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197B1 - Hearing aid with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ing - Google Patents

Hearing aid with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197B1
KR101008197B1 KR1020080085257A KR20080085257A KR101008197B1 KR 101008197 B1 KR101008197 B1 KR 101008197B1 KR 1020080085257 A KR1020080085257 A KR 1020080085257A KR 20080085257 A KR20080085257 A KR 20080085257A KR 101008197 B1 KR101008197 B1 KR 10100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main body
wireless communication
hearing
interfac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2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26299A (en
Inventor
이동혁
제이 와이 장
이규진
Original Assignee
(주)머티리얼솔루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머티리얼솔루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머티리얼솔루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80085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197B1/en
Publication of KR20100026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2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1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02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adapted to be supported entirely by 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2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3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021Behind the ear [BTE] hearing aids
    • H04R2225/0213Constructional details of earhooks, e.g. shape,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021Behind the ear [BTE] hearing aids
    • H04R2225/0216BTE hearing aids having a receiver in the ear mou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3Signal processing in hearing aids to enhance the speech intelligi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1Aspects relating to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e.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겸용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사운드 프로세서 및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내장된 보청기 메인 바디와, 일단이 상기 보청기 메인 바디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전선이 내장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연결되며, 표면에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이어피스 연결부가 있는 보청기 서브 바디를 포함하는 보청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여 보청기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범위 및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시간 착용성이 우수하여 보청기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 및 사용 편리성이 증대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for bot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hearing processor main body with a sound processor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ring aid main body and a wire inside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ube, there is provided a hearing aid comprising a hearing aid sub-body hav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control switch formed on its surface and having an earpiece connection at one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improve the range and ease of use of the hearing aid user can us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excellent wearability for a long time increases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ase of use of the hearing aid user .

보청기, 근거리 무선통신, 충전식 배터리, 착용 안정성 Hearing Aids, Near Field Communication, Rechargeable Batteries, Wear Stability

Description

근거리 무선통신 겸용 보청기{HEARING AID WITH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ING}HEARING AID WITH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ING}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겸용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난청 환자의 청력을 보조함과 더불어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보청기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for bot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ssist the hearing of a hearing-impaired patient and to propose a hearing aid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보청기는 난청 환자들의 청력을 보조하기 위하여 외부 소리를 전기적으로 증폭시켜 본인의 필요에 따라서 큰 소리로 잘 들을 수 있도록 보충시켜주는 전자의료기계이다.Hearing Aids are electronic medical devices that amplify external sounds to supplement hearing to help the hearing patient.

보청기는 그 형태 및 기능에 따라 외부 장착형(귀걸이형), 귀속 삽입형, 체내 이식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Hearing aids can be classified into externally mounted type (earring type), ear canal type, internal implant typ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ir shape and function.

도 1은 종래의 귀걸이형 보청기(10)의 일례를 보인 것으로, 배터리 등이 내장되는 본체(14)의 전방 일측에는 소리를 귀로 전달하기 위한 소리 전달부(12)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본체(14)는 상부 보다 하부 면적이 큰 자루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 하단부 내부에 배터리(15)가 내장된다.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arring-type hearing aid 10, and a sound transmitting unit 12 for transmitting sound to an ear is integrally coupled to a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4 in which a battery or the like is embedded. The main body 14 is formed in a bag shape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upper part, and the battery 15 is embedded i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이와 같은 기존의 보청기는 사람의 귀에 걸림 형태로 안착되어 난청 환자의 청각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Such a conventional hearing aid is seated in the shape of a person's ear and assists the hearing of a hearing loss patient, bu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하여 착용감이 떨어지고, 장기간 착용 시 또는 가벼운 운동 중에 보청기가 이탈되기 쉬워 사용상의 불편이 있었다.First, due to structural limitations, the feeling of wearing is poor, and hearing aids are easily dislodged during long-term wearing or during light exercise, which causes inconvenience in use.

또한, 방수성, 심미성 등이 좋지 못하여 내구성이 저하되고 심리적으로 난청 환자들에게 부담감을 야기하고 있다.In addition, the waterproofness, aesthetics, etc. are not good, durability is lowered and psychologically burdened patients with hearing loss.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보청기의 무게 중심이 본체 하단의 배터리 장착 위치에 집중됨으로써 이동 중에 또는 가벼운 운동을 실시하더라도 보청기가 귀로부터 탈착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verall hearing aid is concentrated in the battery mounting position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which causes amplification of the user's anxiety because the hearing aid is detached from the ear even during movement or light exercise.

특히, 기존의 보청기는 내부 부품간의 음향 피드백(acoustic feedback)으로 인하여 하울링(houling)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지적되었다. In particula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a problem of howling occurs due to acoustic feedback between internal components.

따라서, 난청 환자의 청력을 보조하는 기능을 원활히 수행함과 동시에 착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심미성이 향상되어 보청기 착용에 따른 정신적인 부담을 상쇄할 수 있는 새로운 보청기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new hearing aid capable of smoothly performing hearing aids for hearing loss patients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comfort, and improving aesthetics to offset the mental burden of wearing hearing aids.

한편,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컴퓨터 간의 원격 무선 통신을 위하여 최근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예를 들어 블루투스, 지그비, 무선 USB, 바이너리 CDMA, wibee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 기술들을 응용한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폰, MP3 플레이어, DMB 등 휴대용 기기와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활동성을 증대시키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유용성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Meanwhil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Zigbee, wireless USB, binary CDMA, wibee, etc. have recently been studied for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r computers. Is being develop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for example,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MP3 players, DMB, etc. to increase user activity and further increase the usefulnes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그런데, 난청 환자의 경우 통상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보청기와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교대로 착용하 면서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hearing loss patient,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nnot be used in a state where a hearing aid is normally worn, so that a hearing aid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re alternately worn.

따라서, 난청 환자를 위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면서도 보청기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및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new technologies and products capable of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effectively performing hearing aid functions for hearing loss patients.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성과 심미성이 향상된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under the foregoing technical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ring aid with improved wearability and aesthetic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및 충전이 용이한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ring aid that is easy to carry and charg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향 피드백이 감소되어 음질이 향상된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ring aid with improved sound quality with reduced acoustic feedbac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ring aid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resent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운드 프로세서 및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내장된 보청기 메인 바디와, 일단이 상기 보청기 메인 바디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전선이 내장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연결되며, 표면에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이어피스(ear piece) 연결부가 있는 보청기 서브 바디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겸용 보청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und processor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built-in hearing aid main body,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ring aid main body and the wire is embedded therein, and the connector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and provides a near field communication hearing aid including a hearing aid sub body hav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control switch formed on a surface thereof and an ear piece connection at one side thereof.

상기 서브 바디의 제어 스위치는 적어도 180°회동 가능하여, 보청기를 좌측 또는 우측 귀에 착용하더라도 동일한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switch of the sub-body can be rotated at least 180 degrees, so that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controlled in the same manner even when the hearing aid is worn on the left or right ear.

상기 메인 바디, 연결관 및 서브 바디의 안쪽 라인은 귀 외면 형태와 유사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메인 바이와 서브 바디가 연결관을 중심으로 형태적으로 균형을 유지한다.The inner lines of the main body, the connector and the sub body are formed in a curv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ar, and the main buy and the sub body are morphologically balanced around the connector.

상기 서브 바디에는 보청기용 리시버 및 무선통신용 마이크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인 바디에는 보청기용 미이크로서 지향성 마이크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ub body includes a hearing aid receiv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icrophone, and the main body preferably includes a directional microphone as a microphone for a hearing ai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는 충전식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포함되는 인터페이스 보드에 상기 충전식 배터리가 실장되어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장된 배터리는 보청기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은 채 보청기 자체를 충전기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 바디 표면에는 충전식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가 노출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hargeable battery is mounted on the interface board included in the main body is integrated. The built-in battery is preferably charged by inserting the hearing aid itself into the charger without removing it from the hearing aid. To this end, the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is exposed on the main body surface.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여 보청기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범위 및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청기의 휴대성 및 충전이 용이하며, 특히 장시간 착용성이 우수하여 보청기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 및 사용 편리성이 증대된다. 뿐만 아니라, 또한, 음향 피드백이 감소되어 음질이 향상된 보청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보청기 구조를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로 구성하고 연결관으로 상호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균형감을 갖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보청기 착용성 뿐만 아니라 외관상의 심미성을 증진시킨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to improve the range and ease of use of the hearing aid user can us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the portability and charging of the hearing aids are easy, and in particular, the wearability of the hearing aids is excellent, thereby increasing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ase of use of the hearing aid user. In addition, the acoustic feedback can also be reduced to provide hearing aids with improved sound quality. In particular, the hearing aid structure is composed of a main body and a sub-body and interconnected with a connector to form a structure with a sense of overall balance to enhance the hearing aid wearability and appearance aesthetics.

본 발명은 보청기의 형태를 개선하여 장기간 착용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hearing aid to improve long-term wearability and to enab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청기(100) 외관을 보인 사시도로서 귀 외면에 걸이식으로 착용이 가능하도록 내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청기의 외부 구조는 형태적으로(또는 시각적으로) 균형감을 유지하며, 귀 외면에 착용시 보청기의 무게가 귀 후방과 전방으로 분산되어 신체의 활발한 움직이나 운동 중에도 보청기 착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hearing ai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urved inner surface to be wor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ar.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hearing aid maintains a form (or visual) balance, and when wor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ar, the weight of the hearing aid is distributed to the rear and front of the ear, so that the hearing aid wearing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during active movement or exercise. .

보청기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이 가능하며, 부분적으로 탄성을 갖는 재질이 혼용되어 복합적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hearing aid may be plastic or metal, and may be composed of a composite material by mixing a material having a partial elasticity.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보청기의 구성은 크게 후방 메인 바디(110)와, 중앙의 연결관(120) 및 전방의 서브 바디(130)를 포함한다. 서브 바디의 일측에는 이어피스(ear piece) 연결용 연결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이어피스는 귀 속에 장착되는 이어팁(ear tip) 또는 이어몰드(ear mold)(미도시) 등의 삽입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어피스와 연결되는 유연성(flexible) 관(미도시)의 일단을 상기 연결부에 장착함으로써 보청기에서 발생된 소리를 보청기 사용자가 감지하게 된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hearing aid largely includes a rear main body 110, a central connecting pipe 120 and the front sub body 130. At one side of the sub body, an ear piece connection part 150 is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piece refers to an insert structure such as an ear tip or ear mold (not shown) mounted in the ear. By mounting one end of a flexible tube (not shown) connected to the earpiece, the hearing aid user senses the sound generated by the hearing aid.

전방의 서브 바디(130)와 후방의 메인 바디(110)는 중앙의 연결관(120)을 중 심으로 전체적으로 안정감 있게 균형을 유지하면서 내부 곡면 형태가 귀의 외면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다. 후방 메인 바디(110)는 점진적으로 두께가 감소하여 슬림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보청기가 귀 외면에 견고하게 착용되기 위해서 메인 바디(110)와 연결관(120) 및 서브 바디(130)는 물리적인 강성을 유지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보청기가 안착되는 귀 후방의 피부면과의 접촉성을 개선하기 위해 메인 바디의 안쪽 면(111)은 탄성이 있는 인체 친화적 재질, 예를 들어 러버 또는 우레탄 재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front sub-body 130 and the rear main body 110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ar while maintaining a stable balance as a whole, centered on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ipe 120. The rear main body 110 is formed in a form of slimming down gradually decreasing in thickness. In order for the hearing aid to be firmly wor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ar, the main body 110, the connection pipe 120, and the sub body 1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maintains physical rigidity. However, the inner surface 111 of the main body may be formed of an elastic human-friendly material, such as a rubber or urethane material, to improve contact with the skin surface behind the ear on which the hearing aid is seated.

내부에 여러가지 부품을 내장하는 메인 바디(110)는 보청기 전체 무게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클 수 있다. 그러나, 귀 외면에 착용되는 보청기의 안쪽 곡면의 형태 측면에서 볼 때 후방의 메인 바디와 전방의 서브 바디가 거의 동일하게 귀 외면의 후방과 전방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보청기 각 구성 요소의 평면도적인(in plane view) 길이 비율, 즉 메인 바디(I) 대 연결관(II) 및 서브 바디(III)의 길이 비율 (I < (II + III))로 볼 때 메인 바디의 상대적인 중량감을 연결관 및 서브 바디의 구조가 상쇄함으로써 외형적으로나 보청기 전체 중량의 분산 측면에도 균형감을 유지한다. The main body 110 incorporating various components therein may have a large proportion in the total weight of the hearing aid. However,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shape of the inner curved surface of the hearing aid wor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ar, the main body of the rear and the front sub-body can be almost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and fron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ar. In addition, in view of the in-plane view length ratio of each component of the hearing aid, i.e., the length ratio (I <(II + III)) of the main body (I) to the connector (II) and the sub-body (III). The relative weight of the main body cancels out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and subbody to maintain a balance in terms of appearance and dispersion of the overall weight of the hearing aid.

따라서, 보청기 사용자는 보청기를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에도 안정감을 누릴 수 있으며, 운동 등의 격한 활동 중에도 착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보청기 형태에서 벗어나 전방으로 돌출되는 서브 바디를 포함하는 파격적인 디자인으로 인하여 보청기 사용자의 심리적인 위축감을 해소함과 동시에 보청기를 악세사리와 같은 패션 제품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hearing aid user can enjoy a sense of stability even when wearing the hearing aid for a long time, and can maintain the wearability even during intense activities such as exercise. In addition, due to the unusual design including the sub-body protruding forward from the normal hearing aid sha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liminate the psychological atrophy of the hearing aid user and at the same time sublimate the hearing aid into a fashion product such as accessories.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메인 바디(110) 내부에 근거리 무선통신용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서브 바디(130) 외면에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용 스위치(142)가 형성되어 있고, 서브 바디 내부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용 마이크(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보청기를 귀 외면에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 스위치(142)를 누름으로써 보청기 사용 중에 근거리 무선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으로 전화가 걸려왔을 때 보청기 착용자는 제어 스위치를 누르고 휴대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무선으로 통화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스위치(142)는 무선통신을 위한 제어에만 사용하고 보청기 기능과 무선통신 기능의 변환은 (후술하는) 모드 스위치(도 5의 166)를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side the main body 110. In additio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switch 142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b body 130, and a short distance wireless microphone (not shown) may be built in the sub body. Accordingly, the user can press the control switch 142 while wearing the hearing ai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ar to switch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e while using the hearing aid to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when a call is received by a mobile phone, a hearing aid wearer may press a control switch and wirelessly call a call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switch 142 may be used only for the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conversion of the hearing aid func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mode switch (described below) 166 of FIG. 5.

제어 스위치(142)가 부착된 제어 스위치 본체(1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바디(130) 중앙의 전방을 향하는 축을 중심으로 180° 또는 360°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보청기를 좌측 귀 또는 우측 귀 어느 쪽에 착용하더라도 제어 스위치를 회동시킴으로써 근거리 무선통신 모드로의 전환(또는 그 반대 모드로 전환)하기에 용이하다.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 switch main body 140 with the control switch 142 may be rotated 180 ° or 360 ° about an axis toward the front of the center of the sub body 130. Therefore, even if the hearing aid is worn on either the left ear or the right ear, it is easy to switch to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e (or vice versa) by rotating the control switch.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또한, 메인 바디(110) 내부에는 보청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내장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보드(또는 인쇄회로기판)(170)에 보청기용 마이크(수신기)(168), 모드 스위치(166), 볼륨 조절기(164), 프로그램 입력 단자(163) 등이 장착된다. 수신된 외부 소리를 전기적으로 변환하여 증폭하기 위한 음향 처리기(sound processor)는 인터페이스 보드에 직접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칩으로 형성하여 인터페이스 보드에 실장시킬 수도 있다. Hearing ai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10 is also built in a variety of parts for performing the hearing aid function. 5 and 6, a hearing aid microphone (receiver) 168, a mode switch 166, a volume controller 164, a program input terminal 163, and the like, on an interface board (or printed circuit board) 170. Is fitted. A sound processor for electrically converting and amplifying the received external sound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interface board,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chip and mounted on the interface board.

하나의 인터페이스 보드에 각종 부품을 최적화시킴으로써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청기 구조를 슬림화시킬 수 있다. 보청기 메인 바디 외면에 노출된 각종 부품들은 예시적으로 보인 것에 불과하고, 보청기 기능에 따라 각 부품의 노출 여부 및 요구되는 부품의 종류는 변환될 수 있을 것이다.By optimizing various components in one interface board, the hearing aid structure can be made slim as shown in FIG. 5. The various parts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ring aid main body are merely examples, and whether or not each part is exposed and the type of required parts may be converted according to the hearing aid function.

인터페이스 보드(170)에 장착되는 마이크(168)는 보청기 사용자가 외부 소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지향성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보청기 메인 바디(110) 외면에는 전방의 소리를 수신하기 위한 노출공(168a)과 후방의 소리를 수신하기 위한 노출공(168b)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168 mounted on the interface board 170 preferably uses a directional microphone in order for a hearing aid user to more effectively sense external sound. To this en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ring aid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n exposure hole 168a for receiving the front sound and an exposure hole 168b for receiving the rear sound.

한편, 증폭된 전기 신호를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보청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리시버(receiver)(미도시)는 메인 바디(110)로부터 이격시켜 서브 바디(130)에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시버가 메인 바디 내에 함께 배치됨으로써 음향 피드백에 따른 하울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시버를 이어피스와는 별개로 서브 바디에 배치함으로써 다른 리시버 보호 수단이 없이도 리시버를 습기나 기타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Meanwhile, a receiver (not shown) for converting an amplified electric signal into a sound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ound signal to a hearing aid use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10 and embedded in the sub body 130. The receivers are placed together in the main body to prevent howling due to acoustic feedback. In addition, by placing the receiver on the sub-body separately from the earpie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ceiver can be protected from moisture or other foreign matter without any other receiver protection means.

메인 바디로부터 이격되어 서브 바디에 내장되는 리시버 및 근거리 무선통신용 마이크는 연결관(120) 내부의 전선(미도시)을 통해 메인 바디의 인터페이스 보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receiver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icrophone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face board 170 of the main body through a wire (not shown) inside the connector 120.

메인 바디의 인터페이스 보드(170)의 일면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용 통신 모 듈(180)이 실장된다. 한편, 인터페이스 보드(170)의 다른 일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식 배터리(190)가 실장된다.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 보드 양면에 통신 모듈과 배터리를 배치함으로써 보청기 메인 바디의 폭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슬림화된 보청기를 구현할 수 있으며, 보청기의 심미감과 착용감을 배가시킬 수 있다.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180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interface board 170 of the main body. Meanwhile, as shown in FIG. 7, a rechargeable battery 190 is moun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nterface board 170. By dispo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battery on both sides of the interface board as described above, the width of the main body of the hearing aid can be minimized. As a result, the hearing aid can be made slimmer, and the aesthetics and fit of the hearing aid can be doubled.

메인 바디의 인터페이스 보드(170)에 장착된 충전식 배터리는 충전을 위하여 보청기 외부로 배터리를 탈착시킬 필요없이 보청기 자체로서 충전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인터페이스 보드 일측에 충전용 전극 단자(162)이 형성되며, 이 전극 단자(162)는 메인 바디(110) 표면에 노출되어 외부의 전원 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rechargeable battery mounted on the interface board 170 of the main body may be charged as the hearing aid itself without having to detach the battery outside the hearing aid for charging. To this end, a charging electrode terminal 16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terface board, and the electrode terminal 162 may be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를 충전하기 위한 모습을 보인 모식도로서, 보청기(100)를 충전기(200)에 삽입하여 안착시키고 보청기의 충전용 전극 단자(162)와 충전기 내부의 전극 단자(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한다. 충전기 표면에 노출된 전원 공급용 단자(210)에는 외부 전원이 연결되어 보청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for charging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aid 100 is inserted into the charger 200 to be seated and the charging electrode terminal 162 of the hearing aid and the electrode terminal (not shown) ) Make electrical contact. An external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210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charger to supply power to the hearing aid and charge the battery.

이와 같이 보청기 자체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청기로부터 배터리를 교체하는 불편이 제거되어 특히 노약자의 보청기 사용 편리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배터리와 보청기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청기 휴대성이 향상된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hearing aid itself,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replacing the battery from the hearing aid, in particula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hearing aid use for the elderly. 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and the hearing aid do not need to be managed separately, the portability of the hearing aid is improved.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 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idea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various scop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may be modified, changed or improved in a form.

도 1은 종래의 보청기 구조의 일례를 보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hearing aid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청기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청기를 보인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부분 확대도.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청기를 보인 배면도.Figure 5 is a rear view showing a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보청기의 내부 부품을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hearing aid.

도 7은 배터리 및 통신모듈이 인터페이스 보드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battery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integrally coupled to the interface board.

도 8은 배터리 충전 모습을 보인 모식도.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charging the battery.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보청기 110:메인 바디100: hearing aid 110: main body

120:연결관 130:서브 바디120: connector 130: sub-body

142:제어 스위치 170:인터페이스 보드142: control switch 170: interface board

180:통신 모듈 190:배터리180: communication module 190: battery

Claims (11)

사운드 프로세서 및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내장된 보청기 메인 바디와, A hearing aid main body with a sound processor and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일단이 상기 보청기 메인 바디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 전선이 내장되는 연결관과,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ring aid main body, and a wire inside which a wire is built,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연결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표면에 근거리 무선통신 제어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이어피스(ear piece) 연결부가 있고, 보청기용 리시버 및 무선통신용 마이크가 내장되는 보청기 서브 바디를 포함하는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and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a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switch is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ear piece (ear piece) on one side, a hearing aid receiv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icrophone is built-in Including hearing aid subbody 근거리 무선통신 겸용 보청기.Near field communication hearing a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디의 제어 스위치는 180°회동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 겸용 보청기.The hearing ai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switch of the sub body is rotatable 18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 연결관 및 서브 바디의 안쪽 라인은 귀 외면 형태와 유사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겸용 보청기.The hearing aid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lines of the main body, the connector, and the sub body are formed in a curv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a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는 보청기용 지향성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 는 근거리 무선통신 겸용 보청기.The hearing ai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directional microphone for hearing ai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는 충전식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겸용 보청기.The hearing ai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has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인터페이스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식 배터리는 인터페이스 보드에 실장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겸용 보청기.7. The hearing aid as claimed in claim 6,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n interface board,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is mounted on the interface boar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 표면에는 충전식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가 노출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겸용 보청기.The hearing aid of claim 6, wherein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인터페이스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의 일면에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실장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겸용 보청기.The hearing ai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n interface board,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interface boar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의 일면에는 충전식 배터리가 실장되고, 인터페이스 보드의 반대 면에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실장되어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겸용 보청기.The hearing aid of claim 9, wherein a rechargeable battery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interface board,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mount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interface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바깥 면과 안쪽 면이 다른 재질로 형성되 고, 안쪽 면은 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겸용 보청기.The hearing ai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different outer surface and an inn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is an elastic material.
KR1020080085257A 2008-08-29 2008-08-29 Hearing aid with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ing KR1010081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257A KR101008197B1 (en) 2008-08-29 2008-08-29 Hearing aid with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257A KR101008197B1 (en) 2008-08-29 2008-08-29 Hearing aid with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299A KR20100026299A (en) 2010-03-10
KR101008197B1 true KR101008197B1 (en) 2011-01-14

Family

ID=4217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257A KR101008197B1 (en) 2008-08-29 2008-08-29 Hearing aid with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1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0831A1 (en) * 2016-01-21 2017-07-27 Sivantos Pte. Ltd. hearing A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549B1 (en) * 2006-08-10 2008-03-04 (주)와이즈앤블루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both hearing aid and sound instrument
JP2008515299A (en) * 2004-10-01 2008-05-08 ジーエヌ リザウンド エー/エス Hearing aid adapter
KR20080002763U (en) * 2007-01-17 2008-07-22 (주) 멀티웨이브 Behind-the-ear hearing aid with a receiver separated from the main un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5299A (en) * 2004-10-01 2008-05-08 ジーエヌ リザウンド エー/エス Hearing aid adapter
KR100809549B1 (en) * 2006-08-10 2008-03-04 (주)와이즈앤블루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both hearing aid and sound instrument
KR20080002763U (en) * 2007-01-17 2008-07-22 (주) 멀티웨이브 Behind-the-ear hearing aid with a receiver separated from the main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299A (en)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9664B2 (en) Wireless ear-piece with conductive case
US20070058831A1 (en) Ear ring type two way wireless mini-ear piece
US8170253B1 (en) Listening device cap
US20150350762A1 (en) Monaural wireless headset
CN107210031A (en) Hearing protectors with the storehouse for rechargeable battery
WO2005096599A1 (en) Talking device using bone conduction speaker
US9532130B2 (en) Audio headset
CN108430248A (en) Ear defenders, communication system and protective helmet
US20040180691A1 (en) Hat cell phone or wireless device for hands-free user-safe operation
US20200060373A1 (en) Cap mounted with bone conduction module
US7020300B1 (en) Headset with resiliently deflectable boom
KR100962720B1 (en) Headset fo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ing
CN103763651A (en) Noise shielding earphone
JP3066305U (en) Hearing aid
KR101008197B1 (en) Hearing aid with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ing
US20040055811A1 (en) Earphone device
WO2009157605A1 (en) Multi-functional spectacles for leisure use
CN2884722Y (en) Wireless earphone of ring type cell phone
CN212909984U (en) Intelligent sports Bluetooth earphone
KR101008196B1 (en) Slimed hearing aid
CN201450593U (en) Hearing aid
CN206313969U (en) A kind of novel bone conduction bluetooth ring
CN205830029U (en) There is the sonifer of active noise reduction
CN212413397U (en) Wireless earphone
CN214481189U (en) Wear comfortable wireless bluetooth headset of mo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