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569B1 -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569B1
KR101011569B1 KR20080064435A KR20080064435A KR101011569B1 KR 101011569 B1 KR101011569 B1 KR 101011569B1 KR 20080064435 A KR20080064435 A KR 20080064435A KR 20080064435 A KR20080064435 A KR 20080064435A KR 101011569 B1 KR101011569 B1 KR 101011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ointment
place
user terminal
user terminals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6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327A (ko
Inventor
신의현
김승권
길우영
박성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6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56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569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에게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이 모일 수 있는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 및 만남의 목적을 고려하여 약속장소의 정보와 교통편을 함께 제공하여 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으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만남의 목적,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및 만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함께 전달받고,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의 실제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정보 제공서버; 약속지역별로 만남의 목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가 구축된 지도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별 실제 위치를 통해서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가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최적의 약속지역을 산출하고, 상기 약속지역에서 만남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를 지도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서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약속, 만남, 장소, 제공, 시각, 중앙, 네비게이션, 단말기, 교통정보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System of Providing Appointed Place and Method For Providing Appointed Place Thereof for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 있는 2명의 사람이 회의, 회식, 쇼핑 및 영화관람 등을 위해 서로 약속장소를 정하기 위해서 서로 상대방의 위치를 물어보고 대략 중간지점 또는 자주 가는 지역으로 약속장소를 물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2명의 사람은 지하철 노선도 또는 버스 노선도를 보고 각자 약속장소까지의 탑승 정류장 및 하차 정류장과 경유할 정류장의 개수를 파악하게 되며 상기 탑승 정류장 및 하차 정류장을 참조하여 약속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3명 이상의 많은 사람들이 단체로 약속장소를 정하게 될 경우, 지하철 노선도 또는 버스 노선도를 통해서는 많은 사람들의 지하철, 버스 또는 지하철/버스 환승을 고려하여 최적의 중간지점을 산출하기에는 너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2명의 사람은 물론 3명 이상의 사람이 약속을 잡는 경우에도 도로의 실제 교통정보를 고려하지 않은 중간지점의 산정으로 인해 약속장소까지 버스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사람은 도로가 정체될 경우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은 이동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약속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 간의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약속지역과, 상기 약속지역에서 만남의 목적을 고려하여 약속장소를 선정하여 제공하여주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별로 약속지역(약속장소)으로의 교통편을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속지역(약속장소)으로의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에 교통정보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교통정보를 반영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별로 최적의 출발시각에 도달하면 출발권유메시지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으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만남의 목적,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및 만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함께 전달받고,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의 실제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정보 제공서버; 약속지역별로 만남의 목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 가 구축된 지도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별 실제 위치를 통해서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가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약속지역을 산출하고, 상기 약속지역에서 만남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를 지도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서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지도데이터베이스에는 약속장소에 해당하는 주변지도데이터가 더 구축되고,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는 약속장소 제공 시 그 주변지도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에게 함께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는 현재 위치정보, 휴대폰 번호 또는 이메일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지도데이터베이스에는 지하철노선정보 또는 버스노선정보가 더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은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이 현재 위치 부근에서 탑승하여 약속지역까지 이동할 버스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이 현재 위치 부근에서 탑승하여 약속지역까지 이동할 지하철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 또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이 현재 위치 부근에서 탑승하여 약속지역까지 이동할 버스/지하철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 중 어느 하나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은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이 현재 위치 부근에서 탑승하여 약속지역까지 이동할 자가운전의 이동거리에 의 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실제 도로에 대한 교통정보를 약속장소 제공서버에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로 하여금 상기 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산출하게 하는 교통정보 제공서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에 대해 선택 받으면 교통편 및 그 주변지도데이터를 포함한 약속장소 확정메시지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2사용자 단말기별로 각각 약속장소로 이동하고자 하는 대중교통 또는 자가운전 중 어느 하나의 교통수단을 더 지정받고,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는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약속지역을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의 지정 교통수단에 해당되게 산출하며,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는 상기 교통편을 제1,2사용자 단말기별 지정 교통수단에 해당되게 산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만남의 목적은 회의, 회식, 쇼핑 또는 콘텐츠 관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약속장소는 상기 만남의 목적에 대응하는 회의실, 음식점, 쇼핑장소 또는 콘텐츠 관람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약속장소에 대한 예약요청을 전달받고, 해당 약속장소에 설치된 단말기로 제1,2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개인정보 및 예약요청메시지를 함께 전달하는 예약서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별도의 인터넷 게시판에 게시된 해당 약속장소에 따른 게시물을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당 약속장소에 대한 평가를 전달받고 이를 상기 인터넷 게시판에 자동으로 게시하는 정보제공서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만남의 목적,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및 만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 단말기들의 정보를 함께 전달받는 단계; (b)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의 실제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별 실제 위치를 통해서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가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약속지역을 산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약속지역에서 만남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를 지도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 이전에는, (a-1) 약속지역별로 만남의 목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 및 상기 약속장소에 해당하는 주변지도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약속장소 제공 시 그 주변지도데이터를 상기 지도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에게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간 도로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d) 단계 이후에는, (e)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에 대해 선택 받으면,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별로 약속지역으로의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에 근거한 교통편 및 그 주변지도데이터를 포함한 약소장소확정 메시지를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2사용자 단말기별로 각각 약속장소로 이동하고자 하는 대중교통 또는 자가운전 중 어느 하나의 교통수단을 더 지정받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약속지역은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의 지정 교통수단에 해당되게 산출되며,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교통편은 제1,2사용자 단말기별 지정 교통수단에 해당되게 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약속시간을 더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d) 단계 이후에는, (f) 상기 약속시간에서 제1,2사용자 단말기별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감산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별 최적의 출발시각을 산출하고,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별로 최적의 출발시각에 도달하면 약속장소로의 출발권유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d) 단계에서, 별도의 인터넷 게시판에 게시된 해당 약속장소에 따른 게시물을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g)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당 약속장소에 대한 평가를 전달받고 이를 상기 인터넷 게시판에 자동으로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에 대해 선택받지 못하면, 상기 약속지역과 이웃한 다른 지역에서 만남의 목적에 부합되는 약속장소를 재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속장소 제공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게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의 공통 최소이동예상시간 및 만남의 목적을 고려한 약속지역 및 약속장소를 제공한다. 따라서 여러 명의 사용자가 서로 만날 약속장소를 선정하기 위해 지하철 노선도 및 버스 노선도 등을 이용하여 최적의 중간지점을 찾아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속장소 제공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별로 약속지역(약속장소)으로의 교통편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이 약속장소로의 이동을 위해 별도의 지하철 노선도 및 버스 노선도를 검색할 필요가 없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속장소 제공시스템은 교통정보제공서버로부터 교통정보를 제공 받고 이를 약속지역(약속장소)으로의 공통 최소이동예상시간에 반영한다. 따라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시스템이 실제 도로의 교통상황에 근거한 약속지역(약속장소)을 선정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속장소 제공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별로 최적의 출발시각에 도달하면 약속장소로의 출발권유메시지를 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불필요하 게 약속장소를 먼저 출발하여 시간을 낭비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늦게 출발하여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속장소 제공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약속장소에 대한 예약요청을 전달받고 해당 약속장소와 연계하여 예약을 대행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약속장소에 대해 별도의 예약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속장소 제공시스템은 별도의 인터넷 게시판에서 해당 약속장소에 따른 게시물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약속장소 제공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당 약속장소에 대한 평가를 전달받아 이를 상기 인터넷 게시판에 자동으로 등록하여 준다. 따라서 추후 다른 사용자 단말기가 해당 약속장소를 이용하고자 할 때 선택근거를 마련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란 PMP,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휴대폰 등의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통신모듈 또는 무선인터넷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는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통신모듈 또는 무선인터넷 모듈을 통해서 약속장 소 제공서버(20)와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통신모듈 또는 무선인터넷 모듈을 통해서 위치정보 제공서버(10)와 연결되어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가 무선측위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과의 약속장소를 선정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제1사용자 단말기"로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 해당 약속장소에서 만나게 되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은 "제2사용자 단말기"로 지칭한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에 따라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를 모두 "사용자 단말기"로 통칭한다.
여기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는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는 복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속장소 제공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위치정보 제공서버(10), 지도데이터베이스(30) 및 약속장소 제공서버(20) 등을 포함한다.
이하 구성요소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만남의 목적,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만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의 실제 위치를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정보는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휴대폰 번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위치정보 제공서버(10)로 전달하는 상기 만남의 목적은 회의, 회식, 쇼핑 또는 콘텐츠 관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만남의 목적은 반드시 회의, 회식, 쇼핑 또는 콘텐츠 관람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숙박, 운동 등 필요에 따라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남의 목적의 쇼핑의 경우도 쇼핑 카테고리 내에서 도서, 옷, 자동차 등의 세부카테고리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전달받은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위치정보를 이동통신 기지국 기반의 무선측위기술을 이용하여 파악한다.
즉,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는 위치정보 제공서버(10)에 접속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예컨대 휴대폰번호와 만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정보, 예컨대 휴대폰번호를 함께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상기 휴대폰번호를 통해서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위치정보를 무선측위기술 기반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에 GPS 수신기가 장착된 경우 무선측위기술 기반의 위치파악 대신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에게 GPS 위치정보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전달받은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정보, 예컨대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에게 GPS 위치정보데이터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로부터 GPS 위치정보데이터 요청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는 장착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GPS 위성(400)으로부터 위경도 좌표를 전달받고, 상기 위경도 좌표로부터 GPS 위치정보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GPS 위치정보데이터를 위치정보 제공서버(10)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의 사용자가 만나고자 하는 제2사용자 단말기(10b) 사용자와의 전화통화 등을 통해서 획득된 상대방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현재 위치, 이메일 등의 정보를 더 전달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와 제2사용자 단말기(10b) 간의 전화통화 결과,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의 사용자가 두개의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사용자들이 각각 강남역 및 종로3가역에 있다고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와 제2사용자 단말기(10b) 간의 전화통화 결과,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두개의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이메일 주소가 각각 abc@nemo.com, def@nemo.com으로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현재 위치를 전달하는 것은 직접 지역명을 입력하여 전달하거나,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에 마련된 지도데이터에서 해당 지역을 터치 펜 등으로 직접 지정(클릭)하여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앞서 거론되는 상기 이동통신모듈에 의한 무선측위기술은 사용자 단말기(10)들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기술이다.
여기서 상기 무선측위기술은 종래에 알려진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간략하게만 소개한다.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기 설정주기 동안 기 설정시간 간격으로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기지국이 측정한 단말기로부터 들어오는 신호의 도래각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기 설정주기 동안 기 설정시간 간격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기지국이 측정한 단말기로부터 들어오는 신호의 전파 도달 시간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기 설정주기 동안 기 설정시간 간격으로 두 개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기지국이 측정한 단말기로부터 들어오는 신호의 전파 도달 시각의 상대적인 차를 계산하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도데이터베이스에 지역 및 만남의 목적에 따른 약속장소가 구축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는 약속지역별로 적어도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의 만남의 목적인 회의, 회식, 쇼핑, 관람에 대응하는 회의실, 음식점, 쇼핑장소 및 영화 또는 연극 등의 관람관의 정보 및 그 주변지도데이터가 구축되어 있다.
여기서 약속지역은 작은 의미로는 동, 구, 지하철역, 특정 건축물, 도로를 의미할 수 있고 넓은 의미로는 도시 단위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대학로, 신촌, 강남역 등과 같은 특정 존을 의미할 수 있고 기 설정 반경의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는 약속지역이 예컨대, 강남역이면 강남역에 위치한 회의, 회식, 쇼핑, 관람에 대응되는 약속장소 등의 전화번호, 소개글, 평점, 대표자 이름, 홈페이지, 주차정보, 영업시간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가 부가적으로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지도데이터베이스(30)의 약속장소 구축은 상기 약속장소의 업주로부터 소정의 광고료를 수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제조사에 의해 임의로 선정되어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는 도로정보, 지하철노선정보 및 버스노선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하철노선정보에는 각 도로에 위치하는 지하철 정류장에 대한 정보와 상기 지하철 정류장 간의 예상소요시간과 운행시간표 등이 함께 저장되어 있다.
한편 버스노선정보에도 각 도로에 위치하는 버스 정류장에 대한 정보와 상기 버스 정류장 간의 예상소요시간과 운행시간표 등이 함께 저장되어 있다.
한편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 실제 위치를 통해서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가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최적의 약속지역을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서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최적의 약속지역"이란,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가 모두 공통적으로 최소의 이동예상시간을 갖고 이동하여 서로 모일 수 있는 특정 지역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은 1)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이 현재 위치 부근에서 탑승하여 약속지역까지 이동할 버스(타 버스로의 환승 포함)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은 2)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이 현재 위치 부근에서 탑승하여 약속지역까지 이동할 지하철(타 지하철로의 환승 포함)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은 3)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이 현재 위치 부근에서 탑승하여 약속지역까지 이동할 버스/지하철(각각의 환승 포함)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일 수 있다.
결국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 별로 약속지역으로의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게 되는 교통편을 추천하여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의 위치가 각각 종로3가, 사당역, 잠실역일 경우 상기 3가지의 경우에 따라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에 의한 최적의 약속장소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로 상기 3가지의 경우에 따라 최소 이동예상시간을 산출 시 적용한 버스, 지하철 또는 지하철/버스 중 어느 하나의 교통편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가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로 제공하는 상기 교통편에는 자가운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에 4)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이 현재 위치에서 약속지역까지의 자가운전으로 이동할 때의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로 자가운전, 대중교통 등의 교통수단을 추가적으로 지정받아야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에 의한 약속지역 산출 시 버스, 버스/지하철에 의한 예상주행소요시간은 실제 도로의 교통상황에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본 발명의 약속장소 제공시스템(100)은 교통정보 제공서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정보 제공서버(50)는 실제 도로에 대한 교통정보를 약속장소 제공서버(20)로 제공하여 버스, 버스/지하철에 의한 이동예상시간에 상기 교통정보가 반영되어 상기 이동예상시간이 보정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최적의 약속지역을 산출한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상기 약속지역에서 만남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를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서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약속장소의 주변지도데이터를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서 더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에 대해 선택받으면,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 별로 약속지역으로의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에 따라 산출된 버스, 지하철 또는 버스/지하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탑승경로가 기재된 교통편 및 그 주변지도데이터가 포함된 약속장소 확정메시지를 함께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약속지역으로의 교통편에는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현재 위치에서 탑승 정류장까지의 거리와, 하차 정류장에서 약속장소까지의 거리는 반영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 현재 위치에서 탑승 정류장까지의 거리와 하차 정류장에서 약속장소까지의 거리에 의한 도보이동예상시간을 상기 교통편에 더 반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속장소 제공시스템(100)은 예약 서버(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예약 서버(40)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로부터 상기 약속장소에 대한 예약요청을 전달받고, 해당 약속장소에 설치된 약속장소 단말기(200)로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정보 및 예약요청메시지를 함께 전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약속장소 제공시스템(100)은 약속장소정보 제공서버(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약속장소정보 제공서버(60)는 별도의 인터넷 게시판(300)에 게시된 해당 약속장소에 따른 게시물을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약속장소정보 제공서버(60)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로부터 해당 약속장소에 대한 평가를 전달받고 이를 상기 인터넷 게시판에 자동으로 게시할 수 있다.
상기 약속장소정보 제공서버(60)는 약속장소 제공서버(20)가 약속장소의 주변지도데이터를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서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로 제공하는 시점에서 해당 약속장소에 따른 게시물을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는 지도데이터베이스(30) 상에서 해당 약속장소를 클릭하면 해당 약속장소에 따른 게시물을 열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키입력부(도시되지 않음) 및 통신모 듈(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한다.
키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만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10)들의 정보 및 만남의 목적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키입력부는 키패드 또는 모니터와 연동하여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모듈(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약속장소 제공시스템(100)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무선인터넷 모듈 또는 이동통신 모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GPS 위성(40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만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10)들의 정보 및 만남의 목적을 약속장소 제공시스템(1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은 최적의 약속지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 및 그 주변지도데이터를 함께 제공받고 이를 모니터와 같은 표출부로 표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약속장소 제공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에게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속지역 제공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10)에게 약속 장소를 제공하는 실시예1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약속지역별로 만남의 목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를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 구축하게 된다(S100). 여기서 상기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는 약속장소의 주변지도데이터가 더 구축될 수 있다.
이어서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만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정보 및 만남의 목적을 함께 전달받게 된다(S102).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약속시간을 더 전달받을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의 실제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S104).
이어서 약속정보 제공서버(20)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 10b)별 실제 위치를 통해서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이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최적의 약속지역을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서 산출하게 된다(S106).
상기 S106에서는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최적의 약속지역 산출 시 1)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이 현재 위치 부근에서 탑승하여 약속지역까지 이동할 버스(타 버스로의 환승 포함)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 2)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이 현재 위치 부근에서 탑승하여 약속지역 까지 이동할 지하철(타 지하철로의 환승 포함)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 3)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이 현재 위치 부근에서 탑승하여 약속지역까지 이동할 버스/지하철(각각의 환승 포함)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고려한다.
한편 상기 약속정보 제공서버(20)는 교통정보 제공서버(50)로부터 실제 도로에 대한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상기 교통정보를 고려하여 버스, 버스/지하철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최적의 약속지역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상기 약속지역에서 만남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가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 존재하는지 검색한다(S108).
이어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상기 약속장소의 정보가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서 검색되면 이를 상기 제1,2사용자단말기(10a, 10b)로 제공하게 된다(S110). 여기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제1,2사용자단말기(10a, 10b)로 약속장소의 제공 시 그 주변지도데이터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110에서 약속장소정보 제공서버(60)는 별도의 인터넷 게시판(300)에 게시된 해당 약속장소, 예컨대 플래티넘 맥주하우스라면, 상기 플래티넘 맥주하우스에 따른 약속장소정보를 인터넷 게시판을 검색하여 이를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는 상기 인터넷 게시판의 검색 게시물로부터 해당 약속장소에 대해 인지할 수 있어 약속장소에 대한 선택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는 해당 약속장소의 이용 후 평가를 다시 약속장소정보 제공서버(60)에 전달하여 약속장소정보 제공서버(60)로 하여금 이를 상기 인터넷 게시판에 자동으로 게시하게 한다.
이어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약속장소에 대한 선택여부를 파악하고(S112), 선택받지 못한 경우, 상기 약속지역과 이웃한 다른 지역에서 만남의 목적에 부합되는 약속장소를 재선정한다(S113).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전달한 만남의 목적은 회식이고,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에 의해 산출된 약속지역이 역삼1동이고, 상기 역삼1동의 회식 장소가 OB파크이지만,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가 이에 만족하지 않아 선택하지 않고 거부의사를 표시하게 되면, 역삼2동이나 서초4동 등 다른 이웃한 지역에서 회식 장소로 부합되는 장소를 재선정하여 서초골 또는 논골집 등을 다시 제공하고, S112 단계 이전으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 S113 단계와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약속장소에 대한 선택여부를 파악하고(S112), 선택받지 못한 경우, 동일한 약속지역에서 만남의 목적에 부합되는 다른 약속장소를 재선정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에게 다시 제공하고, S112 단계 이전으로 복귀한다.
상기 S112에서 약속 장소 제공서버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에 대해 선택 받으면,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로 약속지역으로의 교통편을 버스, 지하철 또는 버스/지하철 중 어느 하나로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상기 약속장소 확정메시지의 교통편에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현재 위치에서 탑승 정류장까지의 거리와 하차 정류장에서 약속장소까지의 거리에 의한 도보이동예상시간을 더 반영하여 보정한다.
이어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로 상기 보정된 약속장소로의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에 따른 버스, 지하철 또는 버스/지하철 중 어느 하나로의 탑승경로가 기재된 교통편 및 그 주변지도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된 약속장소 확정메시지를 함께 제공하게 된다(S114).
예를 들어, 약속장소가 강남역 플래티넘 맥주하우스로 정해지고,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현재 위치가 각각 잠실야구장 앞, 봉천7동, 잠원동 거목상가 앞이며, 약속 시각이 2008년 01월 20일 오후 7시 30분이라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약속장소 확정메시지를 제1사용자 단말기(10a)에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속장소: 강남역 플래티넘 맥주하우스, 약속시각: 2008년 01월 20일 오후 7시 30분, 교통편: 도보7분→지하철2호선 종합운동장역_1번출구→강남역_8번출구(8분소요)→도보1분→강남역 플래티넘 맥주하우스로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약속장소 확정메시지를 제2사용자 단말기(10b)에게는 약속장소: 강남역 플래티넘 맥주하우스, 약속시각: 2008년 01월 20일 오후 7시 30분, 교통편: 봉천7동 버스정류장에서 5528버스 승차(2분소요)→지하 철2호선 낙성대역_3번출구 하차→지하철2호선 낙성대역 환승→강남역_8번출구(11분소요)→도보1분→강남역 플래티넘 맥주하우스로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약속장소 확정메시지를 다른 제2사용자 단말기에게는 약속장소: 강남역 플래티넘 맥주하우스, 약속시각: 2008년 01월 20일 오후 7시 30분, 교통편: 도보2분→잠원동 거목상가 앞 4312번 버스 승차→강남역 8번 출구 앞 하차(18분소요)→ 도보1분→플래티넘 맥주하우스로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의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에 대한 교통편의 추천 기준은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현재 위치 또는 약속장소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제일 가까운 정류장이 버스인지 아니면 지하철인지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의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에 대한 교통편의 추천 기준은 가장 가까운 정류장이 버스라 할지라도 일정 거리를 버스로 이동한 후 하차하여 지하철을 환승하였을 때 약속장소로의 이동예상시간이 적게 되거나, 또는 버스에서 환승한 지하철의 하차 정류장이 약속장소와 가까울 경우 버스/지하철을 교통편으로 추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14단계에서,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에게 교통편으로 지하철, 버스/지하철, 버스를 각각 추천하였지만,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에게 해당 약속장소로의 지하철, 버스/지하철 및 버스 교통편 즉 3가지를 모두 추천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2사용자 단말 기(10a, 10b)들이 상기 3가지의 교통편을 모두 제공받고 이 중 하나를 취사선택하여 약속장소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 단말기(10a)에게 약속장소: 강남역 플래티넘 맥주하우스, 약속시각: 2008년 01월 20일 오후 7시 30분, 교통편: (지하철로 이동할 경우)도보7분→지하철2호선 종합운동장역_1번출구→강남역_8번출구(8분소요)→도보1분→강남역 플래티넘 맥주하우스, (버스로 이동할 경우) 도보1분→잠실종합운동장앞 3412번 버스 승차→강남역 농협 앞 하차→도보1분→강남역 플래티넘 맥주하우스, (버스/지하철 환승 경우) 도보1분→잠실종합운동장앞 730번 버스 승차→선릉역 하차→지하철 2호선 선릉역 환승→강남역_8번출구(4분소요)→도보1분→강남역 플래티넘 맥주하우스로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114 단계에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약속장소 확정메시지를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가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경우 문자메시지로 전달하며,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가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하지 않고 무선인터넷 모듈을 구비한 경우 이메일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이메일은 S102 단계에서 위치정보 제공서버(10)가 제1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제1사용자 단말기(10a)의 정보,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만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정보 및 만남의 목적을 전달받을 때 함께 전달받을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약속시간에서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 이동예상시간을 감산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 최적의 출발시각을 산출한다.
이어서 예약 서버(40)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로부터 상기 약속장소에 대한 예약요청을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제1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선택한 약속장소에 대해 예약요청을 전달받으면, 상기 예약 서버(40)는 해당 약속장소에 설치된 단말기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의 개인정보 및 예약요청메시지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약요청메시지에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 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만나고자 하는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총 인원수가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로 현재 시각이 최적의 출발시각에 도달하면 약속장소로의 출발권유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 이동예상시간이 각각 16분, 14분, 15분이고, 약속시각이 2008년 01원 20일 오후 7시 30분이므로, 2008년 01월 20일 오후 7시 14분, 16분, 15분에 각각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로 출발권유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실시예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속지역 제공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10)에게 약속 장소를 제공하는 실시예2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약속지역별로 만남의 목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를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 구축하게 된다(S200). 여기서 상기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는 약속장소의 주변지도데이터가 더 구축될 수 있다.
이어서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제1사용자 단말기(10a)의 정보,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만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정보 및 만남의 목적을 함께 전달받게 된다(S202).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약속시간을 더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가 이동하고자 하는 교통수단을 더 지정받을 수 있다(S204).
즉,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는 "대중교통", 제2사용자 단말기(10b) 중 어느 하나는 "대중교통", 제2사용자 단말기(10b) 중 다른 하나는 "자가운전"으로 교통수단을 전달받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로부터 제1사용자 단말기(10a) 및 제2사용자 단말기(10b)가 이동하고자 하는 교통수단을 상기 대중교통 대신 더욱 구체적으로 "버스", "지하철", "버스/지하철" 중 어느 하나까지 지정받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가 위치한 지역에 따라 버스 정류장(또는 지하철 정류장)은 가깝고, 지하철 정류장(또는 버스 정류장)이 멀 수 있 고, 또한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가 선호하는 교통수단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로 하여금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교통수단을 버스, 지하철 또는 버스/지하철 중 어느 하나로 지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가 약속장소까지 직접 자가용을 운행하여 이동하고 싶으면 교통수단을 "자가운전"으로 선택하면 된다.
이어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10)는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의 실제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S206).
이어서 약속정보 제공서버(20)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 실제 위치를 통해서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이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최적의 약속지역을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서 산출하게 된다(S208).
여기서 상기 약속정보 제공서버(20)는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지정 교통수단을 적용하여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산출한다.
즉, 상기 약속정보 제공서버(20)는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 산출 시 제1사용자 단말기(10a)와 제2사용자 단말기(10b)중 어느 하나는 대중교통 즉, 버스, 지하철 또는 버스/지하철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고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10b) 중 다른 하나는 자가운전을 적용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이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최적의 약속지역을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서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2에서의 최적의 약속지역의 산출과, 본 발명의 실시예1에서 의 최적의 약속지역의 산출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1은 교통수단을 입력받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들이 현재 위치 부근에서 탑승하여 약속지역까지 이동할 버스, 지하철, 버스/지하철을 모두 고려하여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약속장소를 산출하고,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 별로 약속장소에 대해 버스, 지하철 또는 버스/지하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교통편을 추천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2는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 별로 지정한 교통수단만을 고려하여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약속장소를 산출한다. 예컨대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가 모두 교통수단을 지하철로만 지정한 경우 지하철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약속지역을 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가 모두 교통수단을 자가운전으로 지정하였다면 자가운전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약속지역을 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가 교통수단을 지하철 및 버스만으로 지정하였다면 지하철 및 버스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약속지역을 산출하게 된다.
결국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 별로 제공하는 교통편은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가 지정한 교통수단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약속정보 제공서버(20)는 교통정보 제공서버(50)로부터 실제 도로에 대한 교통정보를 약소장소 제공서버(20)에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상기 버스, 버스/지하철 및 자가운전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에 상기 교통정보를 반영 한다.
이어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상기 약속지역에서 만남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가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 존재하는지 검색한다(S210).
이어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약속장소의 정보가 지도데이터베이스(30)에서 검색되면 이를 상기 제1,2사용자단말기(10a, 10b)로 제공하게 된다(S212). 여기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제1,2사용자단말기(10a, 10b)로 약속장소의 제공 시 그 주변지도데이터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212에서 약속장소정보 제공서버(60)는 별도의 인터넷 게시판(300)에 게시된 해당 약속장소, 예컨대 플래티넘 맥주하우스라면, 상기 플래티넘 맥주하우스에 따른 약속장소정보를 인터넷 게시판을 검색하여 이를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는 상기 인터넷 게시판의 검색 게시물로부터 해당 약속장소에 대해 인지할 수 있어 약속장소에 대한 선택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는 해당 약속장소의 이용 후 평가를 다시 약속장소정보 제공서버(60)에 전달하여 약속장소정보 제공서버(60)로 하여금 이를 상기 인터넷 게시판에 자동으로 게시하게 한다.
이어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약속장소에 대한 선택여부를 파악하고(S214), 선택받지 못한 경우, 상기 약속지역과 이웃한 다른 지역에서 만남의 목적에 부합되는 약속장소를 재선정한다(S216).
한편 상기 S116 단계와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약속장소에 대한 선택여부를 파악하고(S214), 선택받지 못한 경우, 동일한 약속지역에서 만남의 목적에 부합되는 다른 약속장소를 재선정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에게 다시 제공하고, S214 단계 이전으로 복귀한다.
상기 S214에서 약속 장소 제공서버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에 대해 선택 받으면,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로 이동하고자 하는 교통수단에 의한 약속지역으로의 교통편을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상기 약속장소 확정메시지의 교통편에서 교통수단을 대중교통으로 선택한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는 현재 위치에서 탑승 정류장까지의 거리와 하차 정류장에서 약속장소까지의 거리에 의한 도보이동예상시간을 더 반영하여 보정한다.
이어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로 상기 보정된 약속장소로의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에 따른 버스 탑승경로, 지하철 탑승경로, 버스/지하철 탑승경로 또는 자가운전 이동경로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교통편 및 그 주변지도데이터가 포함된 약속장소 확정메시지를 함께 제공하게 된다(S218).
예를 들면, 약속장소가 강남역 플래티넘 맥주하우스로 정해지고,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의 현재 위치가 각각 잠실야구장 앞, 봉천7동, 잠원동 거목상 가 앞이며, 약속 시각이 2008년 01월 20일 오후 7시 30분이라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약속장소 확정메시지를 제1사용자 단말기(10a)(교통수단으로 대중교통을 선택)에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속장소: 강남역 플래티넘 맥주하우스, 약속시각: 2008년 01월 20일 오후 7시 30분, 교통편: 도보7분→지하철2호선 종합운동장역_1번출구→강남역_8번출구(8분소요)→도보1분→강남역 플래티넘 맥주하우스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약속장소 확정메시지를 제2사용자 단말기(10b) 중 어느 하나(교통수단으로 대중교통을 선택)에게는 약속장소: 강남역 플래티넘 맥주하우스, 약속시각: 2008년 01월 20일 오후 7시 30분, 교통편: 도보2분→지하철2호선 낙성대역_3번출구→강남역_8번출구(11분소요)→도보1분→강남역 플래티넘 맥주하우스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약속장소 확정메시지를 제2사용자 단말기(10b) 중 다른 하나(교통수단으로 자가운전을 선택)에게는 약속장소: 강남역 플래티넘 맥주하우스, 약속시각: 2008년 01월 20일 오후 7시 30분, 교통편: 잠원역 직진(0.23 km)→명주길 좌회전(0.16 km)→잠원동사무소 우회전(0.53 km)→신사역 우회전(1.35 km)→교보타워 사거리 좌회전(0.91 km)→차병원 우회전(0.76 km)→역삼역 우회전(0.87 km)→플래티넘 맥주하우스(8분40초소요)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218 단계에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약속장소 확정메시지를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가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한 경우 문자메시지로 전달하 며,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가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하지 않고 무선인터넷 모듈을 구비한 경우 이메일로 전달한다.
이어서 예약 서버(40)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로부터 상기 약속장소에 대한 예약요청을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약요청메시지에는 제1사용자 단말기(10a) 및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10a)가 만나고자 하는 제2사용자 단말기(10b)의 총 인원수가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약속시간에서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 이동예상시간을 감산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 최적의 출발시각을 산출한다.
이어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20)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10a, 10b)별로 현재 시각이 최적의 출발시각에 도달하면 약속장소로의 출발권유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성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도데이터베이스에 지역 및 만남의 목적에 따른 약속장소가 구축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속지역 제공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에게 약속 장소를 제공하는 실시예1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속지역 제공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에게 약속 장소를 제공하는 실시예2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약속지역 제공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에게 약속장소 확정 메시지를 보낸 모습을 나타내는 휴대폰 화면 캡쳐도.

Claims (20)

  1.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으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만남의 목적,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및 만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함께 전달받고,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및 제2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의 실제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정보 제공서버;
    약속지역별로 만남의 목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가 구축된 지도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별 실제 위치를 통해서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가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약속지역을 산출하고, 상기 약속지역에서 만남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를 지도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서버를 포함하고,
    별도의 인터넷 게시판에 게시된 해당 약속장소에 따른 게시물을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당 약속장소에 대한 평가를 전달받고 이를 상기 인터넷 게시판에 자동으로 게시하는 정보제공서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데이터베이스에는 약속장소에 해당하는 주변지도데이터가 더 구축되고,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는 약속장소 제공 시 그 주변지도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에게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는
    현재 위치정보, 휴대폰 번호 또는 이메일주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데이터베이스에는 지하철노선정보 또는 버스노선정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은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이 현재 위치 부근에서 탑승하여 약속지역까지 이동할 버스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이 현재 위치 부근에서 탑승하여 약속지역까지 이동할 지하철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 또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이 현재 위치 부근에서 탑승하여 약속지역까지 이동할 버스 및 지하철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은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이 현재 위치 부근에서 탑승하여 약속지역까지 이동할 자가운전의 이동거리에 의한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실제 도로에 대한 교통정보를 약속장소 제공서버에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로 하여금 상기 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산출하게 하는 교통정보 제공서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는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에 대해 선택 받으면 교통편 및 그 주변지도데이터를 포함한 약속장소 확정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서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2사용자 단말기별로 각각 약속장소로 이동하고자 하는 대중교통 또는 자가운전 중 어느 하나의 교통수단을 더 지정받고,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는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약속지역을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의 지정 교통수단에 해당되게 산출하며,
    상기 약속장소 제공서버는 상기 교통편을 제1,2사용자 단말기별 지정 교통수단에 해당되게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남의 목적은 회의, 회식, 쇼핑 또는 콘텐츠 관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약속장소는 상기 만남의 목적에 대응하는 회의실, 음식점, 쇼핑장소 또는 콘텐츠 관람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약속장소에 대한 예약요청을 전달받고, 해당 약속장소에 설치된 단말기로 제1,2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개인정보 및 예약요청메시지를 함께 전달하는 예약서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
  12. 삭제
  13.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만남의 목적,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및 만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함께 전달받는 단계;
    (b)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및 제2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의 실제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별 실제 위치를 통해서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가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약속지역을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약속지역에서 만남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를 지도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d-1) 별도의 인터넷 게시판에 게시된 해당 약속장소에 따른 게시물을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d-2)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해당 약속장소에 대한 평가를 전달받고 이를 상기 인터넷 게시판에 자동으로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는, (a-1) 약속지역별로 만남의 목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 및 상기 약속장소에 해당하는 주변지도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도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약속장소 제공 시 그 주변지도데이터를 상기 지도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에게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실시간 도로교통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는,
    (e)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에 대해 선택 받으면,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별로 약속지역으로의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에 근거한 교통편 및 그 주변지도데이터를 포함한 약소장소확정 메시지를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2사용자 단말기별로 각각 약속장소로 이동하고자 하는 대중교통 또는 자가운전 중 어느 하나의 교통수단을 더 지정받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공통적인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갖는 약속지역은 제1,2사용자 단말기들의 지정 교통수단에 해당되게 산출되며,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교통편은 제1,2사용자 단말기별 지정 교통수단에 해당되게 산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약속시간을 더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d) 단계 이후에는,
    (f) 상기 약속시간에서 제1,2사용자 단말기별 최소이동예상시간을 감산하여 제1,2사용자 단말기별 최적의 출발시각을 산출하고,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별로 최적의 출발시각에 도달하면 약속장소로의 출발권유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방법.
  19. 삭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1,2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약속장소의 정보에 대해 선택받지 못하면, 상기 약속지역과 이웃한 다른 지역에서 만남의 목적에 부합되는 약속장소를 재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방법.
KR20080064435A 2008-07-03 2008-07-03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 KR101011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4435A KR101011569B1 (ko) 2008-07-03 2008-07-03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4435A KR101011569B1 (ko) 2008-07-03 2008-07-03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27A KR20100004327A (ko) 2010-01-13
KR101011569B1 true KR101011569B1 (ko) 2011-01-27

Family

ID=4181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64435A KR101011569B1 (ko) 2008-07-03 2008-07-03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5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610B1 (ko) 2011-11-15 2013-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최적의 중간탑승 위치제공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038B1 (ko) * 2010-10-11 2015-04-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참석자 간 채팅기능을 제공하는 모임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92840B1 (ko) * 2010-10-29 2017-01-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모임예약 부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26960B1 (ko) * 2010-10-29 2015-06-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기반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40206B1 (ko) * 2012-02-14 2013-12-10 (주)카카오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101231067B1 (ko) * 2012-06-08 2013-02-07 홍진표 약속 설정 서비스 방법
KR101648962B1 (ko) * 2014-06-18 2016-08-18 네이버 주식회사 복수 이용자의 위치와 취향을 반영하여 모임 장소를 추천하는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KR101673181B1 (ko) * 2014-11-18 2016-11-07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타겟 고객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1842B1 (ko) * 2018-02-01 2019-05-02 김범준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32794B1 (ko) * 2020-09-04 2022-08-16 주식회사 위밋플레이스 모임장소 추천 장치 및 방법
CN114802356B (zh) * 2022-03-02 2024-04-19 深圳市康时源科技有限公司 一种地铁防撞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620A (ko) * 2005-05-27 2006-11-3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제공하는 단말 기반 지피에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23971A (ko) * 2005-05-30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약속 장소 설정 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620A (ko) * 2005-05-27 2006-11-3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제공하는 단말 기반 지피에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23971A (ko) * 2005-05-30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약속 장소 설정 방법 및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610B1 (ko) 2011-11-15 2013-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최적의 중간탑승 위치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27A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569B1 (ko)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
US9961507B1 (en) Beacon deployment enabling location based services (LBS) in an urban or city environment
US9377319B2 (en) Estimating times to leave and to travel
US10652693B2 (en) Cognitive location and navigation services for custom applications
US9602193B1 (en) Transportation support network utilized fixed and/or dynamically deployed wireless transceivers
Mirri et al. On combining crowdsourcing, sensing and open data for an accessible smart city
US7831384B2 (en) Determining a route to destination based on partially completed route
US20160003637A1 (en) Route detection in a trip-oriented message data communications system
US8941485B1 (en) System and method of obtaining and using a vehicle identifier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n end user
US8725612B2 (en) Personalized real-time location-based travel management
US8930132B2 (en) Geo-spatial recommendation and discovery system
US9264849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location-based meeting
Berger et al. Location-based services in the tourist industry
US20140122190A1 (en) System and methods for detection and selection of a resource among available resources
US20130006522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geo-fences for a spatial recommendation and discovery system
JP4728438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8310577A (ja) 観光客の誘導方法、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20053966A1 (en) Detected arrival at navigated destination automatically triggers delivery of arrival notice to third party
US20170032421A1 (en) Merchant-Traveler Messaging Systems And Methods
JP5562666B2 (ja) 観光スポットを案内する宿泊予約サーバ、観光スポット案内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20054032A1 (en) Detected arrival at navigated destination automatically triggers delivery of relevant local information to user
JP2002296070A (ja) 携帯通信装置、経路案内情報配信方法、経路案内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2297822A (ja) 携帯通信装置、経路案内情報配信方法及び経路案内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632703B1 (ko) 실시간 교통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일정 알림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Herzog et al. Collaborative and Social Mobility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