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696B1 -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696B1
KR101016696B1 KR1020080069797A KR20080069797A KR101016696B1 KR 101016696 B1 KR101016696 B1 KR 101016696B1 KR 1020080069797 A KR1020080069797 A KR 1020080069797A KR 20080069797 A KR20080069797 A KR 20080069797A KR 101016696 B1 KR101016696 B1 KR 101016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eat exchanger
base
bent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7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9091A (en
Inventor
이동하
박재정
윤성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번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번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번디
Priority to KR102008006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696B1/en
Publication of KR20100009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0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3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 F28F1/3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the means being helically wound fins or wire spir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22Making the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성과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턴핀형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는 튜브, 핀 그리고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튜브의 내측으로는 유체가 이동한다. 핀은 튜브의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튜브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감기면서 소정의 피치를 이루되,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접촉되다가 일단부가 튜브의 반경 방향으로 밴딩 형성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튜브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디스크를 가진다. 그리고, 고정부재는 일방향에 대해 소정의 길이 간격으로 반복 밴딩되는 튜브의 형상이 고정되도록 밴딩된 튜브에 결합되며, 핀은 튜브에 연속적으로 감기되 튜브의 일정 구간별로 피치가 변동되도록 감기고, 튜브가 밴딩되는 부분에서는 디스크가 베이스의 일단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베이스만이 튜브에 감긴 상태로 남도록 베이스와 디스크가 연결된 부분에는 홈 형상으로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having improved productivity and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urn-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ube, a fin and a fixing member. Here, the fluid moves inside the tube. The fin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width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to form a predetermined pitch while being tightly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while contac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and having one end ben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ube. And a disk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se and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ube. And,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bent tube so that the shape of the tube is repeatedly bent at a predetermined length interval with respect to one direction, the pin is wound continuously to the tube, the coil is wound so as to vary the pitch by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tube, In the bent portion, the disc is easily separated from one end of the base, and a recess is formed in a groove shape in a portion where the base and the disc are connected so that only the base remains wound on the tube.

열교환기, 턴핀, 튜브, 피치, 밴딩  Heat exchanger, turnpin, tube, pitch, banding

Description

턴핀형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방법{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urn fin type heat exchanger}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턴핀형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성과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턴핀형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having improved productivity and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냉동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그리고 증발기를 따라서 이동하는 냉매가 열역학적 사이클을 따라서 순환되면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시키는 시스템으로, 이러한 냉동시스템이 적용된 응축기 및 증발기를 열교환기라고 한다. In general, a refrigeration system is a system in which refrigerant moving along a compressor, condenser, expansion valve, and evaporator circulates through a thermodynamic cycle to absorb heat from the room and release it to the outside. It is called.

그리고, 이러한 열교환기에서는 튜브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상기 튜브가 위치된 곳의 외부 공기 또는 냉각수 등의 유체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heat exchanger, heat exchange is performed between a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tube and a fluid such as external air or cooling water where the tube is located.

한편, 상기 응축기의 경우,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인 냉매의 열을 상온하에서의 공기 및 냉각수 등의 유체에 방출시킴으로써 상기 냉매를 응축, 액화시키게 되는데, 상기 응축기는 그 형태에 따라서 와이어형(wire type) 응축기와 턴핀형(turn fin type) 응축기로 나누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condenser condenses and liquefies the refrigerant by releasing the heat of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to a fluid such as air and cooling water at room temperature. It is divided into wire type condenser and turn fin type condenser.

여기서, 상기 턴핀형 응축기는 내측으로 냉매가 흐르는 튜브와 상기 튜브와 외부 공기 또는 냉각수 등의 유체와의 열교환 표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튜브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있는 핀(fin)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turn-pin condenser is composed of a fin (held) spirally wou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ube in order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surface area between the tub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nside and the fluid such as the outside air or cooling water.

그리고, 상기 튜브는 밴딩되거나 하여 다양한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밴딩된 튜브는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형상이 유지되어 진다.And, the tube is bent or to form a variety of shapes, the bent tube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is maintained in shape.

도 1은 종래의 턴핀형 열교환기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턴핀형 열교환기에서 핀과 튜브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nd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between a fin and a tube in a conventional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턴핀형 열교환기는 내측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튜브(210)와, 상기 튜브(210)에 나선 형상으로 감기는 핀(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conventional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includes a tube 210 in which fluid moves inward, and a fin 220 wound in a spiral shape to the tube 210.

여기서, 상기 튜브(210)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밴딩 형성됨으로써 직선부(D)와 밴딩부(B)를 이루게 되며, 상기 핀(220)은 상기 튜브(210)에 일정한 피치(P)를 이루면서 감기게 된다. Here, the tube 210 is bent in a zigzag shape to form a straight portion (D) and the bending portion (B), the fin 220 is wound to form a constant pitch (P) on the tube (210) do.

이때, 상기 핀(220)은 얇은 박판(薄板)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튜브(210)와의 밀착면적이 작아서 상기 튜브(210)와의 열전달 면적이 넓어질 수 없고, 이에 따라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구조적인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the fin 2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hin thin plate (薄板) and the adhesion area with the tube 210 is small, so that the heat transfer area with the tube 210 can not be widened, thereby improving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There was a problem with structural limitations.

또한, 상기 직선부(D)와 상기 밴딩부(B)에 감겨지는 상기 핀(220) 또한 각각 개별적으로 감긴 상태에서 상기 직선부(D)와 상기 밴딩부(B)가 서로 용접(W)되어 접합됨으로써, 상기 튜브(210)에 상기 핀(220)이 감기는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traight portion (D) and the pin 220 wound around the bending portion (B) are also wound separately, and the straight portion (D) and the bending portion (B) are welded to each other (W). By bondin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winding the pin 220 to the tube 210 can not be made continuously.

더욱이, 상기 직선부(D)와 밴딩부(B)가 용접(W) 접합됨으로써, 용접부위에 대한 누출검사 등이 더 이루어져야 함으로써, 공정 수가 증가하고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traight portion (D) and the bending portion (B) are welded (W) bon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steps is increased and complicated by leak inspection and the like to be welded furth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산성과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턴핀형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mproved productivity and heat exchange efficiency.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튜브; 상기 튜브의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감기면서 소정의 피치를 이루되,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접촉되다가 일단부가 상기 튜브의 반경 방향으로 밴딩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튜브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디스크를 가지는 핀; 그리고 일방향에 대해 소정의 길이 간격으로 반복 밴딩되는 상기 튜브의 형상이 고정되도록 밴딩된 상기 튜브에는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핀은 상기 튜브에 연속적으로 감기되 상기 튜브의 일정 구간별로 상기 피치가 변동되도록 감기고, 상기 튜브가 밴딩되는 부분에서는 상기 디스크가 상기 베이스의 일단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상기 베이스만이 상기 튜브에 감긴 상태로 남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디스크가 연결된 부분에는 홈 형상으로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는 턴핀형 열교환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tube for moving the fluid inward; I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width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to form a predetermined pitch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the contac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and one en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ube A pin having a base formed by bending and a disk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se and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tube;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tube, which is bent so that the shape of the tube repeatedly bent at a predetermined length interval with respect to one direction is fixed. The pitch is fluctuated so that the disc is easily separated from one end of the base at the portion where the tube is bent so that the base and the dis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only the base is wound around the tube. Provided is a turn fin heat exchanger in which a recess is formed concave.

여기서, 상기 디스크에는 상기 디스크가 부분적으로 압입되어 주름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 is partially press-fitted to form a wrinkle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그리고, 본 발명은 튜브의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되, 일단부가 수직하게 밴딩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단부에 홈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디스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핀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핀이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연속적으로 감기도록 하되, 일정 구간별로 피치가 변동되어 감기도록 하는 단계; 상기 튜브를 밴딩하는 단계; 상기 오목부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크가 제거되어 상기 튜브가 밴딩되는 부분에 상기 베이스만이 남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튜브가 밴딩된 부분에 고정부재를 결합하여 밴딩된 상기 튜브의 형상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턴핀형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width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one end is vertically bent is formed from the base, and one end of the base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recess formed in the groove shape Manufacturing a pin comprising a disk; The pi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to be wound continuously; Banding the tube; Removing the disk relative to the recess so that only the base remains in a portion where the tube is bent; And fixing the shape of the bent tube by coupling a fixing member to a portion where the tube is bent.

여기서, 상기 디스크에는 상기 디스크가 부분적으로 압입되어 주름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 is partially press-fitted to form a wrinkle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turn-type heat exchang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follows.

첫째, 핀의 일측면이 상기 튜브와의 밀착면적이 증가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튜브와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First, one side of the fin is form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tube can be increased heat exchange efficiency with the tube.

둘째, 핀이 일정구간별로 피치가 다르게 감길 수 있어 하나의 턴핀형 열교환기에 각각 다른 피치를 가지는 핀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턴핀형 열교환기가 설치될 장치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Second, since the fins may be wound differently by a predetermined section, on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may have fins having different pitches, and accordingly, the fins may be appli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device to which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is installed. This is possible.

셋째, 핀이 튜브에 연속적으로 감길 뿐만 아니라, 튜브 밴딩시 핀의 높이 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핀이 감긴 상태에서 튜브의 밴딩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용접 공정 없이도 제품 자체 밴딩이 가능해진다.Third, not only the pin is continuously wound on the tube, but also the banding operation of the tube can be performed while the pin is wound by removing the height portion of the pin when the tube is bent, so that the product itself can be banded without a welding process.

넷째, 튜브 밴딩시 용접 공정이 필요치 않게 됨으로써, 공정수 및 검사공정이 단순해지고, 생산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Fourth, the welding process is not required when the tube is bent, so that the number of processes and the inspection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다섯째, 핀에 주름부가 형성되어 턴핀형 열교환기의 외측에서 이동하는 공기 유동을 난류화시켜 열교환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Fifth, the pleats are formed in the fin to turbulence the air flow moving outside of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can further improve heat exchange efficiency.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에서 직선상태의 튜브에 감긴 핀의 상태 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에서 밴딩된 상태의 튜브에 감긴 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rn fin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turn fin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xample,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a fin wound in a straight tube in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fin wound on the tube bent in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3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턴핀형 열교환기는 튜브(10)와 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측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상기 튜브(10)에는 상기 핀(20)이 소정의 피치를 이루면서 감기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핀(20)은 상기 튜브(10)에 연속적으로 감김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공정 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20)은 상기 튜브(10)의 일정 구간별로 피치가 변동되도록 감김이 바람직한데, 특히, 상기 튜브(10)가 밴딩되어질 부분에 감겨지는 상기 핀(20)으로부터는 상기 핀(20)의 높이 부분이 제거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핀(20)이 감겨진 상태에서도 상기 튜브(10)의 밴딩 이 이루어질 수 있어 용접 공정이 없이도 연속 생산이 가능해진다.As shown in FIGS. 3 to 7,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preferably includes a tube 10 and a fin 20. Here, the fin 20 is wound around the tube 10 in which fluid is moved to form a predetermined pitch. At this time, the fin 20 is preferably wound on the tube 10 continuously. Through this, the number of processes can be reduced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fin 20 is preferably wound so that the pitch is changed by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tube 10, in particular, the fin (20) from the pin 20 is wound around the portion to be bent the tube (10) Preferably, the height portion of 20) is removed. Through this, the bending of the tube 10 can be made even in the state in which the pin 20 is wound, thereby enabling continuous production without a welding process.

상세히, 내측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튜브(10)의 외주면에는 핀(20)이 감기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핀(20)은 베이스(21)와 디스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pin 20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10 in which the fluid moves inward, wherein the pin 20 preferably includes a base 21 and a disk 25.

먼저, 상기 베이스(21)는 소정의 두께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에 상기 튜브(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밀착되어 소정의 피치를 이루면서 감기게 되는 밀착부(22)와, 상기 밀착부(22)의 일단부가 상기 튜브(10)의 반경 방향으로 밴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First, the base 21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redetermined width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10 to be wound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pitch 22 ), And one end of the contact portion 22 is preferably formed to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23 formed to be ben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ube (10).

이와 같이, 상기 밀착부(22)에 의해 상기 튜브(10)의 외주면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베이스(21)와 상기 튜브(10) 간의 열전달율은 향상될 수 있다.As such,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10 may be increased by the adhesion part 22, so that the heat transfer rate between the base 21 and the tube 10 may be improved.

또한, 상기 밀착부(22)의 일부분이 밴딩되어 상기 연결부(23)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베이스(21)의 휨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튜브(10)에 대한 상기 베이스(21)의 결합력은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22 is bent to form the connecting portion 23, so that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base 21 can be improved, and through this, the base 21 of the base 21 with respect to the tube 10 can be improved. Cohesion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디스크(25)는 상기 연결부(23)에 연결되어 상기 튜브(1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상기 튜브(10)와 상기 핀(20) 간에는 보다 효율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disk 25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3 and extend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ube 10. Accordingly, more efficient heat exchange between the tube 10 and the fin 20 is achieved. Will be done.

한편,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상기 핀(20)은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감기게 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핀(20)은 상기 튜브(10)의 일정 구간별로 피치가 변동되도록 감기게 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 20 made as described above is continuously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10, and in this case, the pin 20 is wound so that the pitch is varied by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tube 10. Is desirable.

상세히, 상기 핀(20)은 상기 튜브(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감겨 나가되, 제1구간(D1)에서는 제1피치(P1)로 감기고, 제2구간(D2)에서는 제2피치(P2)로 감기며, 제3구간(D3) 및 제4구간(D4)에서는 각각 제3피치(P3)와 제4피치(P4)로 감길 수 있다.In detail, the pin 20 is wou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10, and wound around the first pitch P1 in the first section D1, and the second pitch P2 in the second section D2. In the third section D3 and the fourth section D4, the third pitch P3 and the fourth pitch P4 may be wound.

그리고, 제5구간(B1)에서는 제5피치(P5)로 감김이 바람직하다.In the fifth section B1, it is preferable to wind the fifth pitch P5.

여기서, 상기 튜브(10)가 밴딩되는 부분인 상기 제5구간(B1)은 상기 튜브(10)가 직선을 이루는 구간인 상기 제1,2,3,4구간(D1,D2,D3,D4)의 사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fth section B1,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tube 10 is bent, i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ections D1, D2, D3, and D4, which are sections in which the tube 10 forms a straight line. It can be formed between.

이와 같이, 상기 핀(20)이 상기 각 구간(D1,D2,D3,D4,D5)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피치(P1,P2,P3,P4,P5)를 형성하며 연속적으로 감길 수 있으므로, 하나의 튜브 에 다분할되는 피치를 가지도록 핀을 감는 연속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pins 20 may be continuously wound while forming the corresponding pitches P1, P2, P3, P4, and P5 according to the sections D1, D2, D3, D4, and D5. The continuous winding of the pins can be made possible to have a pitch that is multiplied in the tube of the tube.

그리고 이를 통해, 상기 턴핀형 열교환기가 설치될 장치의 조건에 따라서 적절한 피치를 가지는 턴핀형 열교환기의 제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having an appropriate pitch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device to be installed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예를 들면, 상기 턴핀형 열교환기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피치가 작은 부분이 위치되게 하거나, 또는 피치가 큰 부분이 위치되게 하는 등의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공기흐름저항을 감소시켜 열교환 효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such that a portion having a small pitch is positioned in a flow direction of air moving outside of the turn-fin heat exchanger, or a portion having a large pitch is positioned therein. By reducing the resistanc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상기 튜브(10)가 밴딩되는 부분인 상기 제5구간(B1)에 감겨진 상기 핀(20)에서는 상기 디스크(25)가 상기 베이스(21)로부터 제거(분리)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k 25 is removed (separated) from the base 21 in the pin 20 wound around the fifth section B1 where the tube 10 is bent.

이때, 상기 디스크(25)가 상기 베이스(21)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23)와 상기 디스크(25)가 연결되는 부분은 단차(29)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ortion 29 to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23 and the disk 25 are connected may be formed so that the disk 25 may be easily removed from the base 21.

이를 통해, 상기 디스크(25)가 분리된 상기 베이스(21)가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base 21 from which the disk 25 is separated can be maintained in a constant shape.

따라서, 상기 튜브(10)가 밴딩되는 부분에는 상기 베이스(21) 부분만이 상기 튜브(10)게 감긴 상태로 남게 되는데, 상기 디스크(25)가 분리된 후에도 상기 베이스(21)가 상기 튜브(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21)는 상기 튜브(10)에 고정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을 정도의 소정의 두께와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only a portion of the base 21 remains wound around the tube 10 at a portion where the tube 10 is bent, and even after the disk 25 is separated, the base 21 remains in the tube ( The base 21 is preferably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such that the base 21 can have sufficient strength to be fixed to the tube 10 so as to maintain the state coupled to the tube 10.

그리고 이를 통해, 상기 제5구간(B1)은 상기 디스크(25)가 제거된 상태의 핀 이 결합된 채로 밴딩 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다.And, through this, the fifth section B1 may be able to bend while the pin in the state in which the disk 25 is removed is coupled.

여기서, 상기 제5구간(B1)에 감겨지는 핀의 피치(P5)는 상기 각 직선구간(D1,D2,D3,D4)에 감겨지는 핀의 피치(P1,P2,P3,P4)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pitch P5 of the pin wound around the fifth section B1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pitches P1, P2, P3, P4 of the pin wound around each of the straight sections D1, D2, D3, and D4. It is preferable to form large.

이와 같이, 상기 제5구간(B1)에 결합되는 핀의 길이가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디스크(25)를 제거하는 공정이 줄어들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소요되는 핀(20)의 양이 감소되어 생산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As such, by minimizing the length of the pin coupled to the fifth section B1, the process of removing the disk 25 can be reduced, so that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the amount of the pin 20 required is reduced. As a result, production costs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핀(20)이 감긴 상태에서 튜브(10)의 밴딩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튜브(10)의 직선부(D1,D2,D3,D4)와 밴딩부(B1)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직선부와 밴딩부를 용접 접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용접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작 공정수가 감소되고, 생산성도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ding of the tube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pin 20 is wound, so that the straight portion (D1, D2, D3, D4) and the bending portion (B1) of the tube 10 may be integrally formed.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weld-join the straight portion and the bending portion as described above, the welding process becomes unnecessary, so that the number of manufacturing steps can be reduced, and the productivity can also be improved.

또한, 튜브의 밴딩부분에 대한 용접부위가 없어짐으로써, 용접부위에 대한 검사 공정(예를 들면, 누출 검사, 용접 부위의 누출압력 검사 등) 또한 필요치 않게 되어 생산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welded portion on the bending portion of the tube, an inspection process for the welded portion (eg, leak inspection, leak pressure inspection of the welded portion, etc.) may also be unnecessary, thereby further improving production efficiency.

여기서, 상기 각 구간(D1,D2,D3,D4,B1)과, 상기 각 구간에 따른 각 피치(P1,P2,P3,P4,P5)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Here, the sections D1, D2, D3, D4, and B1 and the pitches P1, P2, P3, P4, and P5 according to the sections may be variously modified.

한편, 상기 튜브(10)는 일방향에 대해 소정의 길이 간격으로 반복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10)에는 상기 튜브(10)의 형상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30)가 더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tube 10 may be repeatedly bent at a predetermined length interval in one direction, and the fixing member 30 is further coupled to the tube 10 so that the shape of the tube 10 may be fixed. Can be.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30)에는 상기 튜브(10)의 밴딩부분과, 상기 밴딩 부분에 결합된 상기 베이스(21)에 대응되는 크기와 위치 및 개수로 결합홀(35)이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member 35 is formed through the fixing member 30 in a size, a position, and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portion of the tube 10 and the base 21 coupled to the bending portion. Do.

그리고, 상기 관통홀(35)의 내측으로 상기 튜브(10)의 밴딩부분이 삽입될 수 있어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튜브(10)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게 되는데, 이처럼, 상기 고정부재(30)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어 부품의 절감과, 경량화가 가능하며 이에 따른 제조공정 또한 단순해 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ding portion of the tube 10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5 so that the fixing member 30 may maintain the shape of the tube 10.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member 30 can be simplifi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arts and to reduce the weight, and thus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한편, 상기 튜브(10)와 상기 핀(20)은 스틸 재질, 알루미늄 재질 그리고 구리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tube 10 and the fin 20 may be made of any one of a steel material, an aluminum material, and a copper material.

그리고, 상기 튜브(10)가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내식성이 향상되도록 내식성 도금이 더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nd, if the tube 10 is made of a steel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rosion-resistant plating is further made to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의 핀을 나타낸 정면도인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25)에는 주름부(28)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in of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a pleat 28 is preferably formed in the disk 25.

여기서, 상기 주름부(28)는 상기 디스크(25)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주름부(28)의 형상과 개수에 특정한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Here, the wrinkles 28 may be partially formed on the disk 25, but the shape and number of the wrinkles 28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그리고, 상기 주름부(28)는 상기 디스크(25)의 압연량 및 압연각도를 조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eats 28 may be formed by adjusting the rolling amount and the rolling angle of the disk 25.

이와 같이, 상기 디스크(25)에 상기 주름부(28)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턴핀형 열교환기의 외측에서 이동하는 공기 유동을 난류화시킬 수 있어 열교환 효율을 더욱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As such, by forming the pleats 28 on the disk 25, it is possible to turbulence the flow of air moving outside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thereby further increasing heat exchange efficiency.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의 튜브에 핀이 구간별로 다른 피치를 이루며 감긴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의 튜브에 핀이 구간별로 다른 피치를 이루며 감긴 후, 밴딩부에 감겨지는 핀에서 디스크가 제거된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의 튜브에 핀이 구간별로 다른 피치를 이루며 감긴 후, 밴딩부에 감겨지는 핀에서 디스크가 제거되고 튜브가 밴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step of the turn-fin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itch of the fins in the tube section of the turn-fin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wound shape, and FIG. 11 is a disk of a turn fin-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n is wound at a different pitch for each section, and then a disk is removed from the fin wound on the bending portion. Figure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hape, Figure 12 is the fin of the turn fin-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winding the pin to form a different pitch for each section, the disk is removed from the pin wound around the bending portion and the tube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ent state.

도 9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튜브(10)의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되, 일단부가 수직하게 밴딩 형성되는 베이스(21)와, 상기 일단부에 연결되어 연장 형성되는 디스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핀(20)을 제작하는 단계(S110)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9 to 12, first, a base 2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10, one end of which is vertically bent, and connected to the one end thereof.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S110) of manufacturing the pin 20 including the disk 25 is formed to extend.

여기서, 상기 디스크(25)의 압연량 및 압연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디스크(25)에는 상기 디스크(25)가 부분적으로 압입되어 주름부(도 8의 28 참조)가 형성되는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Here, by adjusting the rolling amount and the rolling angle of the disk 25, the disk 25 may be partially pressed into the disk 25 to form a wrinkle portion (see 28 of FIG. 8).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핀(20)은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연속적으로 감기면서 소정의 피치를 이루도록 하는 단계(S120)가 진행됨이 바람직하다.The pin 20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10 and continuously wound to achieve a predetermined pitch (S120).

그리고 이때, 상기 핀은 상기 튜브의 일정 구간별로 상기 피치가 변동되도록 감기게 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in is preferably wound so that the pitch is changed by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tube.

즉,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핀(20)은 제1직선구간(D1)에서는 제1피 치(P1)로 감기고 제2직선구간(D2)에서는 제2피치(P2)로 감기며, 제3직선구간(D3)에서는 제3피치(P3)가 형성되도록 감김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shown in FIG. 10, the pin 20 is wound around the first pitch P1 in the first straight section D1 and wound around the second pitch P2 in the second straight section D2. In the third straight section D3, it is preferable to wind the third pitch P3 to be formed.

또한, 제1밴딩구간(B1) 및 제2밴딩구간(B2)에서는 각각 제5피치(P5)로 감김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first bending section B1 and the second bending section B2, it is preferable to wind the fifth pitch P5, respectively.

이때, 상기 핀(20)은 상기 각 구간(D1,B1,D2,B2,D3)별로 상기 각 피치(P1,P5,P2,P5,P3)를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감기게 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in 20 is wound continuously while forming the pitches P1, P5, P2, P5, and P3 for each of the sections D1, B1, D2, B2, and D3.

그리고 나서, 상기 튜브(10)가 밴딩될 부분(B1,B2)에 감겨진 상기 핀(20)에서 디스크(25)를 제거하는 단계(S130)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S130 of removing the disk 25 from the pin 20 wound around the portions B1 and B2 where the tube 10 is to be bent is performed.

즉,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밴딩구간(B1,B2)에 감겨진 상기 핀(20)에서는 상기 디스크(25)가 제거(또는 분리)되어 베이스(21)만이 감겨진 상태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shown in FIG. 11, in the pin 20 wound around each of the bending sections B1 and B2, the disk 25 is removed (or separated) so that only the base 21 is wound. This is preferred.

그리고, 상기 각 밴딩구간(B1,B2)에 대해서 상기 튜브를 밴딩하는 단계(S140)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S140 of bending the tube is performed for each of the bending sections B1 and B2.

또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직선구간(D1,D2,D3)과 밴딩구간(B1,B2) 그리고 각 피치(P1,P2,P3,P4,P5)는 상기 턴핀형 열교환기가 설치되어질 장치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2, each of the straight section (D1, D2, D3) and the bending section (B1, B2) and each pitch (P1, P2, P3, P4, P5) is to be installed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Of course, it can be made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device.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튜브(10)가 밴딩된 부분에는 고정부재(도 3의 30 참조)가 더 결합되어 상기 튜브(10)의 형상이 고정되는 단계(S150)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see 30 in FIG. 3) is further coupled to the portion where the tube 10 is bent so that the shape of the tube 10 is fixed (S150).

한편, 상기 디스크(25)는 상기 튜브(10)가 밴딩되어진 후에 상기 베이스(21) 에서 제거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disk 25 may be removed from the base 21 after the tube 10 is bent.

예를 들면, 상기 튜브(10)는 상기 핀(20)이 감긴 상태에서 밴딩되어진 후에, 밴딩된 구간에 감겨진 상기 핀에서 상기 디스크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after the tube 10 is bent while the pin 20 is wound,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disk from the pin wound around the banded section.

이처럼, 상기 디스크(25)의 제거는 상기 튜브(10)의 밴딩 전, 또는 후에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한 공정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uch, removal of the disk 25 may optionally be made before or after bending of the tube 10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process sequence.

한편, 상기 턴핀형 열교환기는 응축기나 증발기뿐만 아니라, 차량 등과 같은 운송장비에 사용되는 오일 쿨러로도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may be applied to an oil cooler used in a transportation equipment such as a vehicle as well as a condenser or an evaporator.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가 오일 쿨러로 적용된 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가 오일 쿨러로 적용된 예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인데,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튜브(10a)와 핀(20)으로 이루어지는 턴핀형 열교환기는 오일 쿨러로 적용될 수 있다.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oil cooler, and FIG. 14 is an example in which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oil cooler. 13 and 14,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consisting of the tube 10a and the fin 20 may be applied as an oil cooler.

여기서, 상기 튜브(10a)의 양단부에는 상기 튜브(10)의 형상이 고정되도록 고정부재(30a)가 결합될 수 있다.Here, fixing members 30a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ube 10a to fix the shape of the tube 10.

따라서, 상기 튜브(10a)의 밴딩부분(B')에 감겨진 상기 핀(20)은 디스크(25)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Therefore, the pin 20 wound around the bending portion B 'of the tube 10a may be coupled without the disk 25 being removed.

물론, 상기 튜브(10a)의 밴딩부분(B')에 별도의 고정부재가 더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밴딩부분(B')에 감겨진 핀(20)으로부터는 디스크(25)가 제거될 수 있다.Of course, a separate fixing member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bending portion B 'of the tube 10a. In this case, the fixing member may be wound around the bending portion B' so that the fixing member may be easily coupled. The disk 25 can be removed from the pin 20.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에서 직선상태의 튜브 에 감긴 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에서 밴딩된 상태의 튜브에 감긴 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에서는 베이스와 디스크가 연결된 부분에 오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fin wound in a straight tube in a turn fin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banded heat exchanger in a turn fin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a pin wound around a tube in a state. In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recess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base and the disc are connected, and the other construc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121)와 디스크(125)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디스크(125)가 연결부(123)와 분리가 용이하도록 오목부(129)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5 and 16, a recess 129 may b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base 121 and the disk 12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disk 125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23.

여기서, 상기 오목부(129)는 상기 연결부(123)와 상기 디스크(125)가 접하는 부분에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recess 129 is preferably formed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123 and the disk 125 contact.

이를 통해, 상기 디스크(125)가 상기 베이스(1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 디스크(25)가 분리되고 나서의 상기 베이스(121)의 형상이 일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disk 125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se 121, and the shape of the base 121 after the disk 25 is separated may be maintained constant and stable. .

상기 오목부(129)는 핀(120) 형성시 롤 포밍(roll forming) 등과 같은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성형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고도 적절한 다른 성형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concave portion 129 may be formed by a forming process such as roll forming when forming the fin 12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forming method, and various and appropriate forming methods may be applied. to be.

여기서, 미설명된 부호 10은 튜브이고, 122는 연결부이다.Herein,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tube and 122 denotes a connection por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 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턴핀형 열교환기를 나타낸 정면예시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도 2는 종래의 턴핀형 열교환기에서 핀과 튜브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fin and the tube in a conventional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turn-fin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를 나타낸 정면도.5 is a front view showing a turn-fin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에서 직선상태의 튜브에 감긴 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fin wound in a straight tube in the turn-fin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에서 밴딩된 상태의 튜브에 감긴 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a fin wound on a tube bent in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의 핀을 나타낸 정면도.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in of the turn-fin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흐름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step of a turn-fin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의 튜브에 핀이 구간별로 다른 피치를 이루며 감긴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fins are wound to form a different pitch for each section of the tube of the turn-fin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의 튜브에 핀이 구간별로 다른 피치를 이루며 감긴 후, 밴딩부에 감겨지는 핀에서 디스크가 제거된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disk is removed from the pin wound around the bending portion after the fins are wound at different pitches in the tube of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의 튜브에 핀이 구간별로 다른 피치를 이루며 감긴 후, 밴딩부에 감겨지는 핀에서 디스크가 제거되고 튜 브가 밴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12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k is removed from the pin wound around the banding portion and the tube is bent after the fins are wound at different pitches per section in the tube of the turn-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gree.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가 오일 쿨러로 적용된 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Figure 13 is a planar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oil cooler.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가 오일 쿨러로 적용된 예를 나타낸 정면예시도.Figure 14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oil cooler.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에서 직선상태의 튜브에 감긴 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fin wound in a straight tube in a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턴핀형 열교환기에서 밴딩된 상태의 튜브에 감긴 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a fin wound on a tube bent in a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0a,210: 튜브 20,120,220: 핀10,10a, 210: Tube 20,120,220: Pin

21,121: 베이스 22,122: 밀착부21,121: Base 22,122: Contact Part

23,123: 연결부 25,125: 디스크23,123 connection 25,125 disk

28: 주름부 30,30a: 고정부재28: wrinkles 30, 30a: fixing member

35: 결합홀 129: 오목부35: coupling hole 129: recess

Claims (10)

내측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튜브; A tube through which fluid moves; 상기 튜브의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감기면서 소정의 피치를 이루되,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접촉되다가 일단부가 상기 튜브의 반경 방향으로 밴딩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튜브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디스크를 가지는 핀; 그리고 I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width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to form a predetermined pitch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the contac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and one en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ube A pin having a base formed by bending and a disk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se and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tube; And 일방향에 대해 소정의 길이 간격으로 반복 밴딩되는 상기 튜브의 형상이 고정되도록 밴딩된 상기 튜브에는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It is made to include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bent the tube so that the shape of the tube is repeatedly bent at a predetermined length interval with respect to one direction, 상기 핀은 상기 튜브에 연속적으로 감기되 상기 튜브의 일정 구간별로 상기 피치가 변동되도록 감기고, 상기 튜브가 밴딩되는 부분에서는 상기 디스크가 상기 베이스의 일단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상기 베이스만이 상기 튜브에 감긴 상태로 남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디스크가 연결된 부분에는 홈 형상으로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는 턴핀형 열교환기.The pin is continuously wound to the tube, and the pitch is changed by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tube. At the portion where the tube is bent, the disk is easily separated from one end of the base so that only the base is attached to the tube. A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having recesses formed in a groove shape in a portion where the base and the disk are connected to remain in a wound st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크에는 상기 디스크가 부분적으로 압입되어 주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턴핀형 열교환기.The disk is a turn-pin heat exchan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k is partially indented to form a ple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튜브의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되, 일단부가 수직하게 밴딩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단부에 홈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디스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핀을 제작하는 단계; Including a bas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one end is vertically bent and a disk extending from the recess formed in the groove shape at one end of the base Manufacturing a pin made; 상기 핀이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연속적으로 감기도록 하되, 일정 구간별로 피치가 변동되어 감기도록 하는 단계; The pi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to be wound continuously; 상기 튜브를 밴딩하는 단계; Banding the tube; 상기 오목부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크가 제거되어 상기 튜브가 밴딩되는 부분에 상기 베이스만이 남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Removing the disk relative to the recess so that only the base remains in a portion where the tube is bent; And 상기 튜브가 밴딩된 부분에 고정부재를 결합하여 밴딩된 상기 튜브의 형상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턴핀형 열교환기의 제조방법.And coupling a fixing member to a portion where the tube is bent to fix the shape of the bent tube.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디스크에는 상기 디스크가 부분적으로 압입되어 주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턴핀형 열교환기의 제조방법.The disk is partially press-fitt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rinkle portion is formed. 삭제delete
KR1020080069797A 2008-07-18 2008-07-18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KR101016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797A KR101016696B1 (en) 2008-07-18 2008-07-18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797A KR101016696B1 (en) 2008-07-18 2008-07-18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91A KR20100009091A (en) 2010-01-27
KR101016696B1 true KR101016696B1 (en) 2011-02-25

Family

ID=4181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797A KR101016696B1 (en) 2008-07-18 2008-07-18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6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842B1 (en) * 2012-05-21 2012-08-16 주식회사 한국번디 L type turn-fin tube and turn-fin type heat exchanger using the l type turn-fin tube
KR102193257B1 (en) 2020-09-10 2020-12-22 (주)케이세이프 Sterilization apparatus having monitor for covid- 19 diffusion prot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95A (en) * 1985-05-29 1986-01-07 Hitachi Ltd Spiral fin
JP2000266487A (en) 1999-03-17 2000-09-29 Koa Seisakusho:Kk Heat exchanger
JP2002235993A (en) 2001-02-09 2002-08-23 Matsushita Refrig Co Ltd Spiral fin tube and refrigeration air conditioning device
KR100830724B1 (en) * 2007-01-12 2008-05-20 (주)바오텍 Manufacturing device for spiral finned tub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95A (en) * 1985-05-29 1986-01-07 Hitachi Ltd Spiral fin
JP2000266487A (en) 1999-03-17 2000-09-29 Koa Seisakusho:Kk Heat exchanger
JP2002235993A (en) 2001-02-09 2002-08-23 Matsushita Refrig Co Ltd Spiral fin tube and refrigeration air conditioning device
KR100830724B1 (en) * 2007-01-12 2008-05-20 (주)바오텍 Manufacturing device for spiral finned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91A (en)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2254B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heat exchanger
US6928833B2 (en) Finned tube for heat exchangers, heat exchanger, process for producing heat exchanger finned tube, and process for fabricating heat exchanger
JP5202030B2 (en) Double tube heat exchanger
US20020023735A1 (en) Double heat exchanger with condenser and radiator
JP2009063228A (en) Flat heat transfer tube
JP2008164245A (en) Heat exchanger
JP4751662B2 (en) Plate for manufacturing flat tube, method for manufacturing flat tub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exchanger
JP4084174B2 (en) Heat exchanger
US20130306287A1 (en) L-type turn-fin tube and turn-fin type heat exchanger using the same
JP4224793B2 (en)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16696B1 (en)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urn fin type heat exchanger
JP5898892B2 (en) Intermediate heat exchanger
JP2006297472A (en) Manufacturing method of heat exchanger, and fin and tube of heat exchanger
JP5187047B2 (en) Tube for heat exchanger
JP3938053B2 (en) Heat exchanger
JP4300013B2 (en) Finned tube for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method for producing finned tube for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producing heat exchanger
JP2001091180A (en) Plate fin tube type heat exchanger,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and refrigerator comprising it
KR101186564B1 (en) Coil type heat exchanger
CN111556950A (en) Heat exchanger for refrigerator
KR100970896B1 (en) Heat exchanger
KR20130090108A (en) Fin type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heat exchanger
KR20090032218A (en) Turn pin type heat exchanger
JP2003279194A (en) Heat exchanger
JP5334898B2 (en) Twisted tube heat exchanger and equipment equipped with the same
JP2006017429A (en) Side plate for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