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926B1 -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 - Google Patents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926B1
KR101008926B1 KR1020100044245A KR20100044245A KR101008926B1 KR 101008926 B1 KR101008926 B1 KR 101008926B1 KR 1020100044245 A KR1020100044245 A KR 1020100044245A KR 20100044245 A KR20100044245 A KR 20100044245A KR 101008926 B1 KR101008926 B1 KR 101008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underground
support plate
distribution line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홍진
Original Assignee
(주)선운 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운 이앤지 filed Critical (주)선운 이앤지
Priority to KR1020100044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4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surface ducts; Ducts or cover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탑(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철탑(1)으로부터 인출된 송전선(L1)이 일측에 연결되며, 송전선(L1)을 따라 흐르는 고압전기를 상용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부(10)와: 지중관(2)과 상호 연통되는 지지플레이트(21)를 갖추고서, 변압부(10)에 인접배치되어 연결전선(L2)을 매개로 변압부(10)와 상호 연결되며, 일측에는 상용전압이 이동될 수 있도록 지중관(2)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L3)이 연결된 배전반(20)과: 일측으로 개구되되, 개구된 내측에는 공간부(31a)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등 간격을 이루며 공간부(31a)와 연통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장착공(31b)이 구비되며, 지지플레이트(21)를 관통하여 지중관(2)의 타단부에 삽탑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넛형상의 장착대바디(31)와; 공간부(31a)에 형성되되, 장착공(31b)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는 탄성재질의 가압링억류부재(32)와; 가압링억류부재(32)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가압링(33)과; 장착대바디(31)의 개구부를 밀폐하고, 전체적으로 원형관 형상을 이루는 가요성 및 탄성 재질의 팽창부재(34)와; 일측이 장착공(31b)에 설치되고, 타측이 컴프레셔(80)에 설치되는 연결부재(35)로 구성된 전선장착대(30)와: 지지플레이트(21)와 전선장착대(30) 사이에 설치되어 전선장착대(30)를 탄발지지하는 완충스프링(40)과: 상부와 하부에는 돌부(51a)가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3)의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1전선고정부(51)와, 외면에는 환형홈(52a)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돌부(51a)에 대응되는 삽입홈(52b)이 마련되어, 제1전선고정부(51)의 둘레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전선고정부(52)를 갖추고서, 전선장착대(30)의 가압링(33) 및 팽창부재(34)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전선연결부(50)와: 전선장착대(30)의 상면에 설치되며, 지중배전선(L3)에 의해 동작되어 제어부(7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60)와: 스위치부(60)에 인접배치되고, 스위치부(6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컴프레셔(80)로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0)와: 제어부(70)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전선장착대(30)의 연결부재(35)에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셔(80)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지진발생시 제1전선고정부의 돌부에 제2전선고정부의 삽입홈을 승강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서, 전선에 순간적인 수직하중이 작용시 돌부 및 삽입홈을 통해 제1전선고정부를 매개로 고정된 전선이 이탈되어 하방으로 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돌부와 삽입홈 간의 부분마찰을 유도하여 순간적인 힘이 전선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선이 진동에 의해 단선 또는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Insulation Holder For Transmission Tower Of High Voltage Wire}
본 발명은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용 철탑은 송전선을 지지하기 위해 철골이나 철조로 만들어진 탑을 말하는데, 이러한 송전용 철탑은 금속 소재의 철탑 본체가 대지와 접촉하며, 송전선과 대지를 절연시키기 위해 암을 이용하여 송전선을 철탑 본체와 이격 거리를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송전용 철탑은 경간이 긴 계곡이나 강을 건너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며 특히, 송전선의 장력을 지지하기 위해 대형화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도심지 등과 같이 구역이 협소한 곳에는 설치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상기 송전용 철탑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지역이라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일단 그 지역주변에 마련된 변압시설물로 고압전기를 공급하여 변압시설물을 매개로 고압전기를 상용전기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용전기를 인근지역에 공공급할 수 있도록 지중 또는 전주를 매개로 설치된 지중전선 또는 가공전선을 통해 인근지역에 공급해야 했기 때문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철탑으로부터 인출되는 송전선을 이용하여 고압전기를 상용전기로 편리하게 변환되도록 하면서 인근지역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였다.
한편, 상용전기는 배전반에 설치되는 전선을 매개로 이동되는데, 근래에 들어서는 전주를 매개로 설치되는 가공전선 대신 지중에 매립하는 지중전선의 사용 빈도수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지중에 전선을 설치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아 외부간섭에 따른 문제 및 주변경관 해치는 등의 문제는 해소되었지만, 이를 지상에 설치된 배전함에 연결한 경우 지진이 발생되면 지면이 좌우 뿐만 아니라 상하로 진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하로 진동되는 지진에 의해 배전함에 연결된 전선의 배선부위에 고정상태가 해제되거나 또는 반복적인 진동에 따른 전선의 자중에 의해 전선이 단선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상에 설치된 배전함에 전선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중에 매설된 전선을 인출하여 배선연결하기가 상당히 힘들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지중전선을 마땅히 고정할 만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배전함에 직접 연결할 경우 자중을 이기지 못한 지중전선이 지중관의 내부로 낙하되어 연결상태(고정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 전기를 공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바,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철탑에 변압부 및 배전반을 인접배치하여 송전선을 따라 흐르는 고압전기를 상용전기로 변환시켜 인근지역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지지플레이트와 전선장착대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스프링을 통해 지진으로 인한 상하진동시, 이를 분산 및 상쇄되도록 하여 지진으로 인한 2차 피해 즉, 전선의 단선 및 화재와 같은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차단하고, 전선을 쉽고 간편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지중에 수직하게 매설된 본체부를 통해 내측에 수용된 전선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는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탑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철탑으로부터 인출된 송전선이 일측에 연결되며, 송전선을 따라 흐르는 고압전기를 상용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부와:
지중관과 상호 연통되는 지지플레이트를 갖추고서, 변압부에 인접배치되어 연결전선을 매개로 변압부와 상호 연결되며, 일측에는 상용전압이 이동할 있도록 지중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이 연결된 배전반과:
일측으로 개구되되, 개구된 내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등 간격을 이루며 공간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장착공이 구비되며, 지지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지중관의 타단부에 삽탑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넛형상의 장착대바디와; 공간부에 형성되되, 장착공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는 탄성재질의 가압링억류부재와; 가압링억류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가압링과; 장착대바디의 개구부를 밀폐하고, 전체적으로 원형관 형상을 이루는 가요성 및 탄성 재질의 팽창부재와; 일측이 장착공에 설치되고, 타측이 컴프레셔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전선장착대와:
지지플레이트와 전선장착대 사이에 설치되어 전선장착대를 탄발지지하는 완충스프링과:
상부와 하부에는 돌부가 형성되며, 지중배전선의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1전선고정부와, 외면에는 환형홈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돌부에 대응되는 삽입홈이 마련되어, 제1전선고정부의 둘레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전선고정부를 갖추고서, 전선장착대의 가압링 및 팽창부재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전선연결부와:
전선장착대의 상면에 설치되며, 지중배전선에 의해 동작되어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스위치부에 인접배치되고, 스위치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컴프레셔로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전선장착대의 연결부재에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지진발생시 제1전선고정부의 돌부에 제2전선고정부의 삽입홈을 승강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서, 전선에 순간적인 수직하중이 작용시 돌부 및 삽입홈을 통해 제1전선고정부를 매개로 고정된 전선이 이탈되어 하방으로 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돌부와 삽입홈 간의 부분마찰을 유도하여 순간적인 힘이 전선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선이 진동에 의해 단선 또는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전함의 지지플레이트에 전선장착대와 전선연결부 및 스위치부, 제어부, 컴프레셔를 마련하여 줌으로서,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이 비교적 쉽고 간편하여 넓은 지역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줄 수 있어 작업이 상당히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의 설치상태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에서 각 구성요소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보인 블록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의 순차적인 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의 설치상태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에서 각 구성요소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보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은, 철탑(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철탑(1)으로부터 인출된 송전선(L1)이 일측에 연결되며, 송전선(L1)을 따라 흐르는 고압전기를 상용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부(10)와: 지중관(2)과 상호 연통되는 지지플레이트(21)를 갖추고서, 변압부(10)에 인접배치되어 연결전선(L2)을 매개로 변압부(10)와 상호 연결되며, 일측에는 상용전압이 이동될 수 있도록 지중관(2)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L3)이 연결된 배전반(20)과: 지지플레이트(21)를 관통하여 지중관(2)의 타단부에 삽탑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선장착대(30)와: 지지플레이트(21)와 전선장착대(30) 사이에 설치되어 전선장착대(30)를 탄발지지하는 완충스프링(40)과: 전선장착대(30)의 내측에 삽입되어 압박고정되는 전선연결부(50)와; 전선장착대(30)의 상면에 설치되며, 지중배전선(L3)에 의해 동작되어 제어부(7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60)와; 스위치부(60)에 인접배치되고, 스위치부(6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컴프레셔(80)로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0)와; 제어부(70)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전선장착대(30)의 연결부재(35)로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셔(80)로 구성되며, 이를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변압부(10)는 철탑(1)이 설치된 지면에 배치되며, 철탑(1)으로부터 인출된 고압의 송전선(L1)이 변압부(10)와 연결되며, 송전선(L1)을 따라 흐르는 고압전기를 인근지역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용전압으로 변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변압부(10)를 통해 변환된 상용전압은 연결전선(L2)을 매개로 이어진 배전반(20)에 공급되며, 배전반(20)으로 공급되는 상용전압은 배전반(20)에 연결되며 지중관(2)에 의해 보호되는 지중배전선(L3)을 통해 인근지역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지중관(2)은 합성수지 또는 콘크리트재질의 중공관으로서, 배전반(20)의 지지플레이트(21) 저면에 배치되되, 지지플레이트(21)와 상호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1)에는 연통된 구멍을 관통하여 지중관(2)의 내측부까지 전선장착대(30)가 굴대 삽입되며, 지지플레이트(21)와 전선장착대(30) 사이에는 완충스프링(40)이 설치된다.
상기 완충스프링(40)은 전선연결부(50)를 매개로 전선장착대(30)에 고정된 지중배전선(L3)에 수직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상하로 출렁이는 경우, 그 힘을 완충스프링(40)이 흡수하여 지중배전선(L3)이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늘어나거나 심하게는 끊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하게 지중배전선(L3)을 보호해 줄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1)를 관통하여 지중관(2)의 타단부에 삽탑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선장착대(30)는, 일측으로 개구되되, 개구된 내측에는 공간부(31a)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등 간격을 이루며 공간부(31a)와 연통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장착공(31b)이 구비되며, 지지플레이트(21)를 관통하여 지중관(2)의 타단부에 삽탑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넛형상의 장착대바디(31)와; 공간부(31a)에 형성되되, 장착공(31b)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한 쌍을 이루는 탄성재질의 가압링억류부재(32)와; 가압링억류부재(32)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가압링(33)과; 장착대바디(31)의 개구부를 밀폐하고, 전체적으로 원형관 형상을 이루는 가요성 및 탄성 재질의 팽창부재(34)와; 일측이 장착공(31b)에 설치되고, 타측이 컴프레셔(80)에 설치되는 연결부재(35)로 구성되며, 이를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1)의 상면에 배치되되, 하단부가 지중관(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대바디(31)는, 전체적인 형상이 도넛형상(또는 중절모형상)을 이루되, 상부 외주면에는 원형편(미도시)이 마련되어 완충스프링(40)을 매개로 지지플레이트(21)에 탄발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장착대바디(31)의 개구부 말단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고정부(21c)가 마련되며, 고정부(21c)에는 팽창부재(34)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삽입되어 열 융착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특히, 상기 장착대바디(31)의 개구부에 마련된 고정부(21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가압링(33)이 전선연결부(50)의 환형홈(52a)으로 정확하게 유도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공간부(31a)와 상호 연통되는 장착공(31b)의 경우에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120°각도로 형성되며, 장착공(31b)이 형성된 저면 주변부에는 장착공(31b)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는 탄성재질의 가압링억류부재(32)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팽창부재(34)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모양이 원형관형태를 이루며, 가요성 및 탄성 재질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팽창부재(34)는 연결부재(35)를 통해 유입된 컴프레셔(40)의 에어에 의해 팽창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컴프레셔(40)로부터 배출된 에어(Air)가 장착대바디(31)의 공간부(31a)로 유입되면, 팽창부재(34)는 유입된 에어에 의해 팽창하게 되고, 팽창과정에 전선연결부(50)의 환형홈(52a)에 맞닿게 되면, 환형홈(52a)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되면서 전선연결부(50)의 둘레면을 강하게 압박하면서 고정한다.
상기 전선장착대(30)의 내측에 삽입되어 압박고정되는 전선연결부(50)는, 상부와 하부에는 돌부(51a)가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3)의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1전선고정부(51)와; 외면에는 환형홈(52a)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돌부(51a)에 대응되는 삽입홈(52b)이 마련되며, 제1전선고정부(51)의 둘레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전선고정부(52)로 구성되며, 이를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제1전선고정부(51)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을 이루는 탄성재로서, 상단와 하단에는 링 형상의 돌부(51a)가 일체로 마련되며, 제2전선고정부(52)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을 이루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형홈(52a)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돌부(51a)에 대응되는 삽입홈(52b)이 마련된다.
상기 제1전선고정부(51) 및 제2전선고정부(52)의 설치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지중배전선(L3)의 둘레면에 제1전선고정부(51)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전선고정부(52)를 지중배전선(L3)의 외면에 설치하되, 제1전선고정부(51)의 돌부(51a)에 제2전선고정부(52)의 삽입홈(52b)을 승강가능하게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전선고정부(51)의 돌부(51a)에 제2전선고정부(52)의 삽입홈(52b)을 승강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서, 지중배전선(L3)에 순간적인 수직하중이 작용시 돌부(51a) 및 삽입홈(52b)을 통해 제1전선고정부(51)를 매개로 고정된 지중배전선(L3)이 이탈되어 하방으로 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돌부(51a)와 삽입홈(52b) 간에 부분마찰을 유도하여 순간적인 힘에 지중배전선(L3)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전선연결부(50)는 전선장착대(30)의 중앙에 마련된 구멍에 삽입되어 가압링(33)과 팽창부재(34)에 의해 위치가 정확하게 압박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지중배전선(L3)에 수직방향의 응력이 작용하게 되면, 1차적으로 제1전선고정부(41)가 제2전선고정부(42)를 따라 상하로 진동하면서 소정의 응력을 흡수하게 되고, 더 응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되면 2차적으로 가압링(33)이 제2전선고정부(42)의 외면을 압박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지중배전선(L3)이 이탈되어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선장착대(30)의 상면에는 공지의 리밋스위치(limit switch)인 스위치부(60)가 설치되는데, 상기 스위치부(60)는 전선장착대(30)의 상면에 설치되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하로 관통된 부분을 상방향으로 통과하는 지중배전선(L3)에 의해 동작되고, 이때 발생되는 감지신호가 제어부(70)로 출력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스위치부(6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컴프레셔(80)로 동작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컴프레셔(80)는 제어부(70)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작동되어 에어(Air)를 만들어 전선장착대(30)로 에어(Air)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며, 이를 도 4와 같이 도시하였다.
한편, 컴프레셔(80)로부터 생산된 에어(Air)를 전선장착대(30)에 무한정 공급하게 되면, 전선장착대(30)의 팽창부재(34)가 터질 수 있기 때문에, 공간부(31a)의 내측에는 압력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공급량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단 지중배전선(L3)의 외면에 전선연결부(50)를 설치해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먼저 제1전선고정부(51)를 지중배전선(L3)의 외면에 설치하고, 설치된 제1전선고정부(51)를 포함하여 지중배전선(L3)의 외면에 제2전선고정부(52)를 설치해주되, 제2전선고정부(52)가 제1전선고정부(51)의 외면을 따라 승하강 가능해 질 수 있도록 돌부(51a) 삽입홈(52b)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지중배전선(L3)에 전선연결부(50)를 설치한 상태에서 지중배전선(L3)을 배전함(1)의 지지플레이트(21)에 완충스프링(40)을 매개로 설치된 전선장착대(30)의 중앙에 마련된 구멍으로 지중배전선(L3)을 밀어 넣어 주며, 이때, 좀 더 강한 힘으로 지중배전선(L3)을 밀게 되면, 구멍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된 스위치부(60)가 지중배전선(L3)의 외면에 맞닿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스위치부(60)의 돌출부(미도시)는 상측으로 젖혀져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출력된 감지신호는 제어부(70)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 스위치부(6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70)는 동작신호를 컴프레셔(8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5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은 컴프레셔(80)는 마침내 작동되어 에어(Air)를 생산하게 되며, 생산된 에어(Air)는 연결부재(35)를 통해 전선장착대(30)로 전달된다.
상기 연결부재(35)를 통해 유입된 에어(Air)는 가압링억류부재(32)에 고정된 가압링(33)을 향해 분사되는데, 이때 가압링(33)을 고정하고 있던 가압링억류부재(32)는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강한 에어(Air)를 견디지 못하고 서서히 벌어지다가 어느 순간 가압링(33)을 파지하고 있던 한 쌍의 편이 좌우로 벌어지면서 고정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해제된 가압링(33)은 순간적으로 튀어나감과 동시에 탄성 복원되어져 고정부(21c)에 마련된 경사면(미도시)을 따라 미끄러지듯 이동되고, 이동된 가압링(33)은 전선연결부(50)의 환형홈(52a)에 둘레면과 팽창부재(34)를 감싸면서 압박고정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가압링(33)에 의해 전선연결부(50)을 고정함과 동시에 에어(Air)에 의해 팽창된 팽창부재(34)가 환형홈(52a)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면서 전선연결부(50)을 고정하는 2중 고정방식을 채택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둘 중 하나의 방법만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지중배전선(L3)을 배전반(20)에 배선 연결하면 그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지면이 좌·우 뿐만 아니라 상·하로도 심하게 진동되어 전선연결부(50)를 매개로 전선장착대(30)에 설치된 지중배전선(L3) 역시 상·하로 진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지진발생으로 인한 상하진동시 지중배전선(L3)이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면, 이를 지지플레이트(21)와 전선장착대(30) 사이에 배치된 완충스프링(40)이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면서 진동을 흡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지중배전선(L3)에 가해지는 힘은 완충스프링(40)에 의해 힘이 분산되거나 상쇄되어 반복적인 상하진동으로 인하여 지중배전선(L3)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진으로 인한 2차 피해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지진발생시 제1전선고정부(51)의 돌부(51a)에 제2전선고정부(52)의 삽입홈(52b)을 승강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서, 지중배전선(L3)에 순간적인 수직하중이 작용시 돌부(51a) 및 삽입홈(52b)을 통해 제1전선고정부(51)를 매개로 고정된 지중배전선(L3)이 이탈되어 하방으로 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돌부(51a)와 삽입홈(52b) 간에 부분마찰을 유도하여 순간적인 힘이 지중배전선(L3)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중배전선(L3)이 진동에 의해 단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전함(1)의 지지플레이트(21)에 전선장착대(30)와 전선연결부(50) 및 스위치부(60), 제어부(70), 컴프레셔(80)를 마련하여 줌으로서,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이 비교적 쉽고 간편하여 넓은 지역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줄 수 있어 작업이 상당히 편리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변압부 20: 배전반 21: 지지플레이트
30: 전선장착대 31: 장착대바디 31a: 공간부
31b: 장착공 31c: 고정부 32: 가압링억류부재
33: 가압링 34: 팽창부재 35: 연결부재
40: 완충스프링 50: 전선연결부 51: 제1전선고정부
51a: 돌부 52: 제2전선고정부 52a: 환형홈
52b: 삽입홈 60: 스위치부 70: 제어부
80: 컴프레셔

Claims (1)

  1. 철탑(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철탑(1)으로부터 인출된 송전선(L1)이 일측에 연결되며, 송전선(L1)을 따라 흐르는 고압전기를 상용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부(10)와:
    지중관(2)과 상호 연통되는 지지플레이트(21)를 갖추고서, 변압부(10)에 인접배치되어 연결전선(L2)을 매개로 변압부(10)와 상호 연결되며, 일측에는 상용전압이 이동될 수 있도록 지중관(2)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L3)이 연결된 배전반(20)과:
    일측으로 개구되되, 개구된 내측에는 공간부(31a)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등 간격을 이루며 공간부(31a)와 연통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장착공(31b)이 구비되며, 지지플레이트(21)를 관통하여 지중관(2)의 타단부에 삽탑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넛형상의 장착대바디(31)와; 공간부(31a)에 형성되되, 장착공(31b)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는 탄성재질의 가압링억류부재(32)와; 가압링억류부재(32)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가압링(33)과; 장착대바디(31)의 개구부를 밀폐하고, 전체적으로 원형관 형상을 이루는 가요성 및 탄성 재질의 팽창부재(34)와; 일측이 장착공(31b)에 설치되고, 타측이 컴프레셔(80)에 설치되는 연결부재(35)로 구성된 전선장착대(30)와:
    지지플레이트(21)와 전선장착대(30) 사이에 설치되어 전선장착대(30)를 탄발지지하는 완충스프링(40)과:
    상부와 하부에는 돌부(51a)가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3)의 둘레면에 고정되는 제1전선고정부(51)와, 외면에는 환형홈(52a)이 형성되고, 내면에는 돌부(51a)에 대응되는 삽입홈(52b)이 마련되어, 제1전선고정부(51)의 둘레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전선고정부(52)를 갖추고서, 전선장착대(30)의 가압링(33) 및 팽창부재(34)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전선연결부(50)와:
    전선장착대(30)의 상면에 설치되며, 지중배전선(L3)에 의해 동작되어 제어부(7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60)와:
    스위치부(60)에 인접배치되고, 스위치부(6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컴프레셔(80)로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0)와:
    제어부(70)로부터 동작신호를 입력받아 전선장착대(30)의 연결부재(35)에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셔(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


KR1020100044245A 2010-05-12 2010-05-12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 KR101008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245A KR101008926B1 (ko) 2010-05-12 2010-05-12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245A KR101008926B1 (ko) 2010-05-12 2010-05-12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926B1 true KR101008926B1 (ko) 2011-01-18

Family

ID=4361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245A KR101008926B1 (ko) 2010-05-12 2010-05-12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9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099B1 (ko) 2015-03-20 2015-10-05 서평전기공업(주) 내진용 배전반(특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mcc반, 분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059B1 (ko) 2008-01-15 2008-10-13 (주)지엠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특고압 지중전선의 배전위치 고정프레임장치
KR100951147B1 (ko) 2009-11-25 2010-04-06 홍봉선 특고압 지중전선 배전대
KR100952216B1 (ko) 2009-11-26 2010-04-09 (주)진원엔지니어링 지중전선 보호용 배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059B1 (ko) 2008-01-15 2008-10-13 (주)지엠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특고압 지중전선의 배전위치 고정프레임장치
KR100951147B1 (ko) 2009-11-25 2010-04-06 홍봉선 특고압 지중전선 배전대
KR100952216B1 (ko) 2009-11-26 2010-04-09 (주)진원엔지니어링 지중전선 보호용 배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099B1 (ko) 2015-03-20 2015-10-05 서평전기공업(주) 내진용 배전반(특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mcc반, 분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216B1 (ko) 지중전선 보호용 배전반
KR100983015B1 (ko)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KR101325640B1 (ko) 스마트 내진용 수배전반
KR101601905B1 (ko) 변전용 변압기의 설치구조
KR101771074B1 (ko) 지중 매설형 배전선 연결 장치
KR101495094B1 (ko) 배전설비용 내진 장치
KR102176140B1 (ko) 지중 배전선로용 배전 커넥터 장치
KR101415085B1 (ko) 방진장치
KR101091183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365654B1 (ko)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애자
KR100882296B1 (ko) 진동흡수형 수배전반
KR101548218B1 (ko) 진동흡수 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CN104953489A (zh) 一种抗震智能箱式变电站
KR101210655B1 (ko) 진동제어를 위한 전기설비용 면진장치
KR100933937B1 (ko) 특고압용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배전플레이트
KR101476735B1 (ko) 내진설비가 설치된 수배전반
KR101008926B1 (ko) 송전 고압전선의 철탑고정용 절연홀더
KR100951147B1 (ko) 특고압 지중전선 배전대
KR101008280B1 (ko) 매설방식의 지중배전선 고정용 절연관
CN209767072U (zh) 一种抗震电缆桥架伸缩节装置
KR101976412B1 (ko) 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진동 보호 시스템
CN102856860A (zh) 母线支撑装置
KR101210656B1 (ko) 3축 방향 진동제어를 위한 전기설비용 면진장치
KR100935939B1 (ko) 가공송전선용 송전선의 인입용 커넥터
KR101607817B1 (ko) 수배전반의 내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