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008B1 - 필기구 수납통 - Google Patents

필기구 수납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008B1
KR101016008B1 KR1020080068329A KR20080068329A KR101016008B1 KR 101016008 B1 KR101016008 B1 KR 101016008B1 KR 1020080068329 A KR1020080068329 A KR 1020080068329A KR 20080068329 A KR20080068329 A KR 20080068329A KR 101016008 B1 KR101016008 B1 KR 101016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present
body portion
wri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621A (ko
Inventor
임재희
Original Assignee
임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희 filed Critical 임재희
Priority to KR1020080068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00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5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interchangeable elements forming the storage space, e.g. modular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과, 상기 장공에 끼워져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필기구 수납통을 제공한다.
필기구 수납통

Description

필기구 수납통{Writing instrument tub}
본 발명은 필기구 수납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기구 수납통 바닥에 놓여져 있는 지우개 등의 소물품(小物品)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필기구 수납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 수납통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책상 위 등에 놓여져, 펜, 연필, 샤프, 지우개 등의 필기구 등을 수납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필기구 수납통에 필기구가 수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투시 사시도이다.
통상적인 필기구 수납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필기구 수납통(10)은 상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펜(PEN) 등을 사용하고 나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나 펜 등을 사용하기 위해 수납하는 경우에는 필기구 수납통(10)의 상부의 개구부(11)를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의 필기구 수납통(10)은 내부 바닥에 지우개(ER), 클립, 샤프심통 등의 소물품이 놓여져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소물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손으로 그러한 소물품들을 꺼내야만 했었다.
특히, 필기구 수납통(10)에 필기구가 가득 채워져 있을 때에는 필기구들을 헤치고 소물품을 꺼내야 했는데, 그러한 작업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필기구 수납통의 바닥에 놓여져 있는 지우개 등의 소물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필기구 수납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과, 상기 장공에 끼워져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필기구 수납통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구멍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가이드구멍에 끼워져 상기 받침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의 형상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에는 수납벽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 수납통은, 필기구 수납통의 바닥에 놓여져 있는 지우개 등의 소물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필기구 수납통의 개략적인 투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조작부 및 받침부의 모습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수납통(100)은, 몸체부(110), 장공(120), 조작부(130), 받침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10)는 상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수납되는 필기구는 몸체부(110)의 바닥부(112)가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10)의 외부 형상이 원통 형상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몸체부의 외부 형상은, 그 단면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사각 형상의 통, 그 단면이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다각형 통, 그 단면이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타원형 통 등이 될 수 있다.
장공(120)은 몸체부(110)에 형성되는데, 조작부(130)의 일부가 몸체부(110)를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장공(120)은 몸체부(110)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장공(120)은 몸체부의 바닥부(112)쪽에서 개구부(111)쪽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형성된 장공(120)의 형상은 바닥부(112)에 대해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장공의 처음 부분과 끝 부분이 각각 개구부(111)와 바닥부(112)를 향하고 있다면, 장공의 형상은 바닥부(112)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되거나 사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10)에 단일의 장공(120)이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장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각각의 장공에 끼워지는 조작부도 필요하게 되는데, 복수개의 조작부는 모두 받침부(140)에 연결되게 된다.
또한, 몸체부(110)에는 2개의 가이드구멍(113)이 형성되는데, 가이드구멍(113)은 받침부(140)의 돌출부(141)가 끼워져, 받침부(140)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이드구멍(113)은 몸체부(110)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가이드구멍(113)은 몸체부의 바닥부(112)쪽에서 개구부(111)쪽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형성된 가이드구멍(113)의 형상은 바닥부(112)에 대해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장공의 형상이 바닥부(112)에 대해 나선형이나 사선형 등의 모습으로 형성되는 경우, 그에 맞추어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110)에 가이드구멍(113)이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110)에 가이드구멍(113)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조작부(130)는 사용자의 힘을 직접 받아 받침부(140)를 움직이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손잡이부(131)와 연결부(132)로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부(131)는 몸체부(11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데, 따라서 사용자는 직접 손잡이부(131)에 힘을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132)는 손잡이부(131)와 받침부(140)를 연결하며, 장공(120)을 관통 하도록 구성된다.
받침부(140)는 얇은 판으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형상은, 받침부(140)의 형상 중 일부가 몸체부(110)의 내부 테두리부의 호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부(140)의 형상이 반원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다만, 받침부의 형상은 몸체부의 내부 테두리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는 것이 소물품을 올려놓는데 있어 유리한 점이 있다.
받침부(140)는 2개의 돌출부(141)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141)는 받침부(140)가 이동하는 경우에, 받침부(140)의 자세를 유지해주고, 받침부(140)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41)는 몸체부(110)의 가이드구멍(113)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받침부(140)가 움직이는 경우에, 돌출부(141)는 가이드구멍(1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부(140)는 2개의 돌출부(141)를 구비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부(140)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돌출부는 1개, 3개, 4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경우에 돌출부의 개수에 맞추어 몸체부(110)의 가이드구멍(113)도 그만큼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받침부(140)는 돌출부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고, 상기와 같이 설명한 필기구 수납통(100)의 내부 구조를 참고로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수납통(100)이 작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필기구 수납통의 받침부가 바닥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받침부에 지우개가 올려져 있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투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지우개를 꺼내기 위해 조작부를 위쪽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받침부를 몸체부의 상부로 이동시킨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투시 사시도이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구 수납통(100)의 받침부(140)가 바닥부(112)에 닿아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기본 상태로 한다. 여기서 필기구 수납통(100)에는 펜(PEN) 등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기본 상태에서는 지우개(ER)가 받침부(140)위에 올려져 있다. 만약 지우개(ER)가 받침부(140)에 올려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필기구 수납통(100)을 기울이거나 막대, 펜 등을 사용하여 지우개(ER)를 받침부(140)에 올리면 된다.
사용자가 필기구 수납통(100)의 받침부(140)에 놓여져 있는 지우개(ER)를 꺼내기 위해서는, 조작부(130)의 손잡이부(131)를 위로 들어 올린다.
조작부(130)가 장공(120)을 따라 위로 이동함에 따라, 받침부(140)도 필기구 수납통(10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돌출부(141)는 가이드구멍(113)에 끼워져 슬라이딩 운동을 함으로써, 받침부(140)의 이동 시 받침부(140)의 기울어짐과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30)가 장공(120)의 상부 단부에까지 도달하게 되면, 받침부(140)도 필기구 수납통(100)의 상부에 도달하게 되고, 사용자는 받침부(140)에 놓여져 있는 지우개(ER)를 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우개(ER)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클립, 샤프심통 등 다른 소물품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필기구 수납통(100)에 따르면, 몸체부(110)의 내벽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받침부(140)를 구비함으로써, 필기구 수납부(100)의 내부에 위치한 지우개(ER) 등의 소물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필기구 수납통에 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의 조작부 및 받침부의 모습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필기구 수납통은 받침부(240)의 구조가 전술한 받침부(140)의 구조와 상이한 부분이 있다.
즉, 받침부(240)는, 돌출부(241)와, 바닥판(242)과, 바닥판(24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수납벽(243)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돌출부(241)와 바닥판(242)은 각각 본 실시예의 돌출부(141)와 받침부(140)에 구성과 동일하다.
그러나, 수납벽(243)은 본 변형예에만 존재하는데, 그러한 수납벽(243)의 존재로 인하여 지우개 등의 소물품이 받침부(240)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 점이 있게 된다.
한편, 조작부(230)는 손잡이부(231)와 연결부(232)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전술한 조작부(130)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구성 및 효과 이외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필기구 수납통의 구성 및 효과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수납통(100) 의 구성 및 효과와 동일하므로, 본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필기구 수납통에 필기구가 수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투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필기구 수납통의 개략적인 투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작부 및 받침부의 모습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필기구 수납통의 받침부가 바닥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받침부에 지우개가 올려져 있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투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지우개를 꺼내기 위해 조작부를 위쪽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받침부를 몸체부의 상부로 이동시킨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투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의 조작부 및 받침부의 모습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필기구 수납통 110: 몸체부
111: 개구부 112: 바닥부
113: 가이드구멍 120: 장공
130, 230: 조작부 131, 231: 손잡이부
132, 232: 연결부 140, 240: 받침부
141, 241: 돌출부 242: 바닥판
243: 수납벽

Claims (5)

  1.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
    상기 장공에 끼워져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는 필기구 수납통.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가이드구멍에 끼워져 상기 받침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필기구 수납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형상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필기구 수납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수납벽이 형성되는 필기구 수납통.
KR1020080068329A 2008-07-14 2008-07-14 필기구 수납통 KR10101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329A KR101016008B1 (ko) 2008-07-14 2008-07-14 필기구 수납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329A KR101016008B1 (ko) 2008-07-14 2008-07-14 필기구 수납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21A KR20100007621A (ko) 2010-01-22
KR101016008B1 true KR101016008B1 (ko) 2011-02-23

Family

ID=4181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329A KR101016008B1 (ko) 2008-07-14 2008-07-14 필기구 수납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537B1 (ko) 2011-08-18 2013-08-26 이시욱 필기구 수납수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346A (ko) * 1996-07-04 1996-10-22 신진철 필통
KR20040031650A (ko) * 2002-10-07 2004-04-13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바이퓨얼 내연기관의 연료분사제어장치
KR200431650Y1 (ko) * 2006-08-27 2006-11-23 박태규 연필꽂이필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346A (ko) * 1996-07-04 1996-10-22 신진철 필통
KR20040031650A (ko) * 2002-10-07 2004-04-13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바이퓨얼 내연기관의 연료분사제어장치
KR200431650Y1 (ko) * 2006-08-27 2006-11-23 박태규 연필꽂이필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537B1 (ko) 2011-08-18 2013-08-26 이시욱 필기구 수납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21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7070B1 (ja) ペンホルダー
KR101016008B1 (ko) 필기구 수납통
CN204973971U (zh) 多功能实验器具支架
KR100656120B1 (ko) 펜꽂이
US20220105744A1 (en) Pen and pencil container
KR101799916B1 (ko) 다용도 연필꽂이
KR200477887Y1 (ko) 펜꽂이 기구
KR101887229B1 (ko) 길이별로 연필 보관 가능한 연필꽂이
KR20120024020A (ko) 필기구 꽂이
CN210018196U (zh) 一种粉笔盒
KR200178320Y1 (ko) 연필꽂이
KR200192971Y1 (ko) 필기구 꽂이용 필통
KR102033132B1 (ko) 수납식 필기구 꽂이함
CN211075323U (zh) 一种储物笔筒
KR101660632B1 (ko) 문구류 홀더
KR960001795Y1 (ko) 필기구 꽂이를 구비한 필통
KR20130043256A (ko) 필기구 꽂이
CN201863604U (zh) 一种笔筒
KR101253287B1 (ko) 변형 필통
KR200457861Y1 (ko) 필기구 꽂이
KR101389373B1 (ko) 필기구 통
KR20090113804A (ko) 회전 원통식 크레용 수납장치
KR20000015946U (ko) 투명형 책상
KR20220002078U (ko) 물품 꽂이
KR101029880B1 (ko) 필기구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