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358B1 - 이동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358B1
KR101016358B1 KR20087027787A KR20087027787A KR101016358B1 KR 101016358 B1 KR101016358 B1 KR 101016358B1 KR 20087027787 A KR20087027787 A KR 20087027787A KR 20087027787 A KR20087027787 A KR 20087027787A KR 101016358 B1 KR101016358 B1 KR 10101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emergency
emergency communication
location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702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3568A (ko
Inventor
카츠히로 노구치
츠요시 타카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023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6Call controllers; Call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5Proxies, e.g. for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96Supplementary features, e.g. call forwarding or call ho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이동단말(UE)은,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제 1의 호제어장치(S-CSCF #1)을 통해 일반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일반통신을 수행하고, 제 2의 호제어장치(S-CSCF #2)를 통해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하며, 제 1의 호제어장치(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 제 2의 호제어장치(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부(14)를 구비한다.
이동단말, 이동통신, 호제어, 일반통신, 긴급통신, 위치등록처리, 세션확립

Description

이동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MOBILE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제 1의 호제어장치(call control apparatus) 및 제 2의 호제어장치를 포함하는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해당 제 1의 호제어장치를 통해 일반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일반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제 2의 호제어장치를 통해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하는 이동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국제표준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이동단말(mobile terminal)이 IP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MS(IP Multimedia Subsystem)와, IP-CAN(GPRS/I-WLAN)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IP 네트워크를 구비한다.
여기서, IP-CAN은 「IP-Connectivity Access Network」의 약어이며, GPRS는 「General Packet Radio Service」의 약어이며, I-WLAN는 「Interworking Wireless Access Network」의 약어이다.
또한, IMS 내에서는, P-CSCF(Proxy-Call Server Control Function)이나, S-CSCF(Serving-Call Server Control Function)이나, E-CSCF(Emergency-Call Server Control Function)이나, HSS(Home Subscriber Server)가 제공되어 있으며, IP-CAN(GPRS/I-WLAN)에는, IP 데이터(SIP 신호나 VoIP 패킷)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이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S-CSCF, E-CSCF 및 P-CSCF는, 이동단말(UE)과 일반통신단말과의 사이의 일반통신용의 세션, 혹은, 이동단말(UE)과 긴급통신단말(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과의 사이의 긴급통신용의 세션을 제어하기 위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서버(호제어장치)이다.
또한, 이동단말(UE)은, 이러한 IP 네트워크 상에 확립된 세션을 이용하여, S-CSCF #1(제 1의 호제어장치)를 통해 일반통신단말(미도시)과의 사이에서 일반통신을 수행하고, S-CSCF #2(제 2의 호제어장치) 및 E-CSCF를 통해 긴급통신단말인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술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의 긴급통신을 개시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700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일반통신용의 유저 식별자(IMPI: IP Multimedia Private Identifier, Normal IMPU: IP Multimedia Public Identity)를 이용하여, S-CSCF #1에 있어서 당해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Normal Registration 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 하기 위한 「Normal Registration Request」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7002에 있어서, 「Normal Registration Request」에 따라서, HSS를 참조하여, 이동단말(UE)과 S-CSCF #1과의 사이에서, 당해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수행된다.
그 후, 단계 S7003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긴급통신용의 유저 식별자(Emergency IMPU)를 이용하여, S-CSCF #2에 있어서 당해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Emergency Registration 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7004에 있어서,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에 따라서, HSS를 참조하여, 이동단말(UE)과 S-CSCF #2와의 사이에서, 당해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수행된다.
단계 S7005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상술의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된 후, 긴급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Emergency SIP Invite」를, P-CSCF에 송신한다.
단계 S7006에 있어서, P-CSCF는, 수신한 「Emergency SIP Invite」를, E-CSCF로 전송한다.
단계 S7007에 있어서, 「Emergency SIP Invite」에 따라서,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에서,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의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Emergency Session Establishment 처리)가 수행된다.
이동단말(UE)은, 이와 같이 설정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UICC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이동단말(UE)(비계약 유저의 이동단말(UE))로부터의 긴급통신을 허용시키기 위해,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 이외에, 긴급통신을 수행할 때에만 필요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필요하다.
또한, 상술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일반통신용의 호제어장치(S-CSCF #1)와, 경찰(police)이나 소방(fire)이나 해보(Japan Coast Guard services) 등의 지령대(command station)에 설치되어 있는 긴급통신용의 호제어장치(S-CSCF #2)가 다르기 때문에,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 및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의 양방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일반통신용의 호제어장치(S-CSCF #1)와 긴급통신용의 호제어장치(S-CSCF #2)가 다른 경우의 예로서는, 이동단말(UE)이 홈네트워크 이외의 네트워크로부터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실행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상술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어느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고 있는 경우에도, 별도로, 당해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긴급통신을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비특허문헌 1: 3GPP TS23.167 Ver. 7.0.0.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IP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긴급통신을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동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은, 제 1의 호제어장치 및 제 2의 호제어장치를 포함하는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해당 제 1의 호제어장치를 통해 일반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일반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제 2의 호제어장치를 통해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하는 이동단말로서, 상기 제 1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 2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상기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이며, 그리고, 상기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긴급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일반통신용 및 상기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의 양방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부는, 상기 제 2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상기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부는,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해당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에 있어서 상기 IP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2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긴급통신용 위치등록처리요구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긴급통신용 위치등록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긴급통신용 위치등록처리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 2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한 경우에, 상기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부는, 상기 제 1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상기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에 있어서 UICC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2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긴급통신용 위치등록처리요구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긴급통신용 위치등록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긴급통신용 위치등록처리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 2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한 경우에, 상기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부는, 상기 제 1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상기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부는, 상기 IP 네트워크에 대한 위치등록처리에 있어서 해당 IP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의 특징은, 제 1의 호제어장치 및 제 2의 호제어장치를 포함하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단말이, 해당 제 1의 호제어장치를 통해 일반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일반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제 2의 호제어장치를 통해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제 1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상기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IP 네트워크는, 상기 제 1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제 2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수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해당 이동단말과 상기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의 상기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단말의 기능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동작에 있어서의 수순 1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동작에 있어서의 수순 2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동작에 있어서의 수순 1의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CSCF #1(제 1의 호제어장치)와 S-CSCF #2(제 2의 호제어장치)와 E-CSCF와 P-CSCF를 포함하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단말(UE)이, S-CSCF #1를 통해 일반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일반통신을 수행하고, S-CSCF #2 및 E-CSCF를 통해 PSAP(긴급통신단말)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IP 네트워크는,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Normal Registration 처리)가 완료 되고 있는 경우라면,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Emergency Registration 처리)가 수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의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Emergency Session Establishment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단말(UE)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단말(UE)은, 상술의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S-CSCF #1을 통해 일반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일반통신을 수행하며, S-CSCF #2 및 E-CSCF를 통해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단말(UE)은, UICC 검출부(11)와, Normal Registration 처리부(12)와, Emergency Registration 처리부(13)와, Emergency Session Establishment 처리부(14)를 구비하고 있다.
UICC 검출부(11)는, 이동단말(UE)에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가 탑재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Normal Registration 처리부(12)는, 이동단말(UE)의 전원투입시 등의 소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Normal Registration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Normal Registration 처리부(12)는, 이러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일반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당해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Normal Registration Request(일반통신용 위치등록 처리요구)」를 P-CSCF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Emergency Registration 처리부(13)는, 소정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Emergency Registration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Emergency Registration 처리부(13)는, 이러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긴급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당해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긴급통신용 위치등록 처리요구)」를 P-CSCF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Emergency Registration 처리부(13)는, 이동단말(UE)에 있어서 UICC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 긴급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를 P-CSCF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Emergency Session Establishment 처리부(14)는, 소정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S-CSCF #2 및 E-CSCF를 통해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Emergency Session Establishment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Emergency Session Establishment 처리부(14)는, 이러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 립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Emergency SIP Invite)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Emergency Session Establishment 처리부(14)는,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고 있는 경우이며, 그리고, 상술의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긴급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 및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의 양방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Emergency Session Establishment 처리부(14)는,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에 있어서 IP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된 정보(예를 들어, 판정키)에 기초하여, 상술의 판단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Emergency Session Establishment 처리부(14)는, 상술의 긴급통신용 위치등록처리요구에 따라서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된 경우에,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단말(UE)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고,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101에 있어서, 이동단말(UE)로부터 PSAP 앞으로 수행해야 하는 긴급통신(Emergency Call)이 발생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이동단말(UE)는, 당해 이동단말(UE)에 UICC가 탑재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탑재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103으로 진행하고, 도 5에 나타내는 수순 1을 실행하며, 탑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104로 진행하고, 도 6에 도시하는 수순 2를 실행한다.
제 1로, 도 5를 참조하여, 이동단말(UE)이 수순 1을 실행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20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완료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202로 진행하고,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본 동작은, 도 6에 도시하는 수순 2를 실행한다.
단계 S20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에 있어서 IP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된 정보(예를 들어, 판정키(determination key)) 등에 기초하여,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즉,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긴급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 및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의 양방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 판단한다.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203으로 진행하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 본 동작은, 도 4에 있어서 단계 S105로 진행한다.
단계 S203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이러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긴급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당해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204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S-CSCF #2와의 사이에서, Emergency Registration를 수행한 후, 본 동작은, 도 4에 있어서 단계 S105로 진행한다.
제 2로, 도 6을 참조하여, 이동단말(UE)이 수순 2를 실행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30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긴급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30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상술의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에 대한 P-CSCF로부터의 응답(Response)에 포함되는 지시에 기초하여, S- 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 판단하고, 즉,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 판단한다.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303으로 진행하고,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305로 진행한다.
단계 S303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이러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일반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당해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Normal Registration Request」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304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S-CSCF #1과의 사이에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한 후, 본 동작은, 도 5에 있어서 단계 S202로 진행한다.
그리고, UICC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동단말(UE)은, 일반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당해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할 수 없으며, PSAP와의 사이의 긴급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단계 S305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S-CSCF #2와의 사이에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한 후, 본 동작은, 도 4에 있어서 단계 S105로 진행한다.
단계 S105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PSAP와의 사이의 긴급통신에 이용되는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Emergency SIP Invite)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106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에 이용되는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단말(UE)와 PSAP와의 사이의 긴급통신을 개시하는 동작(4개의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있어서 제 1의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의 케이스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단말(UE)은, 단계 S100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UICC가 탑재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단계 S1002에 있어서,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단계 S1003에 있어서,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긴급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 및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의 양방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경우, 단계 S1004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일반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Emergency Session Establishment 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 리요구(Emergency SIP Invite)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1005에 있어서, P-CSCF는, 수신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를, E-CSCF로 전송한다.
단계 S1006에 있어서, E-CSCF는, 수신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를, PSAP로 전송한다.
단계 S1007에 있어서, 상술의 IP 네트워크는,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수행되고 있지 않지만,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의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한다.
이동단말(UE)은, 이와 같이 설정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있어서 제 2의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의 케이스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단말(UE)은, 단계 S200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UICC가 탑재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단계 S2002에 있어서, S-CSCF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단계 S2003에 있어서,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긴급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 및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의 양방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단계 S2004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긴급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 여, S-CSCF #2에 있어서 당해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2005에 있어서,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에 따라, HSS를 참조하여, 이동단말(UE)과 S-CSCF #2와의 사이에서, 당해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수행된다.
단계 S2006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상술의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한 후, 긴급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Emergency SIP Invite」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2007에 있어서, P-CSCF는, 수신한 「Emergency SIP Invite」를, E-CSCF로 전송한다.
단계 S2008에 있어서, E-CSCF는, 수신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를, PSAP로 전송한다.
단계 S2009에 있어서, 「Emergency SIP Invite」에 따라서,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에서,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의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가 수행된다.
이동단말(UE)은, 이와 같이 설정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3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있어서 제 3의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의 케이스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단말(UE)은, 단계 S3001에 있어서, 이동단말(UE)로 UICC가 탑재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단계 S3002에 있어서,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단계 S3003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긴급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S-CSCF #2에 있어서 당해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3004에 있어서, P-CSCF는, 수신한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에 대하여,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지시를 포함하는 응답을 송신한다.
단계 S3005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P-CSCF로부터의 응답에 기초하여,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 판단한다.
여기서, 제 3의 케이스에서는, IP 네트워크에 대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3006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일반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S-CSCF #1에 있어서 당해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Normal Registration 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Normal Registration Request」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3007에 있어서, 「Normal Registration Request」에 따라서, HSS를 참조하여, 이동단말(UE)과 S-CSCF #1과의 사이에서, 당해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수행된다.
단계 S3008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단계 S3007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에 있어서 IP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된 정보(예를 들어, 판정키) 등에 기초하여,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 판단한다. 즉,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긴급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 및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의 양방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 판단한다.
여기서, 제 3의 케이스에서는,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긴급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 및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의 양방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3009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일반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 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3010에 있어서, P-CSCF는, 수신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를, E-CSCF로 전송한다.
단계 S3011에 있어서, E-CSCF는, 수신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를, PSAP로 전송한다.
단계 S3012에 있어서, 상술의 IP 네트워크는,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수행되고 있지 않지만,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의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한다.
이동단말(UE)은, 이와 같이 설정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4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있어서 제 4의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4의 케이스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단말(UE)은, 단계 S400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UICC가 탑재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단계 S4002에 있어서,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혹은, 제 4의 케이스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단말(UE)은, 단계 S400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UICC가 탑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어느 경우에도, 단계 S4003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긴급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S-CSCF #2에 있어서 당해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4004에 있어서, P-CSCF가, 수신한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에 따라서,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하고, 이동단말(UE)과 S-CSCF #2와의 사이에서, HSS를 참조하여, 당해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수행된다.
단계 S4005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상술의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된 후, 긴급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Emergency SIP Invite」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4006에 있어서, P-CSCF는, 수신한 「Emergency SIP Invite」를, E-CSCF로 전송한다.
단계 S4007에 있어서, E-CSCF는, 수신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를, PSAP로 전송한다.
단계 S4008에 있어서, 「Emergency SIP Invite」에 따라서,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수행되고 있지 않지만,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에서, HSS를 참조하여,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의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가 수행된다.
이동단말(UE)은, 이와 같이 설정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작용ㆍ효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이고, 그리고,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긴급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 및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의 양방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긴급통신을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도,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긴급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 및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의 양방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한 후에,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긴급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 및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의 양방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종래의 IP 네트워크에 있어서도, 긴급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 및 긴급통신용 의 위치등록처리의 양방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본 발명에 따른 IP 네트워크에 있어서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이동단말(UE)에 있어서 UICC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이동단말(UE)에 의해 송신된 긴급통신용 위치등록처리요구에 따라서,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된 경우에,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IP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긴급통신을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의 S-CSCF #1(제 1의 호제어장치) 및 S-CSCF #2(제 2의 호제어장치)가, 동일의 장치(S-CSCF)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단말(UE)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고,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501에 있어서, 이동단말(UE)로부터 PSAP 앞으로 수행해야하는 긴급통신(Emergency Call)이 발생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당해 이동단말(UE)로 UICC가 탑재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 판정한다.
탑재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503으로 진행하고, 도 5에 도시하는 수순 1을 실행하고, 탑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504로 진행한다.
여기서, 도 12를 참조하여, 이동단말(UE)이 수순 1을 실행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60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IP 네트워크에 대한 위치등록처리에 있어서 당해 IP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GPRS(General Packets Radio Service) 어태치 처리(attach process)(GPRS로의 위치등록처리)나 I-WLAN 어태치 처리(I-WLAN으로의 위치등록처리)에 있어서 IP 네트워크로부터 취득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이동단말(UE)이, Home 네트워크에 재권하고 있는지, 혹은, Visited 네트워크에 재권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Home 네트워크에 재권(located)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602로 진행하고, Visited 네트워크에 재권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6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60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한다.
완료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본 동작은, 도 11에 도시하는 단계 S504로 진 행하고,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본 동작은, 단계 S6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603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긴급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당해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해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604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S-CSCF #2와의 사이에서, Emergency Registration을 수행한 후, 본 동작은, 도 11에 있어서 단계 S504로 진행한다.
즉, 이동단말(UE)은, 이동단말(UE)에 대한 IP 네트워크에 대한 위치등록처리에 있어서 IP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된 정보(예를 들어, 판정 키) 등에 기초하여,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 판단한다. 즉,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긴급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 및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의 양방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단말(UE)은, 이동단말(UE)에 대한 IP 네트워크에 대한 위치등록처리에 있어서 IP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된 정보(예를 들어, 판정 키) 등에 기초하여, Home 네트워크에 재권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긴급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 및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의 양방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다.
한편, 이동단말(UE)은, 이동단말(UE)에 대한 IP 네트워크에 대한 위치등록처리에 있어서 IP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된 정보(예를 들어, 판정 키) 등에 기초하여, Home 네트워크에 재권하고 있지 않다고(즉, Visited 네트워크에 재권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긴급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 및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의 양방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단계 S504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PSAP와의 사이의 긴급통신에 이용되는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Emergency SIP Invite)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505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에 이용되는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의 긴급통신을 개시하는 동작(4개의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있어서 제 1의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의 케이스에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단말(UE)은, 단계 S500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UICC가 탑재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단계 S5002에 있어서, Home 네트워크에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단계 S5003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은 경우, 단계 S5004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일반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Emergency Session Establishment 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Emergency SIP Invite)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5005에 있어서, P-CSCF는, 수신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를, E-CSCF로 전송한다.
단계 S5006에 있어서, E-CSCF는, 수신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를, PSAP로 전송한다.
단계 S5007에 있어서, 상술의 IP 네트워크는,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수행되어 있지 않지만,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의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한다.
이동단말(UE)은, 이와 같이 설정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로,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있어서 제 2의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의 케이스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단말(UE)은, 단계 S600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UICC가 탑재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단계 S6002에 있어서, Home 네트워크에 재권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단계 S6003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 S6004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긴급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S-CSCF #2에 있어서 당해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6005에 있어서,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에 따라서, HSS를 참조하여, 이동단말(UE)과 S-CSCF #2와의 사이에서, 당해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수행된다.
단계 S6006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상술의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된 후, 긴급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Emergency SIP Invite」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6007에 있어서, P-CSCF는, 수신한 「Emergency SIP Invite」를, E-CSCF로 전송한다.
단계 S6008에 있어서, E-CSCF는, 수신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를, PSAP로 전송한다.
단계 S6009에 있어서, 「Emergency SIP Invite」에 따라서,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에서,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의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가 수행된다.
이동단말(UE)은, 이와 같이 설정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3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있어서 제 3의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의 케이스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단말(UE)은, 단계 S700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UICC가 탑재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단계 S7002에 있어서, Home 네트워크에 재권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단계 S7003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긴급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S-CSCF #2에 있어서 당해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7004에 있어서, 「Emergency Registration Request」에 따라서, HSS를 참조하여, 이동단말(UE)과 S-CSCF #2와의 사이에서, 당해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수행된다.
단계 S7005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일반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7006에 있어서, P-CSCF는, 수신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를, E-CSCF로 전송한다.
단계 S7007에 있어서, E-CSCF는, 수신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를, PSAP로 전송한다.
단계 S7008에 있어서, 상술의 IP 네트워크는,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S-CSCF #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수행되고 있지 않지만, 이동단말(UE)과의 PSAP와의 사이의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한다.
이동단말(UE)은, 이와 같이 설정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4로, 도 1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있어서 제 4의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4의 케이스에서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단말(UE)은, 단계 S800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UICC가 탑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단계 S8002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은, 긴급통신용의 유저 식별자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Emergency SIP Invite」를, P-CSCF로 송신한다.
단계 S8003에 있어서, P-CSCF는, 수신한 「Emergency SIP Invite」를, E-CSCF로 전송한다.
단계 S8004에 있어서, E-CSCF는, 수신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를, PSAP로 전송한다.
단계 S8005에 있어서, 「Emergency SIP Invite」에 따라서, S-CSCF #1에 있어서 이동단말(UE)에 대한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수행되고 있지 않지만,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에서, HSS를 참조하여, 이동단말(UE)과 PSAP와의 사이 의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가 수행된다.
이동단말(UE)은, 이와 같이 설정된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이용하여, PSAP와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상술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이라는 것은 명료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진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태양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한 어느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긴급통신을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동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제 1의 호제어장치(call control apparatus) 및 제 2의 호제어장치를 포함하는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해당 제 1의 호제어장치를 통해 일반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일반통신(normal communication)을 수행하고, 해당 제 2의 호제어장치를 통해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긴급통신(emergency-communication)을 수행하는 이동단말로서,
    IP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location registration process)가 완료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제 2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상기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session establishment process)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이고, 상기 IP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긴급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일반통신용 및 상기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의 양방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부는, 상기 제 2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긴 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상기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부는,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해당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에 있어서 상기 IP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2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긴급통신용 위치등록처리요구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긴급통신용 위치등록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긴급통신용 위치등록처리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 2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한 경우에, 상기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부는, 상기 제 1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상기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이동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에 있어서 UICC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2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긴급통신용 위치등록처리요구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긴급통신용 위치등록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긴급통신용 위치등록처리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 2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한 경우에, 상기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부는, 상기 제 1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상기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부는, 상기 IP 네트워크에 대한 위치등록처리에 있어서 해당 IP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단말.
  7. 제 1의 호제어장치 및 제 2의 호제어장치를 포함하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단말이, 해당 제 1의 호제어장치를 통해 일반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일반통신을 수행하고, 해당 제 2의 호제어장치를 통해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긴급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단말은, IP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상기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긴급통신용 세션확립처리요구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IP 네트워크는, 상기 IP 네트워크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일반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완료되어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제 2의 호제어장치에 있어서 해당 이동단말에 대한 상기 긴급통신용의 위치등록처리가 수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해당 이동단말과 상기 긴급통신단말과의 사이의 상기 긴급통신용의 세션확립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KR20087027787A 2006-05-02 2007-05-01 이동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101016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28714 2006-05-02
JP2006128714 2006-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568A KR20090023568A (ko) 2009-03-05
KR101016358B1 true KR101016358B1 (ko) 2011-02-21

Family

ID=3865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27787A KR101016358B1 (ko) 2006-05-02 2007-05-01 이동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50366B2 (ko)
EP (1) EP2018075A4 (ko)
JP (1) JP4744599B2 (ko)
KR (1) KR101016358B1 (ko)
CN (1) CN101444117B (ko)
BR (1) BRPI0711170A2 (ko)
RU (2) RU2423022C2 (ko)
WO (1) WO2007126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0644B2 (en) * 2006-09-14 2014-01-14 Apple Inc. Circuit bearer control
US7991382B1 (en) 2007-11-08 2011-08-02 Sprint Spectrum L.P. Method for communicating indoor location to an emergency service system
JP5025801B2 (ja) * 2008-01-16 2012-09-12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限定された目的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へのアクセス
US8942112B2 (en) * 2008-02-15 2015-01-27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mobility invoca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JP5251394B2 (ja) * 2008-09-22 2013-07-31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呼制御方法
EP2335401A4 (en) * 2008-10-10 2016-12-07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SERVICE NODES, CONTROL PROCEDURES, USER NODES AND CONTROL PROCEDURES THEREFOR
JP5506819B2 (ja) * 2009-01-27 2014-05-2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緊急呼の処理
CN102055744A (zh) * 2009-11-06 2011-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ip多媒体子系统紧急呼叫业务的实现系统及方法
US9215588B2 (en) 2010-04-30 2015-12-15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bearer security in a network environment
JP5653714B2 (ja) * 2010-10-27 2015-01-14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端末
US8923802B2 (en) 2011-05-11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Home network roaming management for eCall-only subscribers
JP5681772B1 (ja) * 2013-09-24 2015-03-11 株式会社Nttドコモ Ipマルチメディアサブシステム、プロキシセッション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CN110521276B (zh) * 2017-04-21 2021-05-07 京瓷株式会社 无线电通信设备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4755A (en) * 1996-06-11 1999-01-26 Siemens Business Communication Systems, Inc. Method for allowing a mobile phone to receive a call through a wireless network for which it is not registered, for emergency purposes
AU8915998A (en) * 1997-08-19 1999-03-08 Siemens Corporation Vehicle information system
US6240284B1 (en) * 1998-11-06 2001-05-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of handling emergency calls from roaming mobile stations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1238514B1 (en) * 1999-12-07 2006-04-1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call routing depending on caller location in mobile ip network
JP2003528507A (ja) * 2000-03-23 2003-09-24 シーメンス モービル コミュニケイションズ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手順
US7623447B1 (en) * 2000-04-10 2009-11-24 Nokia Corporation Telephony services in mobile IP networks
CN1282390C (zh) * 2001-04-27 2006-10-25 诺基亚公司 处理网络识别紧急会话的方法和系统
EP1386510B1 (en) * 2001-04-27 2013-04-1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emergency sessions to be established in abnormal cases
US7606556B2 (en) * 2002-05-06 2009-10-20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sessions of specific type in communication networks
CN1745538A (zh) * 2003-02-25 2006-03-08 西门子公司 剥离出分配给专门组的ip信息包的方法和对应的ip信息包
US7324801B2 (en) * 2003-03-06 2008-01-29 Motorola, Inc. Emergency call-back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user removable module
EP1680938A1 (en) * 2003-10-17 2006-07-19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for emergency services in wireless multimedia networks
EP1839420B1 (en) * 2005-01-19 2018-04-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emergency calls
US10178522B2 (en) * 2005-08-02 2019-01-08 Qualcomm Incorporated VoIP emergency call support
DE102006019719A1 (de) * 2006-04-27 2007-10-31 Siemens Ag Vereinfachtes Verfahren zur IMS Registrierung bei Notrufe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imens AG, Optimized IMS emergency resistration procedure S2-0613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18075A4 (en) 2013-10-16
CN101444117B (zh) 2011-11-23
US8150366B2 (en) 2012-04-03
EP2018075A1 (en) 2009-01-21
KR20090023568A (ko) 2009-03-05
US20090270066A1 (en) 2009-10-29
BRPI0711170A2 (pt) 2011-08-23
CN101444117A (zh) 2009-05-27
RU2522998C2 (ru) 2014-07-20
RU2423022C2 (ru) 2011-06-27
RU2008146847A (ru) 2010-06-10
JP4744599B2 (ja) 2011-08-10
RU2011110362A (ru) 2012-09-27
JPWO2007126100A1 (ja) 2009-09-17
WO2007126100A1 (ja) 200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358B1 (ko) 이동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AU2011374206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nabling an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access transfer of an emergency call back session
JP5456708B2 (ja) 移動通信方法及び呼セッション制御ノード
US20100208671A1 (en) Communication system, user equipment registration method, switching device and user equipment registration system
RU2675071C1 (ru) Способ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AU2011266176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KR101651119B1 (ko) 아이피 멀티미디어 부시스템에서 녹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90310758A1 (en) Call routing
US8996673B2 (en) Emergency signalling in an IP multimedia subsystem network
EP2833656B1 (en) Methods for processing emergency call and communications apparatuses utilizing the same
EP275203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network support for other media during ims emergency sessions
US9560509B2 (en) Emergency signalling in an IP multimedia subsystem network
JP5626166B2 (ja) 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の通信方法、移動局、制御ノードの制御方法及び制御ノ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