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025B1 -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025B1
KR101010025B1 KR1020080118473A KR20080118473A KR101010025B1 KR 101010025 B1 KR101010025 B1 KR 101010025B1 KR 1020080118473 A KR1020080118473 A KR 1020080118473A KR 20080118473 A KR20080118473 A KR 20080118473A KR 101010025 B1 KR101010025 B1 KR 101010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creen door
locking
solenoid valv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052A (ko
Inventor
안상진
Original Assignee
수성정밀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성정밀기계(주) filed Critical 수성정밀기계(주)
Priority to KR1020080118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025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에 일정부분이 개구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내부에 구비하는 케이스; 일측 말단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로드와 피봇결합되는 조작부; 일측 말단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조작부가 링크결합되고 타측 말단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부분으로 돌출되는 락킹부; 상기 락킹부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부의 접촉에 의해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로 구성되어, 스크린도어의 개폐오작동으로 인한 지하철 사고는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 있으나, 전기의 공급이 끊기면 자동으로 락킹부가 해제되어 신속하게 스크린도어를 열어 대피할 수 있고, 스크린도어 개폐장치의 오작동시 후측으로 이동하여 점검하면 되므로 간편하고 실용적이므로, 편의성이 도모된다.
스크린도어, 조작부, 솔레노이드 밸브, 락킹부, 감지센서

Description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Locking Apparatus of SceenDoor}
본 발명은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동되는 조작부와 스크린도어를 개폐하도록 조작부에 연동된 락킹부를 제작하여, 전기가 끊기면 자동으로 락킹부가 해제되는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린도어란 전동차의 이동경로인 선로와 승객들이 전동차를 타고 내리는 승강장을 차단시켜주는 일종으로, 전동차의 이용객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스크린도어의 수요도 점점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역사에서는 선로와 승강장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출퇴근시간 등 혼잡한 시간대에도 승객이 밀려 선로에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지만, 전원이 끊기거나 화재로 인한 비상상태 발생시 오히려 안전문이 열리지 않아 전동차 내부에 갇힌 승객들의 피해가 휠씬 가중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스크린도어의 아래쪽에 비상코크를 두어, 비상시 비상코크 뚜껑을 열고 코크를 수동쪽으로 젖힌 후 안전문을 밀어서 열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비상사태시 정신이 혼미해진 승객이 비상코크를 찾아 조작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짧은 시간동안 인명이 결정되어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고 직감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스크린도어 개폐장치의 오작동 및 파손시 스크린 도어를 분리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여 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전류가 흐르면 스크린도어이 개폐장치가 작동되고 전류가 끊기면 스크린도어의 개폐장치가 해제되어, 비상시 전기의 공급이 제한되면 스크린도어의 개폐장치가 해제되어 강제적으로 문을 열수 있고, 개폐장치의 파손 및 오작동 시 개폐장치만 후측으로 이동시켜 개폐장치를 수리 및 복구할 수 있는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스크린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상기 스프린도어 프레임에 형성되는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일정부분이 개구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내부에 구비하는 케이스; 일측 말단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로드와 피봇결합되는 조작부; 일측 말단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조작부가 링크결합되고 타측 말단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부분으로 돌출되는 락킹부; 상기 락킹부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부의 접촉에 의해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락킹부는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의 끝단에 상기 락킹부가 결합되어,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로드변화없이 상기 락킹부가 상기 케이스로 삽입되도록 상기 조작부가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를 후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하측에 상기 케이스가 전후로 이동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에 부설되는 지지판과 일측은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 후측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후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틱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양측에 변위공이 형성되고 상기 변위공을 통하여 체결구로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변위공이 형성된 전후폭만큼 상기 케이스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가 후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는 후진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첫째, 스크린도어의 개폐오작동으로 인한 지하철 사고는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 있으나, 전기의 공급이 끊기면 자동으로 락킹부가 해제되어 신속하게 스크린도어를 열어 대피할 수 있다.
둘째, 스크린도어 개폐장치의 오작동시 후측으로 이동하여 점검하면 되므로 간편하고 실용적이므로, 편의성이 도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는 전면에 일정부분이 개구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내부에 구비하는 케이스(110)와 일측 말단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의 로드(122)와 피봇 결합 되는 조작부(130)와 일측 말단이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일측에 상기 조작부(130)가 링크 결합 되고 타측 말단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110)의 개구된 부분으로 돌출되는 락킹부(140)와 상기 락킹부(140)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부(140)의 접촉에 의해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160)로 구성된다.
먼저, 스크린도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크린도어(10)는 지하철역사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승객이 선로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지하철 출입문 열린 후에 스크린도어(10)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스크린도어(10)는 승강장에 부설된 프레임에 형성되며, 타이밍벨트와 연동된 롤러에 의해서 스크린도어(10)가 열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도어(10)는 내측면에 락킹홈(12)이 함몰되어 있어, 상기 락킹홈(12)으로 후술하는 락킹부(140)가 삽입되던지 분리되어 상기 스크린도어(10)가 강제로 못 열리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110)는 강도와 경도가 강한 금속재질로 상기 스크린도어(10)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으로, 내부는 중공으로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내장하며 전면은 일정부분이 개구되어 있고, 보통 가로가 긴 육면체 형상이나 당업자에 따라 다양한 형상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는 상부면이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져, 본 발명인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의 고장이 발생하였을 상부면을 열어 고장부위를 고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작부(130)는 스틱형상의 금속재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의 로드(122)와 피봇 결합 되어 직선으로 움직일 뿐만 아니라 회전 운동까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130)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의 로드(122)가 작동하는 반대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내장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20)가 차지하는 공간의 효율을 위해서이다. 그래서, 상기 로드(122)의 후진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이동체(124)가 상기 로드(122)에 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122)의 외주에는 상기 솔레노이브 밸브(120)가 전기를 인가받아 당겨졌을 때 압축되어 전기의 공급이 차단되면 복원되는 밸브스프링(126)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락킹부(140)는 일측 말단이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며, 일측에 상기 조작부(130)의 말단과 링크 결합 되어 상기 조작부(130)의 작동에 따라 타측 말단이 상기 케이스의 개구 된 부분으로 돌출 가능하게 된다.
상기 락킹부(140)는 상기 케이스(110)의 개구 된 부분으로 돌출되면, 상기 스크린도어(10)의 락킹홈(12)에 삽입되어 상기 스크린도어(10)는 강제로 열려고 해도 열리지 않게 하며, 상기 케이스(110) 내부로 후진할 경우는 상기 락킹홈(12)에서 분리되므로 상기 스크린도어(10)가 열리고 닫히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단, 상기 락킹부(140)의 작동원리는 후술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락킹부(140)는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의 끝단에 상기 락킹부(140)가 결합 되어,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의 로드(122) 변화없이 상기 락킹부(140)가 상기 케이스(110)로 삽입된다. 이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프로그램이 다양하므로 상기 스크린도어(10)가 열린 후 닫힐 때는 상기 락킹부(140)의 사면을 따라 상기 스크린도어(10)의 측면이 상기 락킹부(140)를 압축하여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지센서(160)는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락킹부(140)의 움직임에 따라 접촉 또는 비접촉이 되도록, 상기 락킹부(140) 후측으로 형성되게 한다. 이는, 상기 락킹부(140)의 접촉되면,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여 상기 스크린도어(10)의 개폐에 원활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110)는 후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스(110) 하측에 상기 케이스(110)가 전후로 이동되게 결합 되고 상기 프레임(미도시)에 부설되는 지지판(152)과 일측은 상기 지지판(152)과 결합 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110) 후측에 결합 되어 상기 케이스(110)를 후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틱(154)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150)를 더 구비한다.
이는, 본 발명인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의 전기적 신호의 고장으로 상기 락킹부(140)가 계속 상기 케이스(110)의 개구 된 부분으로 돌출되었을 경우, 상기 이동스틱(154)을 후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케이스(110) 또한 연동 되어 후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스크린도어(10)의 락킹홈(12)에서 상기 락킹부(140)가 완전히 분리되어, 응급 처치를 할 수가 있다.
특히, 상기 케이스(110)는 양측으로 상기 락킹부(140)가 상기 락킹홈(12)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길이 만큼의 변위공(112)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스틱(154)을 상기 변위공(112)의 후측까지 당기면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변위공(112)을 통하여 체결구(114)로 상기 지지판(15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스틱(154)이 후측으로 이동된 후, 고정시키는 고정구(미도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실수로 상기 케이스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가 후측으로 이동하는 실시예와 상기 락킹부의 작동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의 케이스가 전후진하는 실 시도이다.
도 3의 (a)처럼 상기 락킹부(140)가 상기 케이스(110)의 개구된 부분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크린도어(10)의 락킹홈(12)에 삽입되어 있는 상황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전기 신호의 오류로 계속 상기 락킹부(140)가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부분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도어(10)가 상기 락킹부(140)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걸려서 열리지 않게 된다.
도 3의 (b)처럼 상기 이동스틱(154)을 후측으로 당기면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이동스틱(154)과 연동되므로 후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락킹부(140)가 상기 락킹홈(12)에서 분리되게 되므로 상기 스크린도어(10)가 안전하게 열리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의 케이스의 락킹부가 작동하는 실시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에 전기가 인가되면 로드(122)가 후측으로 당겨져, 상기 로드(122) 외주에 장착된 밸브스프링(126) 또한 압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로드(122)의 후진에 연동 되는 이동체(124)가 후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보통은, 상기 조작부(130)는 상기 로드(122)에 결합 되어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 내부의 공간활용에 의해 상기 로드(122)에 연동 되는 이동체(124)에 결합된다.
상기 이동체(124)의 이동에 의해, 상기 조작부(130)는 케이스(110)의 개구된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상기 조작부(130)와 링크 결합 된 상기 락킹부(140)도 일 단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나 고정된 부분에서 회전가능하므로, 상기 락킹부(140)의 타측 말단이 상기 케이스(110)의 개구 된 방향으로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도 4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에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전기를 차단시키면, 상기 로드(122)에 의해 압축된 밸브스프링(126)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원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락킹부가 솔레노이드 밸브의 로드 변화없이 움직이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부(140)는 내부에 락킹스프링(144)이 구비하고 상기 락킹스프링(144)의 끝단에 상기 락킹부(140)가 결합 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의 로드(122) 변화없이 상기 락킹부(140)가 상기 케이스(110)로 삽입되도록 상기 조작부(130)가 상기 스프링을 압축된다.
이는,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스크린도어(10)를 열고 닫기 위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저장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에 전기를 공급 및 차단하는 것을 지하철이 역사로 진입과 승객들이 승하차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지하철이 역사에 도착하여 상기 스크린도어(10)가 열리기 위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의 전기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락킹부(140)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스크린도어(10)가 열리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여기서, 승객들이 탑승하는 동안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에 전기가 공급되면 상기 락킹부(140)는 다시 외부로 돌출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락킹부(140)는 내부에 상기 락킹스프링(144)이 구비되어 있어, 승객의 승차가 완료되고 나면 상기 스크린도어(10)가 닫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10)의 측면이 상기 락킹부(140)의 사면을 따라 눌려주면 상기 조작부(130)가 상기 락킹스프링(144)을 압축하면서 상기 락킹부(140)가 상기 케이스(110)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도어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락킹부(140)는 상기 락킹홈(12)에서 상기 락킹스프링(144)에 의해 다시 복원된다.
종합하면, 본 발명인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는 종래와 다르게 전기의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락킹부(140)가 상기 락킹홈(12)에서 분리되어 긴급한 상황에서도 강제적으로 상기 스크린도어(10)를 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장점이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제작이 용이하다고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기가 끊기면 락킹부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의 케이스가 전후진하는 실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의 케이스의 락킹부가 작동하는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락킹부가 솔레노이드 밸브의 로드 변화없이 움직이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스크린도어 12: 락킹홈
110: 케이스 112: 변위공
114: 체결구 120: 솔레노이드 밸브
122: 로드 124: 이동체
126: 밸브스프링 130: 조작부
140: 락킹부 144: 락킹스프링
150: 이동부재 152: 지지판
154: 이동스틱 160: 감지센서

Claims (4)

  1. 제어부(미도시)의 신호를 받아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이용하여 스크린도어(10)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상기 스크린도어(10) 프레임에 형성되는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일정부분이 개구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내부에 구비하는 케이스(110);
    일측 말단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의 로드(122)에 피봇 결합 되는 조작부(130);
    일측 말단이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조작부(130)가 링크 결합 되고 타측 말단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110)의 개구 된 부분으로 돌출되는 락킹부(140);
    상기 락킹부(140)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부(140)의 접촉에 의해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센서(160);로 구성되되,
    상기 락킹부(140)는,
    내부에 락킹스프링(144)이 구비하고 상기 락킹스프링(144)의 끝단에 상기 락킹부(140)가 결합되어,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20)의 로드(122)변화없이 상기 락킹부(140)가 상기 케이스(110)로 삽입되도록 상기 조작부(130)가 상기 락킹스프링(144)을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케이스(110)를 후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110) 하측에 상기 케이스(110)가 전후로 이동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에 부설되는 지지판(152)과 일측은 상기 지지판(152)과 결합 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110) 후측에 결합 되어 상기 케이스(110)를 후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스틱(154)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1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양측에 변위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변위공(112)을 통하여 체결구(114)로 상기 지지판(152)에 결합되어, 상기 변위공(112)이 형성된 전후폭 만큼 상기 케이스(110)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
KR1020080118473A 2008-11-27 2008-11-27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 KR101010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473A KR101010025B1 (ko) 2008-11-27 2008-11-27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473A KR101010025B1 (ko) 2008-11-27 2008-11-27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052A KR20100060052A (ko) 2010-06-07
KR101010025B1 true KR101010025B1 (ko) 2011-01-21

Family

ID=4236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473A KR101010025B1 (ko) 2008-11-27 2008-11-27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0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148B1 (ko) 2011-06-15 2013-05-14 한국산업은행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139A (ja) * 1994-07-11 1996-01-23 Fujikoo Kogyo:Kk 有扉箱体内部からの開扉装置
JP2001140522A (ja) 1999-11-15 2001-05-22 Nippon Signal Co Ltd:The 駅ホームドア、及び駅ホームドアの手動解錠方法
JP2003137086A (ja) 2001-11-02 2003-05-14 Hitachi Ltd 鉄道用プラットフォームドアの制御システム
KR20060049611A (ko) * 2004-06-16 2006-05-19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139A (ja) * 1994-07-11 1996-01-23 Fujikoo Kogyo:Kk 有扉箱体内部からの開扉装置
JP2001140522A (ja) 1999-11-15 2001-05-22 Nippon Signal Co Ltd:The 駅ホームドア、及び駅ホームドアの手動解錠方法
JP2003137086A (ja) 2001-11-02 2003-05-14 Hitachi Ltd 鉄道用プラットフォームドアの制御システム
KR20060049611A (ko) * 2004-06-16 2006-05-19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148B1 (ko) 2011-06-15 2013-05-14 한국산업은행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052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89383A (zh) 包含用于打开车门的组件的车辆
CN103391860B (zh) 具有锁定识别装置的充电插头
KR101124763B1 (ko) 전자 키를 이용한 차량 엔진 시동 장치 및 이를 위해사용될 키
CN101668918B (zh) 衬垫补偿闭锁机构
DE102008018906B4 (de) Schließzylinderanordnung
CN104453457B (zh) 一种电子锁及其控制方法
KR20140053223A (ko) 감소된 개수의 부품을 갖는 연료 탱크 캡 록킹 장치
CN108026739B (zh) 用于车门的电子手柄
US8898956B2 (en) Sliding door device for vehicle with pressure sensing unit and sealing unit
KR101010025B1 (ko) 스크린도어 안전개폐장치
US9334684B2 (en) Sliding door device for vehicle
JP2014150012A (ja) コネクタ
CN105683466B (zh) 具有弹簧储能器的电动机动车锁
DE102014113654A1 (de) Panikdruckstange mit Nottaste und verschiebbarem Display
CN110984725B (zh) 锁具的控制方法和锁具
CN204782680U (zh) 一种卷帘门电子锁
CN104989264B (zh) 一种卷帘门电子锁
CN105840003A (zh) 一种插销机构的驱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4989263B (zh) 一种卷帘门电子锁及其工作方法
JP2006328636A (ja) 扉の自動閉鎖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自動ドア装置
CN216341508U (zh) 一种驱动锁装置以及应用该装置的折叠门
CN203729699U (zh) 节能省电的电磁门锁
CN110984712B (zh) 锁具
CN103437601B (zh) 间接式授权钥匙解锁机构
CN204738620U (zh) 一种卷帘门电子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