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194B1 - 이동 사다리 - Google Patents

이동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194B1
KR101013194B1 KR1020080022079A KR20080022079A KR101013194B1 KR 101013194 B1 KR101013194 B1 KR 101013194B1 KR 1020080022079 A KR1020080022079 A KR 1020080022079A KR 20080022079 A KR20080022079 A KR 20080022079A KR 101013194 B1 KR101013194 B1 KR 101013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independent drive
fixed
drive module
s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968A (ko
Inventor
박경철
Original Assignee
(주)엔티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티렉스 filed Critical (주)엔티렉스
Priority to KR1020080022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1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characterised by having wheels, rollers, or run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18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 전환이 가능한 이동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의 고정용 사다리의 다리에 독립 구동체를 구비하여 전, 후진 및 회전이 가능한 이동 사다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분해 조립이 간편하여 운반이 쉽고,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사다리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진과 후진은 물론 방향 전환 및 제자리 회전도 가능한 이동 사다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모듈 둘레에서 회전하는 무한궤도와, 무한궤도의 양측을 밀폐시키는 두개의 측판과, 두개의 측판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봉과, 측판 사이에 설치되어 무한궤도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감속기 및 모터로 구성된 독립구동모듈 4개와, 각 독립구동모듈의 양 측판에 부착된 지지조립체와, 지지조립체의 상면에 설치된 고정수단과, 고정수단에 고정되는 4개의 하부발판을 구비하여서 된 사다리와, 리모컨 및 전원부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작업자가 사다리에 올라가서 작업하던 중 작업 위치를 변경할 때 사다리에서 내려올 필요 없이 소지한 리모컨을 조작하여 변경된 작업 위치로 바로 이동한 후 연이은 작업이 가능하며, 사다리와 4개의 각 독립구동모듈의 분해 조립이 간편하여 운반이 쉽고,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사다리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범용성과 활용성이 높게 되는 효과가 있다.
사다리, 방향 전환

Description

이동 사다리{Movement Ladder}
본 발명은 방향 전환이 가능한 이동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의 고정용 사다리의 다리에 독립 구동체를 구비하여 전, 후진 및 회전이 가능한 이동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 사다리에 바퀴를 부착하여 작업 위치를 쉽게 옮길 수 있는 이동 사다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사다리를 들어서 옮기는 어려움을 해결할 뿐이며, 작업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사다리로부터 내려와 작업 위치로 사다리를 옮기고 다시 올라가서 작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 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758호의 공개번호 제 10258호(고안의 명칭: 사다리용 이동차;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인용발명을 도 1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사다리용 이동차는 전후에 바퀴(4)(4')(6)(6')가 설치된 고정틀(2)상에 모터제어장치(12)와 연결된 감속모터(14)를 설치하여 바퀴(4)(4')의 축봉(5)에 설치된 스프로켓(8)과 체인(16)으로 연결하고 고정틀(2)의 각 모서리에 연결편(22)(22')(24)(24')을 돌출하고 리모컨에 의하여 감속모터(14)가 작동되도록하여서 된 것으로 전술한 각 모서리의 연결편(22)(22')(24)(24')에는 통상의 사다리(32)를 결합하여 작업자가 사다리(32)에 올라가 리모컨을 작동시키면 모터제어장치(12)가 이를 감지하여 감속모터(14)를 작동시켜 사다리용 이동차가 전후 이동되게 함으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이 지체되는 것을 막아주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용발명은 전후 이동만 가능하므로 작업 위치가 조금만 빗나가도 종래의 사다리(32)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사다리(32)에서 내려와 작업 위치로 사다리(32)를 옮긴 후 다시 올라가서 작업해야 하는 문제점은 해소하지 못하며, 전체적인 부피가 크고 무거워서 운반에 문제가 있고, 크기나 모양이 다른 사다리(32)에 적용하기 위하여는 그 사다리(32)에 알맞은 사다리용 이동차를 다시 제작하여야 하며, 적용 가능한 사다리(32)의 크기나 모양에 제약이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해 조립이 간편하여 운반이 쉽고,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사다리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진과 후진은 물론 방향 전환 및 제자리 회전도 가능한 이동 사다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듈 둘레에서 회전하는 무한궤도와, 무한궤도의 양측을 밀폐시키는 두개의 측판과, 두개의 측판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봉과, 측판 사이에 설치되어 무한궤도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감속기 및 모터로 구성된 독립구동모듈 4개와, 각 독립구동모듈의 양 측판에 부착된 지지조립체와, 지지조립체의 상면에 설치된 고정수단과, 고정수단에 고정되는 4개의 하부발판을 구비하여서 된 사다리로 구성된 이동 사다리를 제안한다.
전술한 무한궤도는 체인과 체인에 고정된 어테치먼트와, 어테치먼트에 고정된 다수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며, 전술한 독립구동모듈은 측판에 축설된 고정축과 고정축에 고정된 스프로켓, 베벨기어에 의하여 전술한 모터의 회전동력이 무한궤도인 체인에 전달되도록 하여 구동되고, 무한궤도인 체인의 내측 상방의 측판에 베어링볼트로 고정되는 상측 롤러베어링을 설치하고, 체인의 내측 하방의 측판에는 베어링볼트로 고정되는 하측 롤러베어링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고정수단은 2개의 독립구동모듈이 나란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유지 되도록 각 독립구동모듈의 지지조립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전술한 사다리의 하부발판이 삽입되는 요홈이 상면에 구비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측면에 구비된 고정대와, 고정대에 삽입된 하부발판을 체결공을 통해 고정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지지조립체의 상면에 고정되며 전술한 사다리의 하부발판이 삽입되는 요홈이 상면에 구비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측면에 구비된 고정대와, 고정대에 삽입된 하부발판을 체결공을 통해 고정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사다리의 상단에 리모컨을 구비하고, 전술한 독립구동모듈에 감속기를 통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리모컨의 명령에 의하여 제어하는 제어부와, 각 독립구동모듈과 제어부와 리모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사다리의 하단에 구비하여 리모컨으로 각 독립구동모듈을 조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제어부에 무선 수신기를 구비하며, 전술한 리모컨은 별도의 전지와 무선 송신기를 구비하여 무선으로 제어부를 통해 각 독립구동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작업자가 사다리에 올라가서 작업하던 중 작업 위치를 변경할 때 사다리에서 내려올 필요 없이 소지한 리모컨을 조작하여 변경된 작업 위치로 바로 이동한 후 연이은 작업이 가능하며, 사다리와 4개의 각 독립구동모듈의 분해 조립이 간편하여 운반이 쉽고,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사다리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범용성과 활용성이 높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이동 사다리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 2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듈 둘레에서 회전하는 무한궤도(110)와, 무한궤도(110)의 양측을 밀폐시키는 두개의 측판(120)과, 두개의 측판(120)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봉(130)과, 측판(120) 사이에 설치되어 무한궤도(11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감속기(144) 및 모터(140)로 구성된 독립구동모듈(100) 4개와, 각 독립구동모듈(100)의 양 측판(120)에 부착된 지지조립체(200)와, 지지조립체(200)의 상면에 설치된 고정수단(300)과, 고정수단(300)에 고정되는 4개의 하부발판(410)을 구비하여서 된 사다리(400)로 되어 있다.
아울러, 전술한 사다리(400)의 상단에 리모컨(500)을 구비하고, 각 독립구동모듈(100)의 감속기(144)를 통하여 모터(14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리모컨(500)의 명령에 의하여 제어하는 제어부(600)와, 전술한 각 독립구동모듈(100)과 제어부(600)와 리모컨(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0)가 사다리(4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독립구동모듈(100)과 리모컨(500)과 제어부(600)와 전원부(7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은 도 2로 도시한 바와 같이, 미관을 고려하여 상기 사다리(400)의 프레임 내부를 통해 배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된 형태의 본 발명에 의한 이동 사다리의 독립구동모듈(100)을 도 3과 도 4로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독립구동모듈(100)의 무한궤도(110)는 체인(111)과 체인(111)에 고정된 어테치먼트(112)와, 어테치먼트(112)에 고정된 다수의 블레이드(113)로 구성되며, 이러한 무한궤도(110)를 갖는 독립구동모듈(100)은 측판(120)에 축설된 고정축(143)과 고정축(143)에 고정된 스프로 켓(142), 베벨기어(141)에 의하여 전술한 모터(140)의 회전동력이 무한궤도(110)인 체인(111)에 전달되도록 하여 구동된다. 여기에서 무한궤도(110)는 유연질의 수지로 되고 규칙적으로 형성된 요철 돌기를 구비하여서 된 벨트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스프로켓(142)이 아닌 구동기어를 사용하여 모터(140)의 회전동력을 무한궤도(110)인 벨트에 전달되도록 하여 구동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아울러, 체인(111) 또는 벨트로 된 무한궤도(110)가 회동하면서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하며, 상부로부터 전해지는 중량을 독립구동모듈(100)이 감당하며 구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무한궤도(110)인의 내측 상방의 측판(120)에 베어링볼트(170)로 고정되는 상측 롤러베어링(150)을 설치하고, 무한궤도(110)의 내측 하방의 측판(120)에는 베어링볼트(170)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하측 롤러베어링(16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잘 나타내는 독립구동모듈(100)의 단면을 도 4로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사다리의 고정수단(30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독립구동모듈(100)이 나란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유지 되도록 각 독립구동모듈(100)의 지지조립체(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브라켓(310)과, 전술한 사다리(400)의 하부발판(410)이 삽입되는 요홈(321)이 상면에 구비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322)이 측면에 구비된 고정대(320)와, 고정대(320)에 삽입된 하부발판(410)을 체결공(322)을 통해 고정대(32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330)로 구성되며, 또는 각각의 독립구동모듈(100)을 바로 사다리(400)의 하부발판(4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조립체(200)의 상면에 고정되며 하부발판(410)이 삽입되는 요 홈(321)이 상면에 구비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322)이 측면에 구비된 고정대(320)와, 고정대(320)에 삽입된 하부발판(410)을 체결공(322)을 통해 고정대(32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330)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잘 나타내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 사다리의 한쪽 다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도 5에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상부의 사다리(400)와 하부의 독립구동모듈(100)이 고정볼트(330)의 체결에 의하여 쉽게 고정되고 반대로 고정볼트(330)의 체결을 풀어 각각을 쉽게 분리할 수 있어서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대(320)와 고정볼트(330)로 사다리(400)와 독립구동모듈(100)을 고정하였지만 전술한 고정수단(30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볼트(330) 대신에 크램프를 사용하거나 고정대(320)에 탄성리브를 구비하여 고정대(320)의 요홈(321)에 삽입된 하부발판(410)을 탄성리브에 의하여 고정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다리(400)와 독립구동모듈(100)을 고정하는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리모컨(500)은 작업자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사다리에 올라가 작업하던 중 작업 위치를 변형하여야 할 때, 원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이동 사다리의 움직임을 조정하는 것이며, 이러한 리모컨(500)의 명령을 받아 각 독립구동모듈(100)의 전, 후진 및 회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600)와, 각 독립구동모듈(100)과 리모컨(500)과 제어부(6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로 된 전원부(700)가 서로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600)와 전원부(700)는 안정성과 실용성을 고려하여 사다리(400)의 하단 즉, 고정수단(300)의 브라켓(310) 위에 위치하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전원부(700)는 전지뿐만 아니라 외부 전원을 바로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기로도 가능하며, 제어부(600)는 각 독립구동모듈(100)의 감속기(144)를 통하여 모터(14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리모컨(500)의 명령에 의하여 각각 제어할 수 있어서 좌, 우에 있는 독립구동모듈(100)의 회동 속도를 달리하면 방향 전환이 가능하고, 대각선상에 있는 독립구동모듈(100)의 회동 방향을 반대로 하면 토크가 발생하여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4개의 독립구동모듈(100) 중 좌측에 있는 2개의 독립구동모듈(100)의 회동 속도를 우측에 있는 2개의 독립구동모듈(100)의 회동 속도보다 빠르게 회동 시키면 좌측에 있는 독립구동모듈(100)이 우측에 있는 독립구동모듈(100)보다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하므로 우측으로 방향 전환이 되고, 반대로 우측에 있는 2개의 독립구동모듈(100)을 더 빠르게 회동 시키면 좌측으로 방향 전환이 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하여 4개의 독립구동모듈(100) 중 대각선 방향에 있는 2개의 독립구동모듈(100)은 고정 시키고, 다른 대각선 방향에 있는 2개의 독립구동모듈(100)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동 시키면 전술한 대각선의 중앙을 기준으로 토크가 발생하므로 구동되는 대각선 방향에 있는 전방의 좌측에 위치한 독립구동모듈(100)을 후진시키고, 후방의 우측에 위치한 독립구동모듈(100)을 전진시키면 시계방향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고, 반대의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600)에 무선 수신기를 구비하고, 별도의 전지와 무선 송신기를 구비한 리모컨(500)을 이용하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 사다리를 무선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전진 및 후진뿐만 아니라 좌, 우로 방향 전환과 제자리 회전까지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은 사다리(400)와 독립구동모듈(100)이 분리가 가능하고, 독립구동모듈(100)이 각각 분리 및 구동이 가능하므로 사다리(400)의 형태 또는 크기에 제약 없이 4개의 다리가 구성된 사다리(400)에는 모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운반 또한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사다리용 이동차의 전체적인 구조는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이동 사다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사다리의 독립구동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사다리의 독립구동모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사다리의 한쪽 다리만 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사다리의 무선 리모컨을 적용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독립구동모듈 110:무한궤도 111:체인
112:어테치먼트 113:블레이드 120:측판
130:지지봉 140:모터 141:베벨기어
142:스프로켓 143:고정축 144:감속기
150:상측 롤러베어링 160:하측 롤러베어링 170:베어링볼트
200:지지조립체 300:고정수단 310:브라켓
320:고정대 321:요홈 322:체결공
330:고정볼트 400:사다리 410:하부발판
500:리모컨 600:제어부 700:전원부

Claims (7)

  1. 모듈 둘레에서 회전하는 무한궤도와, 무한궤도의 양측을 밀폐시키는 두개의 측판과, 두개의 측판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봉과, 측판 사이에 설치되어 무한궤도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감속기 및 모터로 구성된 독립구동모듈 4개와,
    각 독립구동모듈의 양 측판에 부착된 지지조립체와,
    지지조립체의 상면에 설치된 고정수단과,
    고정수단에 고정되는 4개의 하부발판과,
    상기 독립구동모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 독립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여 상기 독립구동모듈들을 조절하는 리모콘을 구비하여서 된 사다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사다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무한궤도는 체인과 체인에 고정된 어테치먼트와, 어테치먼트에 고정된 다수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며,
    전술한 독립구동모듈은 측판에 축설된 고정축에 함께 고정된 스프로켓과 베벨기어가 각각 상기 체인과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이 무한궤도인 체인에 전달되도록 하여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사다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술한 독립구동모듈은 무한궤도인 체인의 내측 상방의 측판에 베어링볼트로 고정되는 상측 롤러베어링을 설치하고, 체인의 내측 하방의 측판에는 베어링볼트로 고정되는 하측 롤러베어링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사다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고정수단은 2개의 독립구동모듈이 나란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유지 되도록 각 독립구동모듈의 지지조립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전술한 사다리의 하부발판이 삽입되는 요홈이 상면에 구비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측면에 구비된 고정대와,
    고정대에 삽입된 하부발판을 체결공을 통해 고정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사다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고정수단은 지지조립체의 상면에 고정되며 전술한 사다리의 하부발판이 삽입되는 요홈이 상면에 구비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측면에 구비된 고정대와,
    고정대에 삽입된 하부발판을 체결공을 통해 고정대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사다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사다리의 상단에 리모컨을 구비하고,
    전술한 각 독립구동모듈의 감속기를 통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 을 리모컨의 명령에 의하여 제어하는 제어부와,
    각 독립구동모듈과 제어부와 리모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사다리의 하단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사다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전술한 제어부는 무선 수신기를 구비하며, 전술한 리모컨은 별도의 전지와 무선 송신기를 구비하여 무선으로 제어부를 통해 각 독립구동모듈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사다리.
KR1020080022079A 2008-03-10 2008-03-10 이동 사다리 KR101013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079A KR101013194B1 (ko) 2008-03-10 2008-03-10 이동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079A KR101013194B1 (ko) 2008-03-10 2008-03-10 이동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968A KR20090096968A (ko) 2009-09-15
KR101013194B1 true KR101013194B1 (ko) 2011-02-10

Family

ID=4135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079A KR101013194B1 (ko) 2008-03-10 2008-03-10 이동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1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101578A1 (it) * 2016-10-11 2018-04-11 Loris Boarini Sistema di movimentazione di una scala a libro in configurazione di uso
KR20190087775A (ko) 2018-01-17 2019-07-25 유수원 접힘 가능한 이동식 작업 사다리
RU208311U1 (ru) * 2021-08-31 2021-12-1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СТЕМНО-ПРАВОВОЙ ЦЕНТР АЛГОРИТМ» Передвижная управляемая площадка на электроприводе
US11560755B1 (en) * 2020-01-15 2023-01-24 Yakov I. Kuzmin Ladder moving mechanism
EP4361393A1 (en) * 2022-10-26 2024-05-01 Vanrobaeys Bart BV Ladder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357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포스코 다수의 카메라를 사용한 광폭의 프로파일 측정장치 및 방법
KR200420357Y1 (ko) 2006-04-03 2006-07-03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이동이 용이한 사다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357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포스코 다수의 카메라를 사용한 광폭의 프로파일 측정장치 및 방법
KR200420357Y1 (ko) 2006-04-03 2006-07-03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이동이 용이한 사다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101578A1 (it) * 2016-10-11 2018-04-11 Loris Boarini Sistema di movimentazione di una scala a libro in configurazione di uso
KR20190087775A (ko) 2018-01-17 2019-07-25 유수원 접힘 가능한 이동식 작업 사다리
US11560755B1 (en) * 2020-01-15 2023-01-24 Yakov I. Kuzmin Ladder moving mechanism
RU208311U1 (ru) * 2021-08-31 2021-12-1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СТЕМНО-ПРАВОВОЙ ЦЕНТР АЛГОРИТМ» Передвижная управляемая площадка на электроприводе
EP4361393A1 (en) * 2022-10-26 2024-05-01 Vanrobaeys Bart BV Ladd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968A (ko) 200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194B1 (ko) 이동 사다리
CN105167927B (zh) 一种轮履组合式爬楼梯轮椅
CN102156054B (zh) 一种足式机器人行走能力试验装置
CN102826135B (zh) 履带式全方位移动平台
CN106335562B (zh) 一种可轮履切换的爬楼装置
CN105730543B (zh) 一种自动爬杆装置
CN104608838A (zh) 一种六足轮腿式爬行仿生机器人
CN110422244B (zh) 一种爬行机器人
CN206171595U (zh) 一种可轮履切换的爬楼装置
CN206453912U (zh) 一种基于碳纤维复合材料的上下楼梯移动平台
CN109625113B (zh) 一种多腔密封履带式爬壁机器人及使用方法
CN202827838U (zh) 一种具有调控装置的四足机器人
CN108357583A (zh) 一种机器人行走装置
CN211496661U (zh) 一种立柱升降式移动龙门吊车
CN105833479A (zh) 脚扣连续式爬杆装置及其爬杆方法
CN109276859B (zh) 一种电动爬杆机
CN205073156U (zh) 一种轮履组合式爬楼梯轮椅
CN205971424U (zh) 一种可爬楼梯助力搬运小车
CN104434431B (zh) 一种便携式爬楼装置
KR20140005879U (ko) 조향이 가능한 높이 조절형 족동식 이동 작업대
CN203381672U (zh) 履带式爬楼车
CN104414802A (zh) 一种电动爬楼轮椅
CN205796415U (zh) 脚扣连续式爬杆装置
CN210391359U (zh) 一种复杂地形越障机器人平台
CN111810884A (zh) 一种便于升降维修的路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