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127B1 - 차량용 고전압배터리 안전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고전압배터리 안전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127B1
KR101014127B1 KR1020080122725A KR20080122725A KR101014127B1 KR 101014127 B1 KR101014127 B1 KR 101014127B1 KR 1020080122725 A KR1020080122725 A KR 1020080122725A KR 20080122725 A KR20080122725 A KR 20080122725A KR 101014127 B1 KR101014127 B1 KR 101014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voltage battery
vehicle
cooling fan
managemen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4228A (ko
Inventor
김달
박진호
최제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1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4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고전압배터리가 임의의 원인에 의해 과충전 상태로 되어, 그 내부로부터 가연성가스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 및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고전압배터리 안전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과충전, 가연성 가스, 전류차단, 냉각팬

Description

차량용 고전압배터리 안전관리 방법{Safety Management Method for High Voltage Battery}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고전압배터리에 관한 안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전압배터리의 과충전에 의해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로부터 차량 및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차량 등과 같이 차량 내에 고전압배터리를 탑재하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 고전압배터리는 과충전 상태가 되면, 내부의 전해액 분해 등의 원인으로 가연성 가스가 발생된다.
만약 상기한 바와 같이 발생된 가연성 가스가 차량의 실내로 유입된 상태에서 임의의 원인으로 점화가 이루어지면 치명적인 사고를 수반하게 된다.
종래에는 고전압배터리가 과충전 상태임이 판단되면, 고전압배터리에 관련된 모든 전기장치의 전류를 차단하게 되는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배터리에 과충전이 발생되면, 고전압배터리를 이루고 있는 배터리셀들이 부풀기 시작하고, 이에 의해 고전압배터리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며, 이 상황이 더 진행되면, 배터리셀 및 셀커버에 변형이 발생되고 배터리셀간 연결부에 장력이 발생되어 배터리셀간 연결부가 파단되게 되는 바, 고전압배터리에 관련한 전원을 차단하여 더 이상의 과충전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전압배터리 냉각구조에서는 상기 전원 차단시 냉각팬(500)의 전류까지 차단하게 되어, 상기 고전압배터리(502)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는 상기 고전압배터리(502)와 냉각팬(500) 사이의 통로(504)가 밀폐구조가 아니므로 이를 통해서 배출되거나, 상기 고전압배터리(502)의 냉각을 위해 냉각용 공기가 유입되던 경로를 역류하여 차량의 실내로 누출되게 된다.
참고로, 도 2에서 실선 화살표는 정상적인 경우에 냉각풍에 의해 고전압배터리(502)가 냉각되는 상황을 표시하고 있고, 점선 화살표는 과충전 발생시 고전압배터리(502)에 관련된 모든 전기장치의 전원 차단에 따라 냉각팬(500)까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고전압배터리(502)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가 실내로 누출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연성 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상황을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탑승자와 차량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려우므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에 탑재된 고전압배터리가 임의의 원인에 의해 과충전 상태로 되어, 그 내부로부터 가연성가스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 및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고전압배터리 안전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 차량용 고전압배터리 안전관리 방법은
고전압배터리가 과충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배터리상태파악단계와;
과충전 상태인 경우, 냉각팬을 제외한 상기 고전압배터리에 관련된 모든 전기장치의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차단단계와;
상기 냉각팬의 속도를 조절하는 냉각팬속도조절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팬속도조절단계에서는, 상기 배터리상태파악단계 수행결과 상기 고전압배터리가 과충전 상태인 경우, 상기 냉각팬을 최고 속도로 동작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배터리 냉각구조는
공기를 흡입하여 고전압배터리를 이루는 배터리셀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고전압배터리를 냉각시키는 고전압배터리 냉각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배터리와 냉각팬 사이의 덕트는 외부에 대해 밀폐구조를 가지도 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고전압배터리가 임의의 원인에 의해 과충전 상태로 되어, 그 내부로부터 가연성가스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 및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차량용 고전압배터리 안전관리 방법은 고전압배터리가 과충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배터리상태파악단계(S11)와; 과충전 상태인 경우, 냉각팬을 제외한 상기 고전압배터리에 관련된 모든 전기장치의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차단단계(S12)와; 상기 냉각팬의 속도를 조절하는 냉각팬속도조절단계(S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팬속도조절단계(S13)에서는, 상기 배터리상태파악단계 수행결과 상기 고전압배터리가 과충전 상태인 경우, 상기 냉각팬을 최고 속도로 동작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즉, 종래에는 고전압배터리가 과충전 상태라고 파악되면, 상기 냉각팬을 포함하여 고전압배터리와 관련된 모든 전기장치에 전류를 차단하는 것으로 과충전에 대한 대책이 이루어졌으나, 이와 같은 조치만으로는 이미 과충전에 의해 고전압배터리에서 발생된 가연성 가스가 미처 차량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 상태에서 냉각 팬이 정지됨으로 인해 차량의 내부로 누출되어 발화의 위험성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각팬만은 오히려 최대의 전류를 공급하여 최고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신속하게 가연성 가스를 차량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전압배터리의 과충전에 대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책은 가연성 가스의 차 실내 유입에 따른 위험성을 배제하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배터리 냉각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고전압배터리(7)와 냉각팬(9) 사이의 덕트(11)는 외부에 대해 밀폐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종래의 고전압배터리(7) 냉각구조는 상기 고전압배터리(7)를 이루는 배터리셀들과 상기 냉각팬(9) 사이의 덕트(11)가 특별히 밀폐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아서, 이곳을 통해 상기 고전압배터리(7)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실내로 누출될 염려가 있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고전압배터리(7)와 냉각팬(9) 사이의 덕트(11)를 완전 밀폐형 구조로 하고, 상기와 같이 고전압배터리(7)의 과충전이 판단되면, 상기 냉각팬(9)을 최고 속도로 회전시켜 발생된 가연성 가스를 모두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고전압배터리의 과충전에 따른 변화와 대책을 설명한 순서도,
도 2는 종래의 고전압배터리 냉각구조의 문제점을 설명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배터리 안전관리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배터리 냉각구조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S11; 배터리상태파악단계 S12; 전류차단단계
S13; 냉각팬속도조절단계 7; 고전압배터리
9; 냉각팬 11; 덕트

Claims (3)

  1. 고전압배터리가 과충전 상태인지를 판단한 후, 과충전 상태일때 냉각팬의 속도를 조절하는 차량용 고전압배터리 안전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의 속도를 조절하기전, 상기 냉각팬을 제외한 상기 고전압배터리에 관련된 모든 전기장치의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차단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냉각팬의 속도 조절시 상기 고전압배터리의 과충전 상태에서 상기 냉각팬을 최고 속도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전압배터리 안전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80122725A 2008-12-04 2008-12-04 차량용 고전압배터리 안전관리 방법 KR101014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725A KR101014127B1 (ko) 2008-12-04 2008-12-04 차량용 고전압배터리 안전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725A KR101014127B1 (ko) 2008-12-04 2008-12-04 차량용 고전압배터리 안전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228A KR20100064228A (ko) 2010-06-14
KR101014127B1 true KR101014127B1 (ko) 2011-02-14

Family

ID=4236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725A KR101014127B1 (ko) 2008-12-04 2008-12-04 차량용 고전압배터리 안전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1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133B1 (ko) * 2012-08-29 2014-02-24 세종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보호를 위한 제어 시스템 및 시스템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3507A (ja) * 2001-01-26 2002-08-09 Toyota Motor Corp 車両用電源装置
KR100471250B1 (ko) * 2002-08-23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냉각 팬 제어장치 및 방법
JP3988324B2 (ja) * 1999-07-02 2007-10-10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の異常判定装置及び組電池の異常判定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8324B2 (ja) * 1999-07-02 2007-10-10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の異常判定装置及び組電池の異常判定方法
JP2002223507A (ja) * 2001-01-26 2002-08-09 Toyota Motor Corp 車両用電源装置
KR100471250B1 (ko) * 2002-08-23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냉각 팬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228A (ko) 2010-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905B2 (en) Device for preventing fire in battery pack used for electric vehicle
US8547069B2 (en) Safety switch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for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for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KR102307756B1 (ko)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 어셈블리, 배터리, 및 파워 배터리 팩
US10763488B2 (en) Overcharge protection assembly for a battery module
JP2019180235A (ja) バッテリー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スイッチング方法
JP5119302B2 (ja) 電池パック内での使用のための能動的熱暴走緩和システム
US8944198B2 (en) Exhaust system for battery in vehicle
JP6162899B2 (ja) 過電圧保護装置を備えたバッテリセル
KR101583679B1 (ko) 차량용 이차전지 배터리팩의 냉각장치
JP2010192209A (ja) 二次電池およびこれを備えた組電池
JP6279493B2 (ja) 電池システム
JP2013528921A (ja) ヒューズを用いた高電圧バッテリーのセンシングラインの短絡による二次事故防止装置
KR20090131573A (ko) 배터리 과충전시 전원차단장치
EP3341986B1 (en) Overcharge protection for a battery module
KR20150083497A (ko) 가스 배출 방향 제어 수단을 구비한 전지모듈
KR101014127B1 (ko) 차량용 고전압배터리 안전관리 방법
KR102479561B1 (ko) 전지 에너지 저장 모듈의 안전 보호와 제어 방법 및 소자
KR101627473B1 (ko) 친환경자동차에서 리튬-이온배터리의 유해가스 차단장치
JP6760091B2 (ja) 電源装置及び電源システム
KR102023716B1 (ko) 차량용 배터리시스템
KR20210128597A (ko) 배터리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14271A (ko) 차량 배터리용 에어 덕트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531012B1 (ko) 소화약제 배관을 포함하는 전기 모빌리티 충전용 케이블 및 이와 결합된 인렛, 커넥터 및 배터리팩
Tikar Compliance of ISO 26262 safety standard for lithium ion battery and its battery management system in hybrid electric vehicle
KR101583434B1 (ko) 친환경자동차에서 리튬-이온배터리의 유해가스 차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