상태로 볼트체결을 이루는 수용홈이 마련된 각도변환장치;
상기 각도변환장치에 의해 힌지회전하는 난간프레임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의 인접한 타측 벽체에 가이드홈을 갖는 제2 함체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인접한 일측에 가이드홈 측으로 돌출되는 회전기어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회전기어의 후방에 상기 회전기어와 밸트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타측벽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을 이루는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받침플레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상기 회전기어와 치합을 이루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상기 장홈에 삽입연결되는 걸림턱이 마련된 이탈방지장치;
상기 난간프레임의 힌지회전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의 내벽 양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설치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4 구동모터와 그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나선축이 설치되며, 상기 나선축에는 이와 볼트너트체결방식으로 결속된 승하강고정구가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고정구의 단부에 상기 난간프레임의 상단과 걸림을 이루는 꺽쇠편이 마련된 전도방지장치;
상기 제1 구동모터, 제2 구동모터, 제3 구동모터 및 제4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 및
상기 제1 구동모터, 제2 구동모터, 제3 구동모터 및 제4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에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시 각도변환장치와 이탈방지장치 및 전도방지장치의 동작에 의해 난간프레임을 자동으로 대피에 편리한 위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거주자가 편리하게 아래층으로 대피하여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난간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건축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 외에도 태양열을 이용한 비상 전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로 인해 건축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단전시에도 안전난간의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중 각도변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중 이탈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중 전도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중 각도변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중 이탈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중 전도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100)은 건축물의 개구부(10)에 위치되는 난간프레임(110)과, 상기 개구부(10)의 인접한 일측 벽체에 설치된 각도변환장치(120)와, 상기 개구부(10)의 인접한 타측 벽체에 설치된 이탈방지장치(130)와, 상기 개구부(10)의 내측벽 양측에 설치된 전도방지장치(140), 전원공급수단(150) 및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난간프레임(110)은 평상시에는 거주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나, 비상시 거주자가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난간프레임(110)은 사각틀체(111) 내에 다수개의 타공판(113)이 소정각도 경사지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타공판(113)의 경사각은 상기 난간프레임(110)이 거주자 대피를 위해 회전하였을 때, 수평이될 수 있을 정도의 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각도변환장치(120)는 비상시 상기 난간프레임(110)의 단부를 아래층의 개구부(10) 측에 위치되게 난간프레임(110)을 힌지회전시키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각도변환장치(120)는 상기 개구부(10)의 인접한 일측 벽체에 설치공간(121)을 갖는 제1 함체(122)가 설치되며, 상기 설치공간(121)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1 구동모터(M1)와 이와 축결합된 구동기어(123)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123)의 인접한 일측에 이와 치합을 이루는 피동기어부(124)를 갖는 연결구(125)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125)의 단부에 서로 대향을 이루고 있는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126)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플레이트(126)의 단부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2 구동모터(M2)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126) 사이에 상기 제2 구동모터(M2)와 축결합되어 제2 구동모터(M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힌지회전하는 결속구(127)가 설치되고, 상기 결속구(127)의 상부에는 상기 난간프레임(110)의 하단이 삽입된 상태로 볼트체결된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장치(130)는 상기 각도변환장치(120)에 의해 힌지회전하는 난간프레임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장치(130)는 상기 개구부(10)의 인접한 타측 벽체에 가이드홈(131)을 갖는 제2 함체(132)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131)의 인접한 일측에 가이드홈(131) 측으로 돌출되는 회전기어(133)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회전기어(133)의 후방에 상기 회전기어(133)와 밸트(134)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모터(M3)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131)의 타측벽에 상기 가이드홈(131)과 연통을 이루는 장홈(135)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31)에 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받침플레이트(136)가 연결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136)의 일측면에 상기 회전기어(133)와 치합을 이루는 기어부(137)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136)의 타측면에 상기 장홈(135)에 삽입연결되는 걸림턱(138)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전도방지장치(140)는 상기 난간프레임(110)의 힌지회전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전도방지장치(140)는 상기 개구부(10)의 내벽 양측에 수용공간(141)을 갖는 설치프레임(143)이 설치되고, 상기 수용공간(141)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4 구동모터(M4)와 그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나선축(145)이 설치되며, 상기 나선축(145)에는 이와 볼트너트체결방식으로 결속된 승하강고정구(147)가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고정구(147)의 단부에 상기 난간프레임(110)의 상단과 걸림을 이루는 꺽쇠편(149)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수단(150)은 상기 제1 구동모터(M1), 제2 구동모터(M2), 제3 구동모터(M3) 및 제4 구동모터(M4)가 동작할 수 있도록 이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수단(150)은 상용 전원부(250)와 비상 전원부(350) 및 전원공급제어부(160a)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용 전원부(250)는 건축물에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외부 전원이다.
또한, 상기 비상 전원부(350)는 태양열을 이용한 자가발전시설로 건축물에 설치된 태양열집광판(351)과, 상기 태양열집광판(351)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는 축전지(353) 및 상기 축전지(353)를 통해 저장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35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태양열집광판(351)과, 축전지(353) 및 인버터(355)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태양열집광판(351)을 통해 생산된 에너지는 축전지(353) 및 인버터(355)를 통해 상기 제1 구동모터(M1), 제2 구동모터(M2), 제3 구동모터(M3) 및 제4 구동모터(M4)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제어부(160a)는 상기 제어부(160)의 신호를 전달받아 제1 내지 제4 구동모터(M1,M2,M3,M4)로 공급되는 전원을 상용 전원부(250) 또는 비상 전원부(350)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각도변환장치(120)와, 이탈방지장치(130) 및 전도방지장치(140)에 마련된 상기 제1 구동모터(M1), 제2 구동모터(M2), 제3 구동모터(M3) 및 제4 구동모터(M4)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은 비상시 자동으로 동작하는 난간프레임을 이용하여 거주자가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화재경보신호가 제어부(160)로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160)는 제4 구동모터(M4)를 동작시켜 나선축(145)을 회전시킨다. 이후, 상기 나선축(145)이 회전운동하면, 상기 나선축(145)에 결속된 승하강고정구(147)는 나선축(145)을 따라 상승하며, 이와 동시에 꺽쇠편(149)을 통해 걸림연결된 난간프레임(110) 힌지회전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해제된다.
이때, 상기 전도방지장치(140)의 꺽쇠편(149)은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난간프레임(110)이 외부충격에 의해 건축물의 외측으로 힌지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제2 구동모터(M2)를 동작시켜 이와 축결합된 결속구(127)를 90°각도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결속구(127)와 연결된 난간프레임(110)은 상기 결속구(127)와 함께 회전운동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제1 구동모터(M1)를 동작시켜 구동기어(123)를 회전시키며, 상기 구동기어(123)는 이와 치합을 이루는 피동기어부(124)를 갖는 연결구(125)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1 구동모터(M1)의 동작은 난간프레임(110)의 단부가 받침플레이트(136)에 위치될 때 까지만 이루어지며, 그 동작의 제어는 제어부(160)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제1 구동모터(M1)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제3 구동모터(M3)를 함께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제3 구동모터(M3)가 동작하면, 이를 통해 발생한 회전력은 밸트(134)를 통해 상기 회전기어(133)로 전달되어 회전기어(133)가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후, 상기 회전기어(133)가 회전하면, 이와 치합을 이루고 있는 기어부(137)를 갖는 받침플레이트(136)는 상기 가이드홈(131)을 따라 제2 함체(132)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받침플레이트(136)의 슬라이딩 이동 거리는 장홈(135)에 삽입연결된 걸림턱(138)에 의해 장홈(135)의 폭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구동모터(M2)의 동작에 의해 힌지회전하는 난간프레임(110)의 단부는 상기 받침플레이트(136)의 상면에 안착되어 난간프레임(110)을 통해 거주자가 대피시 상기 난간프레임(110)을 더욱 안전하게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모터(M1), 제2 구동모터(M2), 제3 구동모터(M3) 및 제4 구동모터(M4)로 인가되는 전원은 상기 전원공급제어부(160a)를 통해 상용 전원부(250)의 전원과 비상 전원부(350)의 전원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원이 공급된다.
즉, 화재로 인해 건축물의 전기가 단전되면, 상기 제어부(160)에서는 전원공급제어부(160a)로 신호를 인가하여 각 구동모터(M1,M2,M3,M4)로 전달되는 전원을 비상 전원부(350)로 전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은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시 각도변환장치와 이탈방지장치 및 전도방지장치의 동작에 의해 난간프레임을 자동으로 대피에 편리한 위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거주자가 편리하게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안전난간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건축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 외에도 태양열을 이용한 비상 전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로 인해 건축물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의 단전시에도 안전난간의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10 : 개구부 110 : 난간프레임
111 : 사각틀체 113 : 타공판
120 : 각도변환장치 121 : 설치공간
124 : 피동기어부 125 : 연결구
127 : 결속구 128 : 수용홈
130 : 이탈방지장치 131 : 가이드홈
133 : 회전기어 136 : 받침플레이트
138 : 걸림턱 140 : 전도방지장치
141 : 수용공간 143 : 설치프레임
145 : 나선축 147 : 승하강고정구
149 : 꺽쇠편 150 : 전원공급수단
250 : 상용 전원부 350 : 비상 전원부
351 : 태양열집광판 353 : 축전지
355 : 인버터 160 : 제어부
160a : 전원공급제어부

Claims (2)

  1. 창문을 설치하기 위해 마련된 건축물의 개구부(10)에 설치되어 추락방지 기능과 비상시 대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에 있어서,
    상기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100)은
    사각틀체(111) 내에 다수개의 타공판(113)이 소정각도 경사지게 고정된 난간프레임(110);
    상기 난간프레임(110)의 단부를 아래층의 개구부(10) 측에 위치되게 상기 난간프레임(110)을 힌지회전시킬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10)의 인접한 일측 벽체에 설치공간(121)을 갖는 제1 함체(122)가 설치되며, 상기 설치공간(121)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1 구동모터(M1)와 이와 축결합된 구동기어(123)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123)의 인접한 일측에 이와 치합을 이루는 피동기어부(124)를 갖는 연결구(125)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125)의 단부에 서로 대향을 이루고 있는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126)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플레이트(126)의 단부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2 구동모터(M2)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결속플레이트(126) 사이에 상기 제2 구동모터(M2)와 축결합되어 제2 구동모터(M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힌지회전하는 결속구(127)가 설치되고, 상기 결속구(127)의 상부에는 상기 난간프레임(110)의 하단이 삽입된 상태로 볼트체결을 이루는 수용홈(128)이 마련된 각도변환장치(120);
    상기 각도변환장치(120)에 의해 힌지회전하는 난간프레임(110)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10)의 인접한 타측 벽체에 가이드홈(131)을 갖는 제2 함체(132)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131)의 인접한 일측에 가이드홈(131) 측으로 돌출되는 회전기어(133)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회전기어(133)의 후방에 상기 회전기어(133)와 밸트(134)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모터(M3)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131)의 타측벽에 상기 가이드홈(131)과 연통을 이루는 장홈(135)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31)에 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받침플레이트(136)가 연결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136)의 일측면에 상기 회전기어(133)와 치합을 이루는 기어부(137)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136)의 타측면에 상기 장홈(135)에 삽입연결되는 걸림턱(138)이 마련된 이탈방지장치(130);
    상기 난간프레임(110)의 힌지회전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10)의 내벽 양측에 수용공간(141)을 갖는 설치프레임(143)이 설치되고, 상기 수용공간(141)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4 구동모터(M4)와 그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나선축(145)이 설치되며, 상기 나선축(145)에는 이와 볼트너트체결방식으로 결속된 승하강고정구(147)가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고정구(147)의 단부에 상기 난간프레임(110)의 상단과 걸림을 이루는 꺽쇠편(149)이 마련된 전도방지장치(140);
    상기 제1 구동모터(M1), 제2 구동모터(M2), 제3 구동모터(M3) 및 제4 구동모터(M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150) 및
    상기 제1 구동모터(M1), 제2 구동모터(M2), 제3 구동모터(M3) 및 제4 구동모터(M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150)은
    외부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용 전원부(250)와,
    태양열집광판(351), 상기 태양열집광판(351)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는 축전지(353) 및 상기 축전지(353)를 통해 저장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355)로 이루어진 비상 전원부(350) 및
    상기 제어부(160)의 신호를 전달받아 제1 내지 제4 구동모터(M1,M2,M3,M4)로 공급되는 전원을 상용 전원부(250) 또는 비상 전원부(350)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전원공급제어부(160a)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KR1020100083716A 2010-08-27 2010-08-27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KR101017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716A KR101017133B1 (ko) 2010-08-27 2010-08-27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716A KR101017133B1 (ko) 2010-08-27 2010-08-27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133B1 true KR101017133B1 (ko) 2011-02-25

Family

ID=4377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716A KR101017133B1 (ko) 2010-08-27 2010-08-27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13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6782A (zh) * 2013-12-30 2014-04-16 河北工业大学 基于单片机控制的高楼智能移动逃生云梯
KR101457571B1 (ko) * 2014-04-09 2014-11-03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갖춘 안전펜스구조물
CN104746817A (zh) * 2015-03-26 2015-07-01 河北工业大学 基于plc的新型楼宇外置式逃生梯
WO2018070602A1 (ko) * 2016-10-13 2018-04-19 (주)파인디앤씨 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
KR20200112474A (ko) 2019-03-22 2020-10-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대피용 계단식 안전난간
KR102522485B1 (ko) 2022-07-27 2023-04-17 (주)아이팝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8877A (ja) * 1996-06-10 1997-12-22 Natl House Ind Co Ltd 階上用手すり
KR100638810B1 (ko) 2006-08-16 2006-10-25 (주)삼원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안전난간장치
KR100715992B1 (ko) 2006-11-30 2007-05-08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KR100909447B1 (ko) 2009-03-13 2009-07-28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8877A (ja) * 1996-06-10 1997-12-22 Natl House Ind Co Ltd 階上用手すり
KR100638810B1 (ko) 2006-08-16 2006-10-25 (주)삼원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안전난간장치
KR100715992B1 (ko) 2006-11-30 2007-05-08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KR100909447B1 (ko) 2009-03-13 2009-07-28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6782A (zh) * 2013-12-30 2014-04-16 河北工业大学 基于单片机控制的高楼智能移动逃生云梯
KR101457571B1 (ko) * 2014-04-09 2014-11-03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공동주택용 피난기능을 갖춘 안전펜스구조물
CN104746817A (zh) * 2015-03-26 2015-07-01 河北工业大学 基于plc的新型楼宇外置式逃生梯
WO2018070602A1 (ko) * 2016-10-13 2018-04-19 (주)파인디앤씨 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
GB2561038A (en) * 2016-10-13 2018-10-03 Fine Dnc Co Ltd Safety guardrails and outdoor escape stairs, which are integrated and foldable
US10260285B2 (en) 2016-10-13 2019-04-16 Fine Dnc Co., Ltd. Safety device and 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AU2016425976B2 (en) * 2016-10-13 2019-07-04 Fine Dnc Co., Ltd. Safety guardrails and outdoor escape stairs, which are integrated and foldable
GB2561038B (en) * 2016-10-13 2021-12-15 Fine Dnc Co Ltd Intergrated folding safety handrail and outdoor escape stairs
KR20200112474A (ko) 2019-03-22 2020-10-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대피용 계단식 안전난간
KR102522485B1 (ko) 2022-07-27 2023-04-17 (주)아이팝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133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KR101216204B1 (ko) 다층건축물의 매입형 비상탈출장치
JP6764730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CN105366495A (zh) 折叠式住宅电动楼梯
CN203976174U (zh) 折叠式住宅电动楼梯
KR101612265B1 (ko) 건축용 안전 난간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KR20120090885A (ko) 태양발전 겸용 비상대피구
KR20070024457A (ko) 고층 소방, 구조 및 건설 장비
US7270217B1 (en) Exterior fire resistant, passenger elevator system
JP2008156923A (ja) 開閉体の開放装置
JP2008150797A (ja) 開閉装置
KR101010561B1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래치 구조
JP3148106U (ja) 上部手動式シャッター開放装置
CN211846762U (zh) 一种电梯自动救援装置
KR10252248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KR20140079058A (ko) 협착 방지용 폴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고소 작업대
KR20160137877A (ko) 공동주택의 화재 피난장치
JP2012241476A (ja) クレセントの回転阻止装置
CN205500536U (zh) 轨道结构的安全升降装置
JP2569039Y2 (ja) 手動式シャッタの巻上げ装置
CN206665906U (zh) 一种电梯轿厢逃生装置
KR102030017B1 (ko) 공동주택의 인명구조용 소방 안전 공간 확보장치
CN215268532U (zh) 一种智慧楼宇用智能监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