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346B1 -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및 이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 - Google Patents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및 이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346B1
KR101009346B1 KR1020100053534A KR20100053534A KR101009346B1 KR 101009346 B1 KR101009346 B1 KR 101009346B1 KR 1020100053534 A KR1020100053534 A KR 1020100053534A KR 20100053534 A KR20100053534 A KR 20100053534A KR 101009346 B1 KR101009346 B1 KR 101009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box
cylindrical liner
capsule
lin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뿌리를 지키는 사람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뿌리를 지키는 사람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뿌리를 지키는 사람들
Priority to KR1020100053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및 이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막힌 원통형의 라이너몸체(240)와, 상기 라이너몸체(240)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된 판상의 전면프레임(210)과, 상기 라이너몸체(240)의 후면에서 상기 전면프레임(210)과 같은 크기의 외곽선을 갖는 판상의 후면프레임(220)이 하나의 단위조립체로 구성되고,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 캡슐형몸통(110)과 이 캡슐형몸통(110)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캡슐형뚜껑(120)으로 이루어진 캡슐형 유골함(100)이 상기 라이너몸체(24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수평 삽입되어 보관되는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고,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하나의 단위조립체로 구성된 원통형 라이너함(200)의 전,후면프레임(210,220) 상에 조립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봉안단 조성 현장에서 요구되는 봉안단의 규격에 맞춰 단위조립체인 다수개의 원통형 라이너함(200)의 전,후면프레임(210,220)이 상하 좌우로 밀착되게 적층된 다음 상기 조립고정부를 통해서 체결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및 이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Capsule type a cinerary urn for storing cylindrical type liner and a charnelcas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및 이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면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 원통형 라이너함을 상호 조립 가능한 낱개 형태의 단위조립체로 구성하고, 단위조립체인 상기 라이너함을 상하 좌우로 간편하게 적층 조립하여 봉안단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원통형 라이너함 각각에 캡슐형 유골함을 수평하게 밀어 넣어서 밀착 수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봉안단의 단위면적당 공간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킴과 아울러 구조의 경량화 및 제품의 경제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한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및 이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최근 장묘제도를 개선하고자 하는 여론이 높아지면서 시신을 매장하지 않고, 화장한 후 사체의 유골을 유골함(혹은 유골단지)에 넣어 특정의 추모시설 혹은 봉안시설(흔히 봉안당, 안치단 등으로 부른다.)에 안치하여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봉안당은 그 내부에 유골함을 넣을 수 있는 수십 개의 라이너함이 적층되어 단(壇)을 이루고 배치되어 있는 바, 유골 및 유품을 집중적으로 장기간 보관 및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 및 설치 비용상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종래 분묘에 의한 매장시의 토지난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최근 지방자치단체 및 종교단체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권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통상 고인(故人)을 화장하고 난 후에 발생된 유골을 넣은 유골함(혹은 유골단지)과 유품을 안치하여 밀봉하는 수십 개의 라이너함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구성한 단(壇)을 봉안단(奉安壇, 일명, "안치단" 이라고도 한다)이라 칭한다.
이러한 봉안단은 최근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는 바, 그 중에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90270호(2005.7.22. 공고, 납골 안치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80569호(2007.11.30. 공고, 봉안단의 연결구조) 등에 유골함이 적층 수납되도록 각각 다단의 격자구조체로 형성된 봉안단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외에도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81112호(2003.4.26. 공고, 철제(스테인레스 스틸) 구조물 및 PC(Pre-Casting) 콘크리트를 이용한 납골함단의 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98615호(2003.9.19. 공고, 납골함단 구조) 등에는 종래에 비해서 납골함단의 제조 공정이 간단하면서 경량화되고, 운반 및 재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납골함단(즉, 봉안단) 구조가 나타나 있다.
즉,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봉안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구성 강화를 위해 콘크리트와 라이너함을 일체로 결합한 형태로 봉안단의 일실시예가 제시된 바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봉안단은, 다수개의 라이너함(10)을 일정 간격으로 종횡 배치한 다음, 콘크리트(20)를 타설하여 라이너함(10)과 콘크리트(20)를 일체로 결합하도록 된 구조를 갖는다.
즉, 유골을 안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자형의 라이너함(10)이 적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일정 규격의 봉안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라이너함(10)의 정면 외부는 콘크리트(20)가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라이너함(10)들을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며 상기 콘크리트(20)에 삽입 고정된 철제구조물(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라이너함(10)은 그 내부에 사용자가 유골이나 유품을 담은 유골함을 넣을 수 있도록 전면이 개구되어 있고, 이 전면 개구부는 도시되지 않은 라이너함덮개로 덮은 다음, 마감재뚜껑으로 최종 밀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라이너함(10)은 최근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소재, 열가소성 수지인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등을 사용하여 성형 제작함으로써,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을 강화시킨 제품이 개시되고 있다.
또, 통상적으로 상기 마감재뚜껑은 천연석, 인조 대리석, 브론즈, 목재 등과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사용함으로써, 봉안단 외관의 미려함을 추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뚜껑은 별도의 로젯이나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시건장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종래 개시된 봉안단의 구조는 수납 공간인 라이너함(10)이 대체로 정사각체이거나 직사각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라이너함(10) 내부에 어떠한 형상의 유골함을 안치하더라도 수납되는 유골함에 대해서 불필요한 내부 공간이 발생되면서 소요공간의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 지방자치단체나 종교단체를 중심으로 봉안단을 조성하여 장례문화에 있어서의 매장에 따른 토지난 등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는 상태이고,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나 종교단체에서 요구하는 대규모 혹은 소규모의 봉안단을 조성하는 데 있어서, 봉안단이 설치되는 공간(면적)에 대한 단위면적당 공간활용도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점차적으로 봉안단 조성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면서 기존의 정사각체이거나 직사각체로 이루어진 라이너함(10)을 적층하여 구성된 봉안단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골함을 수납 보관하는 데 있어 불필요한 공간이 많아 공간활용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봉안단을 조성하는 데 있어서 좁은 면적에서도 최대한으로 많은 라이너함을 수용할 수 있도록 봉안단의 공간활용도를 최적화할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지방자치단체나 종교단체 등에서 봉안단 조성에 소요되는 경제적인 비용을 절감하고자는 취지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의 일환으로도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 상기 라이너함(10)에 안치되는 유골함은 유족들의 취향 및 선호도를 고려하여 각양각색의 제품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는 바, 저가의 유골함에서부터 고가의 유골함까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유족의 입장에서는 고인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 경제적 부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유골함을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화장을 통해 고인의 유골을 모시는 장례 문화에 있어서, 허례허식(虛禮虛飾)적인 측면이 많이 존재하고 있고, 이러한 허례허식(虛禮虛飾)적인 장례 문화는 유족에게 경제적인 부담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이었다.
따라서, 상기 유골함을 규격화하여 불필요한 허례허식을 주여 실용적이면서 간소화된 장례 문화를 유도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봉안단은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FRP소재의 라이너함을 적층 고정하기 위해 주조틀에 다수의 라이너함을 인접 배치하고 철제구조물로 지지 공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부어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방식은 봉안단을 성형한 후에는 그 규격을 바꿀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바, 봉안단 제작시 일정 규격에 맞추어 라이너함의 개수를 결정해서 제작하고 나면, 라이너함의 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없었으며, 봉안단이 설치되는 공간에 따라 자유자재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의 방식은 현장에서 직접 조립 시공할 수 없고, 별도의 장소에서 사전 설계에 따라 봉안단을 조립해서 현장으로 이동시킨 후 현장에 맞게 적절하게 배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직접 조립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현장 여건에 따라 그때그때 시공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경할 수 없어 현장 시공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제작 방식은 봉안단의 규격을 여러 가지 종류로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외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주조틀이나 철제구조물과 같은 지지구조물을 각 요구되는 종류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그에 따른 소요 비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이 종래 적층되는 다수의 라이너함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콘크리트나 철제구조물과 같이 별도의 지지구조물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봉안단의 경량화를 추구하는 데 있어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정사각체이거나 직사각체로 이루어진 라이너함 및 이를 적층 조립한 봉안단 구조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 및 제조 조립과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전후면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 원통형 라이너함을 상호 조립 가능한 낱개 형태의 단위조립체로 구성하여 필요로 하는 봉안단 규격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 가능한 봉안단 조립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봉안단의 단위면적당 공간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킴과 아울러 봉안단 자체의 경량화 및 봉안단 조성에 필요한 제품의 제조, 조립, 시공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개선하여 제품의 경제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및 이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원통형 라이너함 각각에 캡슐형 유골함을 수평하게 밀어 넣어서 밀착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원통형 라이너함에 수납되는 유골함의 규격을 캡슐형으로 모두 동일하게 규격화함에 따라 종래 천차만별한 구입 가격을 갖던 유골함을 동일 규격으로 단일화시켜 유골함 구입에 따른 유족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면서 허례허식적인 장례 문화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제시될 수 있는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라이너함을 단위조립체로 하여 현장에서 봉안단의 설치면적이나 봉안단 주변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그때그때 자유자재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자가 현장에서 직접 원하는 형태로 변경할 수 있어 현장 시공성이 매우 우수한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막힌 원통형의 라이너몸체와, 상기 라이너몸체의 전, 후면에 일체로 형성된 판상의 전, 후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라이너몸체의 내주면에 원통구조의 캡슐형 유골함이 밀착되게 수평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게 상기 라이너몸체의 전면 개구부를 막아주는 속뚜껑 및 상기 속뚜껑과 함께 전면프레임 전체를 막아주는 마감덮개가 전면프레임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에 있어서, 상기 마감덮개는 전면프레임의 규격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사각의 마감틀과, 이 마감틀에 끼움 삽입되어 조립 고정되는 마감재로 구성된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을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삭제
이때, 상기 마감덮개는 전면프레임의 규격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사각의 마감틀과, 이 마감틀에 끼움 삽입되어 조립 고정되는 마감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감재의 양 하단 부위가 상기 마감틀 내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를 통해 체결 조립되고, 상기 마감틀의 내주면에는 상기 속뚜껑을 개폐할 수 있는 개구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감틀의 배면 상에는 캐치볼 타입으로 체결되기 위한 일측 구성인 끼움돌기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프레임 상에는 끼움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끼움돌기와 끼움홈의 상호 결합을 통해서 상기 마감틀이 전면프레임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 상기 라이너몸체 내부에는 상기 캡슐형 유골함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인출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인출수단은 상기 캡슐형 유골함이 라이너몸체 내부에 수평으로 밀어넣어져 보관됨에 따라 캡슐형 유골함의 배면에 접촉하는 인출판과, 이 인출판에 끼워져 라이너몸체 배면 내벽에 지지 고정된 상태로 신축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하나의 단위조립체로 구성된 원통형 라이너함의 전,후면프레임 상에 조립고정부가 마련됨으로써, 봉안단 조성 현장에서 요구되는 봉안단의 규격에 맞춰 단위조립체인 다수개의 원통형 라이너함의 전,후면프레임이 상하 좌우로 밀착되게 적층된 다음, 상기 조립고정부에 별도의 체결수단이 체결됨에 따라 고정 조립된 봉안단을 제공함에 그 특징으로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고정부가 상기 전,후면프레임의 네모서리에 각각 요홈 형태로 형성된 조립요홈과, 이 조립요홈 내측에 각각 구비된 조립체결공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원통형 라이너함을 서로 인접하게 상하 좌우로 서로 맞대어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조립요홈이 서로 맞대어진 위치에서 통합된 하나의 요홈으로 형성되며, 이렇게 통합된 하나의 요홈에 별도의 체결수단인 조립나사공이 구비된 조립부재를 끼워 넣은 후 서로 일치되는 조립체결공과 조립나사공에 체결볼트로 체결 조립하는 구조를 갖는 봉안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고정부가 상기 전,후면프레임의 상부와 일측면에 형성된 조립돌기와, 상기 전,후면프레임의 하부와 타측면에 형성된 조립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돌기 및 조립홈에 각각 조립체결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립돌기가 서로 인접 조립되는 라이너함의 조립홈에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조립체결공에 별도의 체결수단인 체결나사를 끼워서 체결 조립하는 구조를 갖는 봉안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후면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 원통형 라이너함을 상호 조립 가능한 낱개 형태의 단위조립체로 구성하여 필요로 하는 봉안단 규격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 가능한 봉안단 조립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봉안단의 단위면적당 공간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킴과 아울러 봉안단 자체의 경량화 및 봉안단 조성에 필요한 제품의 제조, 조립, 시공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개선하여 제품의 경제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통형 라이너함 각각에 캡슐형 유골함을 수평하게 밀어 넣어서 밀착 수납할 수 있도록 원통형 라이너함에 보관되는 유골함의 규격을 캡슐형으로 모두 동일하게 규격화함으로써, 종래 천차만별한 구입 가격을 갖던 유골함을 동일 규격으로 단일화시켜 유골함 구입에 따른 유족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면서 허례허식(虛禮虛飾)적인 장례 문화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원통형 라이너함을 단위조립체로 구성하고, 이렇게 단위조립체로 구성된 라이너함을 상하 좌우로 적층하여 봉안단을 구성하도록 설계함으로써, 현장에서 봉안단의 설치면적이나 봉안단 주변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그때그때 자유자재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고, 시공자가 현장에서 직접 원하는 형태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상의 봉안단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라이너함 및 이에 수납 보관되는 캡슐형 유골함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원통형 라이너함의 A-A선을 기준으로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원통형 라이너함 내부에 인출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원통형 라이너함이 하나의 단위조립체로 구성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 조립됨에 따라 요구되는 규격의 봉안단을 구성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라이너함 및 이에 수납 보관되는 캡슐형 유골함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에 도시된 원통형 라이너함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에 도시된 원통형 라이너함 내부에 인출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6에 도시된 원통형 라이너함이 하나의 단위조립체로 구성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 조립됨에 따라 요구되는 규격의 봉안단을 구성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라이너함 및 이에 수납 보관되는 캡슐형 유골함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0에 도시된 원통형 라이너함이 하나의 단위조립체로 구성되어 상하 좌우로 적층 조립됨에 따라 요구되는 규격의 봉안단을 구성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라이너함(200)은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막힌 원통형의 라이너몸체(240)와, 상기 라이너몸체(240)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된 판상의 전면프레임(210)과, 상기 라이너몸체(240)의 후면에서 상기 전면프레임(210)과 같은 크기의 외곽선을 갖는 판상의 후면프레임(220)과, 상기 라이너몸체(240)의 전면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게 전면프레임(210) 상에 체결 조립되는 속뚜껑(234)과, 상기 전면프레임(210) 전체를 덮을 수 있게 체결 조립되는 마감덮개(260)로 구성됨으로써,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캡슐형 유골함(100)을 원통형 라이너몸체(240) 내부에 수평으로 밀착되게 밀어 넣어 보관할 수 있는 봉안단의 기초 단위인 하나의 단위조립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됨에 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라이너함(200)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소재, 열가소성 수지인 에이비에스(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수지, BMC(Bulk Molding Compound)복합재료(일명, 괴상 성형재료) 등으로 성형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너몸체(240)와 전,후면프레임(210,220)은 각각 별도의 성형틀을 통해 제조된 후에 상호 결합되는 방식으로 성형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전면프레임(210)과 라이너몸체(240)가 하나의 성형틀에서 일체로 성형 제조된 후에 상기 후면프레임(220)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라이너몸체(240)의 후면에 별도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전,후면프레임(210,220)과 라이너몸체(240)는 같은 재질로 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성형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하나의 단위조립체로 구성된 원통형 라이너함(200)을 이용하여 시공자가 요구하는 규격의 봉안단을 자유자재로 현장에서 직접 조립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조립체로 이루어진 원통형 라이너함(200)끼리 서로 맞대어 상하 좌우로 적층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 바, 상기 전,후면프레임(210,220) 상에는 인접한 라이너함(200) 끼리 맞대어 상호 체결 조립함으로써, 상하 좌우로 견고하게 적층될 수 있는 조립고정부를 두고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 구현된 원통형 라이너함 및 이를 적층 조립한 봉안단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통형 라이너함(200)을 구성하는 전,후면프레임(210,220)은 원통형 라이너몸체(240)의 전,후면에 각각 사각의 판상구조를 갖고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전,후면프레임(210,220)은 사각의 판상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삼각, 오각, 육각과 같이 다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단위조립체로 형성된 원통형 라이너함(200)을 다수개 적층하여 봉안단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상기 전,후면프레임(210,220)의 형상이 정사각형 구조를 가질 때, 상하 좌우로 상호 맞대어 조립하는 데 있어 구조적으로 가장 용이한 관계로, 상기 전,후면프레임(210,220)이 사각의 판상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각의 판상구조를 갖는 전,후면프레임(210,220)의 네모서리에는 각각 조립고정부가 형성되게 되는 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고정부가 전,후면프레임(210,220)의 네모서리에 각각 사각으로 패인 조립요홈(211,221)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조립요홈(211,221)은 사각으로 패인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각의 부채꼴이나 삼각으로 패인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설계상의 선택 사항에 불과하다.
이때, 상기 조립요홈(211,221) 상에는 체결볼트(400)와 같은 체결부재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조립체결공(212,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립요홈(211,221) 및 조립체결공(212,222)이 사각의 전,후면프레임(210,220) 각각의 모서리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봉안단을 구성하기 위해 사각의 전,후면프레임(210,220)들이 상하 좌우로 상호간에 맞대어져 조립되게 될 때, 각각의 맞대어진 위치에 하나의 조립고정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안단을 구성하기 위해 단위조립체인 원통형 라이너함(200)을 서로 인접하게 상하 좌우로 서로 맞대어 밀착시킴에 따라 전,후면프레임(210,220)상의 각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상기 조립요홈(211,221) 끼리 서로 맞대어진 위치에 통합된 하나의 사각 요홈구조를 갖는 조립고정부가 형성되고, 이 조립고정부에 별도의 조립부재(300)를 끼워 넣은 후 체결볼트(400)로 체결 조립함에 따라 단위조립체인 라이너함(200)들의 적층 조립 작업이 간단하게 완료되게 된다.
이때, 도 5에는 상기 조립부재(300)가 사각 구조로 도시되어 네 개의 조립요홈(211,221)이 서로 밀착되어 형성된 하나의 커다란 요홈구조를 갖는 조립고정부에 삽입 조립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층 조립되는 전,후면프레임(210,220)들이 서로 맞대어 짐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조립요홈(211,221)에 의한 조립고정부의 형상 및 크기에 맞춰 상기 조립부재(300)의 형상 및 크기도 결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조립고정부는 도 2 내지 도 5의 제1실시예에 나타난 조립부재(300)를 이용하여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0 도 11에 도시된 조립구조를 통해서도 단위조립체인 원통형 라이너함(200)을 상하 좌우로 적층하여 봉안단을 조립할 수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조립체인 원통형 라이너함(200)을 다수개 상하 좌우로 적층 조립하기 위해서 상기 전,후면프레임(210,220)의 상부와 일측면에는 조립돌기(215,225)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프레임(210,220)의 하부와 타측면에는 조립홈(216,22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립돌기(215,225)는 위치상 서로 인접 조립되는 라이너함(200)의 조립홈(216,226)에 서로 맞물리게 되며, 이렇게 맞물린 상태에서 조립돌기(215,225) 및 조립홈(216,226)에 각각 형성된 조립체결공(217,227)에 체결나사(401)를 끼워 체결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전,후면프레임(210,220) 상에 구비된 조립돌기(215,225)와 조립홈(216,226)을 통해 두 개의 분리된 조립체를 상하 좌우로 상호 맞물려 조립하여 적층하는 조립구조는 매우 일반적이고, 보편화된 기술이라 할 수 있음으로, 여기서는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한 라이너함의 전,후면프레임(210)에 형성된 각 조립홈(216,226)에, 다른 라이너함의 전,후프레임(120)에 형성된 각 조립돌기(122,132)를 끼워 결합하며, 상기 각 돌기(122,132)와 홈부(126,136)에는 각각 체결공(124,134)이 형성되어 나사를 이용해 조여주면 더욱 견고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20)의 네 모서리에는 체결공(124)이 각각 형성되어 납골함 전방에 덮개를 고정할 때 사용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납골함이 서로 결합하여 납골함단을 이루고 있는데, 각 납골함 프레임(120)의 상부와 좌측에 형성된 돌기(122)를, 다른 납골함 프레임(120)의 하부와 우측에 형성된 홈부(126)에 끼워 맞추고, 상기 각 돌기(122)와 홈부(126)에 형성된 체결공(124)에 나사를 넣고 조여주면 조립이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체결공(124)에는 철물(140)이 고정되는데, 납골함의 네 모서리가 결합된 부분에 하나의 철물(140)이 결합되어 덮개의 한 모서리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위조립체로 구성되는 원통형 라이너함(200)은 캡슐형 유골함(100)과 상호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며 서로 짝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캡슐형 유골함(100)은 기존의 유골함들이 주로 단지형 구조를 제작되어 사각의 라이너함에 수납 보관되던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라이너함(200)은 캡슐형 유골함(100)을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적 특징을 전제로 설계된 것이다.
상기 캡슐형 유골함(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 캡슐형몸통(110)과, 상기 캡슐형몸통(110)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캡슐형뚜껑(120)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캡슐형 유골함(100)의 직경은 물론 그 길이는 상기 원통형 라이너함(200)의 직경 및 내부 길이에 맞춰 그 규격이 결정되는 바, 상기 원통형 라이너함(200)에 캡슐형 유골함(100)을 수평으로 밀어 넣을 때 서로 밀착 삽입되어 캡슐형 유골함(100) 전체가 라이너함(200) 내에 완전히 수납 보관될 수 있는 규격으로 설계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슐형 유골함(100)은 상기 원통형 라이너함(200)의 규격에 맞춰 일정한 규격으로 설계되도록 상호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캡슐형 유골함(100)을 라이너함(200)의 크기에 맞춰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시킴에 따라 유족의 입장에서 선택의 여지없이 모두 똑같은 캡슐형 유골함(100)을 구입해야만 하고, 이는 종래 저가에서 고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는 유골함으로 인해서 유골함 구입 시 허례허식(虛禮虛飾)적인 측면이 매우 강했던 장례문화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캡슐형 유골함(100)과, 원통형 라이너함(200)은 구조적인 측면에서 바라볼 때, 봉안단을 조성하는 데 있어 설치면적에 대한 단위면적당 공간활용도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원통형 라이너함(200)의 직경이 대략 160㎜이고, 내부 길이가 300㎜ 수준일 때, 종래 사각의 라이너함이 265㎜× 265㎜× 260㎜(가로×세로×깊이) 규격을 갖는 것과 상호 비교될 수 있는 바, 이때, 본 발명의 원통형 라이너함(200)의 전,후면프레임(210,220)은 가로×세로 규격이 200㎜×200㎜ 정도이고, 이에 대응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사각의 라이너함을 지지하는 전면프레임은 가로×세로 규격이 300㎜×300㎜ 정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위조립체로 형성된 원통형 라이너함(200)은 400㎠ 정도의 단위면적만을 필요로 하는 데 비해, 종래 사각의 라이너함은 900㎠ 정도의 단위면적을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라이너함(200)의 구조가 종래 사각의 라이너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2배 이상의 공간활용도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단위면적당 공간활용도는 시공자의 설계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보편적인 기준에 따라 구조적인 측면에서 살펴볼 때, 원통형 라이너함이 사각의 라이너함에 비해서 공간활용도가 뛰어날 수밖에 없다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원통형 라이너함(200)의 규격 자체가 단위면적당 공간활용도가 뛰어나게 되면서 이는 결과적으로 봉안단 전체의 단위면적당 하중을 경량화시키는 효과로 나타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조립체로 형성되는 원통형 라이너함(200)에 캡슐형 유골함(100)을 수평을 밀어 넣은 후에는 캡슐형 유골함(100)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서 원통형 라이너함(200)의 전면을 밀폐하게 되는 바, 종래 사각의 라이너함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도 원통형 라이너함(200)의 개구면 전체를 1차적으로 막아주는 속뚜껑(234)과, 상기 속뚜껑(234) 전면과 전면프레임(210) 전체를 막아주어 외장재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마감덮개(230,260,280)를 갖추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속뚜껑(234)은 전면프레임(210)에 형성된 속뚜껑체결공(219)에 끼움맞춤된 후 속뚜껑나사공(235)을 통해서 체결나사(236)로 체결 조립됨으로써, 캡슐형 유골함(100)이 수납 보관된 원통형 라이너함(200)의 전면을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덮개(230,260,280)는 상기 속뚜껑(234) 및 전면프레임(210) 전체를 덮어주면서 외장재로써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써, 다양한 실시예가 나타날 수 있다.
즉,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나타난 상기 마감덮개(230)는 상기 전면프레임(210)에 캐치볼 타입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마감덮개(230)는 전면프레임(210)의 규격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사각의 마감틀(231,261)과, 이 마감틀(231,261)에 끼움 삽입되어 조립 고정되는 마감재(233,26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마감틀(231)의 배면 상에는 캐치볼 타입으로 체결되기 위한 일측 구성인 끼움돌기(232)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프레임(210) 상에는 끼움홈(2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마감틀(231)을 전면프레임(210) 상에 장착하고자 할 때, 상기 끼움돌기(232)와 끼움홈(213)의 상호 끼움 결합을 통해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도시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틀(261)을 전면프레임(2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방식으로는, 조립 체결방식에서 가장 일반화되었다고 할 수 있는 방식으로써, 상기 전면프레임(210) 상에 마감덮개체결공(214)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마감틀(261) 상에 마감덮개나사공(262)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립 체결방식에서는 상기 마감덮개체결공(214)과 마감덮개나사공(26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나사(270)로 체결 조립함으로써, 매우 간단하게 조립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틀(231,261) 내에 삽입 고정되는 마감재(233,263)는, 종래봉안단에서 사용되는 외장재와 마찬가지로, 봉안단 외장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채택 사용할 수 있는 바, 상기 마감재(233,263)는 천연석, 인조 대리석, 브론즈, 목재, 유리와 같은 다양한 외장재가 채택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재(263)를 설치하는 데 있어서, 홈바 형태로 마감재(263)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상기 마감재(263)의 양 하단 부위가 상기 마감틀(261) 내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힌지부(264)를 통해 체결 조립되는 구성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마감재(263)가 홈바 형태로 개폐됨에 따라 상기 마감틀(261)의 내주면에는 상기 속뚜껑(234)을 개폐할 수 있는 개구면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마감덮개가 마감틀과 마감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틀 없이 마감재만으로 단순히 외장재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도 10 및 도 11에서는 마감틀 없이 형성되는 마감덮개(280)가 전면프레임(210)에 형성된 마감덮개나사공(218)과 마감덮개(280)에 형성된 마감덮개나사공(28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나사(290)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 조립되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상기 끼움돌기(232) 및 끼움홈(213) 구조로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원통형 라이너함에 캡슐형 유골함을 상호 밀착되는 구조로 수평하게 밀어 넣어 보관하게 되는 보관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관계로, 상기 캡슐형 유골함(100)을 원통형 라이너함(200)에 밀어 넣어 한번 보관한 상태에서 캡슐형 유골함(100)을 꺼내고자 할 때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상기 캡슐형 유골함(100)의 캡슐형뚜껑(120)에 도시되지 않은 손잡이(특히, 내측으로 패인 요홈 형태의 손잡이)를 형성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으나, 캡슐형 유골함(100)의 디자인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손잡이 방식을 채택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캡슐형 유골함(100)을 라이너몸체 (240)내부에서 쉽게 인출할 수 있는 인출수단(250)을 갖추고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출수단(250)은 상기 라이너몸체(240) 내부에 신축되는 탄성부재(252)를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라이너몸체(240) 내부에 인출판(251)을 매개로 신축되는 탄성부재(25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캡슐형 유골함(100)이 라이너몸체(240) 내부에 수평으로 밀어넣어져 보관될 때, 상기 탄성부재가 탄성력을 갖고 압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캡슐형유골함(100)이 보관된 라이너몸체(240)의 개구면을 상기 속뚜껑(234)을 체결 조립하면 탄성부재가 압착된 상태로 캡슐형 유골함(100)이 보관되게 된다.
이후 캡슐형 유골함(100)을 꺼내기 위해 상기 속뚜껑(234)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상기 압착되어 있던 탄성부재(252)가 탄성 복원되면서 자연스럽게 캡슐형 유골함(100)을 밖으로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인출수단(250)은 상기에서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인출판(251) 및 탄성부재(252)를 이용하는 방식 외에도,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동모터 혹은 외부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전동에 의한 슬라이드 방식이나 공압이나 유압을 이용한 피스톤 방식 등과 같이 이미 주지관용되고 있는 다양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라이너함(200)을 서로 간단하게 상하 좌우로 밀착시켜 조립하면 봉안단이 구성되므로, 현장에서 자유자재로 조립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작 시간 및 비용이 적게 들며, 운반과 배치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원통형 라이너함(200) 자체가 단위면적당 차지하는 면적이 종래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공간활용도가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봉안단의 단위면적당 하중을 줄여 경량화를 구현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
특히, 봉안단을 이루는 라이너함(200)의 수를 시공 현장에 맞춰 임의로 설정해 조립할 수 있으므로, 봉안단의 규모를 얼마든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유골함 110 : 캡슐형몸통
120 : 캡슐형뚜껑 200 : 라이너함
210 : 전면프레임 211,221 : 조립요홈
212,217,222,227 : 조립체결공 213 : 끼움홈
214,218 : 마감덮개체결공 215,225 : 조립돌기
216,226 : 조립홈 219 : 속뚜껑체결공
220 : 후면프레임 230,260,280 : 마감덮개
231,261 : 마감틀 232 : 끼움돌기
233,263 : 마감재 234 : 속뚜껑
235 : 속뚜껑나사공 236,270,290,401 : 체결나사
240 : 라이너몸체 250 : 인출수단
251 : 인출판 252 : 탄성부재
262,281 : 마감덮개나사공 264 : 힌지부
300 : 조립부재 301 : 조립나사공
400 : 체결볼트

Claims (12)

  1.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막힌 원통형의 라이너몸체(240)와, 상기 라이너몸체(240)의 전, 후면에 일체로 형성된 판상의 전, 후면프레임(210,2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라이너몸체(240)의 내주면에 원통구조의 캡슐형 유골함(100)이 밀착되게 수평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게 상기 라이너몸체(240)의 전면 개구부를 막아주는 속뚜껑(234) 및 상기 속뚜껑(234)과 함께 전면프레임(210) 전체를 막아주는 마감덮개(230,260,280)가 전면프레임(210)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에 있어서,
    상기 마감덮개(230,260)는 전면프레임(210)의 규격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사각의 마감틀(231,261)과, 이 마감틀(231,261)에 끼움 삽입되어 조립 고정되는 마감재(233,26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263)의 양 하단 부위에는 상기 마감틀(261) 내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체결 조립되는 힌지부(264)가 구비되고, 상기 마감틀(261)의 내주면에는 상기 속뚜껑(234)을 개폐할 수 있는 개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틀(231)의 배면 상에는 캐치볼 타입으로 체결되기 위한 일측 구성인 끼움돌기(232)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프레임(210) 상에는 끼움홈(2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틀(231)의 배면 상에는 캐치볼 타입으로 체결되기 위한 일측 구성인 끼움돌기(232)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프레임(210) 상에는 끼움홈(2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몸체(240) 내부에는 상기 캡슐형 유골함(100)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인출수단(2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250)은 상기 캡슐형 유골함(100)이 라이너몸체(240) 내부에 수평으로 밀어넣어져 보관됨에 따라 캡슐형 유골함(100)의 배면에 접촉하는 인출판(251)과, 이 인출판(251)에 끼워져 라이너몸체(240) 배면 내벽에 지지 고정된 상태로 신축되는 탄성부재(2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7.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통형 라이너함(200)이 단위조립체가 되고,
    상기 단위조립체인 원통형 라이너함(200)의 전,후면프레임(210,220) 상에 조립고정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립고정부에 별도의 체결수단이 체결 조립됨에 따라 다수개의 원통형 라이너함(200)이 상하 좌우로 밀착되게 적층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고정부는 상기 원통형 라이너함(200)의 전,후면프레임(210,220) 상에 마련된 네모서리에 각각 요홈 형태로 형성된 조립요홈(211,221)과, 이 조립요홈(211,221) 내측에 각각 구비된 조립체결공(212,2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라이너함(200)을 서로 인접하게 상하 좌우로 서로 맞대어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조립요홈(211,221)이 서로 맞대어진 위치에서 통합 형성된 하나의 요홈과, 상기 통합 형성된 하나의 요홈에 별도의 체결수단인 체결볼트(400)로 체결 조립되는 조립부재(300)가 끼워져 체결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고정부는 상기 전,후면프레임(210,220)의 상부와 일측면에 형성된 조립돌기(215,225)와, 상기 전,후면프레임(210,220)의 하부와 타측면에 형성된 조립홈(216,22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돌기(215,225) 및 조립홈(216,226)에 각각 조립체결공(217,227)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라이너함(200)이 서로 인접하게 상하 좌우로 서로 맞대어 밀착 조립됨에 따라 상기 조립돌기(215,225)와 조립홈(216,226)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조립체결공(217,227)에 별도의 체결수단인 체결나사(401)가 끼워져 체결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
  10. 상기 제5항에 기재된 원통형 라이너함(200)이 단위조립체가 되고,
    상기 단위조립체인 원통형 라이너함(200)의 전,후면프레임(210,220) 상에 조립고정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립고정부에 별도의 체결수단이 체결 조립됨에 따라 다수개의 원통형 라이너함(200)이 상하 좌우로 밀착되게 적층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고정부는 상기 원통형 라이너함(200)의 전,후면프레임(210,220) 상에 마련된 네모서리에 각각 요홈 형태로 형성된 조립요홈(211,221)과, 이 조립요홈(211,221) 내측에 각각 구비된 조립체결공(212,2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라이너함(200)을 서로 인접하게 상하 좌우로 서로 맞대어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조립요홈(211,221)이 서로 맞대어진 위치에서 통합 형성된 하나의 요홈과, 상기 통합 형성된 하나의 요홈에 별도의 체결수단인 체결볼트(400)로 체결 조립되는 조립부재(300)가 끼워져 체결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고정부는 상기 전,후면프레임(210,220)의 상부와 일측면에 형성된 조립돌기(215,225)와, 상기 전,후면프레임(210,220)의 하부와 타측면에 형성된 조립홈(216,22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돌기(215,225) 및 조립홈(216,226)에 각각 조립체결공(217,227)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라이너함(200)이 서로 인접하게 상하 좌우로 서로 맞대어 밀착 조립됨에 따라 상기 조립돌기(215,225)와 조립홈(216,226)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조립체결공(217,227)에 별도의 체결수단인 체결나사(401)가 끼워져 체결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
KR1020100053534A 2010-06-07 2010-06-07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및 이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 KR101009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534A KR101009346B1 (ko) 2010-06-07 2010-06-07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및 이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534A KR101009346B1 (ko) 2010-06-07 2010-06-07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및 이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9346B1 true KR101009346B1 (ko) 2011-01-19

Family

ID=4361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534A KR101009346B1 (ko) 2010-06-07 2010-06-07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및 이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28B1 (ko) 2016-05-25 2016-10-20 이재근 봉안단의 라이너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7600B1 (en) * 1999-01-29 2001-01-02 Everest Columbarium Columbarium system
US20090199376A1 (en) * 2006-10-10 2009-08-13 Hume James M Modular Columbarium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7600B1 (en) * 1999-01-29 2001-01-02 Everest Columbarium Columbarium system
US20090199376A1 (en) * 2006-10-10 2009-08-13 Hume James M Modular Columbarium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28B1 (ko) 2016-05-25 2016-10-20 이재근 봉안단의 라이너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992B2 (en) Wood and resin deck box
KR100724110B1 (ko) 납골함의 밀폐구조
KR101018430B1 (ko) 개방형 이중 수납구조를 갖춘 납골안치단
KR101711620B1 (ko) 확장바를 이용한 다기능 가변형 조립식 봉안단
KR101677155B1 (ko) 체결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봉안단
KR101009346B1 (ko) 캡슐형 유골함 보관용 원통형 라이너함 및 이 원통형 라이너함이 단위조립체로 적층 조립된 봉안단
US4139929A (en) Structure for an integrated display and burial containment system
US20110283497A1 (en) Broken Heart Shaped Urn
KR20180135602A (ko) 조립식 캡슐
KR101670234B1 (ko) 단열부재를 이용한 습기 및 결로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봉안단
KR20100119411A (ko) 밀폐형 납골 보관함이 일체로 된 납골단
JP2017136330A (ja) 供養箱
KR101768176B1 (ko) 봉안단 형성이 용이한 납골함
KR200399295Y1 (ko)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KR200442104Y1 (ko) 납골안치단
KR102176137B1 (ko) 봉안함 안치단 라이너
KR101771613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납골함
KR20080093523A (ko) 서랍식 납골함
KR100429163B1 (ko)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KR102242046B1 (ko) 이중 여닫이형 도어를 갖는 납골 안치단
KR100260710B1 (ko) 개별 콘크리트 주조 납골함
KR200223741Y1 (ko) Pvc 납골함단 및 그 제작방법
KR200308412Y1 (ko) 납골함단의 전면 마감구조
KR101183229B1 (ko) 봉안함안치단 세트
KR102592084B1 (ko) 시신안치용 친환경 조립식 종이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