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194B1 - Mobile apparatus with a picture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nd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apparatus with a picture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nd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194B1
KR101011194B1 KR1020100069407A KR20100069407A KR101011194B1 KR 101011194 B1 KR101011194 B1 KR 101011194B1 KR 1020100069407 A KR1020100069407 A KR 1020100069407A KR 20100069407 A KR20100069407 A KR 20100069407A KR 101011194 B1 KR101011194 B1 KR 101011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hoto
picture
conversion
ed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4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순욱
Original Assignee
권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욱 filed Critical 권순욱
Priority to KR1020100069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1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1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device including a picture conversion and a drawing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for generating drawing data of a user is provided to draw the picture through an electronic pen by generating a separable layer. CONSTITUTION: A data storing unit(18) stores an algorithm for a position and a saturation of a picture data. The data storing unit stores detailed picture data. The data storing unit stores black and white drawing data and drawing data displayed on a new layer. A controller(24) generates a layer for drawing the edge of the picture data and controls a touch screen and a picture conversion module. A controller(24) controls a photo conversion module(20) and a touch screen(14).

Description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 및 그 방법 { MOBILE APPARATUS WITH A PICTURE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ND METHOD OF THE SAME }MOBILE APPARATUS WITH A PICTURE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사진을 흑백 및 외곽선, 내부 테두리, 명암요소만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사진 레이어의 상면에 드로잉한 후 분리할 수 있는 레이어를 신규로 생성하여 전자펜을 통해 사진을 따라 드로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각자의 고유한 드로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converting a picture into black and white and outlines, inner borders, and contrast elements only, drawing on the top of the converted photo layer, and then separating the pi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that enables a user to create a unique drawing data by allowing a user to draw a new layer to draw along a photograph through an electronic pen. .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이 활발하게 보급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해 동영상 및 화상을 자유롭게 재생시키거나 출력시키게 되었다.Recently, smart phones, digital cameras, camcorders, and the like are actively being used, so that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an freely play or output video and images.

이는 이동통신망의 전송 용량이 증대되었고, 데이터 압축 기술이 진보되었으며, 휴대용 전자기기에 내장된 메모리 용량과 재생 처리속도를 높이는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였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transmission capac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as been increased, the data compression technology has been advanced, and the technology of increasing the memory capacity and reproducing processing speed embedd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s been rapidly developed.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가 비약적으로 발전한 바,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화면으로 터치스크린을 채용하여, 전자기기에 별도의 버튼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각종 키신호를 입력하고 전자펜을 통해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었다.The development of suc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s made great strides. Recently, a touch screen is used as a scree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o that various key signals can be input and characters can be input through the electronic pen eve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button. It became.

이를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고, 그 사진을 흑백으로 변환하거나 하는 간단한 몇 가지 기능을 이용하여 사진을 변환할 수 있었다.Through this, a picture can be output to the screen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picture can be converted using a few simple functions such as converting the picture to black and white.

하지만,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해 사진을 변환할 수 있는 기능이 매우 작았고, 그 활용도가 매우 낮았으며, 또한 많은 사용자들이 해당 사진을 스케치하고 싶어하지만 그림 실력이 부족하여 제대로 된 드로잉을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ability to convert photos throug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as very small, their utilization was very low, and many users wanted to sketch the photos, but they had difficulty in drawing properly due to their lack of drawing skills. .

또한, 드로잉을 한다고 하여도 사진 출력화면에서는 드로잉 키신호의 입력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현재는 전무하지만 사진 편집툴을 휴대용 전자기기에 갖춘다고 하여도 사진데이터의 레이어에 드로잉이 추가되어 독립된 레이어가 생성될 수 있는 것이지, 드로잉만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레이어를 구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input of a drawing key signal was impossible on the picture output screen even when drawing. Even though there is no picture editing tool, even if the picture editing tool is equipped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drawing is added to the picture data layer and is an independent layer. It can be created,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constitute a separate layer consisting of drawings only.

그리고, 종래에는 포토샵 등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진을 편집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특정인의 얼굴을 그대로 유지하고 얼굴을 제외한 신체를 다른 사람의 신체로 교체하거나, 반대로 다른 사람의 신체에 특정인의 얼굴을 오려내어 결합시키는 편집을 수행하지만, 얼굴과 몸통이 향하는 각도가 각각 상이한 경우 편집이 완료된 사진이 매우 어색해진다는 문제가 있었고, 얼굴과 몸통의 사이즈가 상이하여 마찬가지로 편집이 완료된 사진이 매우 어색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In the past, a photo was edited through computer software such as Photoshop, so that a person's face is generally kept intact and the body except the face is replaced with another person's body, or the other person's face is cut out. However, if the angles facing the body and the body are different, the edited picture becomes very awkward, and because the size of the face and the body is different, the edited picture may be very awkward. There wa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사진을 흑백 및 외곽선, 내부 테두리, 명암요소만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사진 레이어의 상면에 드로잉한 후 분리할 수 있는 레이어를 신규로 생성하여 전자펜을 통해 사진을 따라 드로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각자의 고유한 드로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picture into only black and white and outline, inner border, and contrast elements, draw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rted photo layer, and then creates a new layer that can be separated to draw along the picture through the electronic pe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which enable users to generate their own drawing data.

또한, 본 발명은 사진데이터를 편집함에 있어서 얼굴이 향하는 방향과 일치되는 몸통데이터를 선택 가능하게 추출하여 출력시키도록 하며, 교체하고자 하는 대상의 사이즈를 선택하거나 입력하게 함으로써 사진 편집의 적합도를 높여 자연스러운 편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 and extract the torso data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ace in the editing of the photo data, and to output, and select or input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replaced to increase the suitability of the photo editing natur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and a method equipped with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that enable editing.

상기 목적은, 음성과 데이터를 송수신처리하는 음성 처리부 및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며, 그 음성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부에 연동하여 신호 송수신처리를 수행하는 통신모듈이 구비된 휴대장치에 있어서, 드로잉 모드나 사진 편집모드를 선택하고, 드로잉이나 사진 편집 대상이 되는 사진 선택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선택한 사진을 화면 출력하고, 사진의 외각선 및 내부 테두리를 따라 드로잉한 입력신호를 수신받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을 구동하는 터치스크린 구동부와; 선택한 사진데이터를 흑백 드로잉 변환처리하고, 드로잉신호를 나타내기 위한 신규 레이어를 생성하여 드로잉신호를 수신하여 신규 레이어에 표시하고, 별도 저장처리하는 사진변환모듈과; 사진데이터에 대한 위치인식, 채도인식을 위한 알고리즘이 저장되고, 사진데이터를 저장하며, 사진데이터가 변환된 흑백 드로잉데이터 및 신규 레이어에 표시된 드로잉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와; 사진데이터의 테두리 및 그림자를 따라서 드로잉할 수 있도록 별도의 레이어를 생성하여 드로잉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사진변환모듈와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oice processing unit and a data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and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ing in conjunction with the voice processing unit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the drawing mode or photo editing A key input unit for selecting a mode and inputting a photo selection signal for drawing or photo editing; A touch screen which outputs the selected picture and receives an input signal drawn along an outer line and an inner border of the picture; A touch screen driver for driving the touch screen; A picture conversion module for converting the selected picture data into a black and white drawing conversion, generating a new layer for representing a drawing signal, receiving a drawing signal, displaying the drawing signal, and separately storing and processing the drawing signal;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position recognition and saturation recognition for the photo data, storing the photo data, and storing the black and white drawing data converted from the photo data and the drawing data displayed on the new layer; A portable device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comprising a photo conversion modu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touch screen to generate a separate layer for drawing along the edges and shadows of the photo data and to process the data being drawn. Is achieved.

상기 사진 변환모듈은 스트로크 레이어 형식으로 이미지를 인식하고 그 외곽선과 내부 테두리를 생성하며, 쉐도우 레이어 형식으로 그림자 효과를 적용하여 사진을 드로잉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사진변환부와; 사진 데이터에 대해 발광형식과 불투명도를 통해 그림자로 처리할 부분의 채도를 조정하여 드로잉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채도조정부와; 드로잉 형식의 데이터 상면에 신규로 생성된 레이어에 입력된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레이어 분리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hoto conversion module recognizes an image in a stroke layer format, creates an outline and an inner border, and converts a photo into data in a drawing format by applying a shadow effect in a shadow layer format; A saturation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saturation of the portion to be processed as a shadow through the light emission format and the opacity of the photo data and converting the saturation into data in the drawing forma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layer separation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a process for separating and storing or transmitting the data input to the newly created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ta in the drawing format.

사진데이터 중 선택한 편집 대상영역과 동일한 신체 방향 또는 각 편집 대상영역의 사이즈에 따라 미리 선정된 교체 대상영역의 사이즈가 상호 부합되도록 적합도에 따라 사진데이터를 추출하는 편집 적합도 제어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 editing suitability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editing suitability control module for extracting the photo data according to the suitability such that the size of the replacement target region previous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ame body direction or the size of each editing target region among the photo data is matched with each other.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그 내부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가 신체를 구성하는 편집 대상영역 별로 동일한 대향 방향을 갖는 사진데이터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각 편집 대상영역의 사이즈에 따라 미리 선정된 교체 대상영역의 사이즈가 상호 부합되도록 적합도에 따라 사진데이터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storage unit divides and stores the photo data stored therein into photo data having the same opposite direction for each editing target region constituting the body; The photo data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suitability so that the sizes of the replacement target regions previous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s of the respective editing target regions are matched with each other.

상기 사진 변환모듈은 원사진 데이터와 드로잉 대상이 되는 드로잉 형식 데이터를 분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화면 분할 처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hoto convers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creen division processing unit for dividing the original photograph data and the drawing format data to be drawn to the screen.

한편, 휴대폰의 제어부가 드로잉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드로잉하고자 하는 사진을 선택하는 제2과정과; 사진을 화면에 출력하는 제3과정과; 휴대폰의 사진변환모듈을 통해 흑백사진으로 변환하고, 외곽선, 내부 테두리의 경계를 인식하는 제4과정과; 상기 인식된 데이터를 통해 사진데이터를 드로잉 대상데이터로 변환하고 화면 출력하는 제5과정과; 해당 드로잉 대상데이터를 따라 그리는 전자펜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6과정과;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7과정과; 드로잉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제8과정과; 드로잉된 레이어를 별도로 분리하는 제9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를 이용한 처리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tep of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phone determines whether the drawing mode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A second process of selecting a picture to be drawn; A third process of outputting a photo on the screen; A fourth process of converting the image into a black and white photo through a photo conversion module of the mobile phone, and recognizing a boundary of an outline and an inner border; A fifth process of converting photographic data into drawing target data through the recognized data and outputting the screen; A sixth step of receiving an input signal of the electronic pen drawing along the drawing target data; A seventh step of storing corresponding data; An eigh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end drawing; The above object is also achieved by a processing method using a portable device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comprising a ninth process of separately separating the drawn layers.

상기 제5과정과 제6과정의 사이에는 해당 드로잉 대상데이터 상에 신규 레이어를 생성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 process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new layer on the corresponding drawing target data between the fifth process and the sixth process.

한편, 본 발명은 휴대폰의 제어부가 사진 편집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편집하고자 하는 사진을 선택하는 제2과정과; 사진을 화면에 출력하는 제3과정과; 편집하고자 하는 부분을 선택하는 제4과정과; 편집 대상부분의 사이즈 기준점을 선택하는 제5과정과; 편집 대상부분 사이즈를 확정하는 제6과정과; 해당 편집 대상부분을 포함하는 사진데이터 중, 확정된 사이즈를 갖는 편집 대상부분으로 이루어진 사진데이터를 검색하는 제7과정과; 검색 결과를 화면 출력하는 제8과정과; 원 사진의 편집 대상부분을 검색된 사진의 편집 대상부분으로 교체하여 편집하는 제9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를 이용한 처리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phone receives the photo editing mode selection signal; A second step of selecting a picture to be edited; A third process of outputting a photo on the screen; A fourth step of selecting a part to be edited; A fifth step of selecting a size reference point of the editing target portion; A sixth step of determining the size of the editing target portion; A seventh step of retrieving photo data consisting of edit target portion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rom among photo data including the corresponding edit target portion; An eighth step of outputting a search result; The above object is also achieved by a processing method using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comprising a ninth process of replacing an editing target portion of an original photo with an editing target portion of a retrieved photo. .

상기 제7과정은 사진데이터의 검색시 휴대폰장치가 원격의 서버와 접속되어 해당 사이즈의 사진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In the seventh step, when the picture data is retrieved, the mobile phone device is connected to a remote server to retrieve picture data of a corresponding size.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그림 실력이 부족한 사용자들도 사진을 그림의 형식으로 변환시켜 따라 그리도록 하고, 사용자가 따라 그린 드로잉데이터를 별도의 레이어로 분리하여 저장하거나 전송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유한 그림체를 갖는 드로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ortable device and a method equipped with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users who do not have a good picture skills to convert the picture to the format of the picture to follow the drawing, the user draws the drawing data according to a separate layer By allowing data to be stored and transmitted separately, drawing data with unique pictorials can be cre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사진의 편집시에도 편집 대상영역의 방향이나 사이즈에 부합되는 사진데이터를 신속하게 자동으로 검색함으로써 편집시 자연스러운 사진을 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 picture converting and drawing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allow a natural picture to be edited by quickly and automatically searching for picture data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r size of a region to be edited, even when editing a picture. Can produ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장치에 포함된 사진변환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a,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장치를 통해 드로잉 대상데이터를 변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장치를 통한 사진변환 및 드로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장치를 통한 사진 편집과정을 도시한 흐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device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hoto conversion module included in a mobile phone device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rawing target data is converted through a mobile phone device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process through a mobile phone device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to editing process through a mobile phone device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a portable device and a method equipped with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에 포함된 사진변환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를 통해 드로잉 대상데이터를 변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device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ortable with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rawing target data is converted through a portable device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는 사진을 흑백 및 외곽선, 내부 테두리, 명암요소만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사진 레이어의 상면에 드로잉한 후 분리할 수 있는 레이어를 신규로 생성하여 전자펜을 통해 사진을 따라 드로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각자의 고유한 드로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Referring to this,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 picture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a picture into black and white and outlines, inner borders, and contrast elements only, and draws the pictu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rted picture layer and then separates it. It is a device that allows users to create their own drawing data by creating a new layer that can be created and drawing along a photograph through an electronic pen.

또한, 본 발명은 사진데이터를 편집함에 있어서 얼굴이 향하는 방향과 일치되는 신체데이터를 선택 가능하게 추출하여 출력시키도록 하며, 교체하고자 하는 대상의 사이즈를 선택하거나 입력하게 함으로써 사진 편집의 적합도를 높여 자연스러운 편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 and extract the body data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ace in the editing of the photo data, and to output, and to select or input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replaced to increase the suitability of the photo editing natural It is a device that allows editing.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는 사용자가 사진을 화면에 출력시키고, 그 사진을 따라서 전자펜 등으로 드로잉할 수 있으며, 드로잉한 레이어를 별도로 저장하거나 전송할 수 있게 한 장치이고, 사진 편집 기능을 강화시켜 자연스러운 편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동 데이터 검색 및 적용을 이루게 한 장치이다.That is, in the portable device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output a picture on a screen, and draw the picture with an electronic pen, etc., and store the drawn layer separately. It is a device that can be transferred and enhances the photo editing function so that automatic data search and application can be performed to perform natural editing.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2)는 일반 휴대폰 장치와 마찬가지로 음성과 데이터를 송수신처리하는 음성처리부(10) 및 데이터 처리부(12)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음성처리부(10)와 데이터 처리부(12)에 연동하여 신호 송수신처리를 수행하는 통신모듈(6)이 구비되어 있으며, 통신모듈(6)은 안테나(8)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구성된다.To this end, the portable device 2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oice processing unit 10 and a data processing unit 1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like a general mobile phone devi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6 which performs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ing in association with the voice processing unit 10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12,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6 allows the antenna 8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t is compose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2)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전화나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 기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사진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휴대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ortable devic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oth a mobile phone such as a smart phone, a portable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a camcorder, and the like, as well as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receiving photo data while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2)에는 드로잉 모드나 사진 편집모드를 선택하고, 드로잉이나 사진 편집 대상이 되는 사진 선택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4)가 구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device 2 equipped with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y input unit for selecting a drawing mode or a photo editing mode and inputting a photo selection signal to be a drawing or photo editing target (4) is provided.

여기서, 드로잉 모드란 사진을 흑백 드로잉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 드로잉데이터를 따라 사용자가 직접 전자펜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따라 그리기(외곽선, 내부 테두리선, 그림자 해칭)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만의 펜터치 입력을 통해 고유한 드로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한 모드이다.Here, the drawing mode converts a photo into black and white drawing data, and allows the user to draw along the drawing data directly using a tool such as an electronic pen (outer line, inner border line, and shadow hatching). This mode allows you to create unique drawing data through the pen touch input.

사진 편집모드란 일반적인 사진 편집모드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얼굴이 향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신체의 방향 또는 얼굴의 사이즈와 매칭되는 신체의 사이즈를 가지는 사진데이터를 검색하고, 그 사진데이터를 이용하여 편집을 수행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사진 편집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photo editing mode is a general photo editing mod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 data having a body direction matching the direction of the face or the body size matching the size of the face is searched for and edited using the photo data. This allows natural photo editing.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2)에는 선택한 사진을 화면 출력하고, 사진의 외각선 및 내부 테두리를 따라 드로잉한 입력신호를 수신받는 터치스크린(14)이 구성되며, 터치스크린(14)을 구동하는 터치스크린 구동부(16)가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ortable device 2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uch screen that outputs a selected picture and receives an input signal drawn along an outer line and an inner border of the picture ( 14 is configured, and a touch screen driver 16 for driving the touch screen 14 is configur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2)에는 선택한 사진데이터(도 3a, 3b의 A,A')를 흑백 드로잉 변환처리하고, 드로잉신호를 나타내기 위한 신규 레이어를 생성하여 드로잉신호를 수신하여 신규 레이어에 표시하고, 별도 저장처리하는 사진변환모듈(20)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device 2 equipped with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black and white drawing conversion process on the selected photo data (A, A 'in FIGS. 3A and 3B) and displays a drawing signal. There is provided a photo conversion module 20 for generating a new layer for receiving a drawing signal, displaying it on a new layer, and separately storing and processing the new layer.

즉, 사진변환모듈(20)은 사용자가 전자펜 등의 도구를 통해 따라 그리기 편리하도록 흑백 드로잉 스타일로 사진을 변환하고, 변환된 흑백 드로잉 데이터(도 3a, 3b의 B,B')의 위에 유저가 전자펜 등의 도구를 통해 따라 그리는 드로잉 신호로 이루어진 레이어가 별도로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That is, the photo conversion module 20 converts the picture into a black and white drawing style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draw along with a tool such as an electronic pen, and the user places the converted black and white drawing data (B and B 'in FIGS. 3A and 3B). Processes that the layer consisting of drawing signals drawn along with tools such as an electronic pen can be stored separately.

보다 상세하게, 사진변환모듈(20)은 스트로크 레이어 형식으로 이미지를 인식하고 그 외곽선과 내부 테두리를 생성하며, 쉐도우 레이어 형식으로 그림자 효과를 적용하여 사진을 드로잉 형식의 데이터(도 3a, 3b의 B,B')로 변환하는 사진변환부(26)와, 사진 데이터에 대해 발광형식과 불투명도를 통해 그림자로 처리할 부분의 채도를 조정하여 드로잉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채도조정부(28)와, 드로잉 형식의 데이터 상면에 신규로 생성된 레이어에 입력된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레이어 분리 처리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more detail, the photo conversion module 20 recognizes an image in a stroke layer format, generates its outlines and inner borders, and applies a shadow effect in a shadow layer format to draw a photo data in the drawing format (B of FIGS. 3A and 3B). Photo conversion unit 26 for converting to B '), saturation adjusting unit 28 for converting the saturation of the portion to be processed into shadows through the light emission format and opacity of the photo data and converting it into data in the drawing format; And a layer separation processor 32 which performs a process of separating and storing or transmitting data input to the newly generated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mat data.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장치(2)에는 사진데이터에 대한 위치인식, 채도인식을 위한 알고리즘이 저장되고, 사진데이터를 저장하며, 사진데이터가 변환된 흑백 드로잉데이터 및 신규 레이어에 표시된 드로잉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18)가 제공된다.In addition, in the mobile phone device 2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lgorithm for position recognition and saturation recognition for the photo data is stored, the photo data is stored, and the photo data is converted. A data storage unit 18 for storing the black and white drawing data and the drawing data displayed on the new layer is provided.

여기서, 사진데이터에 대한 위치인식, 채도인식을 위한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algorithm for position recognition, saturation recognition for the photo data is a general well-known techniqu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2)에는 사진데이터의 테두리 및 그림자를 따라서 드로잉할 수 있도록 별도의 레이어를 생성하여 드로잉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사진변환모듈과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ortable device 2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 conversion is performed to generate a separate layer so as to draw along the edges and shadows of the photo data and process the data being draw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24 for controlling the module and the touch screen.

또한, 사진변환모듈(20)에는 원사진 데이터(도 3a, 3b의 A,A')와 드로잉 대상이 되는 드로잉 형식 데이터(도 3a, 3b의 B,B')를 분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화면 분할 처리부(30)가 더 포함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폰 장치(2)를 이용하여 특정 사진데이터를 선택하고 드로잉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화면 분할 처리부(30)가 원사진 데이터를 화면의 1/2 좌측에 출력시키고, 흑백 변환되고 외곽선과 내부 테두리선이 처리된 드로잉 형식의 데이터를 우측 화면의 1/2에 출력되도록 한다.Also, the photo conversion module 20 divides the original photograph data (A, A 'in FIGS. 3A and 3B) and the drawing format data (B and B' in FIGS. 3A and 3B) to be drawn and outputs them to the screen. The division processing unit 30 is further included.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specific picture data using the mobile phone device 2 and selects a drawing mode, the screen division processing unit 30 outputs the original picture data to the left half of the screen, and the monochrome conversion is performed. The data in the drawing format with the internal border line is output on half of the right screen.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2)에는 사진데이터 중 선택한 편집 대상영역(얼굴이나 신체)과 동일한 신체 방향 또는 각 편집 대상영역의 사이즈에 따라 미리 선정된 교체 대상영역의 사이즈가 상호 부합되도록 적합도에 따라 사진데이터를 추출하는 편집 적합도 제어모듈(22)이 더 포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device 2 equipped with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viously made according to the same body direction or size of each editing target region as the editing target region (face or body) selected from among the photo data. The editing suitability control module 22 is further included to extract the photo data according to the suitability so that the sizes of the selected replacement target regions are matched with each other.

편집 적합도 제어모듈(22)을 통한 사진 편집은 자연스러운 사진의 편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인 바, 이를 이루기 위해 데이터 저장부(18)의 구성이 중요하며, 데이터 저장부(18)는 그 내부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가 신체를 구성하는 편집 대상영역(얼굴 또는 신체)별로 동일한 대향 방향을 갖는 사진데이터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각 편집 대상영역의 사이즈에 따라 미리 선정된 교체 대상영역의 사이즈가 상호 부합되도록 적합도에 따라 사진데이터를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한다.Photo editing through the editing suitability control module 22 is intended to allow the editing of natural pictures,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 storage unit 18 is important to achieve this, and the data storage unit 18 therein The stored photo data is divided into photo data having the same opposite direction for each editing target region (face or body) constituting the body, and stored so that the sizes of the replacement target regions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each editing target region are mutually matched. Photo data should b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goodness of fit.

예컨대, 얼굴의 방향이 정면을 바라보는 사진이라면, 그 사진과 편집되기 위한 신체의 방향도 역시 정면을 이루는 방향의 사진이 상호 편집되기에 자연스럽다.For example, if the direction of the face is a photograph facing the front, the photograph and the direction of the body to be edited are also natural because the photographs of the direction forming the front are mutually edited.

또한, 얼굴 사이즈가 작은 사진의 경우에는 그 얼굴에 결합되기에 자연스러운 신체는 가늘고 긴 신체가 적합할 것이다.Also, in the case of a photograph having a small face size, an elongated body may be suitable for a body that is natural to be combined with the face.

따라서, 데이터 저장부(18)는 사진의 편집 대상(얼굴이나 신체)의 방향과 사이즈별로 구분되어 저장되고, 사용자가 방향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방향정보와 매칭되는 사진데이터가 자동으로 검색되도록 데이터가 구축되어 있다.Therefore, the data storage unit 18 is divid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size of the editing object (face or body) of the photo, and when the user inputs the direction information, the data is automatically retrieved so that the picture data matching the direction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retrieved. It is built.

또한, 데이터 저장부(18)는 얼굴 사이즈별로 자연스럽게 편집 가능한 신체 사이즈를 가지는 사진데이터가 각 사이즈별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ata storage unit 18 classifies and stores photo data having a body size that can be naturally edited for each face size.

이 때, 편집 대상의 방향정보는 기준점(얼굴의 중앙)을 선택하고, 해당 얼굴이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점으로부터 연결되는 직선상의 어느 다른 한 점을 선택하면 방향이 자동으로 입력된다.At this time,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editing target is selected by selecting a reference point (center of the face), and selecting one of the points on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direction viewed by the face from the reference point, the direction is automatically input.

또한, 얼굴 사이즈 입력은 길이와 폭을 입력해야 하는 바, 길이의 경우 머리끝단을 선택하고 턱 끝단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얼굴 길이가 입력되고, 양쪽 귀를 각각 선택하면 얼굴의 폭 길이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신체 사이즈 입력도 이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face size input requires the length and width to be input. For the length, the length of the face is automatically input by selecting the tip of the head and the tip of the chin. The width of the face is automatically input by selecting both ears. do. Entering body size is the sam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를 통한 사진변환 및 드로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process through a portable device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드로잉 연습이나 드로잉을 통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조작하여 드로잉 모드를 선택해야 하는 바, 휴대폰의 제어부(24)는 드로잉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First, through a mobile phone device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a user to generate data through drawing practice or drawing, the user must select a drawing mode by operating the mobile device. The controller 24 of the mobile phone determines whether a drawing mode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드로잉 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는 드로잉하고자 하는 사진을 선택한다. 사진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18)에 저장된 사진데이터 중 하나이다.When the drawing mode is selected, the user selects a picture to be drawn. The picture data is one of picture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8.

사진데이터가 선택되면, 휴대장치의 제어부(24)는 해당 사진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고, 휴대장치의 사진변환모듈을 통해 흑백사진으로 변환하고, 외곽선, 내부 테두리의 경계를 인식하는 처리를 수행한다.When the picture data is selected, the controller 24 of the portable device outputs the corresponding picture data to the screen, converts the picture data into a black and white picture through the picture conversion module of the portable device, and performs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boundary of the outline and the inner border. .

그리고, 인식된 데이터를 통해 사진데이터를 드로잉 형식데이터(도 3a, 3b의 B,B')로 변환하고 화면 출력한다.Then, the photograph data is converted into drawing format data (B and B 'of FIGS. 3A and 3B) through the recognized data, and the screen is output.

이 때, 드로잉 형식데이터(도 3a, 3b의 B,B')는 포토샵에서도 처리 가능한 데이터로서, 사진데이터를 스케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 데이터이다.At this time, the drawing format data (B, B 'in FIGS. 3A and 3B) are data that can be processed in Photoshop, and are data that can produce an effect similar to sketching photo data.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드로잉 형식데이터(도 3a, 3b의 B,B')를 살펴보면서 자신이 따라 그리기가 어려운지, 따라서 그릴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erefore, the user looks at the corresponding drawing format data (B and B 'of FIGS. 3A and 3B) to determine whether the drawing is difficult to follow and thus can be drawn.

사용자가 자신이 그릴 수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는 드로잉 버튼을 클릭하고, 이를 통해 제어부(24)는 해당 드로잉 영역데이터(도 3a, 3b의 B,B') 상에 신규 레이어를 자동 생성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can draw, the user clicks the drawing button, and through this, the controller 24 automatically generates a new layer on the corresponding drawing area data (B and B 'of FIGS. 3A and 3B).

사용자가 해당 드로잉 형식데이터(도 3a, 3b의 B,B')를 따라서 드로잉하게 되면, 휴대장치의 제어부(24)는 해당 드로잉 대상데이터를 따라 그리는 전자펜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해당 데이터를 신호 입력시마다 자동 저장한다.When the user draw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drawing format data (B and B 'of FIGS. 3A and 3B), the controller 24 of the portable apparatus receives an input signal of an electronic pen drawing along the corresponding drawing target data. Is automatically saved at every signal input.

그리고, 휴대장치의 제어부(24)는 드로잉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4 of the portable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drawing is finished.

만약, 드로잉이 종료된 경우라면, 휴대장치의 제어부(24)는 드로잉된 레이어를 별도로 분리하여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처리를 수행한다.If the drawing is finished, the controller 24 of the portable device separately performs a process of separately storing and transmitting the drawn layer.

이 때, 분리된 레이어는 온전하게 사용자가 전자펜을 통해 따라 그린 드로잉 데이터이다.At this time, the separated layer is the drawing data drawn by the user through the electronic pe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를 통한 사진 편집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to editing process through a portable device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사진 편집모드를 선택한 경우라면, 휴대장치의 제어부(24)는 편집하고자 하는 사진데이터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First, when a user selects a photo editing mode through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24 of the portable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photo data to be edited is selected. To judge.

사진데이터가 선택되면, 제어부(24)는 해당 사진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하고, 편집하고자 하는 부분을 선택받는다.When the photo data is selected, the controller 24 outputs the corresponding photo data on the screen and receives a portion to be edited.

그리고, 제어부(24)는 편집 대상부분의 사이즈 기준점을 선택받고, 편집 대상부분 사이즈를 확정한다.Then, the control unit 24 receives the size reference point of the edit target portion and determines the edit target portion size.

즉, 얼굴을 교체하여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얼굴 사이즈와 매칭되는 신체를 검색해야 하므로, 얼굴 사이즈를 입력해야 하고, 얼굴 사이즈 입력은 길이와 폭을 입력해야 하는 바, 길이의 경우 머리의 끝단을 선택하고 턱 끝단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얼굴 길이가 입력되고, 양쪽 귀를 각각 선택하면 얼굴의 폭 길이가 자동으로 입력된다. 신체 사이즈 입력도 이와 동일하다.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replace the face to edit, you need to search for the body that matches the face size, so you have to enter the face size, and input the face size, you must enter the length and width. If you select and select the tip of the chin, the length of the face is automatically entered. If you select both ears, the width of the face is automatically entered. Entering body size is the same.

해당 편집 대상부분(예컨대, 신체의 교체)을 포함하는 사진데이터 중, 확정된 사이즈를 가지는 편집 대상부분으로 이루어진 사진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24)는 검색 결과를 화면에 출력한다.Photo data consisting of the editing target portion having a fixed size is searched for among the photo data including the corresponding editing target portion (for example, replacement of the body). The controller 24 outputs a search result on the screen.

그리고, 원 사진의 편집 대상부분(예컨대, 신체)을 검색된 사진의 편집 대상부분(예컨대, 신체)으로 교체하여 편집을 수행한다.The editing is performed by replacing an editing target portion (eg, a body) of the original picture with an editing target portion (eg, a body) of the retrieved picture.

만약, 검색된 사진데이터가 다수 개인 경우라면 사용자는 선택신호를 입력한다.If there are a plurality of searched picture data, the user inputs a selection signal.

또한, 편집 대상 사진데이터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단지 휴대장치(2)의 데이터저장부(18)에 저장된 사진데이터에 한정되어 검색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고, 무선인터넷을 통해 원격의 서버와 접속되어 해당 사이즈의 사진데이터를 검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retrieving the photo data to be edited, it is not limited to the photo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8 of the portable device 2, but the search is performed. You can also search for photo data of the size.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4 : 키입력부 6 : 통신모듈
10 : 음성처리부 12 : 데이터처리부
14 : 터치스크린 16 : 터치스크린 구동부
18 : 데이터저장부 20 : 사진변환모듈
22 : 편집 적합도 제어모듈 24 : 제어부
26 : 사진변환부 28 : 채도조정부
30 : 화면 분할 처리부 32 : 레이어 분리 처리부
4: key input unit 6: communication module
10: voice processing unit 12: data processing unit
14: touch screen 16: touch screen driver
18: data storage unit 20: photo conversion module
22: edit suitability control module 24: control unit
26: photo conversion unit 28: saturation adjustment unit
30: screen division processing unit 32: layer separation processing unit

Claims (9)

음성과 데이터를 송수신처리하는 음성처리부(10) 및 데이터 처리부(12)를 구비하며, 그 음성처리부(10)와 데이터 처리부(12)에 연동하여 신호 송수신처리를 수행하는 통신모듈(6)이 구비된 휴대장치(2)에 있어서,
드로잉 모드나 사진 편집모드를 선택하고, 드로잉이나 사진 편집 대상이 되는 사진 선택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4)와;
선택한 사진을 화면 출력하고, 사진의 외각선 및 내부 테두리를 따라 드로잉한 입력신호를 수신받는 터치스크린(14)과;
상기 터치스크린(14)을 구동하는 터치스크린 구동부(16)와;
선택한 사진데이터를 흑백 드로잉 변환처리하고, 드로잉신호를 나타내기 위한 신규 레이어를 생성하여 드로잉신호를 수신하여 신규 레이어에 표시하고, 별도 저장처리하는 사진변환모듈(20)과;
사진데이터에 대한 위치인식, 채도인식을 위한 알고리즘이 저장되고, 사진데이터를 저장하며, 사진데이터가 변환된 흑백 드로잉데이터 및 신규 레이어에 표시된 드로잉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18)와;
사진데이터의 테두리 및 그림자를 따라서 드로잉할 수 있도록 별도의 레이어를 생성하여 드로잉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사진변환모듈(20)과 터치스크린(14)을 제어하는 제어부(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
And a voice processing unit 10 and a data processing unit 1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data, and a communication module 6 for interworking with the voice processing unit 10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12 to perform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the portable device 2,
A key input unit 4 for selecting a drawing mode or a photo editing mode and inputting a photo selection signal to be a drawing or photo editing target;
A touch screen 14 for outputting the selected picture and receiving an input signal drawn along an outer line and an inner border of the picture;
A touch screen driver 16 for driving the touch screen 14;
A picture conversion module 20 for converting the selected picture data into a black and white drawing conversion, generating a new layer for representing a drawing signal, receiving a drawing signal, displaying the drawing signal on a new layer, and separately storing and processing the drawing signal;
A data storage unit 18 for storing position recognition and saturation recognition for the photo data, storing the photo data, and storing the black and white drawing data converted from the photo data and the drawing data displayed on the new layer;
Photograph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ontrol unit 24 for controlling the photo conversion module 20 and the touch screen 14 to process the data to be created by creating a separate layer to draw along the border and shadow of the photo data Portable device with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변환모듈(20)은,
스트로크 레이어 형식으로 이미지를 인식하고 그 외곽선과 내부 테두리를 생성하며, 쉐도우 레이어 형식으로 그림자 효과를 적용하여 사진을 드로잉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사진변환부(26)와;
사진 데이터에 대해 발광형식과 불투명도를 통해 그림자로 처리할 부분의 채도를 조정하여 드로잉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채도조정부(28)와;
드로잉 형식의 데이터 상면에 신규로 생성된 레이어에 입력된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레이어 분리처리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hoto conversion module 20,
A photo conversion unit 26 for recognizing an image in a stroke layer format, generating an outline and an inner border, and converting a photo into data in a drawing format by applying a shadow effect in a shadow layer format;
A saturation adjustment unit 28 for adjusting the saturation of the portion to be processed as a shadow through the light emission format and the opacity of the photo data and converting the data into drawing data;
A portable device having a photo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comprising a layer separation processor 32 which performs a process of separating and storing or transmitting data input to a newly generated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a data in a drawing format. .
제1항에 있어서,
사진데이터 중 선택한 편집 대상영역과 동일한 신체 방향 또는 각 편집 대상영역의 사이즈에 따라 미리 선정된 교체 대상영역의 사이즈가 상호 부합되도록 적합도에 따라 사진데이터를 추출하는 편집 적합도 제어모듈(22)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diting suitability control module 22 further includes extracting the photo data according to the suitability such that the size of the replacement target region pre-selected according to the same body direction or the size of each editing target region is selected from among the photo editing target regions.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 picture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18)는 그 내부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가 신체를 구성하는 편집 대상영역 별로 동일한 대향 방향을 갖는 사진데이터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각 편집 대상영역의 사이즈에 따라 미리 선정된 교체 대상영역의 사이즈가 상호 부합되도록 적합도에 따라 사진데이터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data storage unit 18 divides and stores the photo data stored therein into photo data having the same opposite direction for each editing target region constituting the body,
And a picture converting and draw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suitability, so as to match the sizes of the pre-selected replacement target areas according to the sizes of the editing target area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변환모듈(20)은 원사진 데이터와 드로잉 대상이 되는 드로잉 형식 데이터를 분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화면 분할 처리부(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hoto conversion module 20 further includes a screen division processing unit 30 for dividing the original photograph data and the drawing format data to be drawn to the screen and outputting the picture to the screen. .
드로잉모드 선택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
드로잉하고자 하는 사진을 선택하는 제2과정;
사진을 화면에 출력하는 제3과정;
휴대장치의 사진변환모듈(20)을 통해 흑백사진으로 변환하고, 외곽선, 내부 테두리의 경계를 인식하는 제4과정;
상기 인식된 데이터를 통해 사진데이터를 드로잉 대상데이터로 변환하고 화면에 출력하는 제5과정;
해당 드로잉 대상데이터를 따라 그리는 전자펜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제6과정;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7과정;
드로잉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제8과정; 및
드로잉된 레이어를 별도로 분리하는 제9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를 이용한 처리방법.
Determining whether a drawing mode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A second step of selecting a picture to be drawn;
A third step of outputting the picture on the screen;
A fourth process of converting the image into a black and white photo through the photo conversion module 20 of the portable device and recognizing the boundary of the outline and the inner border;
A fifth process of converting photographic data into drawing target data through the recognized data and outputting it to a screen;
A sixth step of receiving an input signal of the electronic pen drawing along the corresponding drawing target data;
A seventh step of storing corresponding data;
An eigh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end drawing; And
And a ninth step of separating the drawn layers separatel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과 제6과정의 사이에는,
해당 드로잉 대상데이터 상에 신규 레이어를 생성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변환 및 드로잉 기능이 구비된 휴대장치를 이용한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6,
Between the fifth process and the sixth process,
And a process for generating a new layer on the drawing target data.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69407A 2010-07-19 2010-07-19 Mobile apparatus with a picture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nd method of the same KR1010111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407A KR101011194B1 (en) 2010-07-19 2010-07-19 Mobile apparatus with a picture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nd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407A KR101011194B1 (en) 2010-07-19 2010-07-19 Mobile apparatus with a picture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nd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194B1 true KR101011194B1 (en) 2011-01-26

Family

ID=4361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407A KR101011194B1 (en) 2010-07-19 2010-07-19 Mobile apparatus with a picture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nd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194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433B1 (en) 2018-10-15 2019-05-21 조정우 Device for drawing pictures
KR102090280B1 (en) * 2019-01-04 2020-03-17 문성훈 Method for providing scribble art service
CZ308946B6 (en) * 2019-03-14 2021-09-29 Karol Ing. arch Lakatoš How to edit PDF drawings and save drawing documentation in an electronic system, especially construction
KR102334705B1 (en) 2021-06-10 2021-12-03 주식회사 위딧 Apparatus and method for drawing webtoon
KR102620060B1 (en) * 2022-12-02 2024-01-05 주식회사 100케이션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coloring content
KR102669679B1 (en) 2023-10-23 2024-05-27 주식회사 액션파워 Method for generating sketch image from original im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536A (en) * 2003-07-03 2005-01-1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to compose hair style of picture in mobile phone
KR20050088022A (en) * 2004-02-28 2005-09-01 주식회사 이노티브 High definition image service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20070014765A (en) * 2005-07-29 2007-02-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User interface for image searching, imag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the user interface
KR20070093204A (en) * 2006-03-13 2007-09-18 주식회사 텔스톤 On-line image mix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536A (en) * 2003-07-03 2005-01-1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to compose hair style of picture in mobile phone
KR20050088022A (en) * 2004-02-28 2005-09-01 주식회사 이노티브 High definition image service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20070014765A (en) * 2005-07-29 2007-02-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User interface for image searching, imag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the user interface
KR20070093204A (en) * 2006-03-13 2007-09-18 주식회사 텔스톤 On-line image mixing system and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433B1 (en) 2018-10-15 2019-05-21 조정우 Device for drawing pictures
KR102090280B1 (en) * 2019-01-04 2020-03-17 문성훈 Method for providing scribble art service
CZ308946B6 (en) * 2019-03-14 2021-09-29 Karol Ing. arch Lakatoš How to edit PDF drawings and save drawing documentation in an electronic system, especially construction
KR102334705B1 (en) 2021-06-10 2021-12-03 주식회사 위딧 Apparatus and method for drawing webtoon
KR102620060B1 (en) * 2022-12-02 2024-01-05 주식회사 100케이션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coloring content
KR102669679B1 (en) 2023-10-23 2024-05-27 주식회사 액션파워 Method for generating sketch image from original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66404B (en) Video edit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901807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content
JP5180127B2 (en) Image creating apparatus and image creating method
JP2019145108A (en)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image including 3d avatar with facial movements reflected thereon, using 3d avatar for face
US11870951B2 (en) Photographing method and terminal
CN111726536A (en) Video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equipment
US9117313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011194B1 (en) Mobile apparatus with a picture conversion and drawing function and method of the same
JP4519531B2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10254601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deo
US20220385808A1 (en) Selfie setup and stock videos creation
CN110290426A (en) Method, apparatus, equipment and the storage medium of showing resource
CN113194256A (en) Shooting method, shoot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20216096A1 (en) Video edi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2010097449A (en) Image composition device, image composition method and image composition program
CN114697530B (en) Photographing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view finding recommendation
KR101738896B1 (en) Fitting virtual system using pattern copy and method therefor
JP2013168969A (en)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CN115225756A (en) Method for determining target object, shooting method and device
CN112989092A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17177052B (en) Image acquisi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0493511B (en) Panoramic image gener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WO2024066689A1 (en) Mode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249865B1 (en) A system for Electronic Album
CN111368111A (en) Picture retrieval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equipment and mobil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