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902B1 -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902B1
KR101008902B1 KR1020100067056A KR20100067056A KR101008902B1 KR 101008902 B1 KR101008902 B1 KR 101008902B1 KR 1020100067056 A KR1020100067056 A KR 1020100067056A KR 20100067056 A KR20100067056 A KR 20100067056A KR 101008902 B1 KR101008902 B1 KR 101008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frame
pulley
light guid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광
이호연
Original Assignee
레이져라이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져라이팅(주) filed Critical 레이져라이팅(주)
Priority to KR1020100067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902B1/ko
Priority to PCT/KR2011/004848 priority patent/WO201200869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69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hea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 B23K26/0876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hea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in at least two axial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30Organic material
    • B23K2103/42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50Inorganic material, e.g. metals, not provided for in B23K2103/02 – B23K2103/26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로 도광판을 가공함에 있어 직선왕복 이송될 부재의 구동원으로서 회전모터를 사용하면서 간단한 구조와 높은 효율로 작동되는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과, 레이저 빔을 생성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레이저 발진부와, 상기 레이저 발진부로부터 전달받은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가공대상인 도광판에 미리 정해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조사부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레이저 조사부를 직선왕복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 이송되며 상기 가공대상인 도광판을 지지하는 이송정반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풀리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완충블럭과, 상기 완충블럭에 설치된 제2 풀리와,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에 걸쳐지며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고정된 벨트와, 상기 완충블럭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탄력지지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풀리 또는 제2 풀리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APPARATUS FOR PROCESSING LIGHT GUIDE PLATE WITH LASER HAVING ROTATIVE MOTOR AS SOURCE OF DRIVING FOR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용 도광판의 가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로 도광판을 가공함에 있어 직선왕복 이송될 부재의 구동원으로서 회전모터를 사용하면서 간단한 구조와 높은 효율로 작동되는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자기발광성이 없으므로 별도로 발광원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발광원은 액정패널의 후면에 배치되어 액정패널을 투과하여 빛을 조사하므로, 흔히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이라고 불린다.
백라이트 유닛은 면광원으로서 기능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전면에 걸쳐 균일한 휘도를 가진 면광원을 구현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일이므로, 냉음극 형광램프(CCFL)나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선광원 또는 점광원에 유사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면광원에 가까운 상태로 조정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여기서 빛의 확산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도광판(Light Guide Plate, LGP)이다.
도광판은 보통 아크릴 수지로 된 판재로서, 측면 또는 저면에 배치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전면을 향해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이 패턴은 빛을 반사하거나, 굴절시킴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되는데, 패턴의 형태에 따라 도광판 전면에서의 휘도 균일성이 결정된다. 따라서 도광판의 패턴은 점차 복잡하고 정밀한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표시장치의 대면적화에 따라 패턴 형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도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이저 빔를 이용하여 아크릴 판재에 패턴을 형성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라 레이저로 도광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도광판 가공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로서, 특허 제460790호의 일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도광판 가공장치는 상대적으로 고정된 Y축 가이드레일(62)과, Y축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X축 가이드레일(61)과, X축 가이드레일에 고정된 제1 미러(58)와, X축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2 미러(59)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레이저 시스템(53)이 제1 미러(58)를 향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면, 레이저 빔은 제1 미러(58)에서 제2 미러(59)를 향해 반사되고, 제2 미러(59)에서 다시 반사된 레이저 빔은 제2 미러(59) 하방에 위치한 도광판(41)에 도달하여 도광판(41)에 소정의 도광패턴부(45)가 형성된다.
도광판(41)의 전면에 걸쳐 도광패턴부(45)를 형성하기 위해, X축 가이드레일(61) 및 이에 고정된 제1 미러(58)는 Y축 가이드레일(62)을 따라 이동하여야 하며, 제2 미러(59)는 X축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이동하여야 한다. 이때 제1 미러(58) 및 제2 미러(59)는 선형적으로 왕복이동하며, 따라서 직선왕복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필요해진다.
이러한 직선왕복 이송수단으로서는 리니어모터가 적합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리니어모터(Linear Motor)는 회전하는 로터를 구비한 회전 모터(Rotative Motor)와 달리 직선 방향의 구동력을 직접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모터를 직선왕복 이송수단의 구동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볼스크류, 체인, 기어, 랙 앤 피니언, 벨트 등과 같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기구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들 운동변환기구는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나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피할 수 없다. 또한 반복되는 왕복 이송이 필요한데,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어야 하는 시점에서 운동변환기구에 기계적 충격이 가해지며, 특히 대면적 도광판 가공을 위한 고속 작동에 절대적으로 불리하다.
리니어모터는 직선형의 구동력을 직접 발생시키므로 이런 운동변환기구가 필요하지 않는 만큼 구조가 간단해지며, 에너지 손실이나 소음 및 진동 등이 발생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기어와 같은 기구에서 흔히 발생하는 백래쉬(backlash)가 없어서 사용수명 및 응답성 향상을 가져오며, 운전속도에도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고속화에 적합하고, 정밀한 제어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고속 및 고가속 운동시에도 높은 위치 정밀도를 얻을 수 있는 등 수 많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리니어모터는 구조적으로 그 스트로크(stroke)에 제한이 있으므로, 리니어모터를 적용할 장치 및 설비의 크기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제작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회전모터와 운동변환기구를 조합한 시스템에 비하여 범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동일한 스트로크를 가지는 직선왕복 이송수단을 구축하기 위해 드는 비용의 측면에서도 리니어모터가 아직은 고비용이라는 것도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의 직선왕복 이송을 위한 구동원으로서 회전모터를 이용하면서도 간단한 구조와 높은 신뢰성, 그리고 긴 사용수명을 가진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와 상대적으로 값싸지만 신뢰성 있는 구성품들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 과정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까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는, 프레임과, 레이저 빔을 생성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레이저 발진부와, 상기 레이저 발진부로부터 전달받은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가공대상인 도광판에 미리 정해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조사부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레이저 조사부를 직선왕복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 이송되며 상기 가공대상인 도광판을 지지하는 이송정반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풀리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완충블럭과, 상기 완충블럭에 설치된 제2 풀리와,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에 걸쳐지며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고정된 벨트와, 상기 완충블럭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탄력지지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풀리 또는 제2 풀리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벨트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사용수명을 향상시키고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완충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풀리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완충블럭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탄력지지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완충블럭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댐퍼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완충블럭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가이드슈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타이밍 벨트이고,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는 타이밍 풀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모터와 벨트 기구를 이용하면서도 한 쌍의 풀리 중 어느 한 풀리가 다른 풀리에 대해 완충 작동하도록 하므로, 도광판 레이저 가공을 위한 직선왕복 이송수단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왕복 이송에 따른 기계적 충격에 대해서도 긴 사용수명과 낮은 소음 및 진동 특성을 보이는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모터와 벨트 기구와 같은 값싸고 신뢰성 있는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작 비용이 적게 들며 유지보수를 위한 교체, 수리를 짧은 시간 내에 낮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사시도의 우측 부분 상세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정면도의 우측 부분 상세도,
도 6은 도 1의 실시예의 평면도의 우측 부분 상세도,
도 7은 도 1의 실시예의 우측면도의 상세도,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의 일례의 개략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좌측면도이다.
프레임(10)은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태나 재질, 구조는 통상의 기술에 의해 필요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
레이저 발진부(50)는 레이저 빔을 생성하여 외부로 출사시키며, 이 레이저 빔이 결국 레이저 조사부(200)에 도달하여 아크릴판과 같은 가공대상에 조사됨으로써 미리 정해진 광학 패턴을 아크릴판에 형성하고, 그 결과로 아크릴판을 도광판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레이저 발진부(50)는 프레임(10)에 대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레이저 조사부(200)는 레이저 발진부(50)에서 출사된 레이저 빔을 전달받아 아크릴판 등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아크릴판의 판면 전체에 걸쳐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도록, 레이저 조사부(200)는 프레임(10)에 대해 일방향으로 직선왕복 이송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가공대상인 아크릴판은 레이저 조사부(200)의 이송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각되는 방향으로 이송되며, 이로써 아크릴판의 전면에 걸쳐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공대상인 아크릴판을 지지하는 이송정반(40)은 프레임(10)에 대해 직선왕복 이송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10)에 대해 고정설치된 레이저 발진부(50)로부터, 프레임(10)에 대해 직선왕복 이송되는 레이저 조사부(200)에 이르기까지 레이저 빔을 원활히 전달하기 위해 레이저 전달부가 구비되는데, 레이저 전달부는 복수의 반사경(110,1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1 반사경(110)은 프레임(10)에 설치되며, 레이저 발진부(50)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이 레이저 조사부(200) 측으로 진행하도록 반사시킨다. 제2 반사경(120)은 레이저 조사부(200)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반사경(110)으로부터 레이저 빔을 전달 받아 이송정반(40)에 의해 지지된 가공대상인 아크릴판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반사경들(110,120)의 배치는 레이저 발진부(50)와 레이저 조사부(200)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이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가 바뀌면 반사경의 위치 또는 그 개수도 그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3에서 제1 반사경(110)의 위치에 레이저 발진부(50)를 배치하여 레이저 조사부(200)의 제2 반사경(120)을 향해 레이저 빔을 직접 조사하도록 하는 경우, 제1 반사경(110)은 당연히 생략될 수 있다. 반대로, 레이저 발진부(50)가 도 2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하여 레이저 조사부(200)의 우측 상방에 위치하여 우에서 좌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경우, 제1 반사경(110)의 상방에 추가로 반사경을 배치하여 레이저 빔을 제1 반사경(110)을 향해 진행하도록 반사시키는 구성도 고려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200)를 프레임(10)에 대해 직선왕복 이송시키기 위해 이송수단이 제공된다. 이송수단은 한 쌍의 풀리, 즉 제1 풀리(410) 및 제2 풀리(420)와, 이들 한 쌍의 풀리 사이에 걸쳐진 벨트(500), 완충블럭(600), 완충부재(7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제1 풀리(410)가 도면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 제2 풀리(420)는 좌측에 각각 배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특히 제1 풀리(410)는 완충블럭(6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2 풀리(420)는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모터(300)는 제1 풀리(410)나 제2 풀리(4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면 되지만, 완충블럭(600)에 고정되어 제2 풀리(420)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모터(300)가 작동하면 벨트(500)도 작동되게 되며, 벨트(500)에 레이저 조사부(200)를 고정하면 벨트(500)와 함께 레이저 조사부(200)도 이동하게 된다. 이때 레이저 조사부(200)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레일(20)을 프레임(10) 상에 설치하고, 레이저 조사부(200)가 이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회전모터(300)를 정회전, 역회전시키면 레이저 조사부(200)가 직선상에서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레이저 조사부(200)를 직선왕복 이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완충블럭(600)은 프레임(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상대이동의 유형은 직선운동, 곡선운동, 선회운동 등 다양하게 바뀔 수 있으나, 본질적으로 직선운동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예컨대, 완충블럭(600)은 프레임(10)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완충블럭(60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프레임(10)에는 가이드레일(12)을 고정설치하고, 완충블럭(600)에는 가이드슈(610)를 고정설치하여 이 가이드슈(610)가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완충블럭(600)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완충부재(700)가 추가로 구비된다.
완충부재(700)는 프레임(10)에 대한 완충블럭(600)의 상대적인 이동을 방해함으로써 양자 사이의 물리적인 충격을 감소시킨다. 이는 제1 풀리(410)가 완충블럭(600)에 설치되어 있고, 제2 풀리(420)가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풀리 사이에 벨트(500)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전모터(300)가 정회전하다가 역회전할 때 또는 역회전하다가 정회전할 때 등, 벨트(500)의 이송방향이 급격히 변화할 때 벨트(500)의 장력이 역시 급격히 변화하면서 제1 풀리(410)와 제2 풀리(420)를 접근시키는 경향이 발생하는데, 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벨트(500)의 이송방향이 바뀔 때 제2 풀리(420)가 설치된 완충블럭(600)이 프레임(10) 측으로 급속히 이동하는 과정에서 프레임(10)과 완충블럭(600) 사이에 위치한 완충부재(700)가 완충블럭(600)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물리적인 충격을 감소시키다. 완충부재(700)의 충격 감소 작용은, 벨트(500)로부터 거슬러 올라가, 제1 풀리(410), 제2 풀리(420)는 물론 제1 풀리(410)에 연결된 회전모터(300)에 이르기까지 순간적인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므로, 각 기구의 사용 수명이 향상되며,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충격 감소 작용은 비단 벨트(500)의 이송방향 전화시 뿐만 아니라, 일방향으로 지속적인 작동 중에도 벨트(500)의 처짐이나 부풀어 오름과 같은 불가피한 비정상적 거동, 또는 공진 주파수에 따른 요동 등에 의해 벨트(500) 내의 장력 불균형이 제1 풀리(410), 제2 풀리(420) 및 회전모터(300)에 미치는 기계적 영향을 완화시킨다.
완충부재(700)는 도 4 내지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완충블럭(600)과 프레임(10) 사이에 배치되어 완충블럭(600)을 프레임(10)에 대해 탄력지지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된 도면에서는 스프링(700)의 일단이 프레임(10)에 직접 접하는 것이 아니라 정지블럭(11)을 통해 간접적으로 프레임(10)에 탄지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정지블럭(11)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프레임(10)의 형상에 따라 정지블럭(11)이 생략될 수도 있다. 가이드바(710)는 스프링(700)의 압축 및 이완 동작을 원활히 하기 위해 스프링(700) 내에 삽입된 것으로, 스프링(700)의 길이가 길지 않다면 가이드바(710) 역시 생략될 수 있다.
완충부재(700)는 또한 스프링 이외에도 댐퍼(damp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의 작동방식이나 종류는 불문하며, 예컨대 유압댐퍼(hydraulic damper)와 같이 선형적으로 작동하며 양단 사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이상에서 레이저 조사부(200)의 정확한 위치제어를 위해 벨트(500)는 타이밍 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각 풀리(410,420) 또한 외주면에 이가 형성된 타이밍 풀리여야 한다.
레이저 빔의 단면 직경을 조정하거나, 한 점에 집중시키기 위해 필요하다면 레이저 빔이 진행하는 광경로 상에 광학렌즈를 배치할 수 있다. 광학렌즈는 레이저 출사부(50)에서 제1 반사경(110)에 진입하기 이전, 또는 레이저 조사부(200)에서 제2 반사경(120)으로부터 가공대상으로 진입하기 이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갯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광학렌즈(60)는 단일 렌즈일 수도 있지만, 볼록렌즈와 오목렌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렌즈군이어도 좋다. 각 실시예에서 광학렌즈(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반사경(120) 이후에 가공대상인 아크릴판으로 진입하기 이전, 즉 레이저 조사부(200)에 설치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6)

  1. 프레임과,
    레이저 빔을 생성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설치된 레이저 발진부와,
    상기 레이저 발진부로부터 전달받은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가공대상인 도광판에 미리 정해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조사부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레이저 조사부를 직선왕복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기 레이저 조사부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선왕복 이송되며 상기 가공대상인 도광판을 지지하는 이송정반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풀리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완충블럭과,
    상기 완충블럭에 설치된 제2 풀리와,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에 걸쳐지며 상기 레이저 조사부가 고정된 벨트와,
    상기 완충블럭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탄력지지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풀리 또는 제2 풀리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완충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풀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완충블럭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탄력지지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완충블럭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완충블럭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가이드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타이밍 벨트이고,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는 타이밍 풀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KR1020100067056A 2010-07-12 2010-07-12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KR101008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056A KR101008902B1 (ko) 2010-07-12 2010-07-12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PCT/KR2011/004848 WO2012008699A2 (ko) 2010-07-12 2011-07-01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056A KR101008902B1 (ko) 2010-07-12 2010-07-12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902B1 true KR101008902B1 (ko) 2011-01-17

Family

ID=4361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056A KR101008902B1 (ko) 2010-07-12 2010-07-12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08902B1 (ko)
WO (1) WO201200869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6849A (zh) * 2016-09-05 2016-12-14 青岛理工大学 导光板激光精密微细加工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013A (ko) * 2001-11-19 2002-02-27 코스모스시스템(주) 액정표시소자용 도광판의 그루브 패턴 형성 시스템
KR20030088519A (ko) * 2002-05-11 2003-11-20 주식회사 엘에스텍 도광판용 패턴형성장치
KR100947356B1 (ko) 2009-07-10 2010-03-15 주식회사 엘에스텍 도광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57535B1 (ko) * 2009-07-10 2010-05-11 주식회사 엘에스텍 도광판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5984A (ja) * 2000-08-08 2002-02-12 Asahi Glass Co Ltd 板ガラスの切断装置
KR100645772B1 (ko) * 2005-02-16 2006-11-14 토파즈엘시디 주식회사 도광판 가공용 co2 레이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013A (ko) * 2001-11-19 2002-02-27 코스모스시스템(주) 액정표시소자용 도광판의 그루브 패턴 형성 시스템
KR20030088519A (ko) * 2002-05-11 2003-11-20 주식회사 엘에스텍 도광판용 패턴형성장치
KR100947356B1 (ko) 2009-07-10 2010-03-15 주식회사 엘에스텍 도광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57535B1 (ko) * 2009-07-10 2010-05-11 주식회사 엘에스텍 도광판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6849A (zh) * 2016-09-05 2016-12-14 青岛理工大学 导光板激光精密微细加工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8699A2 (ko) 2012-01-19
WO2012008699A3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008B1 (ko) 레이저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
CN107065155B (zh) 一种激光清洗用可变焦光学单元及激光清洗装置
EP3671011B1 (en) Gradient frosting system
KR101238340B1 (ko) 가시광선 스캔형 저비용 쾌속조형장치
KR100998484B1 (ko) 레이저 빔의 광경로 거리가 일정한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KR101008902B1 (ko) 회전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KR100809583B1 (ko) 레이저 패턴 가공장치
EP3229050A1 (en) Light guide pl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backlight module
KR20120041075A (ko) 레이저패턴 가공장치
KR101021572B1 (ko) 도광판 변형 방지수단을 구비한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CN103439852B (zh) 一种对比度调节装置及具有该装置的投影机
JP2017084620A (ja) 光源装置
KR100957536B1 (ko) 도광판 제조장치
KR20050104118A (ko) 레이저 발진부를 이동하여 도광판을 가공하는 레이저 장치
KR101021571B1 (ko) 파티클 세정수단을 구비한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KR101024846B1 (ko) 레이저 빔 차단수단을 구비한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KR100439679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도광판 가공 장치
KR100439680B1 (ko) 회전 테이블을 구비한 도광판 가공 장치
CN114963072B (zh) 一种光学透镜变焦舞台灯
CN213513297U (zh) 一种灯的变焦机构
JP2019062008A (ja) 光源装置
KR101088354B1 (ko) 멀티 포커스 렌즈를 이용한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CN103624404B (zh) 一种激光图案加工设备
CN219120398U (zh) 一种多功能激光光学系统
CN110967930B (zh) 光源衰减装置及光刻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