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609B1 - 레저용 텐트 - Google Patents

레저용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609B1
KR101013609B1 KR1020100024968A KR20100024968A KR101013609B1 KR 101013609 B1 KR101013609 B1 KR 101013609B1 KR 1020100024968 A KR1020100024968 A KR 1020100024968A KR 20100024968 A KR20100024968 A KR 20100024968A KR 101013609 B1 KR101013609 B1 KR 101013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ir
support member
auxiliary
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겸
Original Assignee
김의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겸 filed Critical 김의겸
Priority to KR1020100024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1Hunting, fishing h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3Bathing or beach cabins

Abstract

레저용 텐트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레저용 텐트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 바아와,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바아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제 1 지지 부재;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 바아와,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 바아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2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제 2 지지 부재; 상기 각 제 1 지지 바아와 상기 각 제 2 지지 바아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각 제 1 지지 바아와 상기 각 제 2 지지 바아의 회동 중심이 되는 한 쌍의 회동 부재; 상기 각 회동 부재에 연결된 상기 각 제 1 지지 바아와 상기 각 제 2 지지 바아 사이에 배치되고 그 각 일단이 상기 각 회동 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 지지 바아와, 상기 한 쌍의 보조 지지 바아의 상부를 연결하는 보조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지 부재; 및 상기 제 1 지지 부재, 상기 제 2 지지 부재 및 상기 보조 지지 부재가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펼쳐진 경우, 상기 제 1 지지 부재, 상기 제 2 지지 부재 및 상기 보조 지지 부재를 덮어 그늘을 형성하는 그늘 형성막;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레저용 텐트에 의하면, 한 쌍의 회동 부재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제 1 지지 부재, 제 2 지지 부재 및 보조 지지 부재가 한 쌍의 회동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 1 지지 부재, 제 2 지지 부재 및 보조 지지 부재의 회동 정도가 가변될 수 있어서, 레저용 텐트가 설치되는 지면의 상태 등에 적합하게 레저용 텐트가 펼쳐지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레저용 텐트가 그 설치되는 지면의 상태 등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각 지지 부재 사이의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논둑, 밭둑, 경사진 곳 등 그 설치면이 협소한 곳에도 레저용 텐트가 그 설치면의 지형에 적합하게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레저용 텐트{Tent for leisure}
본 발명은 레저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
레저용 텐트는 접어서 휴대할 수 있고, 야외의 지면 상에 설치되어 그늘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레저 활동이 일반화되면서, 이러한 레저용 텐트의 활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레저용 텐트에서는, 텐트의 상부 중앙에서 서로 교차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를 지면 상에 각각 고정하고, 그 복수 개의 지지대에 그늘막을 덮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복수 개의 지지대 모두를 완전히 펼쳐서 지면 상에 각각 고정하여야만 그늘막을 덮을 수 있게 되므로, 레저용 텐트가 설치되는 지면이 좁은 경우 등 레저용 텐트가 설치되는 지면의 상태가 레저용 텐트를 완전히 펼칠 수 없는 경우에는 레저용 텐트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없거나, 심지어 그 설치조차 불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레저용 텐트의 펼침 정도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레저용 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레저용 텐트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 바아와,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바아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제 1 지지 부재;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 바아와,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 바아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2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제 2 지지 부재; 상기 각 제 1 지지 바아와 상기 각 제 2 지지 바아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각 제 1 지지 바아와 상기 각 제 2 지지 바아의 회동 중심이 되는 한 쌍의 회동 부재; 상기 각 회동 부재에 연결된 상기 각 제 1 지지 바아와 상기 각 제 2 지지 바아 사이에 배치되고 그 각 일단이 상기 각 회동 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 지지 바아와, 상기 한 쌍의 보조 지지 바아의 상부를 연결하는 보조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지지 부재; 및 상기 제 1 지지 부재, 상기 제 2 지지 부재 및 상기 보조 지지 부재가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펼쳐진 경우, 상기 제 1 지지 부재, 상기 제 2 지지 부재 및 상기 보조 지지 부재를 덮어 그늘을 형성하는 그늘 형성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레저용 텐트에 의하면, 한 쌍의 회동 부재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제 1 지지 부재, 제 2 지지 부재 및 보조 지지 부재가 한 쌍의 회동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 1 지지 부재, 제 2 지지 부재 및 보조 지지 부재의 회동 정도가 가변될 수 있어서, 레저용 텐트가 설치되는 지면의 상태 등에 적합하게 레저용 텐트가 펼쳐지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레저용 텐트가 그 설치되는 지면의 상태 등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레저용 텐트에 의하면, 그늘 연장 지지 부재와 그늘 연장막이 더 구비됨에 따라, 제 1 지지 부재, 제 2 지지 부재, 보조 지지 부재 및 그늘 형성막에 의해 형성되는 그늘에, 그늘 연장 지지 부재와 그늘 연장막에 의해 형성되는 그늘이 연장하여 형성됨으로써, 레저용 텐트의 그늘 형성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텐트의 프레임이 펼쳐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텐트의 프레임에 그늘 형성막이 덮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텐트의 프레임에 그늘 형성막이 덮인 모습을 보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텐트에 적용되는 회동 부재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텐트의 프레임이 펼쳐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텐트의 프레임에 그늘 형성막이 덮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저용 텐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텐트의 프레임이 펼쳐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텐트의 프레임에 그늘 형성막이 덮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텐트의 프레임에 그늘 형성막이 덮인 모습을 보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텐트에 적용되는 회동 부재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텐트(100)는 제 1 지지 부재(110)와, 제 2 지지 부재(120)와,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와, 한 쌍의 회동 부재(160)와, 그늘 형성막(17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와,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와, 상기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는 상기 레저용 텐트(100)의 프레임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는 소정 길이,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 바아(111)와,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바아(111)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바아(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는 소정 길이,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길이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 바아(121)와,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 바아(121)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2 연결 바아(122)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160)는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바아(111)와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 바아(121) 중 서로 겹치는 각 제 1 지지 바아(111)와 각 제 2 지지 바아(121)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각 제 1 지지 바아(111)와 상기 각 제 2 지지 바아(121)의 회동 중심이 된다.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는 상기 각 회동 부재(160)에 연결된 상기 각 제 1 지지 바아(111)와 상기 각 제 2 지지 바아(121) 사이에 배치되고 그 각 일단이 상기 각 회동 부재(16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각 한 쌍의 보조 지지 바아(131, 141, 151)와, 상기 각 한 쌍의 보조 지지 바아(131, 141, 151)의 상부를 연결하는 각 보조 연결 바아(132, 142, 1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는 세 개가 적용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단수 개, 두 개 또는 네 개 이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바아(111), 상기 제 1 연결 바아(112),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 바아(121), 상기 제 2 연결 바아(122), 상기 각 한 쌍의 보조 지지 바아(131, 141, 151) 및 상기 각 보조 연결 바아(132, 142, 152)는 각각 소정 직경을 가지고 내부가 빈 경량의 관 또는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160) 중 일 측 회동 부재에는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바아(111) 중 일 측 제 1 지지 바아와,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 바아(121) 중 일 측 제 2 지지 바아와, 상기 각 한 쌍의 보조 지지 바아(131, 141, 151) 중 각 일 측 보조 지지 바아가 겹쳐지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160) 중 타 측 회동 부재에는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바아(111) 중 타 측 제 1 지지 바아와,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 바아(121) 중 타 측 제 2 지지 바아와, 상기 각 한 쌍의 보조 지지 바아(131, 141, 151) 중 각 타 측 보조 지지 바아가 겹쳐지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들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바아(111),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 바아(121) 및 상기 각 한 쌍의 보조 지지 바아(131, 141, 151)에서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160) 주변에 해당되는 부분들은 관 또는 봉의 형태가 아닌, 상대적으로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겹쳐질 수 있다.
상기 회동 부재(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볼트(161)와, 결합 너트(162)와, 복수 개의 와셔(163)와, 탄성 부재인 스프링(164)과, 이탈 방지부(165)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결합 볼트(161)에는 상기 복수 개의 와셔(163)가 끼워지고, 상기 복수 개의 와셔(163)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164)이 삽입되며, 상기 결합 볼트(161)의 말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너트(162)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 너트(162)가 상기 결합 볼트(161)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이탈 방지부(165)가 상기 결합 볼트(161) 말단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 볼트(161)의 머리부와 그와 접하는 지지 바아, 예를 들어 상기 제 1 지지 바아(111)는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결합 볼트(161)가 헛돌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 1 지지 바아(111), 상기 제 2 지지 바아(121),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바아(131, 141, 151)를 상기 결합 볼트(161)가 관통한 다음, 상기 복수 개의 와셔(163), 상기 스프링(164), 상기 결합 너트(162) 및 상기 이탈 방지부(165)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와셔(163) 중 상기 결합 볼트(161)의 머리부와 대면되는 와셔와 상기 결합 볼트(161)의 머리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제 1 지지 바아(111), 상기 제 2 지지 바아(121),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바아(131, 141, 151)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164)의 적용으로 상기 제 1 지지 바아(111), 상기 제 2 지지 바아(121),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바아(131, 141, 151) 사이가 더욱 긴밀하게 압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너트(162)가 상기 결합 볼트(161)로부터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지지 바아(111), 상기 제 2 지지 바아(121),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바아(131, 141, 151)는 서로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게 되고, 상기 결합 너트(162)가 상기 결합 볼트(161)에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지지 바아(111), 상기 제 2 지지 바아(121),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바아(131, 141, 151)는 서로 구속되어 회동이 억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 너트(162)가 풀린 상태에서 상기 제 1 지지 바아(111), 상기 제 2 지지 바아(121),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바아(131, 141, 151)가 회동되어 상기 레저용 텐트(100)가 펼쳐질 수 있고, 상기 결합 너트(162)가 조여진 상태에서 상기 레저용 텐트(100)의 펼쳐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160)를 중심으로 회동될 때,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가 동일 면 상에서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는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 내에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도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 내에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각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 간에도 서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서로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가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레저용 텐트(100)의 이동 및 취급이 편리해질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회동 부재(160)를 기준으로 상부에서, 도시된 순서대로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가 가장 작고, 상기 하나의 보조 지지 부재(130)가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가 상기 하나의 보조 지지 부재(130)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보조 지지 부재(140)가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 상기 하나의 보조 지지 부재(130),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보조 지지 부재(140)가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 부재(160)를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기 또 다른 하나의 보조 지지 부재(150)가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또 다른 하나의 보조 지지 부재(150),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가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지지 부재(150)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각 단이 다른 단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돌출됨으로써, 상기 보조 지지 부재(15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조 지지 부재(150) 외에 다른 보조 지지 부재(130, 140),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도 상기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각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레저용 텐트(100)가 설치되는 지면의 평평한 정도 등에 따라 각 부재의 길이가 간편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레저용 텐트(100)의 설치가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레저용 텐트(100)가 그 설치되는 지면의 상태에 따라, 그 높낮이나 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서, 그 지형에 적합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단의 보조 지지 부재(150)가 그 길이가 확정된 이후에는 임의로 그 길이가 변경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각 단에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홀(102)이 복수 개 형성되고, 그 복수 개의 홀(102) 중 서로 맞물리는 홀에 핀 등의 고정 수단이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 중 하나의 보조 지지 부재(150)의 보조 연결 바아(15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닿아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 및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와 함께 상기 레저용 텐트(100)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시킨다.
도면 번호 101은 상기 제 1 지지 바아(111)와 상기 제 2 지지 바아(121)에서 지면과 닿는 말단에 형성되는 지중 삽입부로서, 뾰족한 형태를 이루어 지중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레저용 텐트(100)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시킨다.
상기 제 1 지지 바아(111), 상기 제 2 지지 바아(121),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바아(131, 141, 151)가 상기 회동 부재(160)를 중심으로 서로 회동되어,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 및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가 되면, 그 펼쳐진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 및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를 상기 그늘 형성막(170)이 덮어서 그 하부 공간에 그늘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늘 형성막(170)의 몸체(171)는 상기 제 1 연결 바아(112), 상기 제 2 연결 바아(122) 및 상기 각 보조 연결 바아(132, 142, 152) 사이 공간을 모두 덮으면서, 그 각 측면에서 하측으로 늘어져서, 상기 제 1 지지 바아(111), 상기 제 2 지지 바아(121),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바아(131, 141, 151)의 대부분을 덮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1 연결 바아(112)와 상기 제 1 지지 바아(111)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된 공간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레저용 텐트(100) 내부로 출입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레저용 텐트(100)의 다른 면들이 모두 덮여 상기 레저용 텐트(100) 내부에 그늘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늘 형성막(170)의 몸체(171) 각 하단에는 복수 번 접힌 부분(172)이 있고, 상기 복수 번 접힌 부분(172)은 밸크로파스너, 똑딱단추 등의 고정 수단(173)으로 고정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 수단(173)을 해제시키고, 상기 복수 번 접힌 부분(172)을 더 펼치거나, 상기 몸체(171) 각 하단을 더 접음으로써, 상기 그늘 형성막(170)의 몸체(171)의 늘어지는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각 지지 바아(111, 121, 131, 141, 151), 각 연결 바아(112, 122, 132, 142, 152) 등에는 상기 그늘 형성막(170)의 몸체(171) 각 부분이 고정될 수 있도록 밸크로파스너, 똑딱단추 등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늘 형성막(170)에는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 및 상기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가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160)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정도가 다른 경우, 즉 그 펼쳐지는 정도가 다른 경우에도 상기 그늘 형성막(170)이 처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그늘 형성막(170)에 탄성을 제공하는 고무줄 등의 탄성 제공 부재(18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제공 부재(180)는 상기 그늘 형성막(170)의 몸체(171)에서 상기 각 연결 바아(112, 122, 132, 142, 152) 사이의 공간을 덮는 부분을 따라 상기 몸체(171)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레저용 텐트(100)가 펼쳐지는 정도가 다른 경우, 즉 많이 펼쳐지는 경우이든, 적게 펼쳐지는 경우이든 상기 그늘 형성막(170)에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그늘 형성막(170)의 여분의 부분이 주름지게 하여, 상기 그늘 형성막(170)이 처지지 아니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상기 레저용 텐트(100)의 작동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160)에서 결합 너트(162)가 풀어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160)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가 펼쳐지도록 회동되어, 상기 레저용 텐트(100)의 프레임이 그 설치되는 지면의 크기 등 그 지면의 상태 등에 적합하게 펼쳐지고, 상기 제 1 지지 바아(111) 및 상기 제 2 지지 바아(121)의 각 하단에 형성된 상기 지중 삽입부(101)가 지중에 삽입되고, 상기 보조 연결 바아(152)도 지면에 닿은 다음, 상기 결합 너트(162)가 조여지면, 상기 레저용 텐트(100)의 프레임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의 상기 프레임 상에 상기 그늘 형성막(170)이 덮여 상기 레저용 텐트(100)가 완성된다.
한편, 사용이 완료된 상기 레저용 텐트(100)는 상기 레저용 텐트(100)가 제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결합 너트(162)가 다시 풀어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160)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 상기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가 접히도록 회동되어, 완전히 접힌 다음, 상기 결합 너트(162)가 조여지면, 상기 레저용 텐트(100)의 프레임의 접힘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16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 및 상기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가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16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지지 부재(110), 상기 제 2 지지 부재(120) 및 상기 보조 지지 부재(130, 140, 150)의 회동 정도가 가변될 수 있어서, 상기 레저용 텐트(100)가 설치되는 지면의 상태 등에 적합하게 상기 레저용 텐트(100)가 펼쳐지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레저용 텐트(100)가 그 설치되는 지면의 상태 등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저용 텐트(100)가 물 낚시, 얼음 낚시 등의 용도로 사용되거나, 해수욕장, 야영장 등에서 비, 눈, 바람, 추위를 막거나 그늘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각 지지 부재(110, 120) 사이의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논둑, 밭둑, 경사진 곳 등 그 설치면이 협소한 곳에도 레저용 텐트가 그 설치면의 지형에 적합하게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텐트의 프레임이 펼쳐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텐트의 프레임에 그늘 형성막이 덮인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레저용 텐트(200)가 그늘 연장 지지 부재(290)와, 그늘 연장막(295)을 더 포함한다.
상기 그늘 연장 지지 부재(290)는 제 1 지지 부재(210), 제 2 지지 부재(220) 및 보조 지지 부재(230, 240, 250)가 한 쌍의 회동 부재(26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펼쳐진 경우, 한 쌍의 제 1 지지 바아(211)와 한 쌍의 제 2 지지 바아(221) 중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260)를 기준으로 전측 상부에 해당되는 한 쌍의 지지 바아 부분(도 5 및 도 6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제 1 지지 바아(211)의 상부가 해당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그늘 연장 지지 바아(291)와, 상기 한 쌍의 그늘 연장 지지 바아(291)의 상부를 연결하는 그늘 연장 연결 바아(292)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그늘 연장 지지 바아(291)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바아(211) 상에는 상기 한 쌍의 그늘 연장 지지 바아(291)가 회동될 수 있는 한계 점 상에 돌출부 등의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늘 연장막(295)은 도 5와 같이, 상기 그늘 연장 지지 부재(290)가 회동되어 펼쳐진 경우, 도 6과 같이, 그늘 형성막(270)과 연결되면서 상기 그늘 연장 지지 부재(290)를 덮어 그늘을 연장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그늘 연장 지지 부재(290)와 상기 그늘 연장막(295)이 더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 1 지지 부재(210), 상기 제 2 지지 부재(220), 상기 보조 지지 부재(230, 240, 250) 및 상기 그늘 형성막(270)에 의해 형성되는 그늘에, 상기 그늘 연장 지지 부재(290)와 상기 그늘 연장막(295)에 의해 형성되는 그늘이 연장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레저용 텐트(200)의 그늘 형성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레저용 텐트에 의하면, 레저용 텐트의 펼침 정도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서, 물 낚시, 얼음 낚시 등의 용도로 사용되거나, 해수욕장, 야영장 등에서 비, 눈, 바람, 추위를 막거나 그늘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Claims (4)

  1. 레저용 텐트에 있어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 바아와,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바아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제 1 지지 부재;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 바아와,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 바아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2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제 2 지지 부재;
    상기 각 제 1 지지 바아와 상기 각 제 2 지지 바아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각 제 1 지지 바아와 상기 각 제 2 지지 바아의 회동 중심이 되는 한 쌍의 회동 부재;
    상기 각 회동 부재에 연결된 상기 각 제 1 지지 바아와 상기 각 제 2 지지 바아 사이에 배치되고 그 각 일단이 상기 각 회동 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보조 지지 바아와, 상기 한 쌍의 보조 지지 바아의 상부를 연결하는 보조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보조 지지 부재; 및
    상기 제 1 지지 부재, 상기 제 2 지지 부재 및 상기 보조 지지 부재가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펼쳐진 경우, 상기 제 1 지지 부재, 상기 제 2 지지 부재 및 상기 보조 지지 부재를 덮어 그늘을 형성하는 그늘 형성막;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지지 부재 중 하나의 보조 지지 부재의 보조 연결 바아는 지면에 닿아 상기 제 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 2 지지 부재와 함께 상기 레저용 텐트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텐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부재, 상기 제 2 지지 부재 및 상기 보조 지지 부재가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펼쳐진 경우,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 바아와 상기 한 쌍의 제 2 지지 바아 중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를 기준으로 전측 상부에 해당되는 한 쌍의 지지 바아 부분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그늘 연장 지지 바아와, 상기 한 쌍의 그늘 연장 지지 바아의 상부를 연결하는 그늘 연장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그늘 연장 지지 부재; 및
    상기 그늘 연장 지지 부재가 회동되어 펼쳐진 경우, 상기 그늘 형성막과 연결되면서 상기 그늘 연장 지지 부재를 덮어 그늘을 연장하여 형성하는 그늘 연장막;을 포함하는 레저용 텐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부재, 상기 제 2 지지 부재 및 상기 보조 지지 부재가 상기 한 쌍의 회동 부재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정도가 다른 경우에도 상기 그늘 형성막이 처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그늘 형성막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제공 부재;를 포함하는 레저용 텐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바아, 상기 제 2 지지 바아, 상기 보조 지지 바아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텐트.
KR1020100024968A 2010-03-19 2010-03-19 레저용 텐트 KR101013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968A KR101013609B1 (ko) 2010-03-19 2010-03-19 레저용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968A KR101013609B1 (ko) 2010-03-19 2010-03-19 레저용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609B1 true KR101013609B1 (ko) 2011-02-14

Family

ID=4377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968A KR101013609B1 (ko) 2010-03-19 2010-03-19 레저용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6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966B1 (ko) 2013-05-13 2015-01-29 최성훈 휴대용 차광장치
KR20170003583U (ko) 2016-04-07 2017-10-17 윤중근 레저용 텐트
WO2018225962A1 (ko) * 2017-06-07 2018-12-13 김병우 차단판 지지장치
US20220341201A1 (en) * 2021-04-20 2022-10-27 Min So Kim Angle variable multi-stage sunshad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5162U (ko) * 1989-08-18 1991-04-05
KR970002472Y1 (ko) * 1993-12-07 1997-03-24 염천주 파라솔을 이용한 착탈식 천막
KR20040023433A (ko) * 2002-09-11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일 정보 단문 메시지 제공 방법
KR200423433Y1 (ko) * 2006-05-19 2006-08-07 김경배 천막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5162U (ko) * 1989-08-18 1991-04-05
KR970002472Y1 (ko) * 1993-12-07 1997-03-24 염천주 파라솔을 이용한 착탈식 천막
KR20040023433A (ko) * 2002-09-11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일 정보 단문 메시지 제공 방법
KR200423433Y1 (ko) * 2006-05-19 2006-08-07 김경배 천막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966B1 (ko) 2013-05-13 2015-01-29 최성훈 휴대용 차광장치
KR20170003583U (ko) 2016-04-07 2017-10-17 윤중근 레저용 텐트
WO2018225962A1 (ko) * 2017-06-07 2018-12-13 김병우 차단판 지지장치
US20220341201A1 (en) * 2021-04-20 2022-10-27 Min So Kim Angle variable multi-stage sunshad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4832B2 (en) Removably mountable roof frame for use with an expandable canopy
US8033289B2 (en) Adjustable tarpaulin support
KR101013609B1 (ko) 레저용 텐트
US9273484B2 (en) Collapsible enclosure with outer shell
US9856673B2 (en) Tent
US9574366B2 (en) Control structure for folding a shelter
US20160075222A1 (en) Shielding device
US20210301551A1 (en) Improved pole frame structure of foldable tent
KR101705442B1 (ko) 물고임 방지 하이돔 텐트
JP2008520872A (ja) 三方天幕を備えた組立て形テント
US10253522B2 (en) Shelter frame with transverse member
US9629428B1 (en) Sunshade device
US8881753B2 (en) Ground blind
CA2883619A1 (en) A tent system employing an improved spider hub and associated 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compacting the frame for reduced storage size
US20200157836A1 (en) Convertible hammock-shade tent
US10182627B2 (en) Sunshade device
US20050055892A1 (en) Tent structure
US3469588A (en) Articulated multisection shelter or frame structure
US9863163B2 (en) Sled-attached ice shelter with flexible and rigid pole structure
WO2017020376A1 (zh) 帐篷
US7448399B2 (en) Umbrella
KR200293682Y1 (ko) 파라솔 지지장치
US8651125B2 (en) Portable barrier
WO2014073770A1 (ko) 유격 없이 견고한 대형 캐노피
KR200267594Y1 (ko) 천막용 절첩식 차양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