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827B1 -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827B1
KR101011827B1 KR1020080054267A KR20080054267A KR101011827B1 KR 101011827 B1 KR101011827 B1 KR 101011827B1 KR 1020080054267 A KR1020080054267 A KR 1020080054267A KR 20080054267 A KR20080054267 A KR 20080054267A KR 101011827 B1 KR101011827 B1 KR 101011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tact
sensitive
transfer pipe
contact condu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8211A (ko
Inventor
박상열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54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827B1/ko
Publication of KR20090128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24Arrangements for measuring quantities of char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7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Non contact-making pro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전극이 이송관 외부 양측에 형성되어 응답속도가 빠르고 설치가 용이한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측정 용액이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외부 양측에 구비되는 여기전극, 및 감응전극; 상기 여기전극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 및 상기 감응전극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는 한 쌍의 전극이 이송관의 외부 양측에 마주보도록 형성됨으로써 작용점의 크기가 최소화되어 빠르게 전기전도도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전극 형성 위치에 따른 오차를 줄여 전기전도도 검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설치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여 이온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모세관 전기영동장치 등과 간은 다양한 장치에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기영동, 전기전도도, 전극

Description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Contactless Electrical Conductivity Detector}
본 발명은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전극이 이송관 외부 양측에 형성되어 응답속도가 빠르고 설치가 용이한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도도(Electric Conductivity)는 물질 내에서 전류가 잘 흐르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고유전기저항의 역수와 같고, 하전량과 이동도의 곱과 비례하며, 전기적 조건이나 빛 등의 외부 조건과 물질의 구조의 영향을 받는다.
특히, 액체의 전기전도도 측정은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또는 모세관전기영동(CE, Capillary Electrophoresis)과 같은 분리장치에 이용되며, 이때, 상기 전기전도도 측정장치는 분리용매와 조성이 다른 어떠한 물질로 포착할 수 있는 범용검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기전도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측정용액과 직접 접촉 되는 경우 에는 측정 용액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측정 대상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단과 검출 대상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전도도를 검출하는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검출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검출장치는 용액이 유동되는 관의 외부에 상기 용액의 흐름을 따라 한 쌍의 전극을 설치하고, 상기 전극에 고전압 교류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두 전극 사이에 검출 대상의 전기전도도에 비례하여 발생되는 전류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측정 대상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여 전기전도도 측정에 의한 검출 대상의 오염을 방지하고, 별도의 장비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검출장치는 용액이 유동되는 관을 감싸는 구조의 전극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 및 교체 작업이 불편하며, 상기 전극과 관 사이의 접촉 정도에 따라 검출되는 신호의 크기에도 변화가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전극이 이송관의 외부 양측에 마주보도록 형성됨으로써 작용점의 크기가 최소화되어 빠르게 전기전도도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전극 형성 위치에 따른 오차를 줄여 전기전도도 검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설치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여 모세관 전기영동장치 등에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는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직경이 작은 모세관을 연통하는 용액의 전기전도도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검출할 수 있고, 전기영동을 진행하면서도 용액을 오염시키지 않으며, 전기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는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가 구비된 모세관 전기영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측정 용액이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외부 양측에 구비되는 여기전극, 및 감응전극; 상기 여기전극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 및 상기 감응전극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여기전극 및 감응전극은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여기전극 또는 감응전극의 중심축은 상기 이송관의 중심축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관은 부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여기전극 또는 감응전극은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의 절연관,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절연관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전극, 및 상기 절연관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부전극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내부전극은 텅스텐 선을, 상기 외부전극은 스테인리스 스틸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내부전극 또는 외부전극은 각각 상기 절연관과의 사이에 에폭시를 충진한 후 경화시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감응전극을 형성하는 외부전극은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는 내부가 중공되어 상기 이송관이 내장되는 이송관안착부와, 상기 여기전극 및 감응전극의 위치를 고정하는 여기전극안착부 및 감응전극안착부가 각각 형성되는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이송관이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는 상기 여기전극이 상기 복수개의 이송관 일측에 공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감응전극이 상기 이송관의 타측에 각각의 이송관에 대응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감응전극의 전류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락-인 증폭기(Lock-in amplifier)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는 한 쌍의 전극이 이송관의 외부 양측에 마주보도록 형성됨으로써 작용점의 크기가 최소화되어 빠르게 전기전도도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전극 형성 위치에 따른 오차를 줄여 전기전도도 검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설치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여 이온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모세관 전기영동장치 등과 간은 다양한 장치에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여기전극(120) 또는 감응전극(13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170)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의 다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가 구비된 모세관 전기영동장치(10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110), 여기전극(120), 및 감응전극(130), 전압인가부(130), 및 신호처리부(1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이송관(110)은 내부에 측정 용액이 이송되는 공간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관이라 함은, 단면이 원형뿐만 아니라, 다각형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측정 용액이 이송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제한됨이 없이 이용가능하다.
상기 이송관(110)은 내부 용액이 양측이 개방되어 일측으로부터 유입된 용액이 배출되는 구조뿐만 아니라,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일측을 통해 용액이 장입된 후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이송관(110)은 부도체로서, 유리, 플라스틱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가 모세관 전기영동장치(1000)에 이용되는 경우에, 상기 이송관(110)은 완충용액이 이송되는 모세관(500)이며, 상기 모세관 전기영동장치(1000)와 관련한 사항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상기 여기전극(120), 및 감응전극(130)은 상기 이송관(110)의 외부 양측에 구비되며, 더욱 상세하게, 상기 여기전극(120) 및 감응전극(130)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여기전극(120) 또는 감응전극(130)의 중심축은 상기 이송관(110)의 중심축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즉, 상기 여기전극(120) 및 감응전극(130)은 상기 이송관(110) 외부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여기전극(120) 또는 감응전극(130)은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도 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전극(141)과 외부전극(143)이 각각 절연관(142)의 내ㆍ외측에 접합된 동심원 이중전극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기전극(120) 또는 감응전극(130)은 관형태의 절연관(142),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절연관(142)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전극(141), 및 상기 절연관(142) 외부를 감싸도록 관형태로 형성되는 외부전극(14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내부전극(141), 및 외부전극(143)은 상기 절연관(142)에 고정되도록 각각 상기 절연관(142)과의 사이에 에폭시(144)를 충전한 후 경화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내부전극(141), 절연관(142), 및 외부전극(143)은 액체 또는 매질과 반응되지 않고 높은 전기전도도를 갖는 물질이면 다양하게 사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전극(141)은 텅스텐 선을, 상기 외부전극(143)은 스테인리스 스틸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응전극(130)은 외부전극(143)이 접지되어 실제 전기전도도 신호의 출력은 상기 내부전극(141)을 이용하여 검출하고, 상기 외부전극(143)은 상기 내부전극(141) 잡음신호의 차폐막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압인가부(130)는 상기 여기전극(120)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으로, 상기 전압인가부(130)는 80 내지 150 kHz 싸인파 교류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여기전극(120)으로 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160)는 상기 감응전극(13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으로, 감응전극(130)에 도달하는 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는 수 단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160)는 감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변환된 변압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신호를 제거하는 락-인 증폭기(Lock-in amplifier)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압인가부(130)와 여기전극(120), 및 상기 감응전극(130)과 신호처리부(160)는 리드선(180)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는 상기 신호처리부(160)를 통해 처리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영상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수단, 또는 소리를 이용하는 음향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A/D 변환보드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로 전송되고,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시간 표시 및 저장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는 상기 여기전극(120) 및 감응전극(130)이 상기 이송관(110)의 외부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설치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는 상기 이송관(110), 여기전극(120), 및 감응전극(13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 전기전도도의 측정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관(110), 여기전극(120), 및 감응전극(13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170)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70)은 내부가 중공되어 상기 이송관(110)이 내장되는 이송관안착부(171), 각각 상기 여기전극(120), 및 감응전극(130)이 내장되어 상기 여기전극(120), 및 감응전극(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여기전극안착부(172) 및 감응전극안착부(173)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관안착부(171)는 상기 이송관(11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이송관(110) 직경의 110 내지 120 %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관(11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이송관(110)의 직경이 변화될 경우에 상기 이송관안착부(171)의 형태 역시 변화되어야 한다.
상기 여기전극(120) 및 감응전극(130)은 3차원 위치조절수단을 통해 상기 이송관(110)과 직교하도록 삽입할 수도 있으며, 모세관 전기영동장치(1000) 등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여기전극(120)은 상기 모세관(500) 통로 내 이동에 약간의 저항을 주는 정도의 위치에 고정하고, 상기 감응전극(130)은 출력신호가 급격히 증가하다가 더 이상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위치에 고정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검출이 가능하도록 측정 용액이 이송되는 이송관(110)이 나란하게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여기전극(120) 및 감응전극(130)은 상기 이송관(110)에 각각 형 성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여기전극(120)은 공통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리드선(180)과 전압인가부(130)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고 제조 및 설치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감응전극(130)은 상기 이송관(110)의 타측에 각각의 이송관(110)에 대응하도록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도 5는 다중채널 검출기를 형성하는 방법을 보인 것으로서, 하나의 공통여기 전극에 복수개의 감응전극(130)에서 발생된 신호를 신호처리부(160)에서 처리하도록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5의 공통으로 형성된 여기전극(120)은 복수개의 이송관(110)을 가로지도록 얇은 판상으로 만들어지고 내구성과 강도를 만족하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감응전극(130)은 각각의 이송관(110)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는 좁은 영역에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다중채널 전기영동칩과 같은 칩형 분석장치의 전기전도도 검출장치로 이용될 수 있으며, 동시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는 특정 용액의 전기전도도 측정하거나 별도의 장치에 포함되는 장치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로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를 포함하는 모세관 전기영동장치(1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모세관 전기영동장치(1000)는 한 쌍의 완충용액저장부(200a, 200b); 상기 완충용액저장부(200a, 200b)에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300a, 300b); 상기 한 쌍의 전극(300a, 300b)을 연결하며 전원을 인가하는 고전압공급부(400); 상기 한 쌍의 완충용액저장부(200a, 200b)를 연결하는 전기영동모세관(500); 및 상기 이송관(110)이 완충용액이 이동되는 전기영동모세관(500)인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세관 전기영동장치(1000) 역시 한 쌍의 전극(300a, 300b)이 형성되어 자기장이 형성되는 장치로,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상기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는 상기 모세관 전기영동장치(1000)의 접지점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측정 용액 농도에 따른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의 신호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에 1.0 M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2.34 내지 10.0 mM 용액 6가지를 준비하여 내경 100 μm의 이송관(110)에 장입하여 측정된 결과를 출력신호전압(Y축)과 로그를 취한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농도(X축)를 나타낸 도면으로,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농도와 전기전도도는 비례관계를 갖기 때문에 용액의 전도도 로그값과 신호가 (-) 기울기의 직선 형태이되, 이 때, 그래프 직선의 직선성이 좋아야 신호로부터 정확한 전도도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 도 7과 같이, 마이너스 (-) 기울기를 갖는 직선적 결과, 더욱 상세하게는 기울기값(R)이 -0.99959로서 -1에 매우 가까워 직선성이 좋으므로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는 1점 교정으로부터 높은 분석 성능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가 구비된 모세관 전기영동장치(1000)의 일실시예의 검출신호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도 5에 도시한 형태의 전기영동장치의 상기 모세관(500)이 길이 60 cm, 내경 50 ㎛, 외경 360 ㎛이며, 두 개의 완충용액에 고전압을 가하여 모세관을 가로질러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영동을 실시한다. 시료를 모세관에 주입하기 위해 상기 고전압공급부(400)를 통해 양측 완충용액에 인가되는 전압을 20 kV로 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하되, 먼저, 양전압이 걸리는 모세관 종단 측 완충용액을 100 mM Tris/HCl (pH 8.0)의 시료용액으로 교체하고 5초 동안 3 kV를 모세관을 가로질러 인동 용액을 모세관 내로 주입하며, 다시 시료용액을 완충용액으로 원래대로 원상복구 한 후, 상기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를 전기영동장치의 접지점으로부터 5 cm 떨어진 위치에 장착하여 100 kHz, 300 Vp-p의 교류전압을 가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세관 전기영동장치(1000) 및 전기영동칩과 같이 크기가 매우 작은 구조의 장치에 용이하게 장착가능하며, 간소한 구성으로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상기 도 1의 AA'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여기전극 또는 감응전극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의 다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가 구비된 모세관 전기영동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측정 용액 농도에 따른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의 신호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가 구비된 모세관 전기영동장치의 일실시예의 검출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110 : 이송관
120 : 여기전극
130 : 감응전극
141 : 내부전극 142 : 절연관
143 : 외부전극 144 : 고정에폭시
150 : 출력부
160 : 신호처리부
170 : 고정수단 171 : 이송관안착부
172 : 여기전극안착부 173 : 감응전극안착부
180 : 리드선
200a, 200b : 완충용액 저장부
300a, 300b : 전극
400 : 고전압공급부
500 : 전기영동모세관
1000 : 본 발명에 따른 모세관 전기영동장치

Claims (11)

  1. 삭제
  2. 길이방향으로 길게 측정 용액이 이송되는 이송관(110);
    상기 이송관(110)의 외부 양측에 구비되는 여기전극(120), 및 감응전극(130);
    상기 여기전극(120)으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130); 및
    상기 감응전극(130)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60); 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여기전극(120) 및 감응전극(130)은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여기전극(120) 또는 감응전극(130)의 중심축은 상기 이송관(110)의 중심축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110)은 부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기전극(120) 또는 감응전극(130)은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의 절연관(142),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절연관(142)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전극(141), 및 상기 절연관(142)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부전극(143)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141)은 텅스텐 선을, 상기 외부전극(143)은 스테인라스 스틸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141) 또는 외부전극(143)은 각각 상기 절연관(142)과의 사이에 에폭시(144)를 충진한 후 경화시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전극(130)을 형성하는 외부전극(143)은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는 내부가 중공되어 상기 이송관(110)이 내장되는 이송관안착부(171)와, 상기 여기전극(120) 및 감응전극(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여기전극안착부(172) 및 감응전극안착부(173)가 각각 형성되는 고정수단(1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는 복수개의 이송관(110)이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100)는 상기 여기전극(120)이 상기 복수개의 이송관(110) 일측에 공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감응전극(130)이 상기 이송관(110)의 타측에 각각의 이송관(110)에 대응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160)는 상기 감응전극(130)의 전류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락-인 증폭기(Lock-in amplifier)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KR1020080054267A 2008-06-10 2008-06-10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KR101011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267A KR101011827B1 (ko) 2008-06-10 2008-06-10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267A KR101011827B1 (ko) 2008-06-10 2008-06-10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211A KR20090128211A (ko) 2009-12-15
KR101011827B1 true KR101011827B1 (ko) 2011-02-07

Family

ID=4168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267A KR101011827B1 (ko) 2008-06-10 2008-06-10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445B1 (ko) 2015-10-20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의 농도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장치
KR102067502B1 (ko) * 2017-11-07 2020-01-20 한국원자력연구원 연료봉 변형 측정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751U (ko) * 1989-06-12 1991-01-24
US20020011846A1 (en) * 1997-06-12 2002-01-31 Erhard Schell Detector for the measurement of electrolytic conductivity
KR200288338Y1 (ko) 2002-06-01 2002-09-11 새한에너테크 주식회사 이온전도도 측정용 셀
KR20020088338A (ko) * 2001-05-21 2002-11-27 서석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전자명함 및 서비스
JP2002372508A (ja) * 2001-06-15 2002-12-26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気伝導度セ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伝導度セン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751U (ko) * 1989-06-12 1991-01-24
US20020011846A1 (en) * 1997-06-12 2002-01-31 Erhard Schell Detector for the measurement of electrolytic conductivity
KR20020088338A (ko) * 2001-05-21 2002-11-27 서석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전자명함 및 서비스
JP2002372508A (ja) * 2001-06-15 2002-12-26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気伝導度セ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伝導度センサ
KR200288338Y1 (ko) 2002-06-01 2002-09-11 새한에너테크 주식회사 이온전도도 측정용 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211A (ko) 200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04843B (zh) 一种应用于液下环境的电容层析成像传感器
US9297776B2 (en) Probe
CN102183550B (zh) 非接触式电阻层析成像测量装置及方法
RU2017109736A (ru)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ы обнаружения аналитов
CN111751625B (zh) 一种基于lc电路的非接触式电导测量装置及方法
KR101011827B1 (ko) 비접촉식 전기전도도 측정장치
CN203299275U (zh) 一种绝缘子局部表面电导率测量探头装置
JP2017125851A (ja) 統合型イオン検出装置および方法
CN102269726B (zh) 工业型电容耦合式非接触电导在线测量装置及方法
CN207424122U (zh) 一种超高温的电声脉冲法空间电荷测量装置
JP2009508116A (ja) 媒体の流速を測定する方法
RU2398190C2 (ru) Датчик расходомера и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JP5044336B2 (ja) レベルゲージセンサ
KR100737274B1 (ko) 액체의 농도 및 레벨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센서
US20020008522A1 (en) Detector for the measurement of electrolytic conductivity
CN105784790A (zh) 一种基于电阻抗成像技术的金属板探伤系统
CN104133116A (zh) 一种基于计算电容原理的相对介电常数测试方法
JP2012103219A (ja) 非接触型インピーダンスモニター
JP2012103219A5 (ko)
US10209285B2 (en) Electrometer
JP2013019710A (ja) 被覆電線の表面汚れ検出装置
US20160187405A1 (en) Electrostatic distribution measuring instrument
CN207998641U (zh) 探测装置以及管道内检测装置
CN105699447A (zh) 一种铸造湿型粘土砂含水量的测量方法
US20160187403A1 (en) Electro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