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004B1 -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004B1
KR101016004B1 KR1020070123702A KR20070123702A KR101016004B1 KR 101016004 B1 KR101016004 B1 KR 101016004B1 KR 1020070123702 A KR1020070123702 A KR 1020070123702A KR 20070123702 A KR20070123702 A KR 20070123702A KR 101016004 B1 KR101016004 B1 KR 101016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iber
polyamide
section
polyamide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6514A (ko
Inventor
동 은 이
준 영 윤
Original Assignee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filed Critical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Priority to KR102007012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004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75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91Polyamides; Polyaram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섬유 단면상에서 3~16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섬유 단면의 외접원 지름을 섬유 단면의 내접원 지름으로 나눈 값(MR율)이 1.5~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섬유 단면의 MR율이 1.5~3.0인 이형이기 때문에 콘크리트내 분산성이 우수하고, 콘크리트와의 접착면적이 넓다.
그로 인해, 본 발명으로 보강된 콘크리트는 균열강도,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 등이 크게 향상된다.
보강재, 콘크리트, 보강섬유, 폴리아미드, 분산성, 이형단면, 돌기.

Description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Polyamide fiber for reinforcing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내에서의 분산성, 콘크리트와의 부착력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서 콘크리트의 균열저항,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 등을 개선시켜주는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또는 몰탈의 시멘트 경화제(이하 "콘크리트"라고 약칭한다)는 경제적인 건설재료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인장강도 및 인성이 작은 약점을 갖고 있다.
콘크리트의 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보강재료로서 철근이 100여년간 사용되어 왔고, 근래에는 철근 대신 철판, 파이프 강섬유, 철근 등의 강계통 보강 재료가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철근 찌꺼기와 같은 강섬유는 두께 0.5㎜, 길이 30㎜ 정도의 형태를 갖고, 종래 사용된 철근에 비해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좋고 파괴 강도가 높고, 철근 및 메쉬의 설치가 어려운 터널 및 댐 공사 현장에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수분이 다량 존재하는 터널 등의 공사현장에 사용시 강섬유가 쉽게 부식되고, 고가이고, 비중이 높아 콘크리트 내에서의 분산성이 떨어지고, 콘크리트의 하중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미국등록특허 5,749,961호 및 대만민국 공개특허 2003-47669호 등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보강재료로서 강섬유 등의 강재 보강재료 대신에 합성섬유를 사용하는 방안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합성섬유는 강섬유에 비해 비중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하면서도 콘크리트의 균열저항,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강섬유보다 더 보강시켜 주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합성섬유는 콘크리트의 휨강도나 휨성능 등의 기본적인 구조성능을 향상시키지는 못하고 콘크리트의 균열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만을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합성섬유가 콘크리트의 기본적인 구조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합성섬유의 사용량을 증가해야 하나, 사용량이 증가하면 콘크리트내 분산이 어려워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휨강도 등의 물성이 저하되고 콘크리트와 부착성도 저하된다.
한편, 콘크리트의 보강재료로서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고강도 폴리올레 핀 섬유 등과 같은 고강도를 갖는 합성섬유를 사용하는 방법도 일부 실시되고 있으나, 이경우 콘크리트의 기본적인 구조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알수 없으면서 가격만 고가인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까지는 콘크리트의 기본적인 구조성능은 개선하지 못하지만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콘크리트의 보강재료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섬유자체의 인장강도는 양호하나 자체의 소수성으로 인해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이 떨어져 섬유자체의 인장강도를 충분하게 발휘하지 못해서 콘크리트의 균열저항,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크게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일본공개특허 제2002-137942호 등에서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보강재료로 사용시 발생되는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사각형 또는 삼각형 단면을 가지는 폴리아미드 섬유에 꼬임을 부여한 후, 이를 콘크리트 보강재료로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의 폴리아미드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보다 친수성이기 때문에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은 우수하나, 섬유 자체의 강신도 및 내마모성 특성이 낮고, 콘크리트 내의 분산성이 부족하여 콘크리트의 균열저항,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삼각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갖고 꼬임이 부여된 폴리아미드 섬유는 원형 단면을 갖는 섬유보다는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콘크리트 내에서의 분산성 과 콘크리트와의 접착성이 어느정도 향상되지만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데에는 한계가 있었고, 꼬임 부여로 인해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 등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내의 분산성과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이 우수하고, 콘크리트와의 접착면적이 넓어지고, 섬유자체의 강신도 및 내마모 특성이 뛰어나 콘크리트의 균열저항,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는 섬유 단면상에서 3~16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섬유 단면의 외접원 지름을 섬유 단면의 내접원 지름으로 나눈 값(MR율)이 1.5~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일례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2(a) 내지 (f)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2(a)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 단면상에 3~16개의 돌 기부(나사산)를 갖는다.
상기 돌기부가 16개를 초과하면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은 증가하나 방사시 섬유 단면 제거가 어렵고 스웰링(Swelling) 현상으로 섬유 단면이 원형에 가깝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상기 돌기부가 3개 미만이면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돌기부의 갯수는 섬유단면상의 내접원 밖으로 돌출된 섬유단면 부분의 갯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섬유 단면의 외접원(A) 지름을 섬유 단면의 내접원(B) 지름으로 나눈 값(이하 "MR율"이라고 한다)이 1.5~3.0이다.
상기 MR율은 섬유 단면의 이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아래식으로 구해지며 내접원의 지름(2r)에 대한 외접원의 지름(2R)의 비율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86625356-pat00001
MR율이 1.5 미만인 경우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이 좁아져 콘크리트의 인장강도와 균열저항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미흡하게 되고, MR율이 3.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보강용 섬유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는 콘크리트 보강시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원형 단면의 폴리아미드 섬유 등과 같이 본 발명의 조건들을 만족하지 않는 폴리아미드 섬유 등과 함께 혼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는 상대점도(RV)가 2.9 이상,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3.2 이상으로서, 아래와 같은 측정조건으로 측정한 강도가 7.5g/d 이상이고, 신도가 50~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강신도 측정조건
만능 섬유 인장시험기에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를 5㎜의 게이지 길이(Gauge length)로 파지한 후 300㎎의 장력 무게(Tension weight)와 50㎜/분의 헤드 스피드로 강도 및 신도를 20회 측정하여 이들의 평균값으로 한다.
상대점도(RV)가 상기 범위 보다 낮으면 섬유자체의 강도 및 내마모 특성이 저하되고, 섬유 자체의 강도 및 신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콘크리트의 균열 저항 들을 개선하는 효과가 약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는 5~15개/인치의 클림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림프의 개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콘크리트와의 접촉상태가 나빠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는 길이가 12~25㎜이고, 섬도가 3~10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가 12㎜ 미만이면 콘크리트와 섬유가 접촉하는 면적이 좁아져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의 개선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내 섬유의 분산성이 떨어져 섬유가 서로 엉키는 현상이 번발하여 콘크리트 물성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섬도가 3데니어 미만인 경우에는 섬유의 표면적이 증가해서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는 장점은 있으나, 섬유 자체의 강도가 저하되고 콘크리트내 섬유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섬도가 10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단위면적당 섬유 개수가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콘크리트에서 취약부가 형성될 위험이 발생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섬유 고유의 물성인 내알칼리성, 친수성, 진동감소성 등을 구비하여 콘크리트의 각종물성을 더욱 개선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는 콘크리트 1㎥당 0.25~1㎏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콘크리트 1㎥당 0.25㎏ 미만을 사용하면 콘크리트 보강효과가 저하되고, 1㎏을 초과하여 사용하면 콘크리트내 섬유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및 슬럼프(Slump)가 저하된다.
본 발명은 섬유자체가 친수성임과 이형단면을 구비하여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고, 콘크리트 내에서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 자체의 강신도 및 내마모 특성도 우수하다.
그로인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균열저항,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62㎏의 물, 330㎏의 시멘트, 868㎏의 모래 및 964㎏의 골재를 배합하여 1㎥의 단위면적을 갖는 콘크리트를 제조할때 보강재료로서 돌기부가 3개이고, MR율이 2.8인 폴리아미드 6 섬유를 0.6㎏ 첨가하였다.
상기 폴리아미드 6 섬유는 상대점도(RV)가 3.2이고 길이가 19m이고, 섬도가 4데니어이고, 5㎜의 게이지 길이로 앞에서 설명한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강도가 7.9g/d이고, 신도가 70%이고, 클림프 개수가 8개/인치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콘크리트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2
162㎏의 물, 330㎏의 시멘트, 868㎏의 모래 및 964㎏의 골재를 배합하여 1㎥의 단위면적을 갖는 콘크리트를 제조할때 보강재료로서 돌기부가 5개이고, MR율이 2.3인 폴리아미드 6 섬유를 0.48㎏과 원형 단면의 폴리아미드 6 섬유 0.12㎏을 첨가하였다.
상기 폴리아미드 6 섬유들은 상대점도(RV)가 3.2이고 길이가 19m이고, 섬도 가 4데니어이고, 5㎜의 게이지 길이로 앞에서 설명한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강도가 7.9g/d이고, 신도가 70%이고, 클림프 개수가 8개/인치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콘크리트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3
162㎏의 물, 330㎏의 시멘트, 868㎏의 모래 및 964㎏의 골재를 배합하여 1㎥의 단위면적을 갖는 콘크리트를 제조할때 보강재료로서 돌기부가 8개이고, MR율이 2.0인 폴리아미드 6 섬유를 0.3㎏과 원형 단면의 폴리아미드 6 섬유 0.3㎏을 첨가하였다.
상기 폴리아미드 6 섬유들은 상대점도(RV)가 3.2이고 길이가 19m이고, 섬도가 4데니어이고, 5㎜의 게이지 길이로 앞에서 설명한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강도가 7.9g/d이고, 신도가 70%이고, 클림프 개수가 8개/인치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콘크리트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4
162㎏의 물, 330㎏의 시멘트, 868㎏의 모래 및 964㎏의 골재를 배합하여 1㎥의 단위면적을 갖는 콘크리트를 제조할때 보강재료로서 돌기부가 12개이고, MR율이 1.8인 폴리아미드 6 섬유를 0.3㎏과 원형 단면의 폴리아미드 6 섬유 0.3㎏을 첨가하였다.
상기 폴리아미드 6 섬유들은 상대점도(RV)가 3.2이고 길이가 19m이고, 섬도 가 4데니어이고, 5㎜의 게이지 길이로 앞에서 설명한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강도가 7.9g/d이고, 신도가 70%이고, 클림프 개수가 8개/인치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콘크리트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1
콘크리트 제조시 보강재료로서 실시예 1의 폴리아미드 6 섬유를 전혀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콘크리트의 각종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2
콘크리트 제조시 보강재료로서 섬유 표면에 원형 단면의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0.6㎏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콘크리트의 각종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3
162㎏의 물, 330㎏의 시멘트, 868㎏의 모래 및 964㎏의 골재를 배합하여 1㎥의 단위면적을 갖는 콘크리트를 제조할때 보강재료로서 원형 단면을 갖고, 상대점도(RV)가 2.9이고, 길이가 19㎜이고, 섬도가 6데니어인 통상의 폴리아미드 6 섬유를 0.6㎏ 첨가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콘크리트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콘크리트 물성 평가 결과
구분 실시예 비교실시예
1 2 3 4 1 2 3
슬럼프(㎝) 18.2 18.1 18.0 18.0 18.5 18.0 18.0
공기 함유율(%) 4.9 4.6 4.5 4.5 4.8 4.7 4.9
압축 강도
(MPa)
15시간 4.09 3.88 4.12 3.98 4.37 4.07 4.06
18시간 6.07 6.02 6.12 6.48 6.13 5.37 6.03
1일 10.9 12.0 12.1 12.3 11.2 8.63 11.5
3일 24.8 26.8 25.5 27.0 24.9 24.1 25.1
7일 33.9 34.6 34.8 35.2 32.7 30.1 31.1
인장 강도
(MPa)
1일 1.48 1.50 1.44 1.49 1.38 1.15 1.35
3일 2.55 2.69 2.68 2.77 2.58 2.74 2.55
7일 3.18 3.20 3.22 3.38 2.86 2.81 2.90
분산성 -
균열 저항성 균열발생폭(㎜) 0.05 이하 0.05 이하 0.05 이하 0(균열없슴) 0.07 0.07 0.06
전체균열 발생길이 (㎝) 5 12 8 0(균열없슴) 104 114 92
본 발명에 있어서 각종 물성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슬럼프(Slump)
KS F 2402 방법으로 측정한다.
·공기함유율(%)
KS F 2421 방법으로 측정한다.
·압축강도( MPa )
KS F 2405 방법으로 측정한다.
·인장강도( MPa )
KS F 2423 방법으로 측정한다.
·분산성
JCI-SF 7의 시험 방법에 따라서 단위면적의 콘크리트 배합물을 물로 다시 씻으면서 채로 걸러 그 안에 포함된 보강용 섬유를 채집한 후 건조하여 중량을 측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해진 보강용 섬유의 중량이 투입량 대비 ±10% 이내이면 ◎로, ±20% 이내이면 ○로,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Ⅹ로 각각 구분하였다.
·균열저항성
균열저항성은 1m×1m×10㎝ 거푸집에 안쪽으로 높이 5㎝, 가로, 세로가 거푸집보다 10㎝씩 작은 구속용 철근을 넣고 배합물을 넣고 양생을 시킨다. 실험실 평균온도는 30℃. 평균습도는 35%에서 1주일간 양생후 측정하였다. 균열저항성의 표기는 균열이 발생한 부위의 균열발생폭의 평균과 전체 균열 발생길이의 총합으로 표기하여 전체 균열발생길이로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중 일례의 단면 모식도.
도 2(a) 내지 (f)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의 단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F :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A :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의 외접원
B :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의 내접원
R : 외접원(A)의 반지름
r : 내접원(B)의 반지름

Claims (7)

  1. 섬유 단면상에서 3~16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섬유 단면의 외접원 지름을 섬유 단면의 내접원 지름으로 나눈 값(MR율)이 1.5~3.0이고, 5㎜의 게이지 길이(Gauge length)로 측정한 신도가 50~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는 상대점도(RV)가 2.9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는 5㎜의 게이지 길이(Gauge length)로 측정한 강도가 7.5g/d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는 길이가 12~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는 섬도가 3~10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는 클림프 개수가 5~15개/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KR1020070123702A 2007-11-30 2007-11-30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KR101016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702A KR101016004B1 (ko) 2007-11-30 2007-11-30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702A KR101016004B1 (ko) 2007-11-30 2007-11-30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514A KR20090056514A (ko) 2009-06-03
KR101016004B1 true KR101016004B1 (ko) 2011-02-23

Family

ID=4098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702A KR101016004B1 (ko) 2007-11-30 2007-11-30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0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762B1 (ko) 2011-11-21 2013-03-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강섬유망 분절편을 연결끈으로 엮어서 배치하여 강성을 보강한 콘크리트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21071A1 (it) 2012-06-20 2013-12-21 Marco Goretti Fibre per l'impiego in manufatti a base cementizia
KR101670630B1 (ko) * 2016-04-19 2016-10-28 최일호 다수의 줄홈을 갖는 강화섬유, 상기 강화섬유가 혼합된 모르타르 및 아스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2740A (ja) * 1994-03-10 1995-10-03 Toray Ind Inc エアバッグ用基布
JP2002137942A (ja) * 2000-07-28 2002-05-14 Toray Ind Inc コンクリート補強繊維
KR20050041351A (ko) * 2003-10-30 2005-05-04 주식회사 효성 비피복 에어백용 저수축 삼각단면 폴리아미드 섬유
KR100841884B1 (ko) 2001-03-14 2008-06-27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알.엘 고광택을 갖는 용융 방사된 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2740A (ja) * 1994-03-10 1995-10-03 Toray Ind Inc エアバッグ用基布
JP2002137942A (ja) * 2000-07-28 2002-05-14 Toray Ind Inc コンクリート補強繊維
KR100841884B1 (ko) 2001-03-14 2008-06-27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알.엘 고광택을 갖는 용융 방사된 실
KR20050041351A (ko) * 2003-10-30 2005-05-04 주식회사 효성 비피복 에어백용 저수축 삼각단면 폴리아미드 섬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762B1 (ko) 2011-11-21 2013-03-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강섬유망 분절편을 연결끈으로 엮어서 배치하여 강성을 보강한 콘크리트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514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2221B1 (en) Steel fibre reinforced concrete
EP2652222B1 (en) Steel fibre reinforced concrete
EP2168931B1 (en)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products made therefro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im et al. Effects of geometry and hybrid ratio of steel and polyethylene fibers on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ultra-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Noushini et al. Flexural toughness and ductility characteristics of polyvinyl-alcohol fibre reinforced concrete (PVA-FRC)
WO2016047870A1 (ko) 시멘트계 재료 보강용 아치형 강섬유
KR101016004B1 (ko)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KR100932108B1 (ko)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Khalil et al. Behavior of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oncrete columns
KR20100035257A (ko) 콘크리트 보강용 라이오셀 섬유
KR101224141B1 (ko) 섬유보강 콘크리트 보
Labib et al. An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fibres in concrete industrial ground-floor slabs
KR20090010734A (ko) 섬유보강콘크리트용 강섬유
KR102103533B1 (ko) 콘크리트보강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KR100333443B1 (ko) 와이어매쉬 및 양단후크형 강섬유 보강 고기능 포장용투수콘크리트와 박층패널의 제조방법
KR101686894B1 (ko) 보강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Lima Júnior et al. Steel-fibre high-strength concrete prisms confined by rectangular ties under concentric compression
EP3517515B1 (en) Fiber bundle for reinforcement of a cementitious matrix, its uses and method of obtention
HASGÜL et al. Replacement of Stirrups by Steel Fibers in Shear Dominant UHPFRC Beams
KR20090020272A (ko)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JP6214393B2 (ja) 複数微細ひび割れ型繊維補強セメント複合材料
KR20090020271A (ko) 콘크리트 보강용 폴리아미드 섬유
Khan et al. Flexural Performance of Composite RC Beams Having an ECC Layer at the Tension Face
JP2021130603A (ja) 繊維補強コンクリート
Basha et al. Comparative study on effect of steel and glass fibers on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of concr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