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930B1 - 광안경을 이용한 학습능력의 증진방법 - Google Patents

광안경을 이용한 학습능력의 증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930B1
KR101010930B1 KR1020080029792A KR20080029792A KR101010930B1 KR 101010930 B1 KR101010930 B1 KR 101010930B1 KR 1020080029792 A KR1020080029792 A KR 1020080029792A KR 20080029792 A KR20080029792 A KR 20080029792A KR 101010930 B1 KR101010930 B1 KR 10101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ight emitting
sound
brain
b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386A (ko
Inventor
변기원
장원웅
Original Assignee
편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두리 filed Critical 편두리
Priority to KR1020080029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930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5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biofeedback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syc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광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와 렌즈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연결된 귀 걸이부가 구비된 광안경을 이용하여 뇌에 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증진시키는 학습능력 증진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안경의 귀 걸이부 중 제1 귀 걸이부의 일측에 있는 전원부에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온/오프(ON/OFF) 스위치(211)의 조작에 의해 제1음향센서가 작동되어 음향을 왼쪽, 오른쪽 혹은 양쪽에서 재생하여 뇌를 자극하는 제1음향센서 작동단계와, 블루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제2음향센서가 작동되고 음향 발생 속도를 분당 40회로 재생하여 뇌를 자극하는 제2음향센서 작동단계, 상기 제1 귀 걸이부와 대응되게 구비되어, 레드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제3음향센서가 작동되어 음향 발생 속도를 분당 50회로 재생하여 뇌를 더 자극하는 제3음향센서 작동단계 및 상기 블루 스위치와 레드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 제어부의 음향 발생속도가 제어되고 전원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된 발광부를 점멸하게 하여 뇌를 더 자극하는 발광부 제어단계;로 이루어진 광안경 이용에 의한 학습능력의 증진방법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귀 걸이부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 블루 스위치, 레드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의해 전원부에서 신호를 입력받아 발광부에 형성된 파란색, 빨강색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생되는 발광(빛)이 발생됨은 물론, 귀 걸이부에 구비된 제1,2,3 음향센서가 각각 온/오프 스위치, 블루 스위치, 레드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의해 음향을 재생하여 사용자의 왼오른 쪽 귀 또는 양쪽 귀를 자극하여 뇌에 뇌파를 발생시킴으로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광안경, 귀 걸이부, 블루 스위치, 레드 스위치

Description

광안경을 이용한 학습능력의 증진방법{LEARNING DEVELOPMENT METHOD USING LIGHT GLASSES}
본원 발명은 광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와 렌즈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연결된 귀 걸이부가 구비된 광안경을 이용하여 뇌에 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증진시키는 학습능력 증진방법에 있어서,
(1) 상기 광안경의 귀 걸이부 중 제1 귀 걸이부의 일측에 있는 전원부에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온/오프(ON/OFF) 스위치(211)의 조작에 의해 제1음향센서가 작동되어 음향을 왼쪽, 오른쪽 혹은 양쪽에서 재생하여 뇌를 자극하는 제1음향센서 작동단계와, 블루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제2음향센서가 작동되고 음향 발생 속도를 분당 40회로 재생하여 뇌를 자극하는 제2음향센서 작동단계;
(2) 상기 제1 귀 걸이부와 대응되게 구비되어, 레드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제3음향센서가 작동되어 음향 발생 속도를 분당 50회로 재생하여 뇌를 더 자극하는 제3음향센서 작동단계; 및
(3) 상기 블루 스위치와 레드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 제어부의 음향 발생속도가 제어되고 전원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된 발광부를 점멸하게 하여 뇌를 더 자극하는 발광부 제어단계;로 이루어진 광안경 이용에 의한 학습능력의 증진방법을 제공한다.
뇌파(알파파, 세타파, 및 델타파)는 사람의 심신을 편안하게 하거나 깊은 수면에 이르도록 돕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수험생에게 판매되는 제품으로는 엠씨스퀘어가 가장 일반적이다. 엠씨스퀘어는 수험생의 심신 안정을 위해 자연의 소리나 규칙적인 소리를 헤드폰으로 재생하며, 이를 수험생이 청취하도록 한다. 또한, 엠씨스퀘어는 자연의 소리에 따라 점멸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수험생의 눈에 비추어 줌으로써 수험생이 좀더 편안하고 이완된 상태가 되도록 돕는다. 현재 엠씨스퀘어와 유사한 형태의 제품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으나, 이들 제품들의 기본 구성 및 형태는 엠씨스퀘어와 대동소이 하다. 엠씨스퀘어 및 이의 유사품은 본체, 헤드폰, 광안경 및 어답터로 구성되며, 엠씨스퀘어가 본체, 헤드폰, 광안경, 어답터로 복잡하게 구성되는 이유로는, 첫째, 본체에서 광안경으로 제공되는 신호와 헤드폰으로 제공되는 단자가 독립적이며, 헤드폰과 광안경은 동일 단자를 통해 접속이 불가하고, 둘째, 본체는 심신안정을 위한 음원이 내장되고, 이를 재생하도록 구성되므로 휴대폰이나 PDA 같은 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속될 필요가 없으며, 셋째, 내장된 배터리를 대처하기 위해 어답터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엠씨스퀘어는 헤드폰, 광안경, 및 어답터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가 각각 마련되며, 사용자가 이들 단자에 헤드폰, 광안경, 및 어답터를 모두 연결한 채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만일, 엠씨스퀘어를 내장된 배터리로만 구동하는 경우에도 본체에 마련되는 헤드폰 및 광안경 단자에 헤드폰과 광안경을 접속하고 사용 및 휴대하기에는 불편하며, 케이블링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엠씨스퀘어에서 발산되는 발광이나 소리를 사용자의 뇌(왼오른쪽 뇌)나 눈에 일방적으로 자극함으로, 사용자의 학습효율을 증진시킬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엠씨스퀘어에 있는 센서부에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뇌나 눈에 발광, 소리를 조절없이 주입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감, 긴장감, 스트레스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삭제
삭제
삭제
본원 발명은, 귀 걸이부에 구비된 온/오프(ON/OFF) 스위치, 블루 스위치, 레드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의해 전원부에서 신호를 입력받아 발광부에 형성된 파란색, 빨강색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생되는 발광(빛)에 의해 왼오른 쪽 눈 또는 양쪽 눈을 자극함과 동시에 뇌에서 뇌파를 발생시킴으로 사용자의 학습능력, 집중력 향상, 피로감 및 긴장감을 줄일 수 있는 광안경 이용 학습능력 증진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광안경의 귀 걸이부 중 제1 귀 걸이부의 일측에 있는 전원부에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온/오프(ON/OFF) 스위치(211)의 조작에 의해 제1음향센서가 작동되어 음향을 왼쪽, 오른쪽 혹은 양쪽에서 재생하여 뇌를 자극하는 제1음향센서 작동단계와, 블루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제2음향센서가 작동되고 음향 발생 속도를 분당 40회로 재생하여 뇌를 자극하는 제2음향센서 작동단계, 상기 제1 귀 걸이부와 대응되게 구비되어, 레드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제3음향센서가 작동되어 음향 발생 속도를 분당 50회로 재생하여 뇌를 더 자극하는 제3음향센서 작동단계 및 상기 블루 스위치와 레드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 제어부의 음향 발생속도가 제어되고 전원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된 발광부를 점멸하게 하여 뇌를 더 자극하는 발광부 제어단계로 이루어진 광안경 이용에 의한 학습능력의 증진방법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블루 스위치와 레드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 제어부의 음향 발생속도가 제어되고 전원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된 발광부를 점멸하게 하여 발광부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파란색 또는 빨강색의 발광(빛)이 발생하게 하여 뇌를 더 자극하는 발광부 제어단계로 이루어진 광안경 이용 학습능력의 증진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원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과제 해결 수단과 관련하여,
본원 발명의 구성 중 상기 학습능력의 증진방법에 이용되는 광안경의 구성 및 작동방법은 , 지지부와 렌즈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연결된 귀 걸이부가 구비된 광안경에 있어서, 상기 귀 걸이부의 일측에 있는 전원부에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온/오프(ON/OFF)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온/오프(ON/OFF)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음향 및 발광을 인가하는 블루 스위치가 구비된 제1 귀 걸이부; 상기 제1 귀 걸이부와 대응되게 구비되어, 온/오프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음향 및 발광을 인가하는 레드 스위치가 구비된 제2 귀 걸이부; 및 상기 블루 스위치와 레드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음향 발생속도를 제어하고 전원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멸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가 있는 발광부로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LED)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작동되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음향을 왼쪽 , 오른쪽 혹은 양쪽에서 재생하여 뇌를 자극할 수 있는 제1음향센서와 상기 블루 스위치를 사용자가 누름 시간에 따라 음향 발생 속도를 분당 40회로 재생하여 뇌를 자극할 수 있는 제2음향센서를 포함하여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레드 스위치를 사용자가 누름 시간에 따라 음향 발생 속도를 분당 50회로 재생하여 뇌를 자극할 수 있는 제3음향센서를 포함하여 작동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발명은,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제어부 신호를 감지한 발광다이오드 부분에 왼쪽 또는 오른 쪽 중 한쪽이 렌즈의 전방에서 발광(빛)이 발생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 제어부의 신호를 감지한 발광다이오드에서 파란색 또는 빨강색의 발광(빛)이 발생되게 작동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원 발명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 걸이부에 구비된 온/오프(ON/OFF) 스위치, 블루 스위치, 레드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의해 전원부에서 신호를 입력받아 발광부에 형성된 파란색, 빨강색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생되는 발광(빛)에 의해 왼오른 쪽 눈 또는 양쪽 눈을 자극함과 동시에 뇌에서 뇌파를 발생시킴으로 사용자의 학습능력, 집중력 향상, 피로감 및 긴장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1 귀 걸이부에 제1음향센서를 포함하는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됨으로써, 온/오프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제1음향센서에서 오른쪽, 왼쪽, 양쪽으로 음향을 재생하여 사용자의 왼오른 쪽 귀 또는 양쪽 귀를 자극하여 뇌에 뇌파를 발생시킴으로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셋째, 제1 귀 걸이부에 제2음향센서를 포함하는 블루 스위치가 구비됨으로써, 블루 스위치를 사용자가 누름 시간에 따라 음향 발생 속도를 분당 40회로 지정하여 뇌를 자극할 수 있음은 물론, 발광부에 구비된 파란색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빛)이 발광하여 왼쪽 눈, 오른 쪽 눈, 양쪽 눈을 자극할 수 있는 효과와, 제2 귀 걸이부에 제3음향센서를 포함하는 레드 스위치가 구비됨으로써, 레드 스위치를 사용자가 누름 시간에 따라 음향 발생 속도를 분당 50회로 지정하여 뇌를 자극할 수 있음은 물론, 발광부에 구비된 빨강색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빛)이 발광하여 왼쪽 눈, 오른 쪽 눈, 양쪽 눈을 자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발광다이오드 제어부의 신호를 감지한 발광다이오드 부분에서 왼쪽 또는 오른 쪽 중 한 쪽이 렌즈의 전방에서 발광(빛)이 발생됨은 물론, 발광부 내부에 파란색, 빨강색 발광다이오드를 장착함으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눈을 자극하고 뇌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B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의 발광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의 피 세팅(Parietal lobe 자극 세팅)과정이며, 도 6b는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의 티 세팅(Temporal lobe 자극 세팅)과정이고,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100)은 지지부(110)와 렌즈(120)를 지지하는 프레임(130)과 상기 프레임(130)의 후방에 연결된 귀 걸이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귀 걸이부(200)의 일측에 있는 전원부(230)에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온/오프(ON/OFF) 스위치(211)가 구비되며, 상기 온/오프(ON/OFF) 스위치(211)의 누름 시간에 따라 음향 및 발광을 인가하는 블루 스위치(212)가 구비된 제1 귀 걸이부(210)와, 상기 제1 귀 걸이부(210)와 대응되게 구비되어, 온/오프(ON/OFF) 스위 치(211)의 누름 시간에 따라 음향 및 발광을 인가하는 레드 스위치(221)가 구비된 제2 귀 걸이부(220)와, 상기 블루 스위치(212)와 레드 스위치(221)의 누름 시간에 따라 음향 발생속도를 제어하고 전원부(23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멸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20)(LED)가 있는 발광부(310)로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LED)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안경(100)은 사용자의 코 등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윗면 및 양측 면에 렌즈(120)가 구비되며, 상기 렌즈(120)의 윗면 둘레를 감싸 지지하는 프레임(130)으로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30)의 모퉁이 양측 면에 한 쌍의 귀 걸이부(200)가 사용자의 귀에 걸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온/오프 스위치(211)는 제1 귀 걸이부(210)에 구비되어, 온/오프 스위치(211)의 길게 누름(약 3초 동안)에 의해 전원부(23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온/오프 스위치(211)를 한번 씩 누를 때 마다 제1음향센서(400)에서 오른쪽, 왼쪽, 양쪽으로 음향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귀를 자극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부(230)는 제1 귀 걸이부(210)에 구비되며, 온/오프 스위치(211)의 누름 시간(약 3초 동안)에 의해 전원부(230)에서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에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인가된 전원이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310)에 구비되어 있는 파란색 또는 빨강색 발광다이오드(320)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빛)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블루 스위치(212)는 제1 귀 걸이부(210)에 구비되며, 상기 블루 스위 치(212)를 짧게 누름(약 1초 동안)에 의해 전원부(230)에서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발광부(310)에 전원이 인가되어 파란색 발광다이오드(320)에서 발광(빛)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블루 스위치(212)를 길게 누름(약 3초 동안)으로 인하여 전원부(230)에서 제2음향센서(4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2음향센서(420)에서 1분당 40회 음향 템포로 발생하여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귀를 자극할 수 있다.
상기 제2 귀 걸이부(220)는 제1 귀 걸이부(210)와 대응되게 구비되고, 온/오프 스위치(211)의 누름 시간(약 3초 정도)에 의해 전원부(230)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온(ON)되어 있는 경우, 상기 레드 스위치(221)를 짧게 누름(약 1초 동안)에 따라 전원부(230)에서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발광부(310)에 전원이 인가되어 빨강색 발광다이오드(320)에서 발광(빛)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레드 스위치(221)를 길게 누름(약 3초 정도)으로 인하여 전원부(230)에서 제3음향센서(43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3음향센서(430)에서 1분당 50회 음향 템포로 발생하여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귀를 자극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310)의 파란색 또는 빨강색 발광다이오드(320)는 렌즈(120)의 후방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의 양측에 연결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온/오프 스위치(211)의 누름 시간(약 3초 정도)에 의하여 전원부(230)에서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로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블루 스위치(212)와 레드 스위치(221)의 누름 시간(약 10초 정도)에 의해 발광부(310)의 파란색 또는 빨강색 발광다이오드(320)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광(빛)이 발생됨으로써, 상기 발광다이오 드(320)에서 발생되는 파란색 또는 빨강색의 발광(빛)에 의해 사용자의 왼·오른쪽 눈을 자극하게 되며, 왼·오른쪽 뇌를 활성화 시켜 사용자의 학습 능력 및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 따라 스트레스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 스위치(212)와 레드 스위치(221)의 누름 시간(약 3초 정도)에 따라 제2음향센서(420), 제3음향센서(430)에서 음향 발생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는 온/오프 스위치(211), 블루 스위치(212), 레드 스위치(221)를 누름 시간(약 1초 정도)에 의해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발광부(310)에 전원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의 구성인 상기 온/오프 스위치(211)의 조작에 의해 음향을 왼쪽, 오른쪽 혹은 양쪽에서 재생하여 뇌를 자극할 수 있는 제1음향센서(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음향센서(400)는 제1 귀 걸이부(210)에 구비된 것으로서, 온/오프 스위치(211)를 한 번씩 누를 때 마다 이와 연결되어 있는 전원부(230)에서 제1음향센서(400)에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제1음향센서(400)에서 사용자의 오른쪽, 왼쪽, 양쪽 귀에 음향이 발생됨으로써 왼·오른쪽 뇌를 활성화 시켜 사용자의 학습 능력 및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 따라 스트레스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의 구성인 상기 블루 스위치(212)를 사용자가 누름 시간에 따라 음향 발생 속도를 분당 40회로 지정하여 뇌를 자극할 수 있는 제2음향센서(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2음향센서(420)는 제1 귀 걸이부(210)에 구비된 것으로서, 블루 스위치(212)의 누름 시간(약 3초 정도)으로 인하여 전원부(230)에서 제2음향센서(420)에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제2음향센서(420)에서 오른쪽, 왼쪽, 양쪽 귀에 1분당 40회 템포로 음향이 발생됨으로써 왼·오른쪽 뇌를 활성화 시켜 사용자의 학습 능력 및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 따라 스트레스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의 구성인 상기 레드 스위치(221)를 사용자의 누름 시간에 따라 음향 발생 속도를 분당 50회로 지정하여 뇌를 자극할 수 있는 제3음향센서(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3음향센서(430)는 제2 귀 걸이부(220)에 구비된 것으로서, 레드 스위치(221)의 누름 시간(약 3초 정도)에 의해 전원부(230)에서 제3음향센서(430)에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제3음향센서(430)에서 오른쪽, 왼쪽, 양쪽 귀에 1분당 50회 템포로 음향이 발생됨으로써 왼·오른쪽 뇌를 활성화 시켜 사용자의 학습 능력 및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 따라 스트레스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블루 스위치(212)와 레드 스위치(221)는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1분당 음향 템포를 자율적으로 입력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의 구성인 상기 발광부(31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 신호를 감지한 발광다이오드(320) 부분에 왼쪽 또는 오른 쪽 중 한쪽이 렌즈(120)의 전방에서 발광(빛)이 발생되는 것이 다.
즉, 상귀 귀 걸이부(200)에 각각 구비된 블루 스위치(212)와 레드 스위치(221)를 사용자가 누름 시간(약 1초 정도)을 조작함에 따라 전원부(230)에서 신호를 감지한 후, 상기 전원부(230)에서 인가된 전원이 발광부(310)의 파란색 또는 빨강색 발광다이오드(320) 부분에 인가되면 왼쪽 또는 오른 쪽 중 한쪽을 선택하여 렌즈의 전방에 발광(빛)이 발생함으로 왼·오른쪽 눈 중 한 곳에 자극하여 감각신경을 통해 뇌에서 발생되는 뇌파(알파파, 세타파, 델타파)를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 사용자의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의 구성인 상기 발광부(31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의 신호를 감지한 발광다이오드(320) 양쪽이 렌즈(120)의 전방에서 발광(빛)이 발생되는 것이다.
즉, 상기 귀 걸이부(200)에 각각 구비된 블루 스위치(212)와 레드 스위치(221)를 사용자가 누름 시간(약 1초 정도)을 누름에 따라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에 구비된 전원부(230)에 신호가 입력된 후, 상기 전원부(230)에서 발광다이오드(320)의 양쪽 부분에 전원을 인가하여 렌즈(120)의 전방에 발광(빛)이 발생하여 양쪽 눈을 자극하여 감각신경을 통해 전달된 뇌에 발생되는 뇌파(알파파, 세타파, 및 델타파)가 증가되어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의 구성인 상기 발광부(310)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의 신호를 감지한 발광다이오드(320)에서 파란색 또는 빨강색의 발광(빛)이 발생되는 것이다.
즉, 상기 귀 걸이부(200)에 각각 구비된 블루 스위치(212)와 레드 스위치(221)를 누름 시간(약 1초 정도)에 의해 전원부(230)에 신호가 입력된 다음, 상기 전원부(230)에서 인가된 전원을 발광부(310)의 파란색 발광다이오드(320) 또는 빨강색 다이오드(320)가 8개씩 설치되고, 파란색 발광다이오드(320)가 작동할 시 오른쪽, 왼쪽이 동일 패턴으로 전체 12회 씩 반복되게 세팅되어 있으며, 또한, 빨강색 발광다이오드(320)도 동일하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100)의 구성인 렌즈(120)의 색상은 빨강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의 피 세팅(Parietal lobe 자극 세팅)과정이며, 도 6b는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의 티 세팅(Temporal lobe 자극 세팅)과정이다.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발광다이오드의 피 세팅(Parietal lobe 자극 세팅)과 티 세팅(Temporal lobe 자극 세팅)을 설명하면, 제1 귀 걸이부(210)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211)를 누름 시간(약 10초 정도)에 의해 전원부(230)에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블루 스위치(212)를 누름 시간(약 1초 정도)에 의해 전원 부(230)에서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로 신호가 전송된 후, 상기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에 구비되어 있는 발광부(310)에 전원이 인가된다.
다음, 발광부(310)에 구비된 파란색 발광다이오드(320)에 전원이 인가되어 1초 동안 발광한 후 5초 동안 쉬고, 다시 1초 동안 발광한 다음 5초 동안 쉬는 과정이 1분당 12회 반복하면서 발광이 된다.
반대로, 본원 발명에 구비되어 있는 파란색 발광다이오드(320)에서 발생되는 발광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귀 걸이부(210)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211)를 누름 시간(약 3초 정도)을 길게 누르면 전원부(23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중지되어 상기 파란색 발광다이오드(320)에서 발생되는 발광(빛)이 꺼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에 구비된 피 세팅(Parietal lobe 자극 세팅)과 티 세팅(Temporal lobe 자극 세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발광다이오드의 피 세팅(Parietal lobe 자극 세팅)을 설명하면, 상기 제2 귀 걸이부(220)에 구비된 레드 스위치(221)를 누름 시간(약 1초 정도)에 따라 전원부(230)에서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로 신호가 전송된 후, 상기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의 발광부(310)에 구비되어 있는 빨강색 발광다이오드(320)에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3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 빨강색 발광다이오드(320)가 작동하여 2초 동안 발광한 다음 9초 동안 쉬고, 다시 2초 동안 발광한 후 9초 동안 쉬는 과정이 1분당 총 6회 반복하면서 빨강색 발광다이오드(320)에서 발광이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의 착용 상태를 사용자의 눈을 자극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귀를 자극하는 과정을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에서 사용자의 눈을 자극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제1 귀 걸이부(210)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211)의 누름 시간(약 3초 정도)을 길게 누르면, 이와 연결되어 있는 전원부(230)에 신호가 입력되어 전원이 발생되어 발광다이오드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그리고, 한 쌍의 귀 걸이부(200)에 구비된 블루 스위치(212)와 레드 스위치(221)를 누름 시간(약 1초 정도)을 짧게 누르면 전원부(230)에서 인가된 전원 신호가 발광부(310)의 파란색, 빨강색 발광다이오드(320)로 전송됨과 동시에, 파란색, 빨강색 발광다이오드(320)에서 발광(빛)되어 왼·오른쪽 눈 또는 양쪽 눈에 자극한 후 상기 눈의 신경이 오른쪽·왼쪽 뇌 또는 양쪽 뇌에 자극하여 뇌파가 전달되어 사용자의 학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에서 사용자의 귀를 자극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제1 귀 걸이부(210)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211)의 누름 시간을 한 번씩 짧게 누르면 온/오프 스위치(211)와 연결되어 있는 제1음향센서(400)에서 음향이 발생되어 오른 쪽, 왼 쪽, 양 쪽 귀를 자극함과 동시에 귀에 연결되어 있는 감각신경의 신호가 뇌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귀 걸이부(210)에 구비된 블루 스위치(212)의 누름 시간(약 3초 정도)을 길게 누르면 블루 스위치(212)에 연결되어 있는 제2음향센서(420)에서 음향(1분당 40회 간격으로 음향 템포)이 발생되어 오른 쪽, 왼 쪽, 양 쪽 귀를 자극함과 동시에 귀에 연결되어 있는 감각신경의 신호가 뇌에 전달할 수 있다.
또, 제2 귀 걸이부(220)에 구비된 레드 스위치(221)의 누름 시간(약 3초 정도)을 길게 누르면 레드 스위치(221)에 연결되어 있는 제3음향센서(430)에서 음향(1분당 50회 간격으로 음향 템포)이 발생되어 오른 쪽, 왼 쪽, 양 쪽 귀를 자극함과 동시에 귀에 연결되어 있는 감각신경의 신호가 뇌에 전달되어 사용자의 피로감, 긴장감을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의 광안경은 사용자가 선택하여 눈 또는 귀를 자극함으로써, 사용자의 집중력, 학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피로감, 긴장감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원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 확대도.
도 5는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의 발광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의 피 세팅(Parietal lobe 자극 세팅)과정이며, 도 6b는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의 티 세팅(Temporal lobe 자극 세팅)과정이다.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광안경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광안경
110 : 지지부 120 : 렌즈
130 : 프레임
200 : 귀 걸이부
210 : 제1 귀 걸이부 211 : 온/오프 스위치
212 : 블루 스위치
220 : 제2 귀 걸이부 221 : 레드 스위치
230 : 전원부
300 : 발광다이오드 제어부
310 : 발광부 320 : 발광다이오드
400 : 제1음향센서 420 : 제2음향센서
430 : 제3음향센서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지지부와 렌즈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연결된 귀 걸이부가 구비된 광안경을 이용하여 뇌에 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증진시키는 학습능력 증진방법에 있어서,
    (1) 상기 광안경의 귀 걸이부 중 제1 귀 걸이부의 일측에 있는 전원부에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온/오프(ON/OFF) 스위치(211)의 조작에 의해 제1음향센서가 작동되어 음향을 왼쪽, 오른쪽 혹은 양쪽에서 재생하여 뇌를 자극하는 제1음향센서 작동단계와, 블루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제2음향센서가 작동되고 음향 발생 속도를 분당 40회로 재생하여 뇌를 자극하는 제2음향센서 작동단계;
    (2) 상기 제1 귀 걸이부와 대응되게 구비되어, 레드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제3음향센서가 작동되어 음향 발생 속도를 분당 50회로 재생하여 뇌를 더 자극하는 제3음향센서 작동단계; 및
    (3) 상기 블루 스위치와 레드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 제어부의 음향 발생속도가 제어되고 전원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된 발광부를 점멸하게 하여 뇌를 더 자극하는 발광부 제어단계;로 이루어진 광안경 이용에 의한 학습능력의 증진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 스위치와 레드 스위치의 누름 시간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 제어부의 음향 발생속도가 제어되고 전원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된 발광부를 점멸하게 하여 발광부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파란색 또는 빨강색의 발광(빛)이 발생하게 하여 뇌를 더 자극하는 발광부 제어단계;로 이루어진 광안경 이용에 의한 학습능력의 증진방법.
KR1020080029792A 2008-03-31 2008-03-31 광안경을 이용한 학습능력의 증진방법 KR101010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792A KR101010930B1 (ko) 2008-03-31 2008-03-31 광안경을 이용한 학습능력의 증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792A KR101010930B1 (ko) 2008-03-31 2008-03-31 광안경을 이용한 학습능력의 증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386A KR20090104386A (ko) 2009-10-06
KR101010930B1 true KR101010930B1 (ko) 2011-01-25

Family

ID=4153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792A KR101010930B1 (ko) 2008-03-31 2008-03-31 광안경을 이용한 학습능력의 증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9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555B1 (ko) * 2011-04-01 2013-03-19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인식용 광원이 장착된 스키고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344A (ko) * 1998-05-15 1999-12-06 구자홍 휴대용 오디오 겸용 뇌파유도신호 발생장치
KR200281003Y1 (ko) * 2002-04-12 2002-07-13 주식회사 드림프리 뇌파 유도 신호 발생장치
KR20020081003A (ko) * 2001-04-18 2002-10-26 (주)허벤텍 투메론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용도
KR20030005663A (ko) * 2001-07-10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냉각 시스템
KR200305663Y1 (ko) * 2002-11-01 2003-03-03 변정식 학습보조용 안경
KR20060115952A (ko) * 2005-05-07 2006-11-13 이우형 휴대용 두뇌 개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344A (ko) * 1998-05-15 1999-12-06 구자홍 휴대용 오디오 겸용 뇌파유도신호 발생장치
KR20020081003A (ko) * 2001-04-18 2002-10-26 (주)허벤텍 투메론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용도
KR20030005663A (ko) * 2001-07-10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냉각 시스템
KR200281003Y1 (ko) * 2002-04-12 2002-07-13 주식회사 드림프리 뇌파 유도 신호 발생장치
KR200305663Y1 (ko) * 2002-11-01 2003-03-03 변정식 학습보조용 안경
KR20060115952A (ko) * 2005-05-07 2006-11-13 이우형 휴대용 두뇌 개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386A (ko)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840B1 (ko) 실시간 생체신호 모니터링 및 광 치료 기능을 포함한 이명치료기 장치
AU201822681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dulating stimuli to the brain with biosensors
CN206920734U (zh) 眼镜式生理感测、穿戴装置及眼镜结构
US4315502A (en) Learning-relaxation device
EP2689301B1 (en) Personal alarm system
US20100323335A1 (en) Psychotherapeutic device
TWM553987U (zh) 具生理訊號擷取功能的眼鏡結構與眼鏡組合、該眼鏡組合之結合模組、眼鏡式生理活動感測裝置、眼鏡式穿戴裝置及眼鏡式電刺激裝置
WO2019153967A1 (zh) 一种多途径协同调节人体生物节律的光照装置
KR20140089720A (ko) 휴대형 스마트 통신기기에 구비된 색광 치료 구동장치
WO2017125081A1 (zh) 眼镜式生理感测装置及具生理讯号撷取功能的眼镜结构与眼镜组合
US20200069966A1 (en) Neuro-Train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010930B1 (ko) 광안경을 이용한 학습능력의 증진방법
KR101086196B1 (ko) 칼라 발 반사요법 기기
JP2009530065A (ja) 固視抑制を評価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210844190U (zh) 一种远程智能视觉理疗仪
CN201734833U (zh) 一种耳聋治疗仪
TW201827010A (zh) 生理共振刺激方法及使用該方法的穿戴式系統
JP3187620U (ja) 携帯光治療・健康器具
CN202351548U (zh) 一种声光视觉防控镜
KR20100010766U (ko) 칼라 광 아이 스킨케어기기
CN103040597A (zh) 一种莫扎特视觉防控镜
KR102440383B1 (ko) 수면 유도 led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463080B1 (ko) 인터넷의 온라인 오프라인을 활용하는 광안경 장치
AU2009212979A1 (en) Psychotherapeutic device
AU2015101145A4 (en) Illumin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