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286B1 - 내부 구획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내부 구획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286B1
KR101012286B1 KR1020080044589A KR20080044589A KR101012286B1 KR 101012286 B1 KR101012286 B1 KR 101012286B1 KR 1020080044589 A KR1020080044589 A KR 1020080044589A KR 20080044589 A KR20080044589 A KR 20080044589A KR 101012286 B1 KR101012286 B1 KR 101012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ain body
cosmetic container
cosmetics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667A (ko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찬
Priority to KR1020080044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286B1/ko
Publication of KR20090118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내부 구획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체의 내부에는 액상 또는 겔 상의 물질이 수용된다. 본체의 내부는 분리벽에 의해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으로 구획되며, 본체의 저면에는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연통하는 유로가 제공되어 있다. 본체의 외측에는 도포부가 돌출 제공되어 있다. 도포부의 내부에는 제 1 공간과 연통하는 통로 및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구조가 제공되어 있다. 도포부의 단부에는 도포용 팁이 제공되어 있다. 분리벽은 본체의 내부 측벽으로부터 본체의 저면에 이르기까지 연직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품의 잔량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고, 손을 사용하지 않고 화장품을 얼굴에 바를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쾌적함 및 청결함을 제공할 수 있다.
화장품, 용기, 분리

Description

내부 구획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HAVING A SECTION INSIDE}
본 발명은 내부 구획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 화장품을 얼굴에 바르게 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함 및 청결함을 제공하며, 화장품의 잔량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내부 구획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 또는 겔 상의 화장품은 용기에 수용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화장품 용기로 펌프 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화장품을 수용하는 일반적인 화장품 용기는,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 본체, 본체의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뚜껑을 열고 내용물을 손바닥 등에 덜어내어 사용하였다.
한편, 펌프 용기는 내부의 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주로 피스톤이 하단에 결합되고 중공 관체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펌프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펌프를 눌 러 내용물을 손바닥 등에 배출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화장품 용기들에 있어서는 내용물을 손바닥 등에 덜어내어 사용해야 했으므로, 화장품이 손에 먼저 닿아서 사용자는 화장품의 성분을 얼굴에 100% 직접 제공하지 못한다는 점을 우려하였다. 그리고, 사용자 중에는 손에 화장품이 닿는 것을 싫어하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의 용기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주지 못하였다.
한편, 여드름이나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용자가 종래의 화장품 용기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손에 있는 세균에 의해 얼굴의 피부상태가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화장품 용기들의 경우 내용물의 잔량을 남김없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기를 거꾸로 세워두었다가 용기를 흔드는 등의 힘을 가하여 배출하거나, 액체 등을 첨가하여 내용물의 점성을 희석하여 사용해야 했으므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손을 사용하지 않고 화장품을 얼굴에 바르게 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함 및 청결함을 제공하며, 화장품의 잔량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내부 구획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구획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액상 또는 겔 상의 물질이 수용되고, 분리벽에 의해 내부가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으로 구획되며, 저면에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연통하는 유로가 제공된 본체; 및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 제공되고, 내부에 제 1 공간과 연통하는 통로 및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구조가 제공되며, 단부에 도포용 팁이 제공된 도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벽은 본체의 내부 측벽으로부터 본체의 저면에 이르기까지 연직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제공되는데, 바닥에 닿지 않게 형성되어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연통하는 유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손을 사용하지 않고 화장품을 얼굴에 바르게 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하고, 여드름이나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용 자에게는 청결함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화장품의 잔량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가 나타나 있고, 도 2에는 화장품 용기의 부분 절개 단면이 나타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의 본체(10)는 대략 원통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액상 또는 겔 상의 화장품이 수용되어 있다. 본체(10)의 외측에는 도포부(22)가 돌출되어 있으며, 도포부(22)의 단부에는 도포용 팁(24)이 제공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포부(22)의 내부에는 본체(1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통로가 제공되어 있으며, 도포용 팁(24)은 미세한 통공을 갖는 스펀지, 직물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의 경우는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를 사용할 때의 상태로서, 저면이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포부(22)와 가까운 평평한 저면이 도면상 상부에 위치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평소 화장품 용기를 놓아둘 때의 상태로서, 평평한 저면이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체(10)는 상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체(10)의 내부는 분리벽(12)에 의해 제 1 공간(14) 및 제 2 공간(16)으로 구획되어 있다. 분리벽(12)은 본체(10)의 내부 측벽으로부터 저면(또는 본체 내부의 바닥)을 향하여 경사지게 제공되어 있으며, 바닥에 닿지 않게 형성되어 제 1 공간(14)과 제 2 공간(16)을 연통하는 유로를 제공하고 있다.
본체(10)의 외측에는 도포부(22)가 돌출되어 있다. 도포부(22)의 내부에는 제 1 공간(14)과 연통하도록 통로가 제공되어 있으며, 단부에는 도포용 팁(24)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포부(22)의 내부에는 제 1 공간(14)과 연통하는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구조로서, 물파스 용기 등에 적용된 것과 유사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화장품 용기를 놓아둘 때는 도 2에서와 같이 본체(10)의 평평한 저면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세워두었다가,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도포부(22)를 위로 향하게 하여 사용한다.
화장품 용기를 도 2와 같이 놓아두면, 내용물이 제 1 공간(14)과 제 2 공간(16) 사이의 유로를 통해서 제 2 공간(16)으로부터 제 1공간(14)으로 이동한다. 이후, 화장품 용기를 도 1과 같이 반대 방향으로 세우면, 제 1 공간(14)에 수용되어 있던 내용물이 분리벽(12)을 따라 도포부(22) 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 얼굴에 도포부(22)를 대고 화장품을 바를 수 있다.
여기서, 도포부(22)의 도포용 팁(24)은 얼굴에 대고 누를 경우에만 제 1 공간(14)과 연통하는 통로가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의 경우에는 내용물이 매우 적게 남아있더라도 내용물 이 제 1 공간(14)으로 이동된 후에는 분리벽(12) 때문에 제 2 공간(16)으로 다시 흘러들어갈 염려가 없으므로, 사용자는 내용물의 잔량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상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평소 화장품 용기를 놓아둘 때는 화장품 용기의 저면을 항상 아래로 하여 세워둘 수밖에 없다. 따라서, 내용물이 제 1 공간(14)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도포부(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포부(22)의 위치는 내용물의 잔량을 남김없이 배출할 수 있도록 분리벽(12)의 위치에 대응하게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내용물을 손에 묻히지 않고 얼굴에 바를 수 있으므로, 화장품의 성분이 얼굴에 직접 제공될 수 있으며 쾌적함 및 청결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여드름이나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용자의 경우에는 화장품을 바를 때 얼굴에 손을 대지 않게 되므로, 얼굴의 피부상태가 악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의 잔량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및
도 2는 도 1의 부분 절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12 : 분리벽
14 : 제 1 공간 16 : 제 2 공간
22 : 도포부 24 : 도포용 팁

Claims (2)

  1. 내부에 액상 또는 겔 상의 물질이 수용되고, 분리벽(12)에 의해 내부가 제 1 공간(14) 및 제 2 공간(16)으로 구획되며, 저면에 상기 제 1 공간(14)과 상기 제 2 공간(16)을 연통하는 유로가 제공된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 제공되고, 내부에 상기 제 1 공간(14)과 연통하는 통로 및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구조가 제공되며, 단부에 도포용 팁(24)이 제공된 도포부(22)를 포함하는 내부 구획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12)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측벽으로부터 상기 본체(10) 내부의 바닥에 닿지 않게 연직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구획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0080044589A 2008-05-14 2008-05-14 내부 구획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012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589A KR101012286B1 (ko) 2008-05-14 2008-05-14 내부 구획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589A KR101012286B1 (ko) 2008-05-14 2008-05-14 내부 구획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667A KR20090118667A (ko) 2009-11-18
KR101012286B1 true KR101012286B1 (ko) 2011-02-08

Family

ID=4160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589A KR101012286B1 (ko) 2008-05-14 2008-05-14 내부 구획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2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1427U (ko) 1986-04-21 1987-10-30
JPH0275010U (ko) * 1988-11-22 1990-06-08
KR100227194B1 (ko) 1997-02-20 1999-10-15 박연준 음료용기용 기밀유지장치 및 이를 갖는 음료용기
KR20000012241A (ko) * 1999-10-22 2000-03-06 노희권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1427U (ko) 1986-04-21 1987-10-30
JPH0275010U (ko) * 1988-11-22 1990-06-08
KR100227194B1 (ko) 1997-02-20 1999-10-15 박연준 음료용기용 기밀유지장치 및 이를 갖는 음료용기
KR20000012241A (ko) * 1999-10-22 2000-03-06 노희권 액상물질 저장용기의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667A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7752B1 (en) Foundation container provided with rubber discharge pad
US9078507B2 (en) Spouting-type cosmetic container
US8123426B2 (en) Tube-shaped cosmetic container for discharging cream-type cosmetics
KR200475352Y1 (ko)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US11432637B2 (en) Cosmetic container
US9788633B2 (en) Extrusion type cosmetic container
US20160270510A1 (en) Foundation container capable of easily preventing gel-state content from remaining
US20170303662A1 (en) Cosmetic having impregnation member with melted outside
US11266222B2 (en) Cosmetics containing other cosmetic materials
KR101836208B1 (ko)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화장품 용기
US10925374B2 (en) Cosmetic product further having impregnation member with outer surface thereof molten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1684241B1 (ko) 함침부재에 화장료저장홈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713592B1 (ko) 돌기가 형성된 배출판과 용기본체를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101012286B1 (ko) 내부 구획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JPH0118111Y2 (ko)
KR20100065532A (ko) 스포이드
KR102054877B1 (ko)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
CN208837190U (zh) 液状化妆品容器
JP2017119068A (ja) 化粧料製品を施与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ター
KR101909618B1 (ko) 분리 공간을 갖는 펌핑 용기
JP4282290B2 (ja) 液体塗布容器
JPH013113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