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257B1 -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257B1
KR101008257B1 KR1020100064845A KR20100064845A KR101008257B1 KR 101008257 B1 KR101008257 B1 KR 101008257B1 KR 1020100064845 A KR1020100064845 A KR 1020100064845A KR 20100064845 A KR20100064845 A KR 20100064845A KR 101008257 B1 KR101008257 B1 KR 101008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ideo
directional
mobile terminal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지훈
권태윤
서민석
심상민
Original Assignee
원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지훈 filed Critical 원지훈
Priority to KR1020100064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여러 각도 및 넓은 시야 확보를 통해 주변 피사체들을 다중 포커싱하여 스냅 샷(snapshot)/동영상으로 연계 가능한 유선·무선 디바이스(device)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는, 좌우로 움직이면서 다방향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복수의 카메라와; 음성 녹음을 위한 마이크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 촬영된 영상을 각각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 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다방향 영상을 다중으로 저장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의 녹음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을 포함한 동영상을 상호 전송 및 외부 기기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기 위한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파일에 위치정보, 경로정보, 날짜 및 시각 정보를 포함하여 파일을 생성하여, 외부장치에 전송하게 된다.

Description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Multi-directional multiple video mobile}
본 발명은 다방향(多方向) 다중 동영상(video)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각도 및 넓은 시야 확보를 통해 주변 피사체들을 다중 포커싱하여 스냅 샷(snapshot)/동영상으로 연계 가능한 유선·무선 디바이스(device)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동영상 관련 디바이스는 휴대폰(mobile),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캠코더(camcorder)(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와 같이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휴대폰은 동영상 촬영 가능한 카메라와 동영상을 처리하는 코덱(codec)과 같은 동영상 처리장치, 그리고 처리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저장매체, 영상 처리와 저장에 대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을 처리하여 저장하게 된다.
디지털 카메라는 동영상을 촬영하면 해당 동영상 화면을 카메라에 내장된 디지털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동영상 기기로서, 그 구성은 휴대폰의 구성과 극히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캠코더는 동영상 이미지와 소리를 내부 기억 장치에 기록하는 휴대용 전자 동영상 기기로서, 비디오 카메라의 캠과 비디오 카세트 리코더의 코더를 하나로 묶은 것이며, 실제로 이름과 비슷하게 두 가지 용도를 지닌다.
그러나 주지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동영상 디바이스는 포커싱이 고정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즉, 영상 촬영시 카메라의 위치가 개인의 포커싱에 의도하여 고정적이면서 단방향 시야를 가지게 되므로, 다양한 방향의 영상을 동시에 획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개인용 블랙박스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동영상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여러 각도 및 넓은 시야 확보를 통해 주변 피사체들을 다중 포커싱하여 스냅 샷(snapshot)/동영상으로 연계 가능한 유선·무선 디바이스(device)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일상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활동하면서도 개인의 시선과 일치하는 방향 및 그 외적 방향의 주변 상황을 쉽게 동영상으로 동시에 촬영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다중 포커싱을 통해 넓은 시야 확보를 하고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는,
좌우로 움직이면서 다방향의 영상을 동시 촬영하기 위한 복수의 카메라와;
음성 녹음을 위한 마이크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 촬영된 영상을 각각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 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을 별도로 저장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의 녹음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을 포함한 동영상을 외부 기기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상부 카메라와 상기 마이크를 장착하기 위한 메인 본체와 ;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하부 카메라를 장착하기 위한 서브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기 위한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파일에 위치정보, 경로정보, 날짜 및 시각 정보를 더 포함하여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본체에 장착된 상부 카메라는 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본체는 상기 서브 본체를 다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장착 홈이 복수로 구비되거나 상기 서브 본체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하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본체는 메인 본체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 본체에 장착된 하부 카메라는 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 본체는 상기 메인 본체에 결합하거나 상기 메인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 본체는 외부 기기와 USB통신으로 결합하기 위한 USB포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 본체는 서브 본체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렌즈의 위치에 따라 여러 각도 및 넓은 시야 확보를 통해 주변 피사체들을 다중 포커싱하여 스냅 샷(snapshot)/동영상으로 연계 가능한 유선·무선 디바이스(device)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상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활동하면서도 개인의 시선과 일치하는 방향 및 그 외적 방향의 주변 상황을 쉽게 동영상으로 동시에 촬영하여 블랙박스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의 정면도, 좌·우 측면도 및 저면도.
도 3a는 메인 본체와 서브 본체의 결합 및 분리 상태도이고, 도 3b는 후면부의 구조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의 구성중 상부 카메라 관련 일부 블록구성도이고, 도 4b는 하부 카메라 관련 일부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의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의 세부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를 개인용 블랙박스로 활용한 경우의 시스템 구성도.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서 각 부분별 데이터 전송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를 개인용 블랙박스로 활용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모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의 정면도, 좌·우 측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3a는 메인 본체와 서브 본체의 결합 및 분리 상태도이고, 도 3b는 후면부의 구조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의 구성중 상부 카메라 관련 일부 블록구성도이고, 도 4b는 하부 카메라 관련 일부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100)는, 크게 메인 본체(110)와 서브 본체(120)로 대별된다.
메인 본체(110)에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움직이면서 다방향의 영상을 동시 촬영하기 위한 상부 카메라(111)가 구비되고, 음성 녹음을 수행하면서 휴대단말기의 마이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112)가 구비된다.
또한, 메인 본체(110)에는 외부 기기와 USB통신을 위한 USB포트(114)가 구비된다. 이러한 USB포트(1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100)를 차량용 블랙 박스로 활용할 경우 전용 크래들을 연결하기 위함이다.
또한, 메인 본체(110)에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113a)와 오디오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조절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키패드(113)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메인 본체(110)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115)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메인 본체(110)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서브 본체(120)를 다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장착 홈이 복수로 구비되거나 상기 서브 본체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하기 위한 회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본체(110)에는 상기 휴대단말기(100)를 사용자가 목에 걸고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목걸이(116)가 결합 되며, 이러한 목걸이(116)의 내부에는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케이블이 구비되어 휴대단말기(100)에서 발생한 음성이 이어폰(117)을 통해 송출되도록 하며,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받기 위한 GPS(139)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 본체(110)와 결합하는 서브 본체(120)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움직이면서 다방향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하부 카메라(121)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본체(110)에 결합하거나 상기 메인 본체(1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 단자(12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서브 본체(120)의 하부에는 외부 기기와 USB통신으로 결합하기 위한 USB포트(124)가 구비되며, 상기 서브 본체(120)의 뒷면에는 서브 본체(120)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123)이 구비되어 있으며, 조작 스위치 등을 구비한 키패드(12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카메라(111)(121)에 의해 각각 촬영된 영상을 각각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 처리부(131)(132)와, 상기 복수의 영상 처리부(131)(132)에서 처리된 영상을 메모리(133)(134)에 별도로 저장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마이크(112)를 통해 입력된 음성의 녹음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부(135)(136)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제어부(135)(136)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133)(134)에 저장된 영상을 상호 전송하거나 외부 기기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137)(138)(139)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100)의 메인 본체(110)에는 메인 본체의 필요한 부분에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배터리(140)가 구비되는 데, 이러한 배터리(140)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리튬-이온 등의 배터리(1차 전지)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상용교류 전원을 충전 및 방전하기 위한 2차 전지로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서브 본체(120)에도 서브 본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41)가 구비되는 데, 이러한 배터리(141)는 메인 본체(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1차 전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100)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메인 본체(110)만을 사용하거나 메인 본체(110)와 서브 본체(120)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메인 본체(110)와 서브 본체(120)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키패드(113)의 조작을 통해 선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 본체(110)와 서브 본체(120)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메인 본체(110)와 서브 본체(120)를 분리 단자(122)를 통해 결합한 상태에서, 목걸이(116)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에 휴대단말기(100)를 휴대한다. 여기서 분리 단자(122)를 이용하여 메인 본체(110)와 서브 본체(120)를 결합하는 방식은, 메인 본체(110)의 하부에 방향성을 갖는 다수의 삽입 홈을 만들고, 도 3a와 같이 서브 본체(122)의 결합 위치를 달리하는 방법으로 메인 본체(110)와 서브 본체(12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메인 본체(110)에 구비된 상부 카메라(111)와 서브 본체(120)에 구비된 하부 카메라(121)의 주시 방향이 달라져, 다방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이외에 회전 구조를 이용하여 메인 본체(110)와 서브 본체(120)를 결합하고, 메인 본체(110)와 서브 본체(120)를 돌려서 상부 카메라(111)와 하부 카메라(121)의 주시 방향을 달리 설정하여, 다방향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부 카메라(111)와 하부 카메라(121)는 각각 힌지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카메라가 움직이면서 여러 각도, 넓은 시야 확보를 통해 주변 피사체들을 다중 포커싱하게 된다.
메인 본체(110)에 구비된 키패드(113)를 통해 조작되는 신호는 제어부(135)에 전달되고, 상부 카메라(111)에 의해 촬영된 다방향 영상은 영상 처리부(131)에서 신호 처리된 후 제어부(135)를 통해 메모리(133)에 저장된다. 영상 처리부(131)는 일반적인 휴대폰에 구비된 영상 처리장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영상 저장과 동시에 마이크(112)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음성은 제어부(135)를 통해 메모리(133)에 저장되어 녹음이 이루어지는 데, 여기서 제어부(135)는 통상의 녹화시 영상과 음성의 동기를 맞추어 저장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파일을 생성하여 메모리(133)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생성한 녹화 파일에, 현재의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GPS(139)로부터 획득한 위치정보와 각각의 위치정보로부터 생성한 경로정보, 날짜 및 시각 정보를 함께 파일에 저장한다. 이로써 추후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할 때 날짜나 시각,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133)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은 외부의 요청 혹은 휴대단말기의 조작을 통해 제어부(135)의 제어하에 통신모듈(137)(138)을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이 된다. 여기서 통신 모듈(137)은 동영상을 고주파수(RF)로 전송하기 위한 고주파 무선 통신 모듈이고, 통신모듈(138)은 블루투스나 적외선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의미한다. 필요에 따라 USB포트나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RS-485 방식으로 동영상 파일을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모듈(137)은 서브 본체(120)에 구비된 GPS(139)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서브 본체(120)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서브 본체(120)에서 획득한 영상 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서브 본체(120)에 구비된 키패드(125)를 통해 조작되는 신호는 제어부(136)에 전달되고, 하부 카메라(121)에 의해 촬영된 다방향 영상은 영상 처리부(132)에서 신호 처리된 후 제어부(136)를 통해 메모리(134)에 저장된다. 영상 처리부(132)는 일반적인 휴대폰에 구비된 영상 처리장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6)는 상기 생성한 녹화 파일에, 현재의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GPS(139)로부터 획득한 위치정보와 각각의 위치정보로부터 생성한 경로정보, 날짜 및 시각 정보를 함께 파일에 저장한다. 여기서 위치정보, 경로정보, 날짜 및 시각 정보는 상부 본체(110)의 통신 모듈(137)을 통해 받을 수도 있고, 자체적으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고 획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로써 추후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할 때 날짜나 시각,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서브 본체(120)의 메모리(134)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은 휴대단말기의 조작을 통해 제어부(136)의 제어하에 통신모듈(142)을 통해 상부 본체(110)의 통신 모듈(137)로 무선 전송이 된다. 여기서 통신 모듈은 동영상을 고주파수(RF)로 전송하기 위한 고주파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하나의 휴대단말기(100)에 제어모듈과 동영상 처리 모듈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제어모듈을 하나로 단일화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의 전체 동작 흐름을 보인 것으로서, 동영상 녹화를 위해 초기에 신호 제어를 설정한다(S101). 여기서 신호 제어설정은 동영상 프레임을 설정하거나 스냅 샷 주기를 설정하거나 로컬 저장 또는 서버 저장 등과 같은 저장 형태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각각의 기기 연결 설정을 확인한다(S103). 여기서 기기 연결 설정은 메인 본체와 서브 본체 그리고 통신 디바이스와의 연결 설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절차이다.
다음으로,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확인하고(S105), 그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다방향 다중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즉, GPS를 통해 현재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S107), 메인 본체에 설치된 상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신호처리하게 된다(S109).
또한, 제어신호의 확인 과정에서 모듈분리를 판단하여(S111) 즉, 메인 본체와 서브 본체의 분리 여부를 판단하여, 모듈이 분리된 경우에는 메인 본체와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을 구성하게 된다(S113). 그리고 서브 본체에서 하부 카메라를 통해 생성한 서브 영상신호를 처리하게 되고, 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115 ~ S117).
다음으로, 단계 S119에서 상부 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영상, 마이크를 통해 획득한 음성, 하부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 위치정보, 경로정보, 시각 및 날짜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S121).
이후 생성한 정보의 신호제어 설정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고(S123), 이때 저장된 동영상을 통신 디바이스나 서버 등에 전송할 경우, 통신 디바이스 또는 서버와 통신을 위한 통신 구성을 설정하고(S127), 통신 디바이스 또는 서버 업로드용 정보를 구성한 후 저장된 동영상 파일의 업로드를 수행하게 된다(S129).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를 개인 블랙박스로 사용할 경우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외부 장치(External-Device) 및 확장 모듈(Extend-Module)을 인식하고(S201), 와이-파이(Wi-Fi)를 초기화한 후(S203), 블루투스(Bluetooth)를 초기화한다(S205). 그리고 위치정보통신모듈인 GPS를 초기화하고(S207), 확장 모듈 인식 및 접속을 수행한다(S209). 아울러 동영상을 전송할 외부장치(핸드폰, 퍼스널컴퓨터, 기타) 인식 및 접속을 실행하고(S211), 휴대폰 인식 및 접속을 실행하여(S213) 정상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면, 외부장치로 동영상 파일을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전송되는 파일은 동영상 파일이거나 스냅 샷일 수 있으며, 외부 장치의 요청에 따라 동영상/음성 녹화 프로세스, 스냅 샷 녹화 프로세스, 헤드 셋 프로세스, 음성 재생 프로세스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에서 처리하는 동작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를 개인용 블랙박스로 활용한 경우의 시스템 구성도로서,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100)와 연결되어 동영상을 전송받기 위한 스마트폰(200)과, 상기 동영상을 개인 블랙박스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블랙박스 전용서버(300)와, 상기 블랙박스 전용서버(300)와 접속하여 저장된 동영상을 다운받아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400)로 구성된다.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100)는 주지한 바와 같이 획득하여 저장한 다중 동영상, 음성정보, GPS 위치정보, 스냅 샷 정보 등을 도 8a와 같이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200) 또는 블랙박스 전용서버(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100)는 스마트폰(200)과 통신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애플리케이션이 내장된 것으로 가정한다. 스마트폰(200)은 내장된 위치정보확인모듈, 지도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블랙박스 전용서버로 전송할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폰(200)은 도 8b와 같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수집한 정보(위치정보, 경로정보, 사진정보, 음성정보, 동영상, 메모 정보, 기타)를 주기적으로 블랙박스 전용서버(300)로 전송하여 저장을 한다.
블랙박스 전용서버(300)에 저장된 블랙박스용 개인정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 가입자들이 등록한 정보 공유자들이 휴대한 사용자 단말기(400)로 단문 메시지(SMS), 이메일(E-mail) 및 전용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한 알림 서비스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 전송되며, 사용자는 원격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수행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서비스가 가능하다.
개인 휴대용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으로 활용할 경우, 개인의 이동경로 및 개인 시야보다 다양한 주변 상황에 대해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으로 촬영 자료를 전달하여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GPS정보와 함께 촬영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버로 등록하여, 그 정보를 미리 등록된 사용자(부모/가족, 기타)들에게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전달해줄 수 있다.
여행 애플리케이션으로 활용할 경우, 개인이 여행하면서 인위적인 모습이 아닌 주변에 자연 발생한 동영상을 촬영하면서 개인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블로그 애플리케이션으로 활용할 경우, 개인의 관심 및 취향에 대한 다양한 블로그를 생생하게 비쥬얼(visual)한 자료로 실시간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다.
아울러 백화점 개인 쇼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으로 활용할 경우, 개인이 백화점을 쇼핑하면서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제품들을 실시간으로 가격 및 제품에 대한 정보를 등록된 가입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용 크래들을 통해 차량용 블랙박스로도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
110… 메인 본체
111… 상부 카메라
112… 마이크
120… 서브 본체
121… 하부 카메라
200… 스마트폰
300… 블랙박스 전용서버
4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좌우로 움직이면서 다방향의 영상을 동시 촬영하기 위한 복수의 카메라와;
    음성 녹음을 위한 마이크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각각 촬영된 영상을 각각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영상 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다방향 영상을 메모리에 다중으로 저장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의 녹음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부와 ;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을 포함한 동영상을 외부 기기로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상부 카메라를 장착하기 위한 메인 본체와 ;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하부 카메라를 장착하기 위한 서브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본체는,
    상기 서브 본체를 다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본체는,
    상기 서브 본체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회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본체는,
    상기 메인 본체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본체에 장착된 하부 카메라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본체는,
    상기 메인 본체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분리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본체는 외부 기기와 USB통신을 위한 USB포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본체는 상기 서브 본체를 특정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본체는,
    외부기기와의 USB통신을 위한 USB포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
KR1020100064845A 2010-07-06 2010-07-06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 KR101008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845A KR101008257B1 (ko) 2010-07-06 2010-07-06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845A KR101008257B1 (ko) 2010-07-06 2010-07-06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257B1 true KR101008257B1 (ko) 2011-01-14

Family

ID=4361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845A KR101008257B1 (ko) 2010-07-06 2010-07-06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2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9190A (ko) * 2004-05-14 2005-11-17 주식회사 팬택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와이드 이미지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556887B1 (ko) * 2003-09-19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위치 고정기능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KR20080113698A (ko) * 2007-06-25 2008-12-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에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903184B1 (ko) * 2008-06-17 2009-06-17 (주)이즈미디어 셀 방식으로 구성된 다중 카메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887B1 (ko) * 2003-09-19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위치 고정기능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KR20050109190A (ko) * 2004-05-14 2005-11-17 주식회사 팬택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와이드 이미지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080113698A (ko) * 2007-06-25 2008-12-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에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903184B1 (ko) * 2008-06-17 2009-06-17 (주)이즈미디어 셀 방식으로 구성된 다중 카메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400127A1 (en) Headset-based telecommunications platform
US9374529B1 (en) Enabling multiple field of view image capture within a surround image mode for multi-LENS mobile devices
US9007464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system, photographing method, and program stored in non-transitory medium in photographing apparatus
WO2018035811A1 (zh) 全景拍摄方法、终端、旋转组件及全景拍摄装置
TWM546639U (zh) 環景影像捕捉裝置
JP201717550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795187A (zh) 一种图像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5916097A (zh) 信息终端装置、信息取得装置和信息援助方法
CN104469319A (zh) 一种图像采集与图像显示分离的方法及装置
CN105872336A (zh) 摄像机
KR101008257B1 (ko) 다방향 다중 동영상 휴대단말기
US110642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current data streams from a singular sensor with remotely selectable parameters
CN112422814A (zh) 一种拍摄方法和电子设备
WO2022037292A1 (zh) 图像拍摄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207218993U (zh) 基于摄像耳机的播放系统
CN114745508A (zh) 一种拍摄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6454128A (zh) 自拍杆调节方法和装置
TWM418314U (en) Portable wireless image/sound-recor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