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139B1 - 충격면 보호재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충격면 보호재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139B1
KR101011139B1 KR1020080069926A KR20080069926A KR101011139B1 KR 101011139 B1 KR101011139 B1 KR 101011139B1 KR 1020080069926 A KR1020080069926 A KR 1020080069926A KR 20080069926 A KR20080069926 A KR 20080069926A KR 101011139 B1 KR101011139 B1 KR 101011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otective material
connection unit
fixing devic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172A (ko
Inventor
정일원
최병호
강승일
Original Assignee
에스엔에이치 주식회사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엔에이치 주식회사,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에스엔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9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13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Abstract

발명은 카펫 등의 충격면 보호재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승강기와 같은 화물의 승강 장치의 내벽을 화물의 적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카펫 등의 충격면 보호재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재 고정 장치는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서있는 하나 이상의 수직 프레임, 수직 프레임의 최상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수평 프레임, 수직 프레임의 최하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수평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재 고정 장치는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고 보호재의 안정적 설치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지며, 계단형 연결 유닛과 연장 연결 유닛을 사용하면 다양한 크기의 보호재 고정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승강기, 충격면, 프레임, 고정 장치, 연결 유닛

Description

충격면 보호재 고정 장치{Apparatus for Fixing a Protector of Impacted Walls}
본 발명은 카펫 등의 충격면 보호재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승강기와 같은 화물의 승강 장치의 내벽을 화물의 적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카펫 등의 충격면 보호재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충격면은 화물 또는 사람을 수송하기 위한 승강기의 내부 벽 또는 바닥 면과 같은 화물의 이송 또는 보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충격 또는 그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음에 노출된 평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승강기의 내벽 또는 바닥 면을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시하지만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충격면은 이에 제한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사람 또는 화물을 상하로 수송하기 위한 장치로 리프트(lift) 또는 엘리베이터(elevator)라고 불린다. 사람을 수송하기 위한 승강기는 특별히 벽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흔하지 아니하므로 벽면 또는 바닥 면이 특별히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아파트와 같이 사람의 수송만을 위하여 설치된 승강기의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화물을 운송할 필요가 있게 되고, 그리고 이러한 경우 충격으로부터 승강기의 벽 또는 바닥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아울러 화물의 수송만을 위하여 설치된 승강기의 경우에는 특히 화물의 수송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승강기의 내부 면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벽면 또는 바닥면에 임시적인 보호재가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특히 벽면에 보호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보호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고정 장치는 보호재가 임시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해 몇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먼저 고정 장치는 벽면 자체를 손상시키지 않아야 한다. 스크루를 이용하는 경우 보호층의 견고한 고정이 보장되지만 벽면이 손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루는 사용되기 어렵다. 그리고 분리 가능성 및 설치 용이성을 가져야 한다. 화물 전용 승강기의 경우 보호층이 벽면에 영구적으로 설치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보호층은 물체가 이송되는 경우에만 설치가 된다. 또한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 입주의 경우 비교적 장시간 설치가 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입주가 만료되면 제거되고 그리고 다시 물체를 이송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설치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보호층은 대부분 임시적으로 벽면에 설치가 되어 물체의 이송 후 제거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분리 가능성 및 설치 용이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선행기술로는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03677호에 진공 흡착구가 공지되어 있다. 다만 공지된 진공 흡착구는 실질적으로 보호층의 고정을 위한 것이 아니라 물건을 걸어두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므로 보호층의 고정 을 위하여 진공 흡착구가 적용되기는 어렵다.
충격면의 보호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로는 특허 공개번호 제10-2008-0018311호 “패널 고정을 위한 진공 흡착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흡착 장치는 충격면의 손상을 주지 않고 패널을 고정시킬 수 있지만, 이를 위해 패널 면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패널의 재사용이 어려우며, 넓은 충격면의 경우 많은 양의 진공 흡착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지 기술이 가진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고, 충격면 보호재의 안정된 설치가 가능한 보호재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충격면 보호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보호재 고정 장치는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 계단형 연결 유닛에 의해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는 상부 수평 프레임, 하부 수평 프레임, 중간 수평 프레임 및 각각의 프레임 내부 면에 형성된 고정층을 포함하고, 계단형 연결 유닛(20)은 수직 프레임에 접촉하는 프레임 고정면과 각각의 수평 프레임이 삽입되는 프레임 압착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호재 고정 장치의 수직 프레임은 다수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직 프레임이 분리된 다수개의 서브 프레임은 위, 아래에 홈이 형성된 연장 연결 유닛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프레임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P(Polyprolylene), PS(Polystyren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VC(Polyvinylchloride), PC(Polycarbonate) 및 아크릴(Acryl)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프레임은 “ㄱ” 형상을 가진 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면 보호재의 고정 장치는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며, 보호재의 안정적 설치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직 연결 유닛과 수평 연결 유닛을 사용하면 다양한 크기의 보호재 고정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된다.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재 고정 장치(1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호재 고정 장치(10)는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서있는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11), 수직 프레임의 최상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수평 프레임(12), 수직 프레임의 최하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수평 프레임(13) 및 수직 프레임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수평 프레임(14)을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11)은 보호재 고정 장치(10)가 바닥면에 직립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승강기에 설치가 가능한 4개의 수직 프레임(11)이 설치된 보호재 고정 장치가 도시되어 있지만,설치하는 내부의 형상이나 충격면의 넓이에 따라 4개 이상의 수직 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수평 프레임(12)은 수직 프레임(11)의 최상부를 연결하여 수직 프레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하부 수평 프레임(13)은 수직 프레임(11)의 최하부를 연결하여 수직프레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수평 프레임(12)과 하부 수평 프레임(13)의 개수는 수직 프레임(11)의 개수에 의해 결정된다. 필요하다면 2개 이상의 상부 혹은 하부 수평 프레임이 2개의 수직 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에 제시된 실시예에서는 화물의 출입구, 예를 들어 승강기의 출입구 방향에는 하부 수평 프레임(13)을 설치하지 않는다. 만약 화물의 출입에 영향이 없는 경우 고정 장치의 결합 견고성을 위해 출입구 방향에도 하부 수평 프레임(1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수평 프레임(14)은 수직 프레임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여 수직프레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충격면의 넓이, 보호재의 크기 및 무게 그리고 수직 프레임의 개수 및 높이에 따라 다수개의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은 철, 알루미늄,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P(Polyprolylene), PS(Polystyren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VC(Polyvinylchloride), PC(Polycarbonate) 및 아크릴(Acryl)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재가 될 수 있다.
프레임 형상은 평면 형상 또는 둥근 형상과 같이 임의의 형상이 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ㄱ"자 형상이 될 수 있다. “ㄱ" 형상은 사이각이 직각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의미하며, 기역자 형상이라고도 한다. 한 개의“ㄱ" 형상의 프레임은 고정층(40)(도 4 참조)을 형성할 수 있는 두 개의 면을 제공할 수 있어, 충격면 보 호재(50)(도 5 참조)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중간 수평 프레임(14)은 고정층(40)과 충격면 보호재(50)의 접촉을 위해 평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장치는 충격면이 존재하는 내부, 예를 들어 승강기 내부에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승강기의 출입문의 넓이는 승강기 내부 단면보다 작으므로, 외부에서 조립시 반입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수직 연결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고정 장치의 설치를 위해서는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약 90°의 각도를 이루며 연결되어야 하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2개의 수평 프레임과 1개의 수직 프레임이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프레임을 볼트,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 등으로 연결한다면 많은 설치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프레임에 구멍이나 접착제 및 접착테이프 흔적 등의 흠집이 생길 수 있으므로 프레임의 재사용이 어려워 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계단형 연결 유닛(20)을 제공한다.
도 2(A)는 계단형 연결 유닛(20)의 측면도이며, 도 2(B)는 계단형 연결 유닛(20)의 사시도이다. 도 2(C)는 중간 수평 프레임(14)과 수직 프레임(11)이 계단형 연결 유닛(20)에 의해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계단형 연결 유닛(20)은 프레임 압착면(21)과 프레임 고정면(22)을 포함한다. 계단형 연결 유닛(20)의 프레임 압착면(21)은 수직 프레임(11)과 일정한 갭을 형성하며, 그 갭 사이로 수평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고, 프레임 고정면(22)이 수직 프레임(11)에 접촉 고정되면서 프레임 압착면(21)이 수직프레임(11)과 수평 프레임을 압착한다. 계단형 연결 유닛(20)의 프레임 고정면(22)이 수직 프레임(11)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볼트,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이용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볼트(23)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23)를 사용하는 경우, 수직 프레임(11)의 일정한 위치에 볼트 삽입을 위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연장 연결 유닛(30)의 측면도이며, 도 3(B)는 연장 연결 유닛(30)의 사시도이다. 도 3(C)는 다수개의 서브 프레임(33,34)으로 분리된 서브 프레임이 연장 연결 유닛(30)에 의해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연장 연결 유닛(30)은 두 개의 서브 프레임을 나란히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상단홈(31)과 하단홈(32)에 두 개의 프레임을 삽입하여 연결한다. 연장 연결 유닛(30), 상단홈(31) 및 하단홈(32)의 형상은 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도 3(B)에 “ㄱ”형의 서브 프레임의 연결을 위한 연장 연결 유닛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홈의 깊이는 프레임의 무게와 길이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연결 유닛(20)과 연장 연결 유닛(30)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연결한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수직 프레임(11)과 평면 모양의 중간 수평 프레임(14)을 계단형 연결 유닛(20)과 연장 연결 유닛(30)을 이용하여 연결한 실시예이며, 도 4(B)는 수직 프레임(11)과 “ㄱ”모양의 상부 수평 프레임(12)을 계단형 연결 유닛(20)을 이 용하여 연결한 실시예이다. 도 4(C)는 수직 프레임(11)과 “ㄱ”모양의 하부 수평 프레임(13)을 계단형 연결 유닛(20)을 이용하여 연결한 실시예이다. 각 프레임의 평평한 안쪽 면에는 고정층(4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층(40)은 충격면 보호재(50)를 고정 장치(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접착제, 접착테이프 또는 벨크로 테이프의 사용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벨크로 테이프가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재의 고정 장치(10)에 충격면 보호재(50)가 고정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보호재는 패널 형태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카펫이나 플라스틱판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벨크로 테이프의 음(-)의 부분을 보호재의 뒷면에 부착하고 고정층(40)(도 4(A) 참조)에 벨크로 테이프의 양(+)의 부분을 부착하면 쉽게 탈부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호재의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조명과 환기를 위하여 천장면은 보호재를 설치하지 않은 실시예를 도시하였지만, 천장면의 보호가 필요한 경우 천장면에도 보호재를 설치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의 제시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다.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격면 보호재의 고정 장치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그리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연결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도 3(B) 그리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연장 연결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도 4(B) 그리고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연결 유닛과 연장 연결 유닛을 이용하여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연결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호재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충격면 보호재를 고정 시킨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5)

  1. 충격면 보호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보호재 고정 장치(10)에 있어서,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11);
    계단형 연결 유닛(20)에 의해 수직 프레임(11)에 연결되는 상부 수평 프레임(12), 하부 수평 프레임(13) 및 중간 수평 프레임(14); 및
    각각의 프레임 내부 면에 형성된 고정층(40)을 포함하고, 상기 계단형 연결 유닛(20)은 수직 프레임에 접촉하는 프레임 고정면(22)과 각각의 수평 프레임(12,13,14)이 삽입되는 프레임 압착면(21)을 포함하여 각각의 프레임을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고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11)은 다수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고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11)이 분리된 다수개의 서브 프레임은 위, 아래에 홈이 형성된 연장 연결 유닛(30)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고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12,13,14)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고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11), 상부 수평 프레임(12) 및 하부 수평 프레임(13)은 “ㄱ”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재 고정 장치.
KR1020080069926A 2008-07-18 2008-07-18 충격면 보호재 고정 장치 KR101011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926A KR101011139B1 (ko) 2008-07-18 2008-07-18 충격면 보호재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926A KR101011139B1 (ko) 2008-07-18 2008-07-18 충격면 보호재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72A KR20100009172A (ko) 2010-01-27
KR101011139B1 true KR101011139B1 (ko) 2011-01-26

Family

ID=4181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926A KR101011139B1 (ko) 2008-07-18 2008-07-18 충격면 보호재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1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007B1 (ko) * 2016-01-26 2018-09-03 이중용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 패드 및 보호 패드 고정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0835A (en) 1981-08-20 1984-02-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b
JPH01180476U (ko) * 1988-06-10 1989-12-26
US20060254171A1 (en) 1999-01-22 2006-11-16 Bostock Company, Inc. Wall paneling assembly and system
KR100731988B1 (ko) 2006-03-17 2007-06-25 주식회사 효성 버팀대를 가진 충격 면 보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0835A (en) 1981-08-20 1984-02-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b
JPH01180476U (ko) * 1988-06-10 1989-12-26
US20060254171A1 (en) 1999-01-22 2006-11-16 Bostock Company, Inc. Wall paneling assembly and system
KR100731988B1 (ko) 2006-03-17 2007-06-25 주식회사 효성 버팀대를 가진 충격 면 보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72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1566B2 (en) Device and method for suspending and retaining telecommunication and power cables within a building
WO2005076798A3 (en) Sill plate
KR101011139B1 (ko) 충격면 보호재 고정 장치
WO2019008347A1 (en) MAGNETIC SOIL COATING
US20100233917A1 (en) Fixture device for cable elements
US8091299B2 (en) Entryway protector
CN210794104U (zh) 包装匣和搬运装置
CN104863340A (zh) 固定卡扣及使用该固定卡扣的装潢材料
US9091112B2 (en) Security panels for covering window and door openings in building structures
KR20150044473A (ko) 엘리베이터 보호패드용 고정장치
US11306488B1 (en) Baseboard
CN105045334A (zh) 显示器
WO2020233239A1 (zh) 一种模块化墙体移位固定方式
CN214730836U (zh) Led显示屏组件的存放装置
JP2008121269A (ja) パネル及び間仕切装置
JP2010168769A (ja) ラック間通路遮へい構造
JP2007031975A (ja) 戸袋付き引戸ユニット
JP5175114B2 (ja) 重量物固定用壁
JP6112197B2 (ja) エレベーター用かご
JP2008014573A (ja) 天井等の開口部に設置される設備周りの気密保持方法及びその方法を利用したダクト用換気ファン
US7523588B2 (en) Entryway protector
CN212799225U (zh) 一种具有吊顶的施工升降机
JP3183701U (ja) 店舗用建物
CN213200469U (zh) 一种具有防滑结构的叠放式吸塑托盘组
KR101913942B1 (ko) 엘리베이터용 보양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