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016B1 -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으로 부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이모션 서비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으로 부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이모션 서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016B1
KR101012016B1 KR1020080040566A KR20080040566A KR101012016B1 KR 101012016 B1 KR101012016 B1 KR 101012016B1 KR 1020080040566 A KR1020080040566 A KR 1020080040566A KR 20080040566 A KR20080040566 A KR 20080040566A KR 101012016 B1 KR101012016 B1 KR 101012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ortable terminal
input
service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4763A (ko
Inventor
김유석
고남현
김성식
Original Assignee
팬터로그인터액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팬터로그인터액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팬터로그인터액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0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016B1/ko
Publication of KR2009011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를 새로운 입력 장치로 활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면서 단말기의 메뉴구조는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러한 메뉴들은 대부분 버튼이나 터치스크린 형식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번 선택해야만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동작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휴대용 단말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나 노약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바탕화면을 변경하거나 사진 촬영 등의 서비스를 실행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남녀노소 누구나 휴대용 단말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모션 서비스(감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에 입김을 불어 넣어 휴대용 단말기에서 미리 정의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예로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를 ‘후’ 불어 바탕화면 변경, 사진 촬영 등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입김, 소리, 인터페이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으로 부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이모션 서비스{EMOTION SERVICES IN MOBILE DEVICE USING BREATH BLOWING INTERFACE}
본 발명은 입으로 부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할 수 있는 이모션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의 발전으로 인하여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들은 많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인터페이스는 버튼이나 터치스크린 형태로 국한되어 있어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는 제약이 있어왔다. 예를 들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배경화면을 바꾸는 등과 같이 간단한 동작을 위해서도 많은 단계의 과정을 거쳐야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불편함이 있어왔으며,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기 자신을 촬영할 때 버튼 동작으로 인한 흔들림 현상 때문에 원하는 영상을 깨끗하게 촬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극복하고 이를 이용한 다양하고 편리한 이모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마이크로 입력되는 소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정의한 특정한 서비스를 동작시킬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 이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소리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마이크(100)로 입김을 불어 넣었는지는 판단할 수 있는 소리 입력 판단부(200)를 구비한다. 상기 소리 입력 판단부(200)는 마이크(100)로 입력되는 소리의 합이 소정의 문덕치를 넘는 경우에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100)로 입김을 불어 넣은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사용자마다 입김의 강도와 길이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인식률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사용자별로 입김의 강도와 길이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설정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소리 입력 판단부(200)는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한 결과 사용자가 입김을 불어 넣은 경우와 노이즈를 정확하게 구별해 내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소리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마이크로 입김을 불어 넣은 것을 판단하여 사용자가 특별한 버튼을 조작 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모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예로 상기의 이모션 서비스는 사용자가 단순히 마이크로 입김을 불어넣음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배경을 변경하거나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리 입력 장치의 간단한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의 소리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배경 화면을 변경하는 서비스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도 1의 소리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서비스의 순서도이며, 도 4는 사용자 설정부의 순서도 이고, 도 5는 도 1의 소리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배경 화면을 변경하는 서비스의 실시예이며, 도 6은 도 1의 소리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배경 영상을 자동 슬라이드 시켜 원하는 배경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배경을 변경하는 서비스의 실시예이고, 도 7은 도 1의 소리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서비스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소리 입력 판단부(200)와 소리 입력 횟수 판단부(300)를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배경 화면 변경 서비스와 사진 촬영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소리 입력 판단부(200)는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어 있는 마이크(100)로 입력되는 소리 신호를 구간별로 합하여 그 합이 일정 크기의 문덕치를 넘으면 소리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 기준은 마이크로 입력되는 노 이즈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리 신호와 사용자가 마이크로 ‘후’ 바람 소리를 입력했을 때 발생하는 소리 신호의 에너지 레벨이 현저하게 다른 특징에 착안하여 만든 판단 기준으로 일상적인 노이즈 환경에서 사용자의 입김의 입력 여부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소리 입력 판단부(200)는 소리가 한번 입력된 후 일정 시간동안 소리가 입력되지 않으면 소리 입력 형태 A로 판단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다시 한번 소리가 입력되면 소리 입력 형태 B로 판단한다. 이는 일상적으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마우스에서 원클릭과 더블클릭을 구분하는 것과 유사하게 동작하여 소리 입력 형태 A일 때 배경 화면 변경 서비스 (300)나 사진 촬영 서비스 (500)을 제공하고 소리 입력 형태 B일 때 배경 화면 자동 슬라이드 서비스 (400)이나 동영상 촬영 서비스 (600)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용자 설정부는 사람마다 다소 차이점이 존재하는 ‘후’ 바람 소리의 강도와 길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 한번 입력된 소리의 강도와 길이를 저장하며 두 번 입력된 소리의 강도, 길이 및 소리 입력 간격을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으로 부는 인터페이스 및 이용한 이모션 서비스의 실시구성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어 있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김을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의 인터페이스는 다른 여러 가지 서비스에도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리 입력 장치의 간단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경 화면 변경 서비스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진 촬영 서비스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자 설정부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리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배경 화면을 변경하는 서비스의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소리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배경 화면을 자동 슬라이드 시켜서 원하는 배경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배경을 변경하는 서비스의 실시예.
도 7는 본 발명의 소리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서비스의 실시예.

Claims (6)

  1. 마이크가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이모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입력되는 입김에 의해서 소리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소리 입력 판단부를 통해, 상기 발생한 소리의 크기의 합이 문턱치를 넘는 경우 입김 소리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리 입력 판단부에 의해서 입김 소리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미리 정의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입김 소리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김 소리가 1회 입력된 경우와 상기 입김 소리가 연속적으로 2회 입력된 경우를 상이한 신호로 판단하는 것인 이모션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김 소리의 크기, 입김 소리의 길이 및 입김 소리의 입력 간격을 사용자 설정부에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모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미리 정의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김 소리가 1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바탕 화면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김 소리가 2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바탕 화면을 자동 슬라이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바탕 화면에 사용되는 영상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이거나 다른 사용자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 영상인 것인 이모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미리 정의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김 소리가 1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김 소리가 2회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모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읽기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0040566A 2008-04-30 2008-04-30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으로 부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이모션 서비스 KR101012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566A KR101012016B1 (ko) 2008-04-30 2008-04-30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으로 부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이모션 서비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566A KR101012016B1 (ko) 2008-04-30 2008-04-30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으로 부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이모션 서비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763A KR20090114763A (ko) 2009-11-04
KR101012016B1 true KR101012016B1 (ko) 2011-01-31

Family

ID=4155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566A KR101012016B1 (ko) 2008-04-30 2008-04-30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으로 부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이모션 서비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0672A (zh) * 2018-06-22 2018-09-14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吹气触发方法及终端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095A (ko) 2009-11-25 2011-06-01 제일모직주식회사 발포특성이 우수하고 입경이 균일한 열팽창성 미립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19523B1 (ko) * 2011-03-23 2013-01-11 이승렬 바람 감지를 이용한 메시지 확인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143A (ko) * 2003-06-23 2005-01-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동작방법
KR20060038662A (ko) * 2004-11-01 2006-05-04 브이케이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명령 저장 방법
KR100639377B1 (ko) * 2005-03-31 200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배경화면 설정 장치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143A (ko) * 2003-06-23 2005-01-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동작방법
KR20060038662A (ko) * 2004-11-01 2006-05-04 브이케이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명령 저장 방법
KR100639377B1 (ko) * 2005-03-31 200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배경화면 설정 장치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0672A (zh) * 2018-06-22 2018-09-14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吹气触发方法及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763A (ko)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820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ng parameter for air purifier
CN108604447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KR101237809B1 (ko) 카메라 장치
US20200012418A1 (en) Video enco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WO2017054356A1 (zh) 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
US20160156837A1 (en) Alternative camera function control
KR101933642B1 (ko) 조작 명령의 실행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TW201629915A (zh) 使用安防/安全監視裝置的視訊記錄
JPWO201610398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809598B (zh) 一种拍摄方法、移动终端及服务器
JP484461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5224601B (zh) 一种提取时间信息的方法和装置
KR20150069535A (ko) 단말 상에서 음성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8924452A (zh) 局部录屏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70366745A1 (en) Method, device and medium of photography prompts
CN109151642B (zh) 一种智能耳机、智能耳机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40035713A (ko) 실감 미디어 저작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하는 휴대형 단말 장치
WO2019213819A1 (zh) 拍摄控制方法及电子装置
CN109922252A (zh) 短视频的生成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10101201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입으로 부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이모션 서비스
CN104020628B (zh) 闪光灯的提醒方法及装置
CN106991018A (zh) 界面换肤的方法及装置
CN110059211A (zh) 记录用户情感的方法及相关装置
US20170034347A1 (en) Method and device for state notifica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4486489B (zh) 输出通话背景音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