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341B1 -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 - Google Patents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341B1
KR101012341B1 KR1020070125386A KR20070125386A KR101012341B1 KR 101012341 B1 KR101012341 B1 KR 101012341B1 KR 1020070125386 A KR1020070125386 A KR 1020070125386A KR 20070125386 A KR20070125386 A KR 20070125386A KR 101012341 B1 KR101012341 B1 KR 101012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optical
prism
diffus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681A (ko
Inventor
김광원
이홍수
박용완
김영진
김용성
주영현
이순표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보
Priority to KR1020070125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34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에 있어서, 코팅층 및 그 상부에 적층되는 기재층을 구비하는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 상부에 적층되며, 프리즘 사이 골짜기 선에 규칙 또는 불규칙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함을 포함하는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는 광학 시트를 제공한다.
광학 시트, 프리즘 시트, 골짜기 선, 결함

Description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optical sheet of optical lamination film}
본 발명은 휘도향상을 위해 골짜기 선에 복수 개의 결함을 갖는 프리즘 시트로 구성된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에 관한 것이다.
요즘, 사무 자동화 장치, 개인용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등에 쓰이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량화, 박형화, 휘도 향상, 및 절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메카니즘의 개선과 함께 백라이트(backlight)의 휘도 향상 및 박형화에 대한 욕구가 있어 왔으며, 백라이트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행해져 왔다.
전력 공급을 늘려 백라이트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전력 소비와 열량의 증가를 초래하므로, 배터리 용량 증가와 배터리 수명감소와 같은 단점들이 휴대용 장치에 불가피하다.
이러한 이유로, 백라이트의 광 효율 개선뿐만 아니라 냉 음극선관과 인버터의 개선이 요구된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사용자의 정면으로의 휘도가 중요하다. 요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방향성을 다시 부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특히, 다양한 광학 시트들이 고안되었다.
휘도의 향상을 위한 광학 시트를 구성하는 예로, 한 면은 매끈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그와 대응되는 다른 면은 단면형상이 삼각형인 기둥형태로 이루어진 프리즘 시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또한, 휘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완성된 프리즘 시트에 복수개의 비드를 뿌려서 충격을 가하여 결함을 형성시키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에 의해 형성된 결함은 프리즘 시트의 피크선 부분에 불규칙하게 형성되며 의도하지 않던 부분에도 결함이 생성될 수 있어서 오히려 시야각을 좁혀 휘도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시야각을 넓히기 위하여 의도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는 결함을 방지한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는 광학 시트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골자기 선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복수 개의 결함이 형성된 프리즘 시트 및 확산시트를 사용하여 시야각을 넓히고 휘도를 향상시키는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에 있어서, 골짜기 선에 복수 개의 결함을 포함하는 프리즘시트와 확산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에 있어서, 코팅층 및 그 상부에 적층되는 기재층을 구비하는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 상부에 적층되며, 프리즘 사이 골짜기 선에 규칙 또는 불규칙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함을 포함하는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는 광학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확산시트는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광확산제를 구비한 광확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상기 프리즘 시트는 베이스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부에 적층되며, 하나 이상의 프리즘으로 구성된 프리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리즘은 단면형상이 삼각형, 반구형 또는 이와는 다른 다각형을 가지는 기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확산시트 및 프리즘 시트는 내부에 크기가 균일 또는 비균일한 복수 개의 비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골자기 선에 규칙 또는 불규칙 적인 결함을 포함하는 프리즘시트를 사용하여 광학 시트를 제작하고, 상기 광학 시트를 사용하여 광학 적층필름을 사용하여 시야각이 확대되고 광의 휘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함을 포함하는 프리즘 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은 결함을 포함하는 프리즘 시트를 나타낸 상면도로서, 프리즘 시 트(100)를 구성하는 단위 프리즘 사이의 골짜기 선(110)에 복수 개의 결함(120)이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모습을 상부에서 나타낸 것으로, 상기 결함(120)은 결장을 방지하고 시야각을 확대하여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한다.
이때, 상기 단위 프리즘은 단면형상이 삼각형, 반구형 및 이와 다른 다각형을 이루는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단위 프리즘의 피크선은 웨이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b참조)
본 발명에서는 단위 프리즘이 삼각 기둥 형태로 피크선이 직선을 나타내도록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턴 가이드 롤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가이드 롤(200)에 제 1바이트(210)를 사용하여 프리즘부를 형성할 수 있는 패턴 가이드 롤(200A)을 제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제 1바이트(210)는 임프린팅 후 형성될 상기 프리즘부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 1바이트(210)는 단면이 삼각형, 반원형 및 다른 다각형을 나타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단면이 삼각형인 제 1바이트(210)를 사용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제 1바이트(210)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롤(200) 상에 패턴을 형성하 는 경우 상기 제 1바이트(210)와 가이드 롤(200)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하거나,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될 경우, 상기 가이드 롤(200) 상에 형성되는 패턴은 그루브를 갖는 직선 형태의 패턴이 형성된다.
이와는 달리,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할 경우 패턴의 형태는 가변적이며, 예를 들어 제 1바이트(210)를 가이드 롤(200)의 회전축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진동시킬 경우 롤 상에 형상에 형성되는 패턴의 그루브를 가지며 곡선 형태의 패턴을 갖는 패턴 가이드 롤(200A)이 형성된다.
또한, 제 1바이트(210)를 가이드 롤(200)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진동시킬 경우 롤 상에 형상에 형성되는 패턴은 깊이가 상이한 패턴을 갖는 패턴 가이드 롤(200A)이 형성된다.
상기 과정에 의해 형성된 패턴 가이드 롤(200A)을 베이스 필름상에 임프린팅하여 다양한 형상의 프리즘부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트와 롤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된 경우 프리즘부의 패턴이 일직선인 프리즘부가 얻어지며, 상기 제 1바이트(210)를 가이드 롤(200) 면에 대하여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진동시킬 경우 임프린팅에 의해 프리즘부의 패턴이 웨이브 형태인 프리즘부가 얻어진다.
도 2b에는 상기에서(도 2a) 형성된 패턴 가이드 롤(200A) 상에 제 2바이트(220)를 사용하여 규칙 또는 불규칙 적인 결함을 형성하는 과정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제 2바이트(220)는 단면형상이 삼각형, 반원형 및 다른 다각형을 나타 내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서는 단면형상이 반원형인 바이트를 사용하였다.
상기 제 2바이트(220)는 상기 패턴 가이드 롤(200A)의 회전축에 수직 방향으로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진동하여 상기 패턴 가이드 롤(200A)에 형성된 패턴의 피크선 부분에 결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바이트(200)에 형성된 결함은 피크선 외에 다른 부분 즉, 골짜기 선이나, 그 외의 면에는 형성되지 않으며 피크선 중 의도한 부분에만 결함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정에 의해 얻은 결함을 포함하는 패턴 가이드 롤(200B)을 베이스 필름상에 임프린팅하면, 프리즘부의 골짜기 선에 규칙 또는 불규칙 적인 결함을 갖는 프리즘 시트를 형성함에 따라 시야각을 확장하여 광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확산시트(300), 프리즘 시트(100) 및 보호시트(400)를 포함한다.
상기 확산시트(300)는 하부의 광원부(미도시)에 의해 입사되는 광을 상기 프리즘 시트(100)로 투과시키는 것으로, 광확산층(310), 기재층(320) 및 코팅층(330)을 포함한다.
상기 광확산층(310)은 상기 기재층(320)의 상부에 적층되며, 제 1바인더수 지(312)와 하나 이상의 광확산제(314)로 형성된다.
상기 광확산제(314)는 상기 기재층(320)을 통과하는 광을 산란시켜 확산시키는 것으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삼원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입자, 아크릴과 올레핀계의 공중합체, 단일중합체의 입자를 형성한 후, 그 층위에 다른 종류의 단량체를 코팅한 다층다성분계 입자 등의 유기입자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메타그릴레이트(PMMA)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확산제(314)가 제1바인더수지(312) 내부에 하나 이상 함유됨에 따라, 상기 기재층(320)에서 입사된 광이 표면 전반에 골고루 퍼질 수 있다.
또한, 광 확산을 확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광확산제(314)의 비중은 1.0 내지 1.2 g/㎤, 입자크기에 대한 변동계수는 1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동계수는 '변동계수 = (표준편차/평균)*100'으로서, 표준편차보다 평균값과 무관하게 광확산 입자의 분포를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동계수 값이 '0'에 가까울수록 입자간 편차가 적음을 의미한다.
상기 광확산제(314)의 변동계수가 15%를 초과하면, 초기 광확산층(310)의 코팅공정에서 광확산층(310)의 두께를 광확산제(314)의 두께와 동일하게 코팅하더라도 상기 광확산제(314)들 간의 넓은 입도 분포에 의하여 광확산제(314) 입자들이 단층이 아니라 다층으로 적층되어 광확산 효과가 저감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는 제 1바인더수지(312)의 내부에 동일한 크기를 갖는 광확산 제(314)가 단층으로 코팅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크기가 다른 광확산제가 함유되되 크기가 큰 광확산제가 단층으로 코팅되고 그 사이 공간에 크기가 작은 광확산제를 채워지게 되면 광의 확산효과가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그리고, 광확산제(314)의 비중은 사용되는 용제의 비중과의 관계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인데, 비중이 1.0g/㎤ 미만이면 사용될 수 있는 용제보다 비중이 작아질 수 있어 분산성이 열악해지고 생산공정상 도막의 두께 분포를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1.2g/㎤를 초과하면 용제 내에서 침강되는 속도가 커서 코팅공정에서 빈번하게 재교반을 하는 공정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1.0 내지 1.2 g/㎤ 의 비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바인더수지(312)는 내부에 광확산제(314)가 함유되는 비율에 따라 광투과율과 광확산율이 달라지는데, 높은 광투과율과 광확산율을 나타내기 위해서 수지 내에 함유되는 상기 광확산제(314)의 함량은 제 1바인더수지(322)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 내지 140 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확산제(314)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산란에 의한 광확산 효과가 부족하며, 140 중량부를 초과하는 때에는 광투과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 1바인더수지(312)는 확산시트의 기재층(310)과의 접착성이 양호해야 유리하고, 사용되는 광확산제(314)와 상용성이 있어야 하며, 상기 제1바인더수지(312)에 물성 즉, 내열성, 내마모성,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경화제를 첨가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320)은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시트로서, 상기 광확산층(310)과 상기 코팅층(330)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기재층(320)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PAR),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elenen napthalate;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olyethyeleneterepthalate;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 (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nonate;CA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기재층(320)은 상기 제 1바인더수지(312)와의 접착성이 우수해야 하며, 후면에서 입사되는 광의 투과도가 90% 이상이어야 하고 표면의 평활도가 균일하여 휘도의 편차가 없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기재층(320)의 두께는 50 내지 250㎛인 것이 바람직한데, 50㎛ 미만이면 제조공정에서 취급성이 떨어지고, 250㎛를 초과하면 최근 액정 표시장치(LCD) 모듈의 박막화 추세에 반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코팅층(330)은 상기 기재층(320)의 하부면에 적층되어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 2바인더수지(332)와 비드(33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바인더수지(332)는 그 인장탄성률이 300 MPa 이하로서, 이는 상기 확산시트 하부면에 위치하는 도광판과의 마찰로 인한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으로써, 통상적인 도광판에 적층되는 아크릴계 수지의 탄성율인 900MPa 내지 1000 MPa보다 작게 되어 스크래치 발생을 예방함과 동시에, 상기 코팅층(330)의 스크래치 및 도광판의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바인더수지(332)는 자외선(UV) 경화형우레탄아크릴 바인더나 자외선(UV) 경화형 에폭시 바인더 또는 실리콘을 포함한 자외선(UV) 경화형 바인더 수지 중 선택되는 하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바인더수지(332)는 트리스(2-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2-프로페노익 에시드(Tris(2-acryloxyethyl)isocyanurate-2-Propenoic acid), (1-메틸에틸리덴)비스(4,1-페닐렌옥시-2,1-에테인다이옥시-2,1-에테인디엘)에스터((1-methlyethyliden ) bis (4,1-phenyleneoxy-2,1-ethanediyloxy-2,1-ethanediyl) ester)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케톤(1-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의 3원 공중합체가 더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3원 공중합체는 블락 공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유리전이온도(Tg)가 약 52℃ 이고, 수평균 분자량이 약 4500이다.
상기 비드(BEAD)(334)는 상기 제 2바인더수지(332)의 내부에 함유되어 상기 코팅층(430)을 통과하는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비드(334)는 코팅층(330)에 안티블로킹(anti-blocking) 성질이 부여되도록 일부가 제 2바인더수지(33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블로킹이란 일반적으로 필름 상호 간 내면이 서로 달라붙으려는 현상으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 상부면에 적층되는 상기 코팅층(330) 사이에 블로킹이 발생하며 이러한 블로킹은 작업상 지장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코팅층(330)과 도광판의 밀착으로 인해 간섭무늬가 생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비드(334)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하여 상기의 블로킹 현상이 방지되며, 이때 상기 비드(334)는 코팅층(320)의 표면에서 3㎛ 내지 5㎛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드(334)가 이와 같이 돌출됨으로 인해 상기 확산시트와 도광판의 접촉면적을 줄여서 도광판과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어 블로킹이 방지되므로 상기 비드(334)에 의해 광이 확산되는 효과 외에도 블로킹이 방지되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드(334)는 0.36(MIU) 이하의 마찰계수를 갖도록 하여 상기 비드(334)가 도광판과 접촉에 의한 마찰로부터 발생하는 스크래치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는 통상 도광판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의 마찰계수가 0.37(MIU) 내지 0.38(MIU) 임을 고려할 때, 상기 비드(234)의 마찰계수가 0.36 (MIU) 이하를 나타냄에 따라 도광판의 스크래치가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비드(234)는 아크릴계, 나일론계 또는 실리콘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마찰계수가 0.36 (MIU)이하인 물질로서 메틸 실리콘 파우더(Methyl silicone powder) 또는 나일론 파우더(Nylon powder, 예를 들면, Nylon-12)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메틸실리콘 파우더 또는 나일론 파우더의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탄성이 있기 때문에 도광판과의 마찰로 인한 상기 비드(234) 자체의 스크래치도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시트(100)는 내부에 복수의 비드(미도시)를 함유함과 동시에 상기 프리즘시트(100)의 표면을 비드(미도시)로 코팅처리 함으로써, 상기 프리즘시트(100) 자체에 의해 집광과 동시에 극대화된 확산효과가 나타나 충분히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시트(200)와 상기 프리즘시트(100) 사이에 다수의 비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프리즘 시트(100)는 상기의 도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위 프리즘 사이에 형성되는 골짜기 선에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결함에 의해 상기 확산시트(300)에 의해 입사되는 빛을 상기 보호시트(400)로 투과시킬 때 시야각을 확대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시트(400)는 상기 프리즘 시트(100)와 디스플레이면(미도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프리즘 시트(100)와 디시플레이면(미도시)이 직접 접촉함에 따라 휘도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화면의 번짐 현상 등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 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함을 포함하는 프리즘 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턴 가이드 롤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리즘 시트 110 : 골짜기 선
120 : 결함 200 : 가이드 롤
200A, 200B : 패턴 가이드 롤 210 : 제 1바이트
220 : 제 2바이트 300 : 확산시트
310 : 광확산층 312 : 제 1바인더수지
314 : 광확산제 320 : 기재층
330 : 코팅층 332 : 제2바인더수지
334 : 비드 400 : 보호필름

Claims (5)

  1. 삭제
  2. 코팅층과, 상기 코팅층의 상부에 적층된 기재 층을 구비하는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의 상기 기재 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프리즘 시트를 구성하는 단위 프리즘 사이의 골짜기 선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함을 포함하는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에 있어서,
    상기 확산시트는 상기 기재 층의 상부에 광 확산제를 구비한 광 확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
  3. 코팅층과, 상기 코팅층의 상부에 적층된 기재 층을 구비하는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의 상기 기재 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프리즘 시트를 구성하는 단위 프리즘 사이의 골짜기 선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함을 포함하는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시트는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부에 적층되며, 하나 이상의 프리즘으로 구성된 프리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단면형상이 삼각형, 반구형 또는 이와는 다른 다각형을 가지는 기둥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
  5. 코팅층과, 상기 코팅층의 상부에 적층된 기재 층을 구비하는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의 상기 기재 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프리즘 시트를 구성하는 단위 프리즘 사이의 골짜기 선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함을 포함하는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는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에 있어서,
    상기 확산시트 및 프리즘 시트는 내부에 크기가 균일 또는 비 균일한 복수 개의 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
KR1020070125386A 2007-12-05 2007-12-05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 KR101012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386A KR101012341B1 (ko) 2007-12-05 2007-12-05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386A KR101012341B1 (ko) 2007-12-05 2007-12-05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681A KR20090058681A (ko) 2009-06-10
KR101012341B1 true KR101012341B1 (ko) 2011-02-09

Family

ID=40989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386A KR101012341B1 (ko) 2007-12-05 2007-12-05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3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84B1 (ko) * 2006-10-25 2007-12-14 미래나노텍(주) 광학 시트 및 상기 광학 시트가 구비된 액정표시장치의백라이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84B1 (ko) * 2006-10-25 2007-12-14 미래나노텍(주) 광학 시트 및 상기 광학 시트가 구비된 액정표시장치의백라이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681A (ko)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335B1 (ko) 광확산제를 이용한 광학 적층 필름
JP5937357B2 (ja) 光拡散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JP5270170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8268834A (ja) マイクロパターニングを用いた多機能性光学積層フィルム
KR101781206B1 (ko) 마이크로 렌즈 광학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TW200842412A (en) Optical sheets
US9366800B2 (en) Edge light-type backlight device and light diffusion member
WO2009093626A1 (ja) 光拡散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装置
TW201445174A (zh) 多功能複合型光學膜
JP2010210882A (ja) 光学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TWI442137B (zh) Backlight device
US892677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brightness optical sheet
KR20090050283A (ko) 프리즘 시트 및 그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US20100055409A1 (en) Optical composi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50055367A1 (en) Edge light-type backlight device and light diffusion member
KR101012341B1 (ko) 광학 적층 필름의 광학 시트
JP2010032868A (ja) レンズシート、ディスプレイ用光学シート、照明装置、電子看板、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0160438A (ja) レンズ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5985187B2 (ja) 光拡散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KR100544518B1 (ko) 광손실을 최소화한 프리즘 필름
TWI685705B (zh) 緩衝片及平板顯示器
JP6604901B2 (ja) 表示装置
WO2008082248A1 (en) Optical composi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00128259A (ko) 반사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091260B1 (ko)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